선생님 감사합니다. 선생님 강의를 들을수록 네트워크를 몰랐다는 생각이 드네요. 여러 번 돌려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
@zackgreinke2382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개발자가 유투브하는 느낌이었는데, 제목 뽑으시는거 보니 유투버가 개발하는 경지에 이르심..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피드백 감사합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학생을 낚는 어부가 되겠습니다!! ^^;;;;;
@문찬규-b6c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컴붕이 2학년 입니다. 학교 강의 재미 없어서 이것만 보고 있습니다. 위의 class 방식을 쓰면 아무리 봐도 동시에 연결된 컴퓨터가 42억개 이상일 것 같아서 찾아보았는데 CIDR 방식을 써서 해결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질문이 있습니다. 1. 이제는 그럼 저 class a,b,c 방식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인가요? 2. 하나의 Global IP를 여러 명이 사설 IP로 공유해서 사용함으로써 위의 문제를 해결한거네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1. 아니오.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큰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 개선됐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용어 자체가 아직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네, 주소부족 문제는 그렇게 해결이 됐다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IPv6를 도입하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tttwwg2 жыл бұрын
강의잘보고있습니다 질문이있는데 제가 주변에서 들은바로는 pc에 네트워크카드가 죽었는지 판별하려면 루프백주소로 핑을 보내본다고 들었는데, 루프백이 nic쪽으로 안간다면 그렇게 테스트하는건 소용없는 테스트겠네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하나도 없다면 루프백 인터페이스도 비활성화 되겠지요. 문제는 가상 드라이버라도 하나 있다면 활성화 된다는 것입니다. 이건 테스트 대상이 아니라 설정확인 대상이 아닐까 싶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ttwwg2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아~! 답변 감사합니다
@marunarae5502 жыл бұрын
루프백 IP 원리가 그냥 L2영역으로 안내려보내는 거였네요. 하긴.. 그 위 연결은 모두 논리적이니 굳이 내려보낼 이유가 없죠. 그림 따라그리면서 외우면 금방 외워지네요.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굳이 할 필요 없는 일은 하지 않아야 성능이 좋아지죠. ^^
@qaztrewqaz99602 жыл бұрын
ip 어드레스가 서브넷 마스킹(xor 연산으로 네크워크아이디랑 호스트아이디 분리) 에 따라서 a b c 급으로 분류되는 것은 알겠는데, 서브넷 마스킹이 언제 효율적으로 쓰이는지 모르겠어요. 큰 그룹일수록 높은 클래스를 쓰면 호스트로 쓸수있는 아이피가 많아지는것은 알겠고... 서브넷 마스킹을 이용해서 주소를 늘릴수도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찾아보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XOR 아니고 AND연산 입니다. 그것으로 A/B/C 클래스를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IP주소에서 Net ID만 잘라내는 것에 있습니다. 그리고 서브넷 마스킹을 이용해서 주소가 늘지는 않습니다. 한 C Class를 더 잘라서 쓰기위해 추가 서브넷을 구성하기도 하지요. 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주소 개수가 더 줄어듭니다.
@bori123702 жыл бұрын
이전 과제에서 공유기가 무슨 계층의 스위치일까 여쭤보셨는데 여기에 답이 있었네요! 공유기는 L3 스위치이고 NAT 기능이 강화된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는 스위치...!!! 군요 !! ㅎㅎ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음...저렴한 공유기들이 라우팅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반대로 고가의 라우터들은 죄다 NAT기능을 지원하지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열씸히최선을다해살자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선생님 혹시 그러면 abc 각 클래스에서 네트워크 id는 몇개일까요? 그리고 클래스 id라는것도 따로 있나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A 클래스 2의 8 제곱, B클래스 2의 16제곱, C클래스 2의 24제곱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클래스 아이디라는 것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
@hello53422 жыл бұрын
Process간 IPC 통신할 때 같은 PC라면 192.168.x.x를 써도 문제는 없지만, 가능한 loopback address를 사용하는 것이 PC 리소스를 적게 잡아먹는다.. 라고 이해해도 되겠죠?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음...큰 차이 없습니다. 다만 루프백 주소가 아니라 호스트 IP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경우 유지보수 이슈는 있을 수 있겠습니다.
@KC-072 жыл бұрын
썸네일의 마법인지ㅎㅎ 안 눌러볼 수가 없네요 감사합니당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모든 이해는 암기를 기초로 하지요. 열심히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어 몽땅 암기 시키는 걸로~~! ^^
@heb17272 жыл бұрын
짬날떄나 응가 할때 보면 은퇴 안하는 마법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캬~~~! 인정! 공부를 좀 아시는 군요!
@user-fs9ei3tt2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아무래도 조금 강의와는 맞지 않는 질문일 수 있지만 혹시 멀티캐스팅에 이용되는 CLASS D IP는 도대체 어떤식으로 이용되는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짧게 답변 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브로드캐스트와 유사하지만 전체가 아닌 특정 그룹에 가입된 호스트에게만 데이터가 전달된다는 점에서 브로드캐스트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말 간단히 말하면 이렇게 됩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생각 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멀티캐스트 작동 원리' 정도 키워드로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
@user-fs9ei3tt2i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감사합니다!
@김민지-t2y8w8 ай бұрын
1. 127.0.0.1로 요청보내도 와이어 샤크로 감지가됐었던거같거든요.. 근데 와이어 샤크가 ip~장치드라이버 사이에있을텐데 그럼 감지를 못해야맞지않나요? 2. 127.0.0.1대신 자신의 private ip 혹은 public ip로 요청을 보내게 되는경우 NIC을 거치게 되나요?
@nullnull_not_eq_null8 ай бұрын
1. 그 사이에 있어도 감지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드라이버를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WinPcap은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감시하지 않았지만 Npcap으로 변경되면서 이제는 감지를 합니다. 구현이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2. 자기 자신에게 보내는 것은 NIC으로 전달하지 않습니다. 그럴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self-coding-h8x2 жыл бұрын
왕 저는 좀 어렵게 느껴지네요 ㅠㅠ, 음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몰르겠지만 c클래스에서 공유기가 global ip를 받아서 공유할 때 앞에 네트워크 아이디는 똑같고 마지막 8bit의 숫자가 변하면서 2의8승(2^8) 경우의 숫자 만큼 다른 IP주소를 가질 수 있다고 이해나면 될까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음...일단 공유기는 신경쓰지 마시고 IP주소는 크게 Net ID와 Host ID 둘로 구성된다라고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2의 8제곱 만큼의 Host ID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의 가장 중요한 전제는 모두 같은 Net ID가 된다는 것입니다. 한 더 생각해보시고 또 질문올려주세요.
@self-coding-h8x2 жыл бұрын
넵!감사합니다 고민해보겠습니다
@JMTyasic Жыл бұрын
tracert 명령으로 루프백 아이피가 아닌 컴퓨터 LAN 카드에 할당된 사설 IP로 접속했을 때의 홉 경로를 추적했더니 루프백 아이피를 사용할 때와 똑같은 결과가 나오던데 그럼 이 경우에도 네트워크 계층까지만 내려갔다 올라오는게 맞는건가요? 그리고 컴퓨터 랜카드가 공인 IP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자기 아이피로 핑을 날려도 패킷이 네트워크 계층만 내려가고 다시 올라오나요? 아니면 물리 계층을 거치고 인터넷으로 나가서 다른 라우터와 만나서 중계 과정을 거치고 컴퓨터로 돌아올까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네, 호스트 자신의 네트워크 계층까지만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OS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 목적지가 자신인 경우 외부로 트래픽이 유도되지는 않는 것이 상식적입니다. 전혀 그럴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django38612 жыл бұрын
네트워크 기초 이론 스터디 29강 완강 / 5월 18일 / 헬스장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정말 열심히 하시네요. ^^;;;
@django38612 жыл бұрын
끝장은 봐야죠~ 추천해주신 네트워크 트러블 슈팅 책 삿고, 책장속에 넣어둔 후니의 네트워크 책도 이제 슬슬 보려고요...ㅎㅎ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django3861 후니...책도 가지고 계셨군요. 장혁님 책 보시기 전에 복습차원에서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제 Wireshark만 좀 하시면 되지 싶네요. ^^
@vitamaxdh2 жыл бұрын
그럼 127.0.0.1 로 요청을 보내면 와이어샤크로는 감지가 안되나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가능합니다. WinPcap은 못하지만 센서 부분이 npcap으로 바뀌면서 가능해졌습니다. 즉, 최신버전은 가능합니다.
@elijah79022 жыл бұрын
아... os 단에서 루프백 은 바깥으로 안나가고 나자신의 tcp소켓중에서 찾는 흐름이 되는거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