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방법 1. 연필로 침(샤프는 날카로워서 잘 안지워져서 굵직한 연필로 쳐야 지울 때 흔적안남음 2. 중요한건 연필로 별표, 모르는건 연필로 세모, 부가적인건 연한 밑줄 3. 어느정도 실력 오르고 나서는 검은 볼펜으로 별표,세모 4. 마지막엔 색볼펜 또는 형광펜 결과: 초수때와 고수때의 표시 위치가 거의 안겹침 ㅋㅋㅋㅋ😅
@js-ys2wo7 ай бұрын
상담전공자예요. 학습심리학에서 줄긋기만으로도 시연이라하며(되내기비슷) 아는것과 모르는것 구분하는 것은 메타인지로 인지 위에 있는 고등사고능력으로 학습 전체에 대한 통제와 자기주도학습의 핵심입니다.
@이름없음-c4v3i7 ай бұрын
요플기준으로 처음에는 ox를 판별하면서 풀겠지만 두번째회독 즉 밑줄이 쳐진상태에서 회독할때는 ox판별보다는 키워드 이해용 위주로 읽으면서회독하는게맞을까요? 시험장에는 키워드 이해용이 없는상태에서 ox판별을 해야될텐데 밑줄쳐진상태로 회독을 하면 확실히 아는지 모르는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힌트를보고 문제를 푸는게아닌가해서요.
@whathappened64297 ай бұрын
기출을 보다보면 1+1=2 가 정답이면 1+1=3 1+1=5 이런식의 오답문구도 나올거에요 그래서 제일 좋은건 정답을 확실하게 외워두고 그 외에건 무조건 x 라는걸 구분해야됩니다. 오답 기출지문도 외어버리면 나중에 그 문구가 오답인지 아닌지도 구분해야되는 결국 보긴봤는데 오답지문인지 정답지문인지 구분이 안가는 대참사가 벌어집니다
@nowlive3652 ай бұрын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설명만 하시지 않고, 어떻게 하면 되는지 까지 알려주시는 분이라 도움이 많이 되네요. 하나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chrispak96084 ай бұрын
수험생 99%가 잘못하고 있는 밑줄치는 법 7:10 ~ 10:00 ~
@이름없음-c4v3i7 ай бұрын
1년에 시험한개기준인거같습니다만 국지 병행하는사람기준이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국가직치고 두달뒤 지방직을 칠때는 국가직밑줄을 그대로 보나요 아니면 두달간 더 밑줄지우는작업을 하나요? 아니면 보통 시험하나가 끝나면 기억이 리셋되니까 두달간 다시 초기화하고 밑줄작업을 시작하나요?
@성이름-j9o6w6 ай бұрын
진짜 깔끔하고 체계적이다. 군더더기 하나도 없고.. 최고세요
@roselee51987 ай бұрын
와...20분짜리 영상인데 1초도 허투로 들을 내용이 없네요 유료강의여도 들을거 같은 비책 최종완성본입니다 오징어게임에서 생존해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낭-m6u7 ай бұрын
진짜… 영상 정독했어요❤
@호호-n8i7 ай бұрын
저도 휘운쌤이랑 똑같이 하는데 방법은 좀 다르게 합니다 ㅎㅎ 회독때마다 펜 색깔을 다르게해서 구분을 하는데 이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검볼 > 빨볼 > 파볼> 초볼 > 보볼 > 노형 > 진한색형 처음엔 볼펜으로, 마지막엔 키워드 중심으로 형광펜으로 볼드처리해야지 시험전날에 볼때 가독성이 좋더라구요..
@noowandao10807 ай бұрын
아니, 이런 고급정보를 이렇게나 쉽게 떠먹여주시다니 😮그러고보니 휘운샘이 쓰시는 샤프, 색깔까지도 내꺼랑 같아서 기분좋았어요 😂
@유현재-s6o7 ай бұрын
휘운쌤 쓰시는 샤프 색연필색상 어떻게 쓰시는지 알수있을까요?
@noowandao10807 ай бұрын
@@유현재-s6o 제거랑 같았던 건 제트스트림 흰색이었어요.
@정경주-z8l7 ай бұрын
피같은 얘기네요. 쌤같은 분이 또 계실까요.🩵🩷 지방직 며칠앞두고 많은 도움이 되네요. 감사해요^^
@TheSaeroE7 ай бұрын
기술사 공부 이분의 공부법으로 공부했습니다. 최고
@이건뭐-h9m7 ай бұрын
역시 희운쌤 수험의 신이네요.. 다음주 지방직까지 화이팅 할게요!
@즐거운인생-y9c6 ай бұрын
메모 행정법은 이해를 하는 것이다. 그니까 최대한 회독 하면서 이해로 머리속에 박아놓고, 이해되고 박아둔 걸 회독을 거치며 삭제를 시키며, 마지막 전날에 단순 암기 밑 외워야 되는 부분만 남기고, 그것도 몇번 외웠어서 틀은 잡혀있어야 하고, 디테일만 확인해야 하는 식이 되어야 겠지. 그렇게 되도록 10회독을 박아 놓은 상태여야만 전날 2시간에 다 보는 게 가능. 즉 이해와 단순화 도식화를 통해서 최대한 줄여나가고 암기해야 되는 부분만 밑줄 쳐놓고 표시해놔서 이해되는 부분은 슥 그냥 스캔하고 넘어가고 암기해야 하는 부분만 전날에 꼼꼼히 보면서 체크 그러면 다보기 가능
@chrisjo76497 ай бұрын
확실히 사법시험까지 붙으신 경험이 녹아있어서 항상 수험 설명이 와닿습니다 잘보고 있습니다
@Siuuuuu-us2oi7 ай бұрын
유휘운 사랑해❤
@월찬여사7 ай бұрын
휘운쌤 진짜 존경 꼭 행정법은 휘운쌤과 그길이 지름길입니다!
@happyhappykeke4 күн бұрын
초시생입장에서 강의한번듣고 1회독에서 다음에 나 이거안볼거야라고 판단하는게… 저처럼말하면 장수생되는거라고 뭐라할라나;; 궁금한게 중요한게 아니고 강의 한번듣고 복습하면서 내가 모르는거에만 줄친다, 그 안다는것의 기준은 시험장까지도 확실히 알수있을거라는 확신이 드는것이라고 하는데.. 그렇게치면 첫강의듣고 복습할때 밑줄칠부분이 거의 대부분아닌가요??
@중꺾마-f7j7 ай бұрын
시험날 아는게 아는것이다 이거 핵심이네요 👍
@hschoi-e4i6 ай бұрын
방법을 잘 몰라서 1회독때부터 형광펜(노랑, 주황, 초록 등등)을 사용하였는데, 나중되니까 보기가 싫긴 하더라구요, 색깔마다 기준도 없었고. 좋은 아이디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될것 같습니다!! 아직 시험이 많이 남아서 새 책을 사서 다시 적용해보아야 겠습니다!!
@조약돌하나7 ай бұрын
이게 무슨 개소리지 말이 되나, 싶었는데 진짜 딱 이대로 따라가서 저대로 되면 시험장에서 행정법이 반가워집니다
@user-768137 ай бұрын
밑줄은 중요한 걸 치는게 아니다 .. 무릎 탁 치고갑니다 ..!
@팔붕이-c2n7 ай бұрын
유휘는 그는 신이야..
@디캐프리오s3 ай бұрын
역시 똑똑하신 분이네요. 모든 공부 방법 똑같이 적용될것 같습니다.
@샐러던트Saladent7 ай бұрын
행정법 공부는 안하지만 많은 도움이 됩니다
@EEEEEEEEEE07 ай бұрын
와 내평생 젤 궁금했던건데 쌤 짱이에요👍😘👍
@재영김-g1q7 ай бұрын
7일후 시험~~나는 왜 이제서야 저분 말을 알아듣냐고~~ㅜㅜ~~
@최혜령-i5p4 ай бұрын
밑줄은 왜 쳐야하며 결국은 그 밑줄의 활용법
@desmoy55063 ай бұрын
정말 너무 맞는 말씀입니다.
@whathappened64297 ай бұрын
이거 공인중개사 강사님 중에 민법 가르치는 김덕수선생님도 이런식으로 가르치던데 혹시나 자기공부방식이 요점정리가 취약한 사람은 이런스타일의 키워드 요점정리해주시는 강의 듣는게 아주 좋습니다. 합격선 근처도 못가고 좌절하는 분은 특히나 무조건 이런식의 양을 줄여주는 강사님수업 들어야됩니다.
@정민화-f9p7 ай бұрын
최곱니다~!!
@user-gm6cg5nl3t7 ай бұрын
25대비 교재엔 다시 제대로 치겠습니다ㅠ
@에크만수송7 ай бұрын
ㄷㄷ 원래 이렇게 하는거아니었나.. 부연하자면, 모르는것중 시험장에 가져갈생각인 지식을 밑줄. 모르는거라도 시험장에 안가져갈생각인것들은 안칩니다.
@영주-t5j7 ай бұрын
행정법애살메이커="유휘운"
@짭지식7 ай бұрын
알고리즘 감사합니다
@Honeybread907 ай бұрын
샤프하나에 0.3 0.5 하는것도 있는데 하나로 하시는지..? 두개로 하시는지요
@Dilimdal4 ай бұрын
다알려주시네요
@은유리-k8b7 ай бұрын
공부천재들만 아는 비법을 공개하시다니. 이분은 천사인가 ㅋㅋㅋ
@동하-n4s7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고급정보인데,,,감사합니다,
@미녁드7 ай бұрын
이제 선지에 방점은 안찍는건가요??
@유이-r7m5 ай бұрын
와 뭐지 이 사람…
@박네비7 ай бұрын
빨간 색연필이 좋은 사람!!
@一妄一語7 ай бұрын
줄은 중요한 걸 치는게 아니라 모르는 걸 치는 거다.
@박혜지-h8d7 ай бұрын
영상본거맞음?
@도토리둥이아빠7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요. 중요한게 머리에 이미 들어가 있는데 다시 읽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사람마다 잘 안외워지는 부분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모르는데 그게 중요한 부분이면 줄치는 거죠 ㅎㅎ 시험에 안나올 부분 줄칠필요는 없구 다 비슷한 말이라고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