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버전_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법]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 조선미 | 자녀교육 | 정신건강 | 청소년 | 행복 ​

  Рет қаралды 483,469

꽁교육+

꽁교육+

Жыл бұрын

출연 및 제작문의
knoukkong@gmail.com
👉강연자 조선미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EBS 〈60분 부모〉, 〈엄마가 달라졌어요〉, SBS Plu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리턴즈〉 등에 출연
- 저서 : 《나는 오늘도 아이를 혼냈다》,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엄마의 품격》 등
#행복 #자존감 #엄마
👉 재미지다 꽁교육+ 채널
👉방송대 지식+
/ knouchannel
👉방송대 정보+
/ tvoun
👉유노캠퍼스(대학강의)
ucampus.knou.ac.kr

Пікірлер: 249
@user-ih5cy7rx7v
@user-ih5cy7rx7v Жыл бұрын
(= 같은 일을 겪어도 덜 고통스럽게 느낄 수 있는 힘) 1. 세상에는 싫어도 해야 할 일이 있고, 하고 싶어도 참아야 할 일이 있음을 가르쳐라. 2. 아이의 머리(판단), 손발(할 일)이 되어주지 마라. 3. 무엇을 허용할지보다, 필요한 규칙을 먼저 결정하라. (폰 사용, 장난감 구매 등) 4. 부모의 권위를 인정하고 따르게 하라. (민주적이라는 건 책임질 수 있는 이에게 자유를 주는 것) 5. 실수로 인한 고통을 겪게 하라. (실수한 후에 학습이 제일 잘 됨) 6. 세상의 중심이 내가 아님을 알게 하라. (어린 아이인 경우) 7. 세상의 규칙은 가정과 다름을 알려주어라. (공과 사를 구별하도록) 8. 내 감정과 타인의 감정이 모두 소중함을 알려주어라. 9. 자유와 자율을 줄 때, 같은 정도의 의무와 책임을 주어라. (자유 끝에 본인의 책임이 따름) 10. 스스로 생각하도록 만들려면 긴장하게 하라. (자신에게 주어진 자유와 여력을 배분하는 고민은 굉장히 중요한 기회!) - 조선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님
@user-ih5cy7rx7v
@user-ih5cy7rx7v Жыл бұрын
(혹시 영상에 피해가 된다면 위 댓글은 내리겠습니다)
@user-ur3lv6gh7f
@user-ur3lv6gh7f Жыл бұрын
정리 감사합니다
@user-tt3wg1hh9u
@user-tt3wg1hh9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gg6nw2gk5e
@user-gg6nw2gk5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b7xq5lt1h
@user-vb7xq5lt1h Жыл бұрын
정리되어 있어 넘 좋아요🎉
@lindakim7137
@lindakim7137 Жыл бұрын
오은영 박사님과 조선미 박사님의 스타일이 다을뿐이지 아이들의 육아의 궁극적인 목표는 같아여. 자립과 독립이죠. 두분다 너무 존경하고 감사하고 사랑합니가~~
@user-dc2ec1mg5t
@user-dc2ec1mg5t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두분 너무 존경합니다.
@user-lo8kn5kp1e
@user-lo8kn5kp1e 9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user-fo5mt1rx9l
@user-fo5mt1rx9l 8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user-dl8jl3ts4u
@user-dl8jl3ts4u 7 ай бұрын
들어보면 목표는 같음 조선미 박사님이 더 좋습니다 저는
@LL-jm3pe
@LL-jm3pe 8 ай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오은영 박사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말씀하시는데, 10년 육아해 온 사람으로써 두 분 다 소중한 육아선생님이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두 분의 포커스가 다른 것 같아요. 조선미 교수님은 육아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지 기본 개념을 확실하게 잡아주십니다. 오은영 박사님은 아이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구체적인 길을 알려주십니다. 실제로, 두 분의 강의와 방송을 보고 실천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 또 감사드립니다.
@user-tt6mf4bz8o
@user-tt6mf4bz8o 8 ай бұрын
오은영 박사의 새로운 대항마로 떠오르는 분. 저랑 개인적으로 가치관이나 육아관이 맞아서 좋은데 그렇다고 오은영 박사를 깎아내리는 건 절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오은영박사는 진짜 셀수 없는 많은 사람을 살렸습니다. 두분다 우리 사회에 진짜 필요한 소중한 분들입니다❤
@milktea3470
@milktea3470 8 ай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두 분 선생님을 왜 비교를 하는지 모르겠네요 두 분 다 아이 가정 사회를 위해 연구 강의 하시는 분들인데 아이들 어릴 때 ebs 부모 프로그램 보면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OG_TOAST0803
@OG_TOAST0803 Жыл бұрын
저는 솔직히 오은영박사 강의 들으면 공감이 잘 안가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 분 강의 정말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요즘 너무나도 아이에게만 맞춰서 가는 부분이 오히려 아이들을 망친단 생각이 들어요. 이 분 강의가 올드하다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것도 같은데 전 오히려 요즘 엄마들에게 필요한 강의인것 같아요.
@jjjjjjjjjjung
@jjjjjjjjjjung Жыл бұрын
오은영선생님의 강의와 조선미선생님의 강의를 비교할 건 아닙니다. 두분 다 이론을 기반하여 대중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전달해 주는 것이지요. 아이의 특성, 아이의 환경, 시대의 환경, 부모의 관심도에 따라 배운 것을 잘 활용하며 살아가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선 옳고 그른 것이 없는 겁니다. 오은영선생님의 강의가 공감이 안되었다는 것은 글쓴 분께서는 공감보다 이성적 사고가 발달되었을 겁니다. 시대적으로 과거엔 공감받지 못한 세대였기에 공감이란 중요도가 높아진 것이고, 현재에 들어 너무 공감해주고 개인적 존중이 높아져서 이기적이게 되는 것은 아닌가 싶어 다시 합리적인 규율을 중시하게 되는 것이죠. 끊임없이 왔다 갔다 사고하며 나에게 맞는 육아법과 살아가는 방식이 결정되는 것이겠죠. 이분법적으론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은영선생님과 조선미선생님이 하는 말 모두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sunghye26
@sunghye26 Жыл бұрын
저도요 공감이 안간다기보다는 전 이분 강의가 좀더 명쾌하게 다가오고 더 잘 들어오는듯합니다. 그리고 사실 요즘 엄마들 환경은 변해도 바뀐 환경보다는 엄마로서 정말 할수있는부분의 의견이 좀더 저랑 잘 맞는거 같습니다 ㅎㅎ
@user-xl3pf8vq2x
@user-xl3pf8vq2x Жыл бұрын
오박사님 특유의 따뜻한 말투와 에너지 때문에 그렇지 뜯어보면 꽤나 단호한 육아법이어요 ㅎㅎ
@totogogs
@totogogs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오은영 박사는 따뜻한 단호함을 강조한 것이지 훈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얘기한 적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지 않은 행동에 단호하게 대응해야함을 강조했는데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아 의아했네요.
@user-wl3wt1sf8g
@user-wl3wt1sf8g Жыл бұрын
칭찬하며서 비교까지 할 필요는 없습니다~
@sangyeonlee2454
@sangyeonlee2454 Жыл бұрын
고통을 견디는 힘이 행복좌우 1.자기 삶을 책임져야 한다. 싫어도 해야할일이 있고 하고싶어도 참아야 하는 일이 있다는 걸 알게하라 그냥 가 그냥해(설명없이) 2. 아이의 머리 손발이 되지마라 3. 무엇을 허용하기전에 규칙을 먼저 정해라 4. 부모의 권위를 인정하고 따르게 하라 민주적이라고 똑같이 의사결정권을 주면 청소년은 미숙해서 옳은 결정이 아니라 좋아하는 결정을 한다. 자유는 책임질수 있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5. 실수로 인한 고통을 직접 겪게해라 6. 세상의 중심이 내가 아님을 알게하라 7. 바깥의 규칙이 가정의 규칙과 다름을 알게하라 8. 내 감정과 상대감정이 다 소중한거 알게하라 식당메뉴 9.자유와 자율을 줄때 똑같은 책임과 의무를 줘라 애가 본인 선택 결과를 책임질 수 없으면 부모가 선택을 결정해라 10. 스스로 생각하게 하려면 긴장하게 해라
@user-st6uc7jc7y
@user-st6uc7jc7y 11 ай бұрын
2
@angel..2503
@angel..250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조선미교수님 직강을 듣고 한방 맞은듯했고 제 육아의 방향을 틀었어요. 요즘 부모들이 많이좀 들었으면 좋겠어요
@Goodluck_jiwon
@Goodluck_jiwon 11 ай бұрын
공감육아로 13년,, 하면서 점점 조선미교수님 양육방식이 서로 윈윈 하는 방법이란 생각이 듭니다. 아이가 커 갈수록 더 좋은 방식인 것 같구요. 사람마다 각자의 육아방식에 적용하면 참 훌륭할 듯해요. 존경하는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em4wl8pd8z
@user-em4wl8pd8z Жыл бұрын
과도한 관심을 주지마라...크게 깨닫고 갑니다...
@user1wb6jm1e26
@user1wb6jm1e26 11 ай бұрын
요즘 엄마들에게 좀 더 필요한 건 조선미 박사님식 양육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과잉이 결핍보다 문제가 큽니다.
@taehoyoony
@taehoyoony 10 ай бұрын
😊😅😊
@user-vz5jl6en2d
@user-vz5jl6en2d 10 ай бұрын
오은영 선생님과 조선미 선생님 두 분 모두 대원칙은 동일합니다 (감정은 수용해주되 행동은 통제하라). 그런데 요즘 보면 오은영 박사님은 마치 마음 읽기만 해주는 육아법이고 조선미 박사님은 엄하게 통제하는 육아법으로 잘못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옛날에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에서 오은영 박사님이 직접 현장 훈육하실때 보면 매우 단호하고 무섭던데요 조선미 박사님도 아이 감정은 무시하면 안된다고 하셔요 마음 읽기가 문제가 아니라 뒤따르는 행동 통제 없이 그냥 마음 읽기에서 끝나버리는게 문제라고..
@yoosungpark6944
@yoosungpark6944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오은영박사님은 단 한번도 혼내면 안된다고 말한적이 없습니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멋대로 지 편한대로만 적용해 놓고 남탓하는 것일 뿐이죠....
@love_happy
@love_happy Жыл бұрын
이런분이 공중파에 자주 나오셔서 제발 전국민 교육 좀 해주세요 제발제발
@miejie1789
@miejie1789 6 ай бұрын
고통에 대응하는 능력이 중요한거군요. 감사합니다.
@GGaealmot
@GGaealmot Жыл бұрын
최애 육아멘토. 항상 이성적이시라 듣기 편하고, 본질에 가까운 답을 주심.
@leeyujeong7791
@leeyujeong7791 Жыл бұрын
듣기에 좋은건 오은영선생님이지만 솔직히 사회에 나와서 잘 버티며 살수있는 아이가 되기위해선 조선미선생님 이야기처럼 키워야한다
@user-gn8tc5kl3v
@user-gn8tc5kl3v Жыл бұрын
오은영박사님이랑 굳이 비교를 해야됨...?
@user-xl3pf8vq2x
@user-xl3pf8vq2x 11 ай бұрын
오박사님도 굉장히 단호한 육아법인데요... ㅠ
@todanalee
@todanalee Жыл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바른 부모 교육 감사합니다!
@stella5422
@stella5422 Жыл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늘 응원합니다
@Jk-ot2gw
@Jk-ot2gw Жыл бұрын
고개를 끄덕끄덕이게하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michellekwon5535
@michellekwon553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ci6lo2lo1o
@user-ci6lo2lo1o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적어가면서 공부하는 마음으로 영상봤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withsome
@withsome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최고예요.
@Shanghaiolivia
@Shanghaiolivia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user-me1ck6xk9s
@user-me1ck6xk9s Жыл бұрын
일단 오늘 좀 듣고, 조용할때 또 들을게요 교수님 강의를 이렇게 쉽게 들을수 있는 세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qi8ke6wi4l
@user-qi8ke6wi4l Жыл бұрын
넘 좋아요 감사해요
@nayeonkim5015
@nayeonkim5015 Жыл бұрын
일생 일대의 가장 중요한 강의 중 하나네요. 이 강의야 말로 일생을 바꾸는 강연이 아닌가 싶어요. 감사합니다. 늘 교수님 영상 자주 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셔 감사합니다.
@user-vk1cj2go2j
@user-vk1cj2go2j Жыл бұрын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제일 좋아하는책 !!!교수님 너무 좋아요~!
@user-vn2zt5ji3g
@user-vn2zt5ji3g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최고에요 다시뵙는날이 있길 바래봅니다
@solsunsubin
@solsunsubin Жыл бұрын
제 육아멘토 조선미교수님 오늘도 잘배워갑니다!!
@Ella-ve4bs
@Ella-ve4bs Жыл бұрын
최고 명강 입니다
@user-nf3vt8tz1w
@user-nf3vt8tz1w Жыл бұрын
하루한번 듣고 새겨보려고요 청소년 아들포함 온가족이 주말에 같이 보고싶네요
@user-jj5zc8eo5m
@user-jj5zc8eo5m 10 ай бұрын
조선미 박사님이 정말 훌륭하시고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조언을 해 주십니다.
@beautyglory79
@beautyglory7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큰 도움 받았습니다.😊
@speranza1912
@speranza191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하는 맘으로 시청해요 외동을 키우고 있는데 교수님 말씀 있지않고 실천쌔볼께요
@kevinkim9863
@kevinkim9863 Жыл бұрын
어제 샘 강의듣고 오늘 얼집 버스탈때마다 쿵쿵소리 안나요?(얼집에서 쿵쿵소리 나서 무섭다는 아이) 매일 물어보는 아이(32개월)에게 친절히 답변해주고 보냈는데 " 그만해! 얼른 타 ! " 간결하게 지시했더니 "네~" 하고 씩씩하게 버스타고 등원했습니다! 💙👍
@user-dy9lo2yd8n
@user-dy9lo2yd8n Жыл бұрын
육아에 정말 많은 도움 받았어요 건강하셔서 오래 오래 좋은 말씀들려주세요!^^
@user-rt4bg8yr1f
@user-rt4bg8yr1f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권위와 권위적인것 구분 너무 와닿았습니다
@user-ei9ry9gd5o
@user-ei9ry9gd5o Жыл бұрын
깊이 공감합니다
@bomigi1182
@bomigi1182 Жыл бұрын
부끄러움, 무안함, 당황, 슬픈 감정, 상처받는 감정 등 부정적인 감정도 경험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hanana5792
@hanana5792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cd1yq3zh8o
@user-cd1yq3zh8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p7kr8yv3s
@user-op7kr8yv3s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달달 외워야 겠어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pf1rk3ou4z
@user-pf1rk3ou4z 6 ай бұрын
진짜 명강의십니다 명쾌하고분명하게 선을 그어주시네요 애매한것들을 분명히 짚어주시니참감사합니다
@user-sd6qo9ft5j
@user-sd6qo9ft5j Жыл бұрын
우리 부모님들은 이런 교육 없이도 훙륭하게 잘 키우셧지 그저 빛
@user-vz9qf8rn9q
@user-vz9qf8rn9q 11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 저역시 고통을 많이 느끼는 타입이었는데 저부터 실천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w2lq8gw2e
@user-uw2lq8gw2e Жыл бұрын
와... 부모교육도 잘 봤는데요. 최근의부모 교육으로해서 다시 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lee520
@slee52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은 정말 사랑💚💚💚💚 부모도 아이도 마음 건강하게 살 수 있게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sale43
@sale43 10 ай бұрын
조선미 선생님 말씀에는 자녀들을 키운 본인의 경험까지 모든 걸 총동하시는 부분이 마음에 더 와닿습니다. 지식적 용어와 교과적 내용도 필요하나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가의해 주시는 분의 경험담까지 부모의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하심이 더 공감력을 주시는 분이라 감사한 마음입니다.
@user-bw8tb1oi9r
@user-bw8tb1oi9r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반성하고 배웁니다.감사합니다
@moonlight7440
@moonlight7440 Жыл бұрын
생각날때마다 보고또봐여~ 조선미선생님 강의는 참 좋아여~☕️ 애한테두 나한테두~
@zzung2
@zzung2 11 ай бұрын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user-rf4mp1ry9c
@user-rf4mp1ry9c 3 ай бұрын
자녀 양육에 좋은 지침 감사합니다
@user-gp6kl3ye4w
@user-gp6kl3ye4w 8 ай бұрын
강의 멋지네요 !!
@user-is4mr2mr7s
@user-is4mr2mr7s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dobu_inrt
@dobu_inrt Жыл бұрын
영혼을 강한아이로키워라 현재 읽고있는책인데 교수님 강의가 너무 반갑네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user-sd2wn8fm7h
@user-sd2wn8fm7h 10 ай бұрын
어머! 제목이 딱 끌립니다. 가족세우기와 유사한 듯합니다. 읽어봐야겠어요..ㅎ 고맙습니다.
@user-mc1du5vq8d
@user-mc1du5vq8d 8 ай бұрын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멋부리지 않고 실속있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oxdo9261
@oxdo9261 Жыл бұрын
모든부모들이 봐야한다
@user-ps9fm9sf9i
@user-ps9fm9sf9i 11 ай бұрын
조선미교수님 정말 육아에서 등대같으신분입니다
@youliapark1601
@youliapark1601 3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한 강의라고 생각해요 👍 오랫동안 일하시면서 경험에서 우러나온 지혜가 담긴 강의 ! 노트에 적고 아이들을 키우는데 참고 하겠습니다 .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jasingam_tv
@jasingam_tv 4 ай бұрын
나의 자녀도 부모가 되기 때문에 영혼이 강한 아이가 되어야 한다! 좋은 통찰력을 주는 영상 강의 감사합니다~!
@user-iz9ot4yl1s
@user-iz9ot4yl1s Жыл бұрын
4-5살때 왜 본인만 빼고 얘기하냐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엄마아빠 얘기중이니까 얘기 끝나면 얘기하라고, 그순간은 뾰루퉁하는데 얘기 끝나고선 우리 @@이가 말하고 싶은게 뭐였어? 라고 물어봐주면 그때 또 얘기합니다. 지금은 8살인데요. 이제는 본인도 모르게 부모대화에 끼어들 때가 있었는데 아이가 당황하면서 '아니라고 먼저 얘기하라고' 말해주네요. 어쩌다 방송을 보게 됐는데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tn1kq8bl8z
@user-tn1kq8bl8z Жыл бұрын
조선미박사님은 연년생육아 암흑기의 터널 끝 빛이셨습니다. 지금도 ing입니다.
@user-eg1xg7hf6d
@user-eg1xg7hf6d 6 ай бұрын
행복하기때문에 강한거랍니다
@user-ei3zo6fk2x
@user-ei3zo6fk2x Жыл бұрын
세상 좋아졌다고들하지만 저는 단연1위는 명강의를 집에서 편안하게 접할수있는것
@sunk4706
@sunk470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_nu9vm8ls6z
@user_nu9vm8ls6z Жыл бұрын
42:03 이 부분 공감간다
@moonlight7440
@moonlight7440 Жыл бұрын
울아이 두살때부터 쭉~ 지금두 여전히 온제나 조선미선생님~ 육아멘토님 최애에용~❤
@eyj825
@eyj825 9 ай бұрын
학원가기 싫다 숙제하기 싫다는 4학년 아이한테 나도 일나가기 싫고 밥하기 싫고 청소하기 싫다고ㅋㅋ 그런데 엄마이기 때문에 하기싫어도 해야하는일이니 하고 있는거다 너도 학생이니 너의 일을 해라 라고 하네요ㅎ
@kakagaga1092
@kakagaga109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해요 영원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라는 책 아직도 제 책장에 꽂혀있네요!!!
@planch4019
@planch4019 Жыл бұрын
영원이 아니라 영혼!
@kakagaga1092
@kakagaga1092 10 ай бұрын
@@planch4019 오타는 그냥 오타겠구나 하고 사는게 세상 편할겁니다!!!
@user-vd4jj3nz3w
@user-vd4jj3nz3w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lx4lz4jr6h
@user-lx4lz4jr6h 2 ай бұрын
20년 전 연년생 두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지 어둠을 헤메고 있을때 ebs에서 선생님 강의가 길라잡이 되어 주셨습니다. 아이들 잘 키워 성인이 된 후 지금도 가끔 들으면서 인간을, 인생을, 삶을 생각해 봅니다. 감사드립니다.
@eunjihwang1248
@eunjihwang1248 9 ай бұрын
체험학습신청서 써줄께~~😊
@joyfulsarah77777
@joyfulsarah77777 Жыл бұрын
손과발이 되지 마라 생각하게 만들어라 자기중심이 되게 만들지마라
@user-xo6su2yl3w
@user-xo6su2yl3w 2 ай бұрын
조 선미 박사님 건.행 할머니라 수시로 공부합니다 책도 사서봅니다 참 조은할머니가 되고 싶어요
@user-hh5ll4no6n
@user-hh5ll4no6n 11 ай бұрын
저도 반성하게 됩니다 늦둥이 둘째딸에게 너무 끌려다니는거같네요 😅 강의 감사합니다
@user-nk2dc5ih2t
@user-nk2dc5ih2t Жыл бұрын
지금시대에 필요한 강의
@user-fh8cm7ui8r
@user-fh8cm7ui8r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내취향이다. 젤낫다고생각함
@vudghkfhqrp8345
@vudghkfhqrp8345 9 ай бұрын
ㅎㅎ 오은영 초창기 방송을 모르는 분들이 많네… 오은영 조선미 두분다 하고자 하는 원칙은 같음. 아 진짜 본인들이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연예인 따라다니듯이 휩쓸려 다니면서..
@user-kc6zs9oq6b
@user-kc6zs9oq6b 8 ай бұрын
조선미쌤은 공부를 잘 하려면 교과서를 잘 읽고 문제도 좀 풀면 됩니다 하는 스타일의 분. 원칙을 한번 더 환기. 사실 이런 나이든 교육전문가들의 속편해보이는 소리가 진짜 맞는 말임. 오은영쌤도 조쌤과 같은 수업들을 받은 비슷한 나이대 정신과의사라 생각은 같음. 근데 그 말을 해줬는데 그래도 우리애는 공부를 못해요ㅜㅜ 구구절절 말하는 내담자 얘기를 듣고 디테일한 해결책을 내주는 이병훈소장 같은 분. 큰애는 너무 많은 과목을 하고 그게 버거운게 문제니 일단 연산만 시켜서 자존감이 올라가면 그 뒤에 영어를 시키세요. 학원반도 하나 낮춰주세요 동생은 본인 학구열을 교육이 못따라가니 대치동 모학원에 보내세요. 오은영쌤도 공부는 다른거 없어 교과서를 읽고 문제집 푸는게 정도야! 편히 말하고 싶지만 꾹 참는겁니다
@user-vv2uz2bc4e
@user-vv2uz2bc4e Жыл бұрын
저희도 애들이 집을 좋아해서 학교 가기 싫다고 가끔 말 하는데. 위로는 해 주되. 그래도 가야한다는 걸 꼭 말 해 줘요. 그리고 나도 엄마지만 너네 밥 챙겨주는거 빨래하는거 너무 귀찮고 하기 싫다. 하지만 너희들의 엄마로서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하고 있다고 말 해요 ㅎㅎㅎㅎ 만약 내가 책임을 다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겠느냐고요~ 인생은 원래 하고 싶은 일 1을 하기 위해 하기 싫은 일 9를 해야한다고 하며 ㅋㅋ 이왕 해야 할거면 그냥 빨리 해치우라고 합니다 ㅋㅋ 보너스로 학교 끝나고 오면 원하는 간식 주겠다고 하면 더 좋아하죠☺️
@eyj825
@eyj825 9 ай бұрын
저랑 똑같네요ㅎㅎ 학원가기 싫다 숙제하기 싫다는 아이한테 나도 일나가기 싫고 밥하기 싫고 청소하기 싫다고ㅋㅋ 그런데 엄마이기 때문에 하기싫어도 해야하는일이니 하고 있는거다 너도 학생이니 너의 일을 해라 라고 해요^^
@user-qn2kh1jr9h
@user-qn2kh1jr9h Жыл бұрын
참 요즘 엄마들 그런 엄마들 많습니다 꼭 다 설명해줘야 하고 ~ 하 진짜 그런 아이들 꼭 피곤한 스타일로 커요 ㅠㅠ 제발 본인들 처럼 안키웠으면 좋겠더라구요
@hellodanbi
@hellodanbi 3 ай бұрын
아이들은 부모님이 전부입니다. 보호해주시고 꽃으로도 때리지마세요. 행복한가정 이루시길바랍니다. 저는 폭력가정 생존자입니다. 부모님과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무남독녀이기도 합니다. 부모님 두 분이 모두 치매에 걸리셔서 보호해야했고 직장도 그만두고 두 분 모두 대,소변을 받아가며 독박간병을 했습니다. 작년에 부모님이 3개월 차이로 돌아가셨고 잘 보내드렸습니다. 저는 큰 스트레스를 받았고 무너졌습니다. 제게 남은건 병든 몸과 마음뿐이었습니다.
@user-gf2eq6gm2c
@user-gf2eq6gm2c Жыл бұрын
넘 감사해요. 늦게 아이를 키우며 요즘 엄마와 격세지감을 느끼기도 하며 살았습니다. 어린시절 대가족으로 독립적으로 살았던 저는, 권위적인 부모님께 자란 신랑과 교육철학이 맞지않았습니다. 늦둥이 아들을 키우며, 금지옥엽하다 버럭합니다. 그런모습을 뭐라 설명할길이 없었지요. 설명과 설득의 구실이 필요했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친구같은 아빠를 지향하지만,제 눈엔 아들을 버릇없게, 가끔은 폭발하여, 권위적인 태도로 돌변하는 모습이 당황스러웠어요. 또, 너무 자유롭게 키우는게 꼭 좋은일도 아니란 것도 알기에 답답했어요. 요근래 동갑친구가 놀이터에서 안보이는 현상도 학원을 벌써보내는건가? 그렇다고 쳐도, 이렇게 놀이터에 안보일수가? 의문이였답니다. 그럴수도 있겠구나~이해의 폭도 더 생기고, 이렇게 키워야겠구나~확신도 생깁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user-fk6uc4pg9d
@user-fk6uc4pg9d Жыл бұрын
저도 슈퍼가면 3천원 아님 1,2개 정도 정해주고 결정하게합니다. 아이에거 퍼주는것보단 어느 정도 절제하는 법을 알려주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잘 안돼는게 아이들이고 어른도 힘든건 사실이죠...그래도 계속 가르쳐주고 기다려주는게 부모라고 생각해요..
@user-vh7fh3pv7z
@user-vh7fh3pv7z 6 ай бұрын
오은영쌤이나 조선미쌤이 하시는 말씀 다 똑같은데요??? 그저 두분이 화법이 다를 뿐이구요. 뭐가 정답이다가 아니라 둘다 맞는 말이예요~ 오은영쌤이 강의에 더 특화되신것 같아 좀 더 상업적으로 들릴수도 있지만 저는 오히려 따뜻함이 느껴져서 좋던데요. 오은영쌤도 하기싫어도 해야하는 일이 있다는걸 알려주라고 했어요. 안되는건 안되는거라고 단호하게 하라고 했고 건강한 실패를 통해 좌절감과 결핍도 겪어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독립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서 스스로 할 수 있는건 스스로 하도록하고 엄마는 답답해도 잘할수있을 때 까지 옆에서 지켜보라고 했구요. 육아에서 가장 중요한건 엄마에게 떠나 독립된 인간으로 잘 살아갈 수 있게 하는게 양육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하셨구요. 당연히 해야할 일을 가르칠때는 아이에게 허락을 구하지 말고 이건 지켜야되는거야 라고 말하면서 질서와 기준을 올바르게 가르치라고 했구요. 친구같은 부모는 없다 일관성있고 올바른 훈육을 통해서 자녀와 신뢰관계를 쌓고 부모로서 귄위를 잃지 말아야 한다고 했어요. 암튼, 오은영쌤이 말씀하셨다고 한번 걸러서 듣고 육아하는 사람을 보지마시고 그분이 하신 말씀을 제대로 들어보시면 결국 조선미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과 다를게 하나도 없습니다. 제가 두분 강의를 다 본건 아니라 어떤 차이점이 있다는건지 저는 잘 모르겠네요....
@Dubuyasaranghae
@Dubuyasaranghae 8 ай бұрын
고생은 누구나 겪는다. 고생을 덜 고통스럽게 겪는 아이가 되게 하려면 1. 세상에는 싫어도 해야하는 일이 있고 하고싶어도 참아야 할 일이 있어. - 아직 어리니까 넌 잘 모를 수 있어. 그 땐 엄마가 알려줄게. 2. 머리/손발 대신X 중요한 일은 스스로 해야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 엄만 몰라. - 스스로 해봐. 3. 허용보다 어떤 규칙이 필요한지 먼저 결정 - 해주고 안해주고 보다 규칙먼저 - 1년치 장난감 예산짜기 - 나름의 계획을 할 수 있게 4. 부모의 권위 - 권위 있는 = 타인의 인정 권위적인 = 그런 척 하는 - 미성년자 바람직힌 것을 선택하는 것에 미숙. 민주적이라 해서 의사결정권을 주면 ㄴㄴ. *책임질 수 있는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것* 5. 실수로 인한 고통 겪게 - 실수한 경험이 적을 수록 고통 높게 느껴 - 실수 후 많이 배운다. - 뻔히 보여도 경험하도록 6. 세상의 중심이 너가 아니다. - 본인을 공주로 알지만 남들에겐 아니니 유치원가기 싫어해 - 무관심하면 됨 7. 세상의 규칙은 가정과 다름을 알려주기 - 집단생활이 어려울 것 8. 내 감정과 타인의 감정 모두 소중함을 알려주어라 - 우리는 네가 좋으면 돼 = 타인의 감정 무시해도 좋다는 것 외식메뉴 부모가 아이가 번갈아가며 9. 자유+자율=책임 - 이 안닦을래 닦지마 치료는 부모 돈.결과의 책임자가 부모면 부모가 결정 -아이가 책임질 수 있는 자유만 주는 것 10. 스스로 결정하게 하려면 긴장하도록 만든다. - 자신에게 자유와 여력이 주어졌을 때 배분할 고민을 하는 것은 좋은 기회 - 작은 것에서부터 선택의 여지를 주자. 생각할 기회를 뺏지 말자
@user-ok1ul7ns3h
@user-ok1ul7ns3h 8 ай бұрын
22:00
@sohyun1985
@sohyun1985 11 ай бұрын
전 조선미 박사님 이야기는 들어요. 공감가고 이해되거든요. 현실조언이예요-^^ 그리거 말씀듣다보면 나 잘하고 있구나 맞게 가고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오은영박사니 이야긴 진짜 제겐 좀 안맞는것 같더라구요-
@user-rk8om9mh6j
@user-rk8om9mh6j Жыл бұрын
아니 걔 뿐만 아니라 다른친구도 내성적이다 그런 말들이 중요한게 아니래 아무것도 아니래 근데 나만 중요했는데 그걸 걔가 진짜 적응을 못하든 잘하든 그말에 질투가 났다해도 친구들 말이 맞다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게 중요하지 않기때문에 내가 질투했다 해도 그건 암것도 아님
@user-ce8ho7zm1f
@user-ce8ho7zm1f 10 ай бұрын
오은영 박사나 조선미 박사나 다른 정신과를 공부하는 박사들도..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 자신이 정한 원칙에 대한 신뢰가 엄청 강한 것 같아요. 그리고 문제는 '자기 원칙'을 세상에 엄청 강요하는게 공통점인거 같아요. 세상을 '정신적인 측면'에서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지는 게 정신과 공부인가봐요.
@user-qy4rw3qy2p
@user-qy4rw3qy2p 6 ай бұрын
오은영 70 조선미 30 정도로 육아하겠습니다 ^^
@user-ok8ln6wo2s
@user-ok8ln6wo2s 11 ай бұрын
학원,공부 강요만 안해도 아이는 행복하다
@luluchacha_
@luluchacha_ 10 ай бұрын
회사 가기 싫은 직장인한테도 적용되나요…. 엄마 나 회사 가기 싫어…. 일단 봐보겠습니다😭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10 ай бұрын
오은영은 사업멘트 방송이라면 이분은 진짜 내 가정의 이야기를 깊게 해줘서 너무좋다
@taeeunrebeccashin7708
@taeeunrebeccashin7708 Жыл бұрын
현실적으로 저렇게애기해서 받아주는아이는훌륭하죠ㆍ그어른같은마음을 아이들은전혀이해못해요ㆍ그걸이해시키기위해 그엄마는30분얘기했을것이고요
@serena8162
@serena8162 11 ай бұрын
25:38 ✍️✍️✍️
@NineyeCho
@NineyeCho 8 ай бұрын
아이의 인생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그냥 가라고 하면, 거기서 무슨 생각을 할 수 있을까요? 아이는 우리의 생각외로 훨씬 더 깊은 생각을 합니다. 제가 무심코 지나치면서 한 말을 훨씬 더 발전된 생각으로 이후에 얘기하는걸 보고 깜짝 놀랄때가 많아요. 그냥 어려서 이해 못하겠거려니 하고 설명도 안해주는건 생각이 없는 바보로 키우는 것에 지나지 않죠. 아무 생각이 없어서 행복할 수는 있겠지만 그게 과연 행복일까요?
@user-hf8uq6lg4u
@user-hf8uq6lg4u Жыл бұрын
우리 아들이 왜 학교가야 하냐고 계속 물어서 너 학교 안가면. 엄마 잡혀간다고 했는데..ㅎ 좋은 엄마인가요? 제 생각엔 좀 냉정한 엄만거 같은데요. 저는 아들이 아기 일때부터 목적이 한여자의 남자로 가장으로 남자로 크길 바라고 있습니다. 애를 너무 어른인냥 어렵게 한다는 비난을 받기도 합니다. 이혼 가정에 일주일에 한번보는 엄마인데 따뜻한 엄마가 아닐까봐 그것이 걱정이 됩니다. 건강한 어른으로 자란 남자로 자라주길 제대로 자립하길 바랍니다.
@sanghee519
@sanghee519 9 ай бұрын
그냥 이 10가지를 가정에서 부모도 가르치고 학교에서도 가르쳤음 좋겠어요. 십계명처럼 학교 커리큘럼에 들어가도 좋은. 도덕시간이라던가. 말을 하지 않으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younjeongcho4585
@younjeongcho4585 8 ай бұрын
저건 가정에서 가정교육으로 가르치시고 학교에 요구하지 마세요
@user-bk6kj1ih7p
@user-bk6kj1ih7p 6 ай бұрын
강의내용은 참좋은데 강사의 전달력이 많이 아쉽습니다ㅠ
Our Children’s Real Concern | HyunSoo Kim | psychiatrist, writer | Sebasi #1085
18:23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