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체를 참 어렵게 잘 출제한 문제였어요.. 정말 전산직 보다 어렵게 내는듯 합니다. C언어를 좀 더 보완을 해야겠어요..ㅜㅜ 그리고 제가 숫자랑 별로 안친해요..^^ 저기 IP클래스 구할때도 손에 적어왔습니다.ㅋㅋ
@최고이2 жыл бұрын
흥달쌤 명풍강의 감사합니다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혹시 헷갈리는 문제들은 언제든 질문주세요~~ 제가 아는 범위에서 쉽게 설명해드릴께요~ 좋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럭공지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zome3934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oohu2 жыл бұрын
3:30 dt1에 해당하는 부분이 char nae 인건가요?? os가 95 88이 db 어려운문제네요 뒷부분은 포인터랑 비슷해서 이해했는데 구조체는 생소해요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넵...dt1에 해당하는 부분이 nae 입니다~ 그냥 값이 순서대로 들어간다고 생각해주시면 될꺼 같아요..^^ 감사합니다.
@얼룩진비둘기2 жыл бұрын
정처기 실기 213 기출이네요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아하. 좋은 문제 출제했네요. 작년 3회 가지고 있는 복원문제가 오류가 있나봐요. ㅜㅜ 다시 잘 찾아봐야겠습니다.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필사의신2 жыл бұрын
21년 3회 기출문제 보고 어려워서 왔습니다~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구조체 늠 어렵지요. ㅜㅜ 요긴 좀 쉽게 풀어놨어요.
@user-wz2cz4ju9u2 жыл бұрын
st[3] 선언할때 *이 없어서 포인터 배열이 아닌데 구조체의 주소값이 들어가나요?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구조체 자체가 일반 변수처럼 값을 가지는게 아니고, 메모리 어딘가에 사용자가 정의한 변수들로 위치를 잡아서 생성되는 구조기 때문에, 구조체 배열로 만들게 되면 구조체를 가리키는 주소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sszxjj232 жыл бұрын
아하 이렇게 되는군요 ㅋ 전 풀었을때 510 나오길래 뭐지 했더만 ㅠ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아주 잘 낸 문제에요... 공단에서도 이제 문제를 잘 내내요.. 어쩌면 전산직에서 공단 문제를 베껴 갈수도 있을 정도의 문제에요~ 작년에 이거 많이들 틀리셨을꺼 같아요.. 좋은 문제 문의주셔서 즐겁게 촬영했습니다. ^^
@재밌다재밌어-b4d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nae[12]에서 물리적으로 12개 채워지고 그 다음 자리부터 os, db, hab, hhab가 들어온다고 하셨습니다. st[3]이 데이터 1, 2, 3 이렇게 선언이 되는데 그림에는 각각의 데이터 1, 2, 3이 제일 처음에 들어온 것 같은데 이게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물리적으로 12번째 이후에 들어온다고 했는데 처음부터? 제가 이해를 못한 상태에서 질문을 하다보니.. 질문 파악도 어려우실 것 같네요..ㅠㅠ 그냥 물리적으로 12번째 ~~ 이 말씀을 안 하셨더라면 뭔가 더 이해가 쉬웠을 것 같은데 헷갈리네요..ㅠㅠ 어렵다요..
@재밌다재밌어-b4d2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rnyWhp-fl8udl68 이 영상 25:28 에서 하는 p3[2]의 설명과 조금 다른 것 같아서 헷갈립니당..! 속하는 개념이 반대 같아요!
@재밌다재밌어-b4d2 жыл бұрын
3:26 에서 1000, 2000, 3000번지를 예로 들면 st에서도 1000번지 2000번지 3000번지가 되는게 아닌가요? 다시 100 101 102로 하는건 어떤 뜻일까욤?ㅠㅠ
@재밌다재밌어-b4d2 жыл бұрын
음... 숫자들은 int니까 각각 순서대로 os, db, hab, hhab를 나타낸다고 외우면 될 것 같은데 dt1은 nae를 뜻하는 걸까요?
@HeungSsaem2 жыл бұрын
구조체에 변수가 여러개 선언이 되었을 때, 초기값을 묶음형태로 집어 넣게 되면(그러니깐 중괄호로 묶는형태), 그러면 그 구조체의 선언된 변수의 순서대로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100, 101, 102로 하는건 포인터 변수가 st 배열을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제가 질문을 정확하게 파악을 못해서 답변이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네요..ㅜㅜ 다시 한번만 강의를 수강해주시고, 다른 문제가 있다면 가지고 오시면 제가 다시 풀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질문 주실때는 대댓글로 하시면 제가 확인이 안되서, 새로 질문주시면 정리해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