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국악 공부 포기상태다가 쌤 영상 찾아다니며 다시 희망을 봅니다. 자세한 설명은 기본, 악보와 사진, 전문서적과 교과서, 기출까지 정말 큰~~도움이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리고 정말 훌륭한 강의에 감탄하고 다른 영상 또 찾아갑니다^^
@sallysally41993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이렇게 좋은 컨텐츠를 만들어 주시다니.... 샘 저 국악 악전, 국악 악기가 특히 무서워요. 임용용으로 꼭 찍어주세요!!!!!!!!!!!!!!!!
@ansihyang2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종묘제례악
@킁스킁스3 жыл бұрын
종묘제례악 공부하는데 너무 힘들고 눈에 안들어왔었어요..ㅠㅠ 근데 우연찮게 영상 봤는데 정말 한번에 이해됬어요!! 저에게 공부의욕을 불어넣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dodo079453 жыл бұрын
진짜 정리잘해놓으셨네요 감사합니다
@hangyeollim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zzukkummi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공부할 때 선생님 영상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종묘제례악은 거의 이 영상 하나만 봐도 될정도 ㅠㅠ.. 귀한 영상 업로드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zzukkummi3 жыл бұрын
혹시 시간 괜찮으시면 질문 몇개 드려도 될까용..?? 영상 보면서 개론서를 같이 찾아봤는데, 종묘제례악에 음양오행 사상이 깃들어져 있어 악현에서 동쪽에 축, 서쪽에 어가 배치된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국악개론에 첨부되어있는 그림에서는 등가에서만 동쪽 축, 서쪽 어가 있고 헌가는 반대더라구요..?? (동쪽 어, 서쪽 축) 혹시 왜 그런지 알고 계신가요..?? ㅠㅠ (국악총론에서는 아예 악현도에서 축만 있고 어가 생략되어 있더라구요 하하 어려운 국악의 세계 ㅜㅜ)
@zzukkummi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이렇게 악현에 음양오행 사상이 깃들여져있는건 아악이 아닌 종묘제례악 뿐인거죠..? 문묘제례나 사직제례는 꼭 악현배치가 동쪽 축, 서쪽 어 이지 않아도 되는걸까요??
@oneum4956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먼저 국악개론의 경우 2000년대의 악현을 제시해 두었을거예요~ 현대에 와서는 점점 그 배치는 물론이고 공연에 따라서는 사용되는 악기까지도 변화를 주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총론이나 심지어는 일부 교과서들까지도 그 배치를 원칙대로 수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여기에 깃들어 있는 기본 이념은 음양오행이고, 축 반대편에는 어가 와야한다고 기억해주시면 될 것 같구요. 이게 원칙이지만 현대로 올수록 아닌 경우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는 정도로만 생각해주시면 될 거예요. 만약 시험에 나오게 된다면 훨씬 더 명확한 그림을 제시할테니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oneum4956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이 음양오행 사상이 종묘제례악에만 깃들여져 있다고 단정지으시면 점점 공부하면서 헷갈리는 부분들이 생기실거예요..! 음 일단 사직제례는 땅의 신에게 드리는 제사잖아요? 그래서 하늘에 제사를 올릴때와 반대로 뒤돌아 서 있는 형태라고 알고 있어요. 그리고 축과 어 같은 경우는 이 악기들 자체가 음양오행의 의미를 담고, 음양오행을 상징하는 악기들이죠. 따라서 각각을 따로따로 연계시켜서 생각하셔야지, “종묘제례악에 음양오행사상이 깃들여져 있어서 동쪽에 축, 서쪽에 어가 배치된다”라고 그 인과관계를 단정지어 생각해버리시면 좀 위험할 것 같습니다!
@zzukkummi3 жыл бұрын
@@oneum4956 와 선생님 ㅜㅜ 정말 이해가 너무 잘 되네요.. 친절히 답변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ㅠㅠ!! 저도 선생님처럼 멋지고 능력있는 선생님이 되고싶네요. 부디 행복한 학교생활 하시길 빕니다💞
@알파카-l4i4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쏙쏙 들어와요 ㅠㅠ 답답했는데 ㅠㅠ 임고강사도 해주시면 안되나요..? 너무 세심히 이해 안되는 부분 잘가르쳐주심 ㅠㅠ
@oneum4956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과분할만큼 제게 많이 힘이 되는 댓글이네요! 앞으로는 더 자주, 본격적으로 국악 중점 강의를 올릴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ㅎㅎ
@impress9268 ай бұрын
설명 오지게 잘하신다. 완벽히 이해했을 때만 할 수 있는 설명. 혹시 선생님mbti가 N형이실까요? 이 시리즈 계속 해주심 너무 좋을것 같아요.강사님들 저리가라 쏙쏙 들어와요.느린것도 좋아요.
@oneum4956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네 맞습니다 N이예요.. 제가 워낙 장의존형 학습자라, 설명도 거기에 맞게 하려는 편인데 잘 맞는다고 느끼신다니 아무래도 비슷한 케이스이신가봐요! 안그래도 조만간 다시 국악이론 컨텐츠 강의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살구유자4 жыл бұрын
일무 조선때는 8일무였다가 일제강점기잠깐 6일무되고 현재 8일무라서 대한제국 이전보단 더 상세하게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nsihyang2 жыл бұрын
대한제국 이전은 제후국이여서 육일무. 대한제국 부터 천자의 나로 선표 팔일무로 바꾸어 제향하기 식작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안그래도 내년부터는 국악강의를 좀 더 체계적으로 올려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경희더뮤직스튜디오4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돼요ㅠㅠ 두번이나 정독했습니다 그리고 질문이 있는데 영신희문이 헌가에서 연주된다고 했는데, 정간보나 오선보 악보를 보면 악기 편성은 등가 악기편성이 사용되는 것 같더라구요 이 부분에 대해 혹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ㅠㅠ
@oneum4956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어드렸다니 다행입니다😊 그렇죠, 영신희문의 악보를 찾았는데 진고 대신 절고가 써 있고, 이런 부분들이 좀 혼란이 오게끔 되어있죠ㅠㅠ 그런데 영신희문의 “희문”은 결국 “보태평 중 희문”이고, 이것은 후에 초헌에서도 나오게 되죠. 그러다보니 국악원의 악보들은 그냥 인입희문의 악보에 가사만 바꿔서 기보하고 있습니다. 국악원이 아무래도 가장 공신력 있는 기관이니 많은 교과서들이 이 악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도 해요. 그치만 실제 연주되는 영신희문의 연주형태는 헌가가 맞으니 그렇게 고쳐서 기억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희더뮤직스튜디오4 жыл бұрын
@@oneum4956 자세한 설명 넘넘 감사드립니다 ~!!! 앞으로도 구독하고 많이 즐겨 보겠습니다 >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