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아이가 아기였을 때 선생님 말씀으로 예민한 아이를 씩씩하게 키웠어요. 이제 이 아이가 사춘기네요. 선생님 말씀과 책 정독하면서 또다시 씩씩하게 키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명나무-b3f Жыл бұрын
어쩜 우리집애를 보시고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크느라 힘든 아이들.무너졌다 다시 지어가는 과정..다시 돌아올것이란 말씀이 염려.걱정을 한결 내려놓을수 있게 합니다. 사춘기 아이를 이해할수있게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youngeunkim2811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책과 영상으로 아이키우고 있는 빅팬입니다. 감사합니다💚
@Tv_Sulhanjan754 Жыл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참 명쾌하십니다 다른 채널에서 시청을 하다가 너무 명쾌한 이론에 고무되어 검색해서 들어왔습니다 아주대학교에는 심리학 분야에 참 뛰어난 분들이 많으시군요 이민규교수님,김경일교수님도 아주대학교죠 조선미라는 걸출한 분이 계셨군요 감히 평가를 하자면요 디테일 면에서는 지금까지 보아온 심리학자 철학자 인문학자 통틀어서 단연코 Top이십니다 다른분들의 강연을 들어보면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것을 늘 느끼거든요 그러다보니 듣는 청중들에게 공감을 호소하는 리엑션이 가끔 보여서 명쾌함 쪽에서는 아쉬웠습니다 조선미교수님의 강연은 조근조근 말씀하시는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동으로 무릎을 탁 치게 만드시는 능력을 갖추셨네요 많이 배우겠습니다
@도토리-x8y2r Жыл бұрын
지금 보이는 문제가 평생 가지는 않는다는 믿음..이 말이 너무 위로가 되네요.감사합니다ㅠ
@mission940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사춘기 중학생 아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로써 이해도 되고, 조명을 켜지듯 방향도 잡히는 좋은 영상이었어요. 특히 방치우는 문제.. 일주일 한번 치우고 문을 닫는다는 해결책은 바로 적용하려구요. ^^ 볼륨이 작아서 아주 귀 기울여 들었어요. ㅎㅎ 조금더 소리 크게 부탁드려요! ^^♡♡
정망 최고의 말씀.진짜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듣고 싶었던 조언이에요.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Peace-r1s Жыл бұрын
저희아이 어릴때부터 많이 도움받았는데 사춘기되니 또 교수님 영상을 찾게되네요~^^
@nastasha95 Жыл бұрын
도움 많이 되었어요. 도 닦는다고 생각하고 마음을 다스리겠습니다. 엄마가 잔소리 많이 한다고 해서 중 1 올라가면 기본적인 것만 준수하면 잔소리 안하겠다고 선포했어요. 선생님이 알려주신 팁 참고해서 연습할게요
@wonny5522 Жыл бұрын
큰 도움이 됩니다 항상 이렇게 방송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식물-n3l Жыл бұрын
왜 전 교수님의 영상을 들으면 위로가될까요? 순간 저의 사춘기때 모습도 생각나요. 소심한 사춘기...?😅
@clairebae5730 Жыл бұрын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실천하며 기다려주는 부모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정화-j5c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저희집에 현재 일어나고 있던 일들이라 제가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조금더 마음이 가벼워졌습니다 크면 나아지겠지를 되뇌이며 도닦는 마음으로 취미생활 하겠습니다
@yuni4146 Жыл бұрын
듣고 또 듣고 있어요. 될때까지 들으려고요 ㅎ
@nastasha9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마이크 해 주시면 좋을 거 같아요. 소리가 울리고 작아요 😅
@nanakim700 Жыл бұрын
꼭 부탁드립니다🙏
@윤주tv-w3b Жыл бұрын
선생님~강의 감사합니다 6학년아이와 관계가 훨씬 좋아졌습니다~^^ 한 가정을 살리셨습니다~~~^^
@아평정심9 ай бұрын
우리아이 중1 ㅜㅜ 인정하고 기다려줘야 하는군요 내 마음 많이 다스리고 배우고 가요
@호야-k5mАй бұрын
너무 공감되는 이야기만 쏙쏙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in-nr8cf Жыл бұрын
오래오래 기억하고 싶은 내용입니다.
@행복한리나-c6q Жыл бұрын
교수님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meiiii597 Жыл бұрын
요즘 중2딸아이와 갈등 중인데 박사님 덕분에 마음이 조금 편해지네요.
@머1234 Жыл бұрын
선생님영상너무좋은데 ㅠ.ㅠ죄송하지만 마이크하나괜찮은거사셨으면해요ㅠㅠ 물론 음질나빠도들을수있어요 ㅠㅠㅠㅠ 근데 음질이좋으면 더좋을거같아요
@지영-e6s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최고에요 ~~ 👍 👍 👍 👍 👍
@조이-e2j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
@alohamahalo80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드립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 다음편도 기대하며 기다리고 있을게요~~^^♡
@Key-u7c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딸래미 사춘기 행동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만마니-w9m Жыл бұрын
사춘기 아이들의 지금 눈에 보여지는 모습이 평생 가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으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mhy8292 Жыл бұрын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말씀들 너무 감사해요 이렇게 고개 끄덕이다 또 돌아서면 부글거리겠지만ㅜㅜ 반복해서 들어야겠어요
@kjy2718 Жыл бұрын
선생님덕분에 사춘기 시작된 아들 이해 할려고 노력중입니다
@한놈부터보내자 Жыл бұрын
사춘기 초6에 온 아이 고2에는 더심하네요. 학업스트레스가 많겠지만 풀메에 손톱네일2,3센치짜리 2주마다 바꾸고 어디까지 말을 안해야하는지요? 저도 화나서 거리두기하느라 방문 안열지만 학원안가는 날은 9시도 안되서 자고 매일 새벽에 일어나 씻고 화장합니다. 끝이 안날거같아요. ㅠㅠ 똘똘한데 자기주장이 너~~~~무 강해서 뭐든 맘대로해요
@고수정-z6m Жыл бұрын
자기주장 강한 저희 중3짜리 딸도 중1때 시작된 사춘기가 도대체 언제 끝나는건지..점점 더 심해지는 듯 해요. 아침마다 풀메하느라 지각하기 일쑤고 돼지우리같은 방에서 문 꼭 닫고 몇시에 자는지 몇시에 일어나는지도 알수도 없어요. 씻지도 않고 아침까지 렌즈끼고 잠도 자고 1학기때에는 등교거부도 해서 학교도 많이 빠졌구요. 여름방학을 기점으로 학원 모두 그만두고 제가 간섭을 안하는데 변함이 없네요. 속이 새카맣게 타지만 이 시기를 잘 넘기자..기도하여 견디고 있어요.
@빅블러썸 Жыл бұрын
우리 딸이야기 하는줄요
@ataraxia-r7s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아들의 이해할 수 없던 행동들이 이제는 이해가 되고 참고 기다릴 수 있을 것 같네요^^
@hyy1975 Жыл бұрын
강연, 감사드립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민트혜진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잘 듣고 가겠습니다.
@ksj626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열심히 잘 듣겠습니다
@홍경화-y3c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지금 저에게 가장 유익하고 필요한 말씀이네요~~♡♡♡
@tv-ut4es7 ай бұрын
너무 도움되는 영상이네요😊 저장해놨다가 반복해서 봐야겠어요^^
@songsong6939 Жыл бұрын
6학년 딸 사춘기인데 너무 도움됩니다.
@해피데이-t1n Жыл бұрын
다들 우리집 다녀가셨나 ~~하실듯요..ㅋㅋㅋ
@하루십분 Жыл бұрын
지금 저희집 보시며 말씀하시는 듯요~~^^;; 말씀 너무 도움되요. 저의 생각을 조금 여유롭게 할 이유가 있네요~감사합니다 ^^
@user-fc09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제 아이가 딱 사춘기 절정에 접어드는데 잘 듣겠습니다
@김혜정-l7c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건강하세요
@momo-gw2zs Жыл бұрын
저희집은 아이의 게임시간을 아이와 의논을 통해 일정하게 정해놨고 할 일 다하면 게임할 수 있도록 규칙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그 할일들을 대충하거나 할일을 하지 않고 게임시간만 더 늘려달라고 화내고 조를 때가 있어서 문제입니다 할 일을 제대로 안할 경우 그리고 저와 갈등이 있을 때 선 넘는 행동을 할 경우 게임 시간 제한으로 벌칙을 주고 있는데요 아이에게 게임이 가장 중요하니 효과는 좋긴해요 근데 괜찮은건지는 제가 확신이 잘 안서네요 폰 금지 벌칙이 괜찮은건지 알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jooheeyun149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저희 아이는 공부 하위권이라 그런지 보통 사춘기아이들보다 자존감도 낮고 집에서는 항상 방문 닫고 살아요.친구가 쓴 편지에 자기는 생일때 축하를 받은적도 없고 제일 슬픈날이라고 했나봐요. 자살애기도 하고 다녔는지 친구가 너가 자살자살해도 자기가 살려놓을거라고 썼는데 심장 내려앉았어요 ㅠㅠ 지금 중3이고 중1때 심리상담도 다녔는데 학업때문에 자존감이 내려가있어서 이부분만 성취경험해주면 될듯하고 엄마 아빠에 대한 감정은 나쁘지않다고 하셨거든요. 상담이 필요할까요? 생일마다 생일상차려주고 선물해주고 집에 풍선달아서 케잌불끄고 축하안해준적이없는데 너뭄 충격적이네요..ㅠㅠ
@qqq-c3c Жыл бұрын
친구라도 있는게 다행이죠 점점나아질거에요 저는 하나도없거든요
@윤복이-u7q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은 케익 하나만(초코파이도 좋음) 사 놓고 촛불만 켜줘도 유치원때는 엄청 좋아하던데요.. 애들은 학업이 자신감과 연결되는게 큽니다.. 학교에서도 공부 잘하는 애들이 인기가 있을때가 많더라구요.. 학원을 보내서 조금은 도와주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초6 큰딸 상위권은 아니지만 공부를 못한다고는 생각을 않하고 있어서 자신감이 넘치는 편 입니다^^
@lola3324 Жыл бұрын
박사님딸이랑 저희애랑 비슷한 모습이 위로가 되네요.^^;
@준이마미-x4i Жыл бұрын
볼 거리 또 생겼어요 좋아요 😀
@샤크의로블공장 Жыл бұрын
선생님너무조아요! 선생님말투 따라하기 연습해야겠습니다!넘 도움되는 강의입니다❤
@user-pj9gr2dp1j Жыл бұрын
방청소.문닫고들어가기.공부하나도 안하는아이ᆢ모두 제아들 부딪치는 일 없게 하려ᆢ제가 수행해야하는것ᆢ그래도 학교생활은 잘 하고 있어서ᆢ다행이다 싶네요.
@꿀단지-l5e Жыл бұрын
그냥 답이라기보다는 다 똑같다는데 위안을 얻네요. ㅋ
@심심해서만든채널-w3z8 ай бұрын
너무 필요한내용들 잘들었습니다~~~~
@유레카-w8s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쏭지짱-x5w Жыл бұрын
올려주신 영상보고 오늘 또 보며 복습합니다 2탄도 3탄도 올려주세요~~^^
@가을아침따스한자켓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존경합니다
@이선림-c4z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요즘 딸 걱정에 자주 찾아서 강의듣고있어요. 감사합니다. 우리아이가 대화도 거부하고 학원도 안간다 하고 제가슴에 못박는 막말도 계속해요. 하루종일 핸드폰을 하고....식사도 방에서 컵라면하나정도 먹어요. 저는 계속 눈물만 나고 선생님 말씀 들으며 살아온 삶을 후회하고 자책해요. 이젠 어떻게 해야할까요?
@b형생선장수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윤복이-u7q Жыл бұрын
화장을 할거면 화장품 좋은것 쓰라고 말하고 화장은 하는것 보다 지우는게 중요하다! 고 말해 준답니다.. 제 나이가 50인데 저 중학교때도 화장하는 애들은 있었지요^^
@inspirevortexxx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전 중고등학교를 북미에서 다녔는데 중학생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화장 조금씩 시작하는게 워낙 일반적이라… 또는 털 관리(?) 다리털 밀거나 그런 것도 관심 갖는 친구들 있었죠. 어떻게 보면 그렇게 크게 반응할 만한 일은 아닌지도 몰라요. 피부 관리의 중요성을 가르쳐줄 수 있는 기회일 수도. 대신 취침 전 꼭 지우기~! 😊
@miaekang5421 Жыл бұрын
박사님..좋은말씀 감사한데요 소리가 좀 더크면 좋을듯해요. 귀를 쫑긋하고 들어야했어요.
@큐티-j8u Жыл бұрын
정말 요즘 많이 고민하고 딸이랑 부딪히는 부분을 말씀하셔서 우리 아이만 이런게 아니구나 라는 생각도 들고 한발짝 물러서야 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아이와 매일 싸우며 너무 힘든 나날을 보내다 조선미교수님 영상찾아보며 많이 배우고 조금의 평화라도 몇일 오는거 같아 다행이라 생각이드네요 교수님이 보장하신 이시기가 지나면 돌아온다는 말씀이 너무 힘이됩니다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아직은 사춘기는 아니지만 초등학교2학년인데 말대꾸가 전보다 많아지는것 같습니다~ 잘듣었습니다~하나하나 행동으로 옮기는 자기수행하겠습니다~
@나비잠-o4y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빨라졌지요. 그리고 성조숙증도 믾아졌고요
@손혜원-j2u Жыл бұрын
1. 지금 보이는 문제가 평생 가지 않는다는 믿음 2. 딱 한 번만 말하고 돌아서서 내버려두기 명심하겠습니다!!
@김유리-v8d6p Жыл бұрын
모든 예가 어쩜 우리집 이야기하시는 거 같아요. ㅎㅎㅎ 오은영샘처럼 공영방송에서 우리나라 보통 청소년들에 대한 이야기 좀 해주세요.
@Sunny-sg7uj Жыл бұрын
부끄럽게도 저는 남편이 잔소리하면 문을 쾅닫게 되요. 할수있는게 그것밖에 없달까요. 아이가 나중 문 쾅닫는다면 뭐라할 자격이 없을듯요. ㅜㅜ
@나비잠-o4y Жыл бұрын
바람이 불어서..ㅎ
@가을아침따스한자켓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혹시 저희집에 씨씨티비 달아놓으셨어요? ㅎㅎ
@반짝반짝빛나는-y9t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중1되는 아들과의 관계가 참 어려워요..오늘 말씀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궁굼한점은 해야 할 일을 하고. 약속된 시간만큼 핸드폰을 하는 패턴이에요. 약간 오늘 교수님께서 주신 팁에서 복합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는데요.. 오늘 할꺼 뭐.뭐.뭐 있지? 그거 하고 게임 해~ 하고 쿨하게 돌아섰는데..나중에 보니 진짜 대충..해 놓고 게임만 신나게 할 때..ㅠㅠ 다시 불러서 지적해야하나요? 아님 벌로 다음날은 핸드폰을 못한다는 식의 제안을 해야 할까요...? 참..어렵습니당..ㅜ
@ilikebeatles3136 Жыл бұрын
그런날은 그냥 넘어가시고 그 다음날 구체적인 내용을 짧게 이야기해주세요 그날그날 잔소리하고 화를 내면 아이들은 잔소리를 듣은 댓가로 바뀌지 않지만 엄마들이 유연하게 대체하면 시간이 좀 지나면 아이들이 정말 많이 변하더라구요 야 또는 성을 붙여서 이름을 부르지말기 남아들 대하듯 조심스럽게 오늘은 이렇게 해볼래라고 건의하는식으로 여러번 말해주면 효과가 있더라구요 엄마가 왜 이런 선택을 하는지 자기이해가 있지않으면 무조건 참기만하다 나중에 폭발하기도 하니까 객관적을 많이 따져서 보세요 오늘 내하루가 어땠나이렇게
@전동요-e6k Жыл бұрын
중1아들이고 학교에서는 모범생이고, 학원도 잘가고 숙제도 스스로 잘해서 문제가 없다고 마음놓고 있었는데, 밤만되면 잠을 안자려고해서 너무 힘드네요. 학교,학원,숙제 다하면 놀시간이 없다면서 새벽1시~3시까지도 안자려고하네요. 학교에서도 절대 안잔다고하니 하루 4~6시간밖에 못자니 너무 걱정되서 새벽마다 싸웠는데ㅜㅜ 이 영상보니 사춘기때 수면사이클이 뒤로간다고하니 조금 맘이 놓이네요~ 주말에 많이 자라고 해야겠습니다!
@사부작-s7v Жыл бұрын
방송을 해주셔서 🙏 정말 감사합니다!!🙏
@진-w8j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2탄3탄도 부탁드립니다^^
@올리브-n4s Жыл бұрын
아이가 9살인데 들어요..사춘기는 아니겠지만 넘나 사춘기같아서요..😅
@윤복이-u7q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조기 사춘기도 많은듯 합니다.. 저희 둘째딸도 아홉살^^ 성조숙증 치료까지 받고 있어서 다른집 아이들 보다 긴 사춘기 시절을 보내야 한다고 제가 둘째딸에게 불평 합니다^^
@나비잠-o4y Жыл бұрын
@@윤복이-u7q파이팅!!
@user-fc092 ай бұрын
우리도 다 격은 사춘기지만 내 자녀의 사춘기는 이해하지 못하는... ㅎㅎ
@calik4321 Жыл бұрын
소리가 .....집중 할 수가 없네요.
@simji71147 ай бұрын
상담받고싶습니다. 딸이 저에게 욕설을 했고, 저는 폭력을 사용했습니다. 너무 상처받고, 힘듭니다.
@hilio6123 Жыл бұрын
22:23
@외로운사람-n8c Жыл бұрын
초등 5학년부터 사춘기예요~ 어쩌죠?
@피오나-n8o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ㅠ 요즘 눈빛과 말투가 심상찮아요 빨리 시작하면 빨리 끝날까요ㅠ
@msmorado Жыл бұрын
내가 알아서 할테니 엄마는 엄마 할거 하세요 우리집에 사는 현재 여섯살 아이가 이렇게 말합니다 😢 사춘기때는 어떻게 될까요
@biobmj Жыл бұрын
저희 집 7세는 내가 왜 엄마가 하라는대로 해야 하는데? 내가 왜 그래야 하는데 ...이럽니다. 초5,6 되어야 할 수준인데 말이죠.
@윤복이-u7q Жыл бұрын
저는 두살부터 여섯살까지 유아사춘기 앓은 딸 키운 엄마 입니다. 그런데 다행인게 사춘기 시기 되니 엄마한테 심하게 엥겨서 적응이 않되고 있지요.. 저희 시누(형님)네 보니 어렸을때 너무 순해도 사춘기때 부딪힘이 심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