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자재와 부품으로 개발을 좀 해 주셔요.. 물론 정밀도나 안전성은 떨어지지만 연구실에서 써 줘주셔야 산업이 발전됩니다. .. 잘 아시면서
@소나무깊은곳2 ай бұрын
모든 비행체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할 수 없으니..물리적인 로봇을 만들고 그 로봇을 비행체 조종 가능한 사람이 직접 조종하게 하는게 일단 완전 자율 비행으로 가기전 가장 현실적인 방법 같음. 자동차, 비행체.. 그 모든게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는 없으니까..로봇이 맞는거지..
@말없는oroiАй бұрын
47:43 자세제어중 로봇 뼈대가 천장에서 가다가 예측지 못한 돌발이 발생해 떨어 질수도 있는 경우도 생각 해서 몸통에 떨어 질 때 대비해 충격 흡수 즉! 용수철 같은?? 그리고 4개의 다리가 180% 돌릴수 있게 하고 관절 같은 경우에도 어찌 이어 지게 해서 달리는지 모르지만 관철을 볼로 하고 스프링 이나 용수철로 수축 하거나 이완 되게 하여 떨어 질때나 달릴 때 충격 흡수 할수 있게는 안되나여?? 관절을 볼로 만들어 볼이 제자리에서 돌아 가면서 자세 제어를 해준다던지 볼과 뼈대 사이에 마찰이 안 생기게 미끌어지게 하는 기름 아닌것 같은 기름을 칠하고?? 그리고 사족 보행 로봇 달 릴때 보니 앞 다리들과 뒷 다리들 간격만 신경 쓸게 아니라 뒷 다리는 조금 더벌리게 (앞다리 양 간격이 10이라 치면 뒷 다리 간격은 13 으로 해서) 앞 다리 뒷다리 겹쳐도 부딛히지 않게 뒷 다리 양 사이를 앞 다리 보다 조금만 더 넓히면 될것 같은데요?? 아니면 숫자 처럼 2 (왼쪽 다리)( 4(우측 다리)로 하고 뒷 다리들은 1 (왼쪽 뒷 다리) 3 (우측 뒷다리) 이렇게 제어만 해도 앞 다리 뒷다리가 부딛혀 넘어 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말없는oroiАй бұрын
그리고 인간은 불안전한 동물입니다. 인간 보다 더 뛰어난 동물이 많은데 궂이 불안전한 인간형을 만들려는?? 인간형 로봇 만들고 동물 처럼 자세 제어 해주는 꼬리도 붙이면 더 안정화된 형태의 2족 보행 로봇을 만들수도 있지 않을까여? 꼬리가 양쪽 다리들 처럼 길게 땅에 까지 닿게 꼬리 끝은 로라 같은 동태 형태의??(꼬리가 올라 갔다 내려갔다 또는 좌측으로 우측으로;; 움직일수 있게;; 그런 균형 감각이 인간 보단 더 안정화 되진 않을지??)
로켓기술과 결합하면 기본 요격 시스템으로 근거리까지 가먼 타겟 미사일이나 비행체들이 회피운동 혹은 재밍.채프등으로 반격하겠지만을 인공지능이 회피기술을 파악하고 실제 대상만 요격하는 기술이 될것같은데. 그럼 동종 미사일을 2탄 3탄 발사하는 번거로움과 위험이 사라지는 이점이 될것같은데 그럼 현존 요격 비용에 비해 엄청 세이브되겠네
@觀世音-T7K2 ай бұрын
전투기에 조종로봇이 탑승한다면 인간을 초월한 전투종조능력을 보여줄겁니다!!!
@jooin9252 ай бұрын
굳이.. 로봇의 헤드만 장착해서 무인 시스템으로 가는게 나을듯
@andylee282416 күн бұрын
시속 150km 는 달릴 수 있고 점프도 20m 정도는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3일 full 가동 할 수 있어야 써먹지 않을까요 ? 어차피 군사용을 가장 먼저 염두하고 해야 합니다. 총알도 만발 정도는 장착할 수 있고 치타 보다 일곱배 가량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가장 문제는 배터리겠죠... 지금으로써는 그만한 용량이 되질 않으니 .... 그런걸 개발하려면 아마 KF 21보다 돈 더 들 겁니다.
@MusiMusiHan22 ай бұрын
오~ 드디어 알투디투가 나타났구나!
@hililium2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일론 머스크가 좋아 합니
@zesuzeno53942 ай бұрын
Ai 판사 도입 시급 합니다 ㅎㅎ
@문수-o9l2 ай бұрын
로봇기술이 발전하면 인간을 대체해 산업현장을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수 있겠지.또한 안보에 기여할것이다.축복된 기술이 되길 바란다. 멸공!
@배삼손2 ай бұрын
🎉좋아 이대로 태권 V만들어 🌎 를 정복하자
@원정대-y2q16 күн бұрын
비행기 자체가 로봇이라 ... 데이터 방식으로 운전만 하게 조작하는것이 더 편하지 않을까요 ??
@꺄꺄뀨뀨-x8i2 ай бұрын
애초에 기계 자체에 ai를 넣으면 되지 않낭 ai가 적용될수 없는, 상대적으로 구식(?)인 기체를 조종하기 위한 로봇이려나
@generationnew3185Ай бұрын
아직도 휴보 타령한다면 좀 심하네... 외국은 이제 수준이... 휴... 좀 시대에 뒤떨어진듯
@이현-z6h2 ай бұрын
Ai드론의 살상용 총기 ㆍ중화기 개발한다면
@leehyunw002 ай бұрын
먼저 사람부터 제대로 만든다음에 진행하자..
@이영휘-r6u16 күн бұрын
드뎌 스타워즈의 R2D2가 출현하나봅니다
@박용헌-q8m2 ай бұрын
무거운 로봇이 기체에 타는 것이 잘못된 발상이라고 생각됩니다 되도록이면 가벼운 전자 장비를 올려서 활용하는게 가볍고 활용도가 좋지 않은가요
@snicus762 ай бұрын
9:23:51 난 또 로봇이 비행기 조종하는 줄 알았더니, 시동만 걸고 끝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신고박고 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YTN이 가짜뉴스 많이 만드는건 알았지만, 이런짓까지 할 줄은 몰랐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박영숙-j1i2 ай бұрын
판.긤사.대통령도 좀 만들어봐요.
@김김덕주2 ай бұрын
곧. 중국에 기술. 이전 하겠네...! 미국이 한국에 핵무기 허락 않는 이유.. 한국에 핵무기. 설치하면. 중국에 기술 넘길까봐..... ( 중국에서 월급 2 억 준다하고, 가술 넘기고 나면, 처치 해 버리는 게. 현실 )
@정수아-o3k2 ай бұрын
휼륭합니다
@bangu311Ай бұрын
아니 뭔 영상이 12시간짜리냐;;
@임동국-z6u2 ай бұрын
10조지원해줘라
@luck30572 ай бұрын
아니지금 테슬라는 던지는 공도 한손으로 잡는데 뭐하고 있냐 ㅋㅋㅋ
@sunnykim-intp2 ай бұрын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수 있어서 그냥 항공 소프트웨어로 작동시키면 되는데, 왜 로봇이 운전석에 있어야 하죠? 운전석을 없애면 되지 않나요? 로봇에 대해서 가장 큰 착각은 인공의 노동력을 대신한다는 생각으로 보고 있어요. 인간의 노동력 뿐만 아니라 자본, 여기서는 경제학의 자본으로 인간이 만든 도구라는 뜻이며, 이것이 같이 결합되어야 로봇이 제대로 인정받을 거에요. 그리고 인간의 노동력이 소프트웨어로 적용이 가능하다면 로봇이 시도해서는 안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이것을 로봇으로 만들어도 결국 소프트웨어가 대신할 거에요. 항공 소프트웨어가 대신한다면 운전석 자체를 없앨수 있으니까 결국 로봇은 사용되지 않게 되지요. 로봇은 미래에 쓰이겠지만 미래에 로봇이 안쓰일 분야에 도전하신 것 같아요. 미래에 쓰일 로봇에서 휴머노이드는 다 제거하고 로봇에 접근하시면 답을 찾기 편할 거에요.
@reddragon80742 ай бұрын
무인기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항공기의 체계나 매커니즘을 모르는 개발자가 무인기와 같은 운용체계를 만들려면 인간과 같은 조종능력이 있는 로봇이 필요한데, 이것은 단순히 소프트웨어적으로만은 부족하고 별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역할을 하는 로봇과, 기존 항공기 체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것이 처음부터 무인 항공기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쉽습니다. 말씀하신 무인 항공기는 개발의 기술적 난이도가 아직 전세계 어느 나라도 개발성공하지 못한 6세대 전투기라고 볼 수 있을 만큼 어렵고 단순히 무인이기만 하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스스로 조정하게 하려면 인간과 같이 행동할 수 있는 ai 로봇이 필요합니다. 정확성은 인간이 못따라 가겠죠
@sunnykim-intp2 ай бұрын
ai 로봇이 되면 항공 소프트웨어도 되는 것입니다. 똑같은 원리가 적용되면 되어요. ai로봇에 추가로 작동하는 원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못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자율주행 레벨 5도 핸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ai가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시는데 ai는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과 전혀 다릅니다. 원리를 모르시고 ai로봇은 사람이고 항공 소프트웨어는 무인기라고 생각하시는데 둘은 같아요. 단지 항공 소프트웨어보다 ai가 더 원시적이지요. 귀납적인 데이터를 통해서 일정 법칙을 찾고 그 법칙대로 움직이니까요. ai에 대한 착각이 많은 것이 현실이지만 ai는 매우 단순하고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오답률이 매우 높은 방식이에요. 그런 ai로봇이 되면 소프트웨어로도 됩니다. 항공 소프트웨어가 훨씬 고차원적인 방식을 이용하니까요. 그래서 사실 이 뉴스의 내용도 믿지 않고 있어요. ai로봇이 1번 항공운행에 성공했다와 ai로봇이 절대 사고를 내지 않을 만큼 완벽히 운행에 성공했다는 다르잖아요.
@reddragon80742 ай бұрын
@@sunnykim-intp 영상 본문에도 나와있어요. 님 말씀대로 기존 항공체계에 AI 소프트웨어적으로 새로운 체계를 입히는 것과 또 다른 방식으로, 기존 항공기에 사람처럼 운용을 할 수 있는 AI 로봇을 넣는 체계는 별개라는 식으로 나와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단순히 윈도우 같이 어떤 소프트웨어 하나를 넣기만 하면 스스로 알아서 판단하고 운용할 수 있는 체계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런 ai 소프트웨어가 작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있어야 하는데, 기존 항공기는 애초에 설계부터 ai 운용 체계를 염두에 두고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ai 운용체계를 항공기에 통합해 만들려면 하드웨어적으로 구조, 설계 변경을 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하드웨어 추가도 단순히 뭐 인텔 고성능 컴퓨터 PC 본체 하나 추가하는 것 같은 게 아니라, 새롭게 내장 설계된 하드웨어가 항공기 각 부위에 미치는 영향, 중량,공간 등등 비전문가인 제가 보기에도 설계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매우 많아 보이는, 난이도가 매우 높은 개발 방식으로 보입니다. 특히 전자 방식은 해당 항공기 설계 전문가가 아니면 개발 엄두도 못낼 것 같네요. 반면 ai 로봇으로 인간과 같이 운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기존 항공기 체계에 통합하는 방식은, 물론 이것도 쉽지 않겠지만 전자보다는 수월해 보입니다.
@sunnykim-intp2 ай бұрын
기존 항공기가 항공 소프트웨어로 이착륙부터 항공까지 다 하고, 그걸 기장과 부기장이 특별한 사항에서만 개입하는 것입니다. 예전에 한국 기장들이 항공 소프트웨어 없이 착륙 못한다는 것으로 문제가 나오기도 했어요. ai에 대해서 완전히 모르는 것 같아요. 좀 더 정확하게는 요즘 쓰는 ai에 대해서이지요. 요즘 인기가 있는 학습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인공지능들은 귀납적으로 답을 찾아요. 그 전에는 연역적-귀납적 같이 썼거든요. 그런데 귀납적이라는 의미는 특정 데이터내에서 답을 찾는 거에요. 그 답들에서 특정 법칙을 찾으면 그것을 모든 것에 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어떠한 경우에도 답을 내요. 연역적인 경우 특정 경우에는 답을 못내기 때문에 기장과 부기장이 필요한 거에요. 그런데 그럼 귀납적으로 하면 지금까지 데이터에 없는 부분이 발생해도 언제나 옳은 답을 낼까요? 그러나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오답이 지나치게 높아요. 그래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하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지요. 그러나 오답률은 여전히 높아요. 귀납적으로 모든 것을 알아낼수 있다는 것은 인공지능 개발자들의 착각입니다. 이 세상은 어떤 법칙이 있어서 그것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래서 사회과학 의학쪽의 정확도가 낮고 자연과학은 그나마 물리법칙이 있어서 높은 상황이에요. 단지 물리법칙중 대부분을 모르니까 이 부분은 역시나 완벽하게는 안되지만요. 대충 이정도면 인공지능 모르는 분들도 이해가 될 것 같은데...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같은 것도 인공지능이 안되는 이유이겠죠. 너무 기본적인 것조차 몰라서, 이정도로 쉽게 말했는데 이해가 되시나요? 무시하는 것은 아니고요. 사람마다 공부한 것은 서로 달라서 저보다 더 많은 분야도 계실거에요. 그러나 인공지능에 대해서 모르시니까 도저히 이것이상 쉽게 말해드릴수는 없어요...결국 현재 방식은 완벽하게 작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요. 그리고 이것은 항공 소프트웨어도 넣을 수 있어요. 비행기 내에 어떠한 사람도 없이 화물만 넣고 그 가격이 높지 않다면 무인기로 이동시킬 수 있을 거에요. 하지만 오답률이 높아서 안되는 거고, 항공기 조작대 만들어서 로봇으로 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로 가능합니다. 항공기내 각종 데이터와 시각자료로 로봇이 운행하든 소트프웨어가 그 데이터를 분석해서 운전하든 차이 없어요. 단지 귀납적인 부분의 정확도 문제, 연역적인 부분에서 모든 미래에 일어날 일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 이 두가지 문제가 결국 무인항공기는 사고난다라는 결론에 도달하니까 문제죠. 그리고 항공소프트웨어가 인공지능보다 더 고차원적인 방법이에요. 또한 ai로봇이 기계적인 물리적인 힘을 발휘한다고 해도 그것을 제어하는것은 소프트웨어라는 점을 잊으시면 안되고요. 그 소프트웨어는 사람이 생각하는 것과 배우는 것과는 전혀 달라요. 학습이라는 이름을 썼다고 사람과 같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사람의 학습과 전혀 관련없어요.
@그래서어쩌라고-v4oАй бұрын
오래된 영상인가 보네... 기술 수준이 원시인시대급인데....
@timn8365Ай бұрын
퇴역 전투기도 곧 쓸모가 있을듯
@예감-q9x2 ай бұрын
파일럿 로봇을 왜 만드나요? 자율주행모드를 업그래이드하는게 더 나은거 아닌가?
@hotbar62182 күн бұрын
레인보우로보틱스
@seasoundparkАй бұрын
무인자율주행을 하면 그많은 운송기사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사람편한게 다 좋은것은 아닌듯
@goblinsch.4628Ай бұрын
과연 최초가 맞을까? 미국이 이 기술이 없을까?
@깜디-p2g28 күн бұрын
세계가 놀랄정도 ?
@성문철-o9y2 ай бұрын
테슬라 인공지능 로봇이 나왔는데 이게 뭔 대단한 일이라고 쩝
@보라돌이ioiАй бұрын
세계 아무도 안놀람.. 한국인만 놀램..
@글라데이터29 күн бұрын
😂😂😂이게 세계를 놀랜 기술이라고?😂😂😂세계를 놀래긴 너무 후진데.다른 나라는 자울주행 시작한지가 10년 거의 되겠는데.저 드론 너무 후지자나?남은 무인드론 운용한지가 며십년 되고 마하 7 무인드론도 운용하는데.😂😂😂로봇개는 다른 나라는 60경사산 물위 계단 50km 시속으로 달리며 총기까지 사용하는데😂😂😂
@탄핵-p9e2 ай бұрын
에휴 후진기술 갖다가 선진기술이라니 참
@moooonwalkerАй бұрын
1:48:08 크레인 조종 좀 잘해라 변인 통제도 못해서 엉뚱한 변수(크레인 진자 운동으로 로봇의 중심을 앞으로 회전하며 잡아 당겨지게 만듬) 를 가해 놓고 단순 경사로 가속 시험이라고 하고 앉아들 있으니. 멍청한 사람들 모아 놓고 세금 잡아먹는 연구 얼마나 질질 끌고 가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