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적은양에서 많은 영양과 포만감을 주기에 선조들이 주식으로 여러 곡식을 걸치다가 적착하게 된 곡물입니다 꽃핀님은 밀가루 음식을 먹고나서 약간의 활동을 했을때 허기를 느낀 경험으로 해당음식을 간식으로 여긴것 같습니다 밥이라 하면 든든한 느낌이 들어야 하며 한국인 정서에 맞는 뜨끈한 국물로 영양있는 식사를 통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국밥한그릇 먹으러 가야겠다
@호엥-f4v3 жыл бұрын
국밥엔딩 ㅋㅋㅋ 냨!!
@전은찬-j5t4 жыл бұрын
6:40 이걸로 밥과 간식의 기준이 나눠진다. 시리얼 저렇게 먹는거면 시리얼 1통 보통 500g짜리 1봉지임. 밥 기준 : 양이 존나 많은거 - 피자도 1판은 되야 밥 간식 기준 : 양이 적은거 - 남들 1인분이라는건 다 간식
@ayj36344 жыл бұрын
영상 보고 있는데 내가 이상한 건가 몇 번이나 생각했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중 가니까 뭐가 뭔지도 모를 지경이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책동4 жыл бұрын
차비님 진짜 자기관리 잘하셔..존ㅡㅡㅡ경
@zzange744 жыл бұрын
6:12 잠시동안 정적 개웃기네 ㅋㅋㅋㅋㅋ
@kingcy4 жыл бұрын
1:04 꽃핀님 놀라시는거 너무 귀여움ㅋㅌㅌ
@junjunim4 жыл бұрын
둘다 너무 귀여워 ㅋㅋㅋ
@minkyujo50224 жыл бұрын
9:41 편집자님~ 저세상으로 간 '고마워~' ㅋㅋㅋㅋㅋ
@구건호-m1m4 жыл бұрын
1:29 밥이 되X 밥이 돼O
@hanulcham4 жыл бұрын
내가 봤을 때의 핀냐의 밥과 반찬 기준 밥 = 밥이라고 했을 때 반찬이 되는 것들은 밥(육회)+면(파스타, 국수) 간식 = 이건 반찬이 상식적으로 안되는 것들(피자, 케이크, 빵, 떡) 보통 단 것들은 밥반찬이 되지 않음. 밥 자체가 씹을 수록 단맛이 나는 탄수화물이라서
@aFunnyvideocollector4 жыл бұрын
차비님 : 배부르면 다 밥 아닌가? 핀냐 : 밥먹고도 더 먹을수 있으면 다 간식 아닌가?
@ST0LZ5954 жыл бұрын
두분다 웃는소리 넘 매력적이심ㅋㅋㅋㅋㅋㅋ
@재호-g8v4 жыл бұрын
6:10 시리얼은 간식이지
@susemi1234 жыл бұрын
밥대용 아닌가요?
@리삼-o5l4 жыл бұрын
꼬핀님의 간식은 우리가 아는 간식이 아니라 간(에 기별도 안가는)식인 것이어따..
@rin-ye4 жыл бұрын
위장을 예쁘게 파티션을 잘 나눠서 인테리어를 하셨구나
@소쿠리-r9c4 жыл бұрын
이시리즈 영상보면서 느낀건데 매력이 넘치시네요
@jatbob4 жыл бұрын
역시 쉬지않고 먹는 ㄲㄷㅍㅈ
@쟈무쟈무4 жыл бұрын
꽃핀 1주일전부터 보기 시작했는데 가면 갈수로 매력 넘친단말이야 이거 끊을 수가 없네
@Luckymann12234 жыл бұрын
진짜 꽃핀님한테 햄최몇 물으면 진지하게 대답해주실거 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민둥튜브4 жыл бұрын
그냥 함 재볼까? 하고 바로 햄버거 먹으러 갈듯
@るーさん-j1l4 жыл бұрын
차비님은 진짜 애들 잘 다룰듯 ㅋㅋ
@flycat10994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ㅋㅋㅋㅋㅋ 뭔가 유치원선생님같은 느낌이...
@pumpmode4 жыл бұрын
그냥 맛있으면 간식이자너..
@snsdsunny804 жыл бұрын
그럼 맛없으면 밥임???? 그럼 전 밥먹은적이 업는걸로 나오는데...
@V1NT0R3Z4 жыл бұрын
@@snsdsunny80 음 군대에서 매 끼니 꼬박꼬박 챙겨준다는게 그런 의미였나
@hyeuk02014 жыл бұрын
6:03 ㅋㅋㅋㅋㅋㅋㅋ 넘 귀여운거 아니냐구
@l.o..e56784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차비님의 식습관이 가능한지 모르겠다ㄷㄷ
@salen10924 жыл бұрын
핀냐의 식습관은 가능의 영역이 아니기에 예외..ㅎ
@EunHaDa044 жыл бұрын
아는 언니,오빠,친구들이랑 냉면이 후식인지 아닌지로 토론했었는데 ㅋㅋㅋㅋㅋ 그리고 꽃핀님의 세상은 꽃핀님이 주인이라 상관없을 듯❤️❤️❤️❤️
@moontee35164 жыл бұрын
시리얼ㅋㅋㅋ 유럽 미국 아침식사 대용으로 호텔에서도 식사 대용으로 먹는 분들 많으니 식사로 생각합니다만ㅋㅋㅋ 국수대접 2그릇이면 한국인 평균 3배 권장량 4배 넘은것 같은뎈ㅋ 개꿀잼ㅋㅋㅋㅋ
@skyblue_umbrella4 жыл бұрын
평균3배는 어디서나온거?기본 한그릇이 평균아닐까요? 미드도 다 국그릇 한그릇씩 부어먹든데
@moontee35164 жыл бұрын
모카초코 표기된 권장량 4배는 동의 하시는군요!!! 흠흠 국수대접 2그릇을 국그릇 3그릇 쯤으로 계산했습니다 만 3그릇 초과분이죠?? 죄송합니다 엄... 미국인 기준이면... 2배 정도죠?? 근데 미드를 보면이 아니라 한국인 평균...으로 구태여 말하면 국그릇 가득에서 보다 적게 평균적으로 먹지 않나요?? 일단 8명이 동의 하셨는듯 한데 글쎄요... 군대 학창시절 어디서도 국수대접에 국그릇 한그릇 분량쯤 넣고 먹는건 봤어도... 국수대접 가득은... 음... 국수대접 들고 본인 위쪽에 살포시 올려보세요... 대충 주먹만한 위가 그정도 늘어나는 겁니다 국수야 국수대접 가득 면을 채우지 않으니..
@moontee35164 жыл бұрын
모카초코 음... 국수대접에 얼마나 채웠는지 생각의 차이 입니다만... 국수대접에 드시면 국그릇에 한번 채워 보셔요 아마 한그릇 가득 하고 좀더 드실듯 합니다만 그걸 국수대접에 부어도 보통 가득은 안차죠 즉 국수대접 한가득인지 국수대접에 먹는지의 생각의 차이 일듯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국수 한그릇에 면이 큰 밥그릇 한공기 분량에서 좀더 많은 정도이죠? 음 저희 동네가 적게 주나요?
@부조리한명지4 жыл бұрын
그저 전설이다....
@bbiyak55484 жыл бұрын
핀냐 이렇게 먹는데 실제로 말랏다니 살이 안찌는 타입이구나...?ㅋㅋㅋㅋㅋㅋ 지난번에 3일에 1번 밥먹고 뺏다더니 이렇게 간식의 종류가 많은데 어케 참았누!
@3108-b5k4 жыл бұрын
밥을 한번먹고 간식을 엄청먹은거같은데..
@우박774 жыл бұрын
꽃핀님의 간식의 기준 : 설탕 들어간거는 간식 소금 들어간거는 밥...꽃핀님 목소리 넘 좋다 구독 누르고 가요~~~~
@ChaeChae-k8l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핀냐는 ㄲㄷㅍㅈ임 암튼 그럼ㅁ
@Dougthetyper4 жыл бұрын
진지빨고 양에 따라 나눠보라고 얘기하고 싶지만 마지막에 7차 식사 어쩌고 하는 거 보니 아무 의미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먹고도 말랐다는 소릴 듣는 걸 보면 꽃핀은 우리와 다른 종족인가봐 역시 영원한 12세
@이윤경-x5s4 жыл бұрын
아니 스트리머중에서 말은 사람이 좀 많다.
@uphere11124 жыл бұрын
김밥임??? 말은 사람????
@오이임-k9j4 жыл бұрын
@@uphere1112 마른사람 말씀하신 듯
@uphere11124 жыл бұрын
@@오이임-k9j 알죠 ㅋㅋㅋㅋㅋ
@하스스톤-t1u4 жыл бұрын
진짜 능지 수준 충격적이다 ㅋㅋㅋㅋ
@허허허-d6g4 жыл бұрын
알아듣게 좀 쓰셈
@KRDARAMGEE3 жыл бұрын
보다가 깨달았다ㅋㅋ 손으로 집어먹을 수 있는건 간식으로 인식하는데?ㅋㅋㅋㅋㅋ 피자 떡 샌드위치ㅋㅋㅋㅋ
@후루데리카조아4 жыл бұрын
피자가 간식이라니 작은 거는 1인 1판 하는 나지만 컬쳐쇼크다.
@천성량-r2t4 жыл бұрын
조그만 국그릇에 시리얼 먹으면 배부른데ㅋㅋㅋㅋㅋ 어떻게 대접에 두그릇을 드시는거에요 ㅋㅋㅋㅋㅋ
@화성갈끄니까-q7s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으로 영상을 몇개나 뽑은거야 ㅋㅋㅋㅋㅋ
@망놈이4 жыл бұрын
핀냐 전혀 통통도 아니고 마른수준의 보통체형이라고 하는것이 지금은 극도로 살 안찌는 체질이라는건데 이거.. 20대 후반즈음부터는 그 기초대사량이라는게 떨어지니까 거의 1년에 1키로씩 올라갈걸요... 만약 부모님이나 부모님 형제분들이 대체로 통통하시다면 빼박임.. 제 친가 어른들 다 한체격 하시는데 저를 비로해서 사촌들은 20살즈음까지는 다 말라깽이들이었음 요즘 그 사촌들이 서른 넘어가고 마흔 바라보고 이러니까 서서히 그라데이션 느낌으로 통통으로 가고있어요ㅋㅋ 운동 열심히 하면서 관리 들어간 몇몇 빼고요ㅋㅋㅋ
@flycat10994 жыл бұрын
꽃핀님 나이공개를 안하시긴 했지만 20대 후반이실것같은데...
@체리베리피커4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지나도 핀냐는 ㄲㄷㅍㅈ가 맛다.
@gerhermo4 жыл бұрын
사실 요근래 영상 뒷배경 음악에 냐! 냔냔냔 냐아~ 냔! 냐냔냐 냐아 하는게 너무 좋아서 흥얼거립니다 0:36
@한우현-g6d4 жыл бұрын
이래서 ㅂㅋㄴ 몸매가 될수가 없었군...
@맛대가리-t7v4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상 비키니로 당당할수있는몸은 남자로치면 근육질몸일듯
@kazamatai_1go4 жыл бұрын
간식을 먹을 걸 생각하고 밥을 조절한다는 것에 놀라다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핀냐...
@캐럿은안다다안다4 жыл бұрын
그냥 꽃핀님은 빵이든 과자든 단 것은 간식이다~~ㅋㅋㅋ 생각해 보면 밥 먹고 간식 먹으면 나도 힘들 뜻 꽃핀님 대~~단해~~~
현제빵사 뇌피셜 소보로,단팥빵은 단과자 반죽이라 해서 반죽자체도 달달한데, 보통 단팥빵하나 우유 한컵으로 간식으로 먹을려고 나오는 일본을 생각하면, 간식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킹치만 밀가루,면등(흰쌀밥도 현미에 비해서는)가공식품 자체는 배가 늦게 차오르고 인슐린이었나(공부했었는데 오래전에해서...죄송합니다)그게 많이 분비되서 자기가 배부른걸 모르게 한다고 합니다. 즉 현미->가공(겨를 벗겨내는가공)->흰쌀->가공(찐다던지)->떡 이 됨으로 가공이 많이되면 살이 더 찐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보통 밥먹고 빵도 쌉가능인분들 보면 빵이 늦게 배가 차오르는걸 간과하시는데, 이걸 이해하시고 빵을 천천히,물을 마시면서 드시면 포만감을 느끼실겁니당!
@user-xx9ix7zt1d4 жыл бұрын
썸넬 찹님 존예시다...
@서청우-q3l4 жыл бұрын
진짜 쩐다.... 괸히..
@meogeo974 жыл бұрын
음식을 밥으로 먹으면 밥되고 간식으로 먹으면 간식이 되는 핀냐매직
@neruan934 жыл бұрын
가만히 듣고 있는데 나도 밥과 간식의 구분이 사라지는거 같아...밥으로 가능한 것들이 간식으로 보이기 시작했어...
@Jason-sf6gn4 жыл бұрын
기준이 먹다가 놔뒀다가 다시 먹어도 큰 차이가 없으면 간식이고 먹다가 놔두기엔 좀 그런 한그릇 다 먹어야할 거 같은 그런게 밥 아닐까. 비빔밥->먹다가 놔두면 좀 그래/ 피자-> 몇조각 먹다 놔뒀다가 다시 먹어도 별 문제 없음 이런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