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10분 일찍 가야 한다 or 딱 맞춰가도 된다 일찍 가야 한다는 좋아요를👍 딱 맞춰가도 된다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김웅배-e6f2 жыл бұрын
10분 일찍가야 지각을 안하기 때문에 일찍 나가야됩니다~^^
@FAC20UT2 жыл бұрын
회사와 직업의 특성에 따라 다를것같습니다만 변수를 생각해서 10분일찍 나오는게 맞을듯요
@권용주-f6l2 жыл бұрын
10분일찍 출근하는게 맞죠
@지나간다-s7z2 жыл бұрын
일찍 가는 습관이 생겨야 지각을 안하는거 같아요^^ 딱맞춰오는사람들이 꼭 지각 하더라고요.
@카사노빵2 жыл бұрын
일찍 가야죠. 근무시간이 있는데, 딱 맞춰가면 준비하고 뭐 하면 10분은 지나갈텐데요.. 그럼 퇴근시간도 10분 늦어지는게 인지상정!
@kgh34582 жыл бұрын
기동님 마지막 말 너무 공감. 20살에 직장 다니면서 차 밀리는 것까지 예상하고 여유롭게 출발했었어요. 직장 복지가 좋아서 일찍 가도 차 마시거나, 안마기나, 책 보거나, 소파에 널부러지거나, 간식 먹거나 등등으로 내 일 시작시간 전까지는 터치하지 않았어서 일찍 도착하면 운전의 피로도 있으니 그냥 가서 좀 쉬다가 일하는 거고, 대충 딱 맞게 도착하면 얼른 일 준비하고 그랬습니다. 그런데 내가 늦는다는 변수가 생길 거라는 걸 예상하지 않고, 딱 네비 도착시간대로 움직이는 건 본인 스스로가 피곤해져요. 결국 지각하는 건 동료 직원들한테 피해주는 일이구요. 참고로 저는 mbti p입니다.
@보통의하루-s9z2 жыл бұрын
1일 1영상 돌앗냐고;; 개좋네 진심
@MNM-qc7yq2 жыл бұрын
회사마다 유동적으로 가야한다고 생각해요 ㅎ 09시 출근인데 8시 50분까지 와서 '준비'를 한다는 것은 '인수인계'를 위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핫도그 같은 경우 유튜브 상에서만 본다면 자유로운 업무 분위기이기도 하고, 유튜브 상에서 비춰진 업무 특성 상 인수인계가 특별히 필요하진 않아보여서 09시까지 딱 와서 업무 시작을 해도 상관이 없지만 일반 회사 같은 경우(특히 2교대 & 3교대)를 볼 땐 인수인계가 필수인 곳이 많을 거라 생각 되어 08시 50분까지 도착해서 '준비' 하는 것이 맞다 생각되네요~ 고정관념이 있는 CEO가 대표인 곳은 '다른 회사도 저렇게 하는데 우리도 꼭! 이렇게 해야돼!'라는 사회적 분위기는 좋소기업 같은 마인드라서 문제 많아요 ㅋㅋ
@Do_kkaebi2 жыл бұрын
저는 10분 전에 출근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그 날 교통상황이나 그 외 다른 변수들로 인하여 늦어질 수 있다는걸 가정하면 10분 전에 도착할 수 있게 준비하는게 지각으로 인한 경위서 작성 등의 불이익을 입느니 차도 안막히게 애초에 일찍 나오는게 문제를 만들지않아서 편합니다. 업무적인 문제도 마찬가지로 9시 땡!하고 바로 업무에 들어갈 수 있는게 아니라 회의 전 준비라던가 예비동작들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원활한 업무를 위해서 일찍 오는 편이 좋다고 봅니다만! 아침 5분에 더 자는건 개꿀
@쿨핫-i2v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누르고 댓글 쓰고 ㅋㅋㅋㅋㅋ 어떠한 시간 약속이라도 10분,5분 전 이런거에 상관없이 일찍(제가 생각하는 일찍의 기준?은 여유롭게가 핵심입니다) 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일찍가야 한다가 아닌 일찍 가는게 심리적 여유가 있어서 출발부터 꼬이지 않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을 한다 여러 상황에 대비해 특히 나의 의지와 상관없고 나의 능력밖의 일이 언제 어떻게 생길지 모르니 어떠한 형태의 시간약속이라도 여유롭게 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괜히 이유 불문하고 늦어서 미안 죄송합니다 이러이러 해서 늦었다 늦었습니다 하면 그게 100%로 사실이라 하더라도 쌓이고 쌓이면 결국 서로 감정적으로는 기분부터 안 좋고 나아가 자신의 이미지 별로고 신뢰도가 낮아져서 좋지 않다 특히 일하러 가는곳은 더 그럴것이라 생각한다
@titori2 жыл бұрын
도착 시간을 정각에 맞추고 출근 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한 달에 한 두번은 지각 할 상황이 생깁니다. 하지만 미리 10분전에 도착 해야 겠다는 마음으로 출근 하면 특정한 상황이 생겨도 9시 이전에 도착 하겠죠. 결국 지각 해서 불편하게 눈치 보면서 "죄송합니다" 라고 할 바에야 그냥 출근 시간의 기준을 10분 전으로 맞춰 놓는게 심적으로 편합니다. 결국 우리 나라에서는 지각이라는 것 자체가 그 사람의 이미지를 형성 해주는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특히 요즘 젊은 MZ 세대는 꼰대 또는 씹 선비 마인드 등등 비꼬우면서 윗세대를(물론 정말 꽉 막히고 답 없는 사람들은 비판 받아도 마땅하지만) 비하 하는데 이런 마인드나 말을 하는 젊은 애들이 혹여나 나중에 자기가 사장 이나 오너가 되면 지각 또는 이 주제 처럼 정각에 맞춰서 와야 한다는 마인드를 가진 직원을 예쁘게 보이진 않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예전 부터 그런 문화였고 앞으로도 차차 나아지기는 하겠지만 큰 틀은 바뀌기 힘들다고 생각 됩니다.
@김태중-f8t2 жыл бұрын
기동이형 말이 맞지ㅋㅋㅋ10분 일찍도착하면 돈 더 받아야한다는사람치고 지각했을때 돈 내놓을 사람없음
@미노-r7s2 жыл бұрын
지각했을때 월급에 차감 하면되는부분 회사 생활 안해보셨어요?
@김태중-f8t Жыл бұрын
@@미노-r7sㅋㅋㅋㅋㅋㅋ미노님은 지각했다고 월급에서 차감시키는 회사에 다니고 계신가봅니다
@연두안하쪼꼬 Жыл бұрын
@@미노-r7s 도망치세요 ;;;;
@미노-r7s Жыл бұрын
그런 회사 안다녀요 그런곳도 다녀봤다는거죠
@아름다운아가씨9 ай бұрын
지각하는걸 아주 당당해하시네 ㅋㅋ
@user-vo7ht5xp4h2 жыл бұрын
진짜 불세편살 콘텐츠 너무 잘 만드신것같아요.. 사람들이 얘기 꺼내기 좀 불편하고 눈치보이는 주제들을 갖고 토론하는 컨텐츠를 보면서 정말 핫도그가 너무 많이 성장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솔직히 유튜버 중에 이런 다양한 컨텐츠 만드는 유튜버가 어딨나요 진짜.. 진짜 불세편살은 어려운 주제를 갖고 편안하고 재밌게 토론하며 사람들이 사회에 살아가면서 하고싶었던 말들을 핫도그가 콕콕 찝어서 얘기해주는것도 너무너무 좋습니다 정말로.. 이렇게 다양한 컨텐츠하면서 성장 하셨으면 좋겠어요❤️ 저는 항상 핫도그의 편 케찹이입니다🫶🏼 응원해요 핫도그
@moonjongwoon2 жыл бұрын
핫도그 채널 오래 보면서 처음 댓글 달아보네요 정시출근 해도 된다는 사람들 많은 댓글과 영상 내용처럼 퇴근준비 미리하고 그러는거 ceo의 입장에서 8시간 근무로 계약을 한 관계인데 어느정도 유도리를 봐주는거죠 그러면 그 유도리에 맞게 직원들도 신경써야 할 부분이 있는거죠 9시출근이라고 9시 도착하게 하면 학교처럼 쉬는시간 정해서 1시간마다 딱 5~10분씩 정해놓고 쉬고 탕비실 가서 커피타고 이런것도 다 쉬는시간에만 해야하죠 다른 시간들은 다 유도리 따지고 유동적으로 하면서 출퇴근만 원리원칙 따지는건 사장의 입장이라면 직원에게 서운할 수 있죠 물론 직원들도 조금이라도 아침의 여유를 즐기고싶고 그런건 있죠 그러니 서로 유도리있게 가는게 더 즐겁고 행복한 회사생활이 되겠죠 저도 회사를 다니지만 저보다 더 회사에 가까운 선임과 훨씬 먼 선임이 계시지만 저보다 먼저 와서 업무준비하시고 그러시는데 그건 그분들의 루틴인거고 그거에 맞춰서 내가 더 빨리가고 이건 갑질일 수 있지만 나도 업무에 지장이 안가게 커피 타고 핸드폰 만지고 화장실 들릴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고 출근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동동-w2m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기동님이 하신말씀에 공감! 집과 회사의 거리가 아주 가까워서 변수가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면 아침 일어나는것부터 씻고 준비하고 출근해서 회사도착까지 변수가 없으니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대중교통이나 자가를 이용해 출근하는 사람이라면 넉넉잡아 도착할정도로 시간을 맞추는게 현명할것같음
@팬다도2 жыл бұрын
딱출근 딱퇴근을 떠나, 10분일찍 꾸준히 오는 모습을 보다보면 윗선에서 보이지않는 평판이란게 굉장히 크게 작용한다고 경험했던 편이라. 또 내 스스로가 정각에 쫒기는 느낌보단 여유갖고 다니는게 마음이 편하던
@coollim63712 жыл бұрын
사장놈은 늦어도 된다 이유는 시간의 무게와 책임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정해진 시간 정해진 업무를 해야 하지만 사장은 정해진 시간과 정해진 업무가 없다 모든 일상이. 일이며 돈이며. 책임이다 그건. 감내하기에 사장이 되는거다 1시간이 늦어도 5시간이 늦어도. 하는 일이 다른 사람에게 모든 책임을 지는 이에게. 똑같은 시간 출근 퇴근은. 너무 어린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책임이 큰 만큼. 그에 따른 시간의 소비는 직원으로써 ㅁ받아들여야 한다 어느 누가 이건희 회장에게 출근시간 지키라고 할수있는가?? 이건희 회장이 생각 하고 고심하고 판단할수 있고 고민할수 있는 시간이 회사의 미래를 바꾸게 된다 사장들의 책임과 고충은 사장이 아니고선 모를거다 사장은 아무나 할수 있는게 아니다
@TV-bx7od2 жыл бұрын
그냥 10분까지도 필요없고 자기가 뭐 화장실 개인적인 업무를 안하면 9시에와서 바로 업무시작하면 상관없다고보는데 보통 많은사람들이 화장실 뭐 커피 담배 옷갈아입는 등등으로 5분에서 10분을 소비하니깐 문제인거같습니다.. 그래서 뭐 9시에 딱맞춰서 올거면 바로 업무시작할수잇는 세팅이 되어있어야할거같곡 아니면 10분전정도 여유를가지고 하는게 좋은거같습니다.
@suongyenjeon444711 ай бұрын
회사가 어떤 회사이냐에 따라서 큰 차이가 있겠지만 할일이 많거나 지각을 했으면 추가로 야근을 하거나 월급을 깎으면 되지 않나...직원들 월급 주고 회사를 책임지는 대표의 입장에서 회사에 해가 안되고 맡은 일만 잘 하면 몇분 지각하거나 좀 일찍 퇴근하고 하는건 문제가 안된다고 봄.
@응애-s7q2 жыл бұрын
5~10분 전에는 도착해야하는 것 같은게 절대 꼰대 마인드가 아닌게 9시 출근인데 9시에 도착하자마자 바로 일하면 9시까지 도착해도 말 안하는데 9시 정각에 도착해서 커피 내리거나 담배를 핀다거나 할거 다하고 일을 시작하는데 이런 사람들은 보통 퇴근시간은 칼같이 지킬려고 하는게 문제인것 같음 출근 9시 정각에 도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사람 치고는 퇴근 6시 정각에 그제야 짐챙기고 나가는 사람 없음 6시 퇴근이면 6시에 퇴근하려고 20~30분 전부터 집 가려고 짐싸고 있는데 그게 문제인거임 그리고 사장이 지각하는건 내 생각인데 보통 정상적인 사장들은 책임감이 있기 때문에 지각할 일이 거의 없음 근데 내 전 직장상사는 10분정도 늦게 왔는데 그 이유가 만약 내가 늦잠을 잤다거나 차가 막힌다거나 해서 출근 시간보다 늦게 갔는데 상사가 있으면 눈치보이고 혼나고 하는데 일부러 자기 눈치보고 출근하지말라고 10분정도 늦게 출근해 주셨음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난 그런 부분이 오히려 좋았고 배려해준다는 생각이 들었음
@MeHi70213 ай бұрын
네이버 사전에 써있는 출근은 ‘일터로 근무하러 나가거나 나옴’ 이거든요. 9시 출근이면 딱 9시에 회사 도착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질타받을 일도 아니고 이해받지 못할 일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근무시작을 9시로 하고싶었다면 출근시간을 8시 30분~ 으로 하는게 맞다고 보고요. 근데 이게 어쨌든 회사에 나오기로 ‘약속’한 시간이잖아요? 취업할 때 면접일정과 시간이 잡히면 보통 그 시간보다 넉넉하게 면접장소에 가있지 않나요? 친구랑 약속이어도 9시 약속이면 적어도 8시 40분에는 도착하게 출발하는 편이거든요. 그게 마음이 편하지 않나?싶긴해요. 그게 개념이라기보단 사람에 따라 다른 것 같은데 누군가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함도 상황에 따라있지만 촉박하게 도착하거나 늦는 것보단 일찍 도착하는게 마음도 몸도 편한 것 같거든요. 어쨌거나 누군가와 한 약속인만큼 늦지만 않으면 되는 거 아닌가 싶기는 합니다
@aestheticsofdifference Жыл бұрын
뭐 사무직을 기준으로 말하자면 연봉제로 따져서 야근을 해도 수당이 안나오는곳이 태반입니다.(물론 업무가 많을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찍와서 늦게 퇴근하는건 이렇게 해야 대리>과장>차장>부장 진급이 빠르다는게 사회 인식에 심어져 있어서 그렇다고 봅니다. 그리고 윗사람이나 아랫사람이 출근전 미팅으로 늦게된다면 인수인계 명목으로 일찍 출근 할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은 전 30분~1시간 일찍 출근합니다
@꽉-v6o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기동이형 회사가 진짜 자유로운 분위기라 어쩔 수 없어.. 그 자유로운 분위기로 인해 영상도 잘나오는거라 흠… 합의점을 잘 찾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호오-x4u2 жыл бұрын
저도 스타트업 창업자로서 너무 공감되네요 아무래도 임원급은 업무시간이라는 진짜 개념이 없어서 쉴 수 있을 때 쉬어서 컨디션 관리 꼭하셔야 합니다ㅋㅋㅋㅋ기동 님 진짜 힘들겠네요 파이팅이요
@jena_diary2 жыл бұрын
도착하는게 출근이라고 생각하긴 하는데 딱 맞춰오다보면 지각할수도 있어서 10분 전 정도에 오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대신 한번씩 5분 전에 도착해도 뭐라하지 않는 그런게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yuna0904982 жыл бұрын
전 회사 다닐때 9시에 근무시작이었지만 45분까지 오라고 했었어요ㅋㅋㅋ근데 가서 미리 업무 준비하고 일찍 온 사람들이랑 대화 하다보면 시간 순삭😅 그리고 업무시작전 출근을 시키다 보니 고정 ot가 있어서 가능했던거 일 수도…
@바코드-v2n20 күн бұрын
회사가 집앞이라 걸어서 출퇴근하는거라면 변수창출이없기때문에 정시에출근할수있지만 자가용 또는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데 어떻게 정시에 출근할수있지 그거도 능력인듯 지각안하려면 변수를 예상해서 거리가 가까우면 결국 10분 15분전 도착 거리가 멀면 25분 30분전 출근을 예상하는게 당연한건데 이래도 변수생기면 정시나 5분전 쯤 도착하던데 매일정시에 출근하는 사람은 여유있게나와서 근처편의점 카페에서 커피한잔 들고들어오는 여유있는사람이다
6년동안 회사 다니면서 느낀건 늦지않으면 상관없다봄. 근데 회사에서 어느정도 융통성을 가지고 배려해주는 부분이 보임. 그게 당연하다기보단 사장님도 사람이고 내 상사분들 막내들고 사람인 점에서 서로 배려해주는 걸로 생각되요! 그거에 따라 사장님이 원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10분 일찍 출근이라한다면 해줄 수 있다고는 봅니다! 근데 힘듭니다!! 출근은 화나거든요! 결론으로, 다들 출근이 뭐냐 하는데 회사로 가는것 이게 맞죠? 단지, 근로계약서에서 적힌 시간은 출근 시간이 아닌 근로시간이고 근로 시간이라는 사전적 의미는 “근로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실근로시간” 이기에 그점을 참고한다면 10분은 아니더라도 일찍와서 준비하는건 맞지않나 싶습니다!
@s2s2442 жыл бұрын
저는 9시 출근 6시 퇴근이라고 가정했을 때 9시까지 출근이 맞다고 생각해요 9시 이후 지각은 100% 직원 잘 못 이지만 8시 50분까지 오라는건 보통 업무 준비를 위한 시간인데 업무 준비도 어쨋든 업무의 일부이고 6시 퇴근 이면 본인의 오늘 업무가 다 끝나지 않았을 때 미리 퇴근 준비를 하는 건 잘 못 됐지만 다 끝났을 경우에는 상관 없지 않나요?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업무준비를 핑계로 10분 일찍 출근하라고 하는데 10분 일찍 출근했을 경우 퇴근준비를 위해 10분 일찍 끝내주지도 않고 오늘 업무가 다 끝났다고 치더라도 10분 일찍 퇴근 시켜주는 경우도 거의 없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8시 50분 업무 준비라는 말을 쓰지 않는 이상은 불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gallery__rang2 жыл бұрын
적어도 10분 전에 가는 게 마음 편한 1인 ..
@kim_kim_qqq2 жыл бұрын
이거는 시간을 떠나서 본인의 능력에 따라 나뉠거같습니다 본인의 능력이 뛰어나서 부서나 팀내의 해결사를 담당하고 있다면 정시출근하고 가끔 지각하더라도 어느정도 봐주는 느낌이 있습니다 근데 능력이 없으면 성실함이라도 보여야죠
어느정도 일찍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가서 담배도 필거고 화장실도 갈거고 커피도 마셔야하고 전화도 해여하고 하는데 그와중에 퇴근 시간 전에 퇴근준비도 하는데.... 양심이 있으면 일찍가야죠....ㅎㅎ 그게 사회생활이지 아니면 혼자 회사차려서 혼자 일해야죠 ㅎㅎㅎ
@쪼졸 Жыл бұрын
늦을 수 있는 변수 생각해서 일찍 나오는 거에는 동의합니다 소개팅이라던지 중요한 약속에도 혹시 늦을까봐 미리 출발하니까요 이러한 이유로 일찍 오는 데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업무시작 전 준비를 위해 일찍 와야한다?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업무준비도 업무일과에 포함된다고 생각해요~
@youdengggg43982 жыл бұрын
경기에서 서울로 출근 하는 1인인데 10시 출근이라 8시에 버스 타면 보통 전철역까지 1시간 30분정도 걸리던 시간이 교통 상황때문에 2시간 넘게 걸려서 지각하면 그때만큼 억울한 일이 없음 진짜 ,,,,,, 나는 항상 매번 똑같은 시간에 나와서 평소에 회사에 45분이면 도착했는데 교통 상황을 내가 미리 알고 대비할 수 있는게 아니라 이걸로 지각 해서 주말출근 한번 더 해야 하면 울고싶음 🙄
@도비인데뭐2 жыл бұрын
기동님만 힘들면 행복한 핫도그 너무 재밌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ookookoo6622 жыл бұрын
일단 지각은 당연 하면 안되는게 맞는거고 지각안할 자신있다면 9시 딱맞춰서 오는게 이상할건 아니라고 보는데 9시에 딱 출근해서 업무 준비를 할거면 퇴근준비도 6시부터 해야지 미리 퇴근준비할거면 업무준비도 미리해야 된다고 봐요
@kaluayoon2 жыл бұрын
나는 신입 때 8시에 출근해서 사무실 팀원 쓰레기통을 싹 비웠는데, 아버지가 그렇게 하라고 조언해서 딱 1년만 해보자 하고 한 거였다. 이게 얼마나 인사평가에 도움이 됐는지.. 10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 부장님 만나면 너같은 놈 처음 봤다고 그 얘기를 하신다. 요즘처럼 정시출퇴근 지키려는 기조에서는 더더욱 돋보일 방법이 아닐까. 뭐 물론 난 인사평가 필요없는데? 라고 하신다면 할 말은 없음..
@dauan26142 жыл бұрын
자극적인 것보다는 이렇게 이런주제가 너무 좋은 거 같아요
@배꼼-b4x2 жыл бұрын
몇분전에가든 정각에 컴퓨터켜져있고 일하고있음되는거지ㅋㅋ 일단 정각출근해서 이것저것한다? 그럼 법적 근로시간에대한 휴게시간 제외하고는 화장실도 막아도되고, 카톡이나 담타도 막아도 문제없다ㅋ 그렇게 살기좋다는 캐나다? 업무시간에 카톡하면 바로자른다ㅋㅋ
@펭귄-i8c Жыл бұрын
오너 입장은 직원과는 다르지 오너는 다른거없다. 회사 잘 돌아가게 일꾸준히 잘 물어오고 직원들 급여 밀리지않도록 하고 가끔은 일찍 나와서 직원독려 가끔은 수든 일을하든 늦게 나오고... 안나올수도있다. 물론 이 모든것들은 어떤업체 업종이냐에따라 다양할거다. 오너의 회사생활에대해 직원들은 이러쿵저러쿵 말할건 없다.
@박지형-z7x Жыл бұрын
10:00 이거 진짜 개공감..... 저도 딱맞춰가는거 ㅇㅋ 차라리 그냥 10,15분 일찍가서 차나, 회사 앞에 편의점이나, 눈치를 안봐도 된다면 그냥 회사에서 9시 전까지 그냥 놀거나 본인 하고싶은거 하다가 9시에 업무 딱 시작하는게 맞는듯 변수가 생겨도 어느정도 대처도 되고 여유가 있어서 늦지도 않음 근데 왜 굳이 맞춰오려하다가 사소한 변수로 지각을 만드냐는거임....
@janespark78112 жыл бұрын
9to6이라고 해서 9시에 정각에 출근하는게 맞다면 점심시간이외에 쉬지않고 일해야함 중간중간 커피마시고 담배피고 화장실 가는거 일일이 체크해서 월급에서 깐다고 하면 노발대발 할거면서 그냥 10분일찍 나와서 커피도 한잔 먹고 자리정리도 좀 하고 메신저 접속도 하고 하는게 좋지 너무 mzmz 거리면서 생각없이 사는거를 저 mz인데요? 하는게 너무 웃김; 나도 mz야ㅠ
@하루하루행복-f9q2 жыл бұрын
제가 일반 회사 생활을 안해봤지만 사장은 몰라도 그냥 그 밑에 직원들은 최소 15분 전에 와서 준비하고 시작해야 되지 않을까요? ㅋㅋㅋㅋㅋㅋ 너무 맞춰서 갈라고 하면 어떤 변수가 있을지 모르는데 그래서 전 항상 15분전까지는 회사에 독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만 너무 정직한 생각인가요?ㅋㅋㅋㅋㅋㅋ
@hgr95972 жыл бұрын
재여리형 인트로 진짜 맛깔난닼ㅋㅋㅋ
@Davichis22 жыл бұрын
회사기준으로만생각하지는말고 카페같은걸로 예를들면 오픈 9시 클로즈9시면 오픈이 9시니까 미리와서 오픈준비하는거고 클로즈는 9시니까 손님이 9시까지는 있어도되는데 주문마감시간을 8시반정도로 정한다생각하면 어떨까싶네요
@조한현-w8y2 жыл бұрын
출근 관련해서는 본인이 업무 시작시간에 맞춰서 바로 할 수 있다면 출근시간에 맞춰서 와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출근 시간에 딱 맞춰서 왔는데 업무 시작을 못 하고 그 때 준비를 하게 되면 본인뿐만 아니라 같이 일하는 팀원들에게도 피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조금이라도 일찍 출근해서 원활하게 진행 되게끔 준비를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 from. 꼰대화가 되어가고 있는 핫도그 구독자 -
@딩가딩가-e2n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누군가 말 했던 거 처럼 회사에 있는 모든시간동안 일만하지는 않죠?? 그리고 출근시간 전에 오든 늦게오든 업무 효율에 그렇게 중요한 영향을 주지도 않고요. 실제로 저가 다니는 회사가 정말 자유로운 편이라 출근시간 전후로 자유롭게 다들 도착하지만 아무도 신경 안쓰고 각자 책임감 있게 정해진 일을 마치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거 같아요! 출퇴근 시간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각자 맡은 일에 책임감 있게 한다면 문제가 없을 거 같아요
@kdy97624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9시 출근이면 그 전에 와야 하는게 맞다고 봄..업무시작을 바로 할수있으면 모르겠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기 때문에.. 업무 시작전에 잡일을 시키는건 부당하지만, 본인이 오늘 할 일거리는 준비해야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현일이삼사오육칠2 жыл бұрын
저는 일찍가서 준비하자는 의견입니다 그치만 칼퇴아니고 항상 늦게 마치는 회사는 수당을 더 주면 이해하지만 그것도 아닌거면 저도 시간 딱맞춰서 출근하고 싶을꺼같네요. 그러고 일찍가는게 맞지만 10분일찍을 강요하는건 별로안좋은거같습니다.
@펭귄-i8c Жыл бұрын
라떼같은 경우(현 50대중년 이상들) 조금일찍 출근해서 그날 할일 정리준비 출근시간딱 되면 요이땅이었다. 근데 굳이 이럴필요는 없지. 사내규정이 9시면 9시까지오면 되는것. 물론 사람마다 차이는있다. 일찍오고십음 일찍오는거고 시간맞추고십으면 맞춰서오면되고... 근데 우리때는 이런건 있었다.업무속도도느리고 일도많은데 시간맞춰서온다면...눈치존나먹지..지금은 잘 모르겠네..
@곰순이-g9z2 жыл бұрын
근데 출근이라는게 걍 왔다는 의미보다는 업무 시작이지 진짜,,, 약간 요새 mz가져다 붙이면서 말같지 않은ㅋㅋㅋ? 거런 느낌적인느낌이랄까 라는 생각이 드러욥, 9시부터 일 시작해서 6시까지 일하는 것에 대한 보상을 주는 것이니까 일 시작 준비하는 것도 회사에서 돈줘야 되는건가?? 음 뭔가 혼란쓰?
@ff28a72 жыл бұрын
칼같이 2분전에 도착 할수 있다면 2분이면 업무 준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다른 직종은 모르겠지만 저는 사실상 노트북 켜고 로그인 한번 하면 업무준비 끝이라.. 뭐 커피도 마시고 화장실도 가고? 이런건 업무 준비가 아니라 그냥 출근하기 전 단계 인거죠. 업무 집중도가 높아진 시간부터가 업무시간이 아니라 무언가 일을 시켰을때 응대가 가능한 시점부터가 업무시간이고 출근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연-n6u2 жыл бұрын
영상 하나당 주제 하나만 하는 것 보다 예전처럼 주제 여러 개로 하는 게 더 좋은 것 같아용!!
@kimk1563 Жыл бұрын
더 엄밀히 따져보면 이건 근로자에게 불리한 조건이다. 늦게오면 지각이 라는 명분으로 처벌. 그럼 일찍오면 보상이 있어야할거 아닌다. 학창시절부터 지각이라는 명분에 가스라이팅 된 세상. 그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고 있딘. 아니 어차피 특히 이런 혁신적인 마인드로 이끌어 갈 회사라면 탄력근무제처럼 근무시간도 자기자신의 리듬에 맞춰 근무하게끔 기회가 두어져야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이것이다 근무시간 이런것 보다는 회사에 대한 열정과 진심.
@kilesong7054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권기동 말이 정확히 맞다고 생각함. 일찍 출근해서 업무 준비를 해라라는건 분명히 부당함. 다만, 반대로 말하면 그러한 본인의 권리를 찾기 위해서 단 1분이라도 늦었을 경우 페널티 받는것도 감수해야함. 그래서 보통 진짜 특별한 상황이 아닌이상 늦지 않는다는 확신이 서는 타이밍을 정하고 그 시간에 출근하면된다고 봄. 그리고 그러다보면 다소 일찍 올수도 있는데 그 시간은 업무준비를 꼭 할 필요없이 쉬거나 해도 된다고 봄.
@냐옹-y8e2 жыл бұрын
10분은 과하지 않으니까 불합리하다 생각해도 사장말 듣고 좋게 회사생활 하는게 좋음. 이직할때 괜히 말 나오면 이직하기 힘들어짐. 10분 일찍 오는게 너무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면 싸우지말고 관두고 다른 곳 가면됨. 사회생활은 무조건 좋게좋게 둥글게 대처해야됨. 그게 본인 커리어에 도움됨
9-18시까지 일하기로하고 월급을 받으니까 9시부터 일을해야죠? 예를들어 음식점에 11시 오픈이다 아러면 11시부터 입장해서 먹잖아요 음식점 직원들 입장에서는 11시부터 손님맞이해야하니 일찍 출근이 맞듯이 출근을 일찍해서 준비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우진-g4c2 жыл бұрын
불세편살할때 기동님 너무 귀여우세요 ㅋㅋㅋㅋ
@김영훈-j3f2 жыл бұрын
장사하면서 매일 기다립니다 너무 재밌어요 최근 몇달전에 구독하고 알게되었는데 항상 재밌는 컨텐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쭈욱 부탁드려요 희연님도 이대로 쭈욱 나왔으면 좋겠네요
@힐링뮤직채널2 жыл бұрын
9시에 업무 시작인 거지 9시 까지 도착하라는게 아님
@정규식-c7y2 жыл бұрын
ceo 는 업무시간 외 시간에도 사람들을 만나며 식사 겸 미팅 아닌 미팅..회사를 위한 인맥관리 등 을 한다고..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ceo 외 직원분들도 나를 위해서 회사를 위해서 하겠지만 생각보다 ceo 분들 보다는 적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며 첫 댓글을 달아봅니다!
@정훈김-l8v2 жыл бұрын
회사는 먹고사는 이유로 다니게 대부분입니다. 8시간 전부를 일하는데 사용하진 않지만요. 출근은 30분전에 하고 퇴근시간 10분전부터 여유있게 퇴근준비하는걸 추천드립니다. 회의 내용중 사장출근시간은? 맘대로 하는게 맞다곤 하지만 솔선수범 이란게 있죠?ㅎㅎ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hcrypto98492 жыл бұрын
자율출퇴근제가 아닌 정확히 출퇴근 시간이 명시된회사에서는 출근시간이 9시면 근로시간이 9시부터라는 소리라서 9시부터 바로 업무시작할 수 있게끔 준비돼있는게 맞습니다. 9시에 딱맞춰오다 보통 지각을하게되는데 능력이 좋은사람이 아니라면 인사평가 개판납니다.
@성훈-p9r Жыл бұрын
시간맞춰온다는 것도 이해하는데... 꼭 그런새끼들이 늦는경우가 다수임. 항상 변수가 있기마련인데..... 늦으면 핑계가 아주 가관이고... 지각할수도 있지... 라고 아주 당당하게 생각하고 남의 평가가 두렵지 않는 놈들임. 그리고 출근시간이 2배이상 걸리는 사람들도 더 일찍나옴. 그 사람자체의 성향인것임.
@모르겠다-o6n2 жыл бұрын
그냥 10분일찍와서 준비하는 직원은 사랑받는 직원이 되는거고 정시에 오는 직원들은 평범한 직원이 되는거고 맨날 늦게오는 직원들은 짤리는거지
@김일식-m3d Жыл бұрын
쉬는시간에만 정확하게 화장실 갈 자신있으면 정시 맞춰서 출근하는거 ㅇㅈ 솔직히 업무시간 내내 딴짓, 딴청 안부리는거 사람으로서 말이 안됌 그냥 10분 먼저 출근하면 암묵적으로 그런부분은 유도리있게 넘어갈 수 있는데 굳이 정시출근 정시퇴근 고집 부릴거면 업무시간 내에는 정확히 일에 집중하고 쉬는시간에만 쉬어야지ㅋㅋㅋ그래야 본인 말을 지키는거니까
@KbY-wc2ns7 ай бұрын
사회생활 하면서 이쁨 받아야만 할 이유는 없지만 미움 받을 만한 상황은 피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그런 의미에서 윗선에서 지적할 만한 상황에 대해서는 미리 대처하는 게 맞다고 봄...
@jayaji11592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상에 출근이라는 말대신 업무시작시간이라 표기가 있어야된다고 생각됨 출근의 의미를 검색보면 이해가되실꺼라 생각되네요..
@ds2loy4762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은 일찍가는게 맞음 .. 늦게가거나 딱맞춰서가서 정신없이 눈치볼빠에야 그냥 10분전에 맘편히 들어가서 인사도하고 커피도 한잔 하고 업무시작하는게 일적인 능률도 좋다생각함
@seonghoyoon15592 жыл бұрын
꼰대라 욕해도 되는데 정시에 맞춰서 딱 도착한다고 로봇마냥 바로 칼같이 업무할 수 있나요? 그리고 퇴근정시까지 로봇마냥 일하고서 딱 정리하고 갈 수 있나요? 10분정도는 나 먹고살게 해주는 회사에대한 예의라는 생각이 드네요~~그것도 못할정도면 게으르다고 밖에는....
@녕안-y5t Жыл бұрын
일을 하고 그에 따는 봉급을 받는 비즈니스인데 회사가 저를 먹고살게 해준다고는 생각되지 않네요
@이성수-f5o Жыл бұрын
일 못하면 출근 30분 전에 와도 의미없는거고, 일 잘하면 30분 지각해도 인정받습니다. 출퇴근때문에 미워서 자르거나, 혼내서 능력있는 직원을 내보낸다면 꼰대가 맞다고 생각해요.
@하다하2 жыл бұрын
나는 내가 회사에 도착해서 하는 모든것들이 일이라고 생각함. 일을하기 위한 준비시간도 회사를 다니지 않으면 하지않을 행동이니까 준비시간 포함 내 업무임. 그러니까 정각에 출근해서 그때부터 일할 준비하는건 문제라 생각하지않음. 그리고 퇴근도 똑같이 퇴근전까지 퇴근할 준비 하는것도 일에 포함되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10분 일찍도착했을때 그때부터 일시키는 사람들 꼭 있음. 10분일찍 퇴근시켜줄것도 아니면서. 단 1분이라도 무료 봉사하기싫음…
@Serenity_Whisper_Music Жыл бұрын
그냥 업무시간을 9시라고 하면됨. 근데 근무시간이 9 to 6이고 그래서 그걸 9 출근시간이라고 불러왔던 거 아님? 관건은 9시에 업무를 바로 시작할 수 있은 상태가 되어있는가가 중요한듯. 뭐 몇분일찍와야된다 만다는 개인사정이고, 9시전은 개인시간이니까… 9시보다 늦거나, 9시에 바로 업무할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잘못된 것인듯
@user-bd7wb1wg4t Жыл бұрын
그냥 회사 생활 해보고 자기 밑으로 후임 들어오면 바로 정답이 나옴 내 후임이 9시에 딱 맞춰 온다? ㅋㅋ 말도 안되는 소리지 뭐 얘가 진짜 천재에 기계마냥 일을 소화해 내는 애라 9시에 딱 맞춰와서 바로 일 시작하고, 미리 와서 조언을 구한다던지 선배들 얘기 주워듣고 분위기를 캐치하거나 팁을 얻어가거나 이런거 없이도 일을 척척 해온다면야 진짜 뭐라 안하지 근데 그런 사람이 어딨어
@이국수-n2u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사무직이아니라서 교대근무생산쪽은 기본 15분 일찍와서 업무 인수인계 받야야 속편하고 일할때 사고 안나죠.... 슬프노 ㅜㅜ
@나병찬-m3y2 жыл бұрын
9-6이 9시출근6시퇴근보다는 9시에 업무시작 6시 업무 끝 으로 본다고 생각해요 계약서에도 근무시간 9-6으로 명시되어있지 출퇴근9-6으로는 안되어있지 않나여?
@ben-ys3rl2 жыл бұрын
9~6시면 9시까지만 오면 돼죠. 저흰 딱히 뭐라고 안합니다. 회사마다 분위기 차이겠지만, 전 회사는 30분 일찍 출근해서 청소했고, 전무님이 30분 늦게 퇴근해서 그떄부터 눈치보다 갔어야해서 ...보통 7시 퇴근 ㅠㅠ 진짜 너무 힘들었는데요 지금 회사는 9~6 딱딱 지키면서 다니고 있어요. 10분으로 업무의 질이 바뀌는것도 아니고 일이 늘거나 줄어드는것도 아니잖아요 각자가 담당자여서 본인일에 대한 일의양이 정해져있어서 본인이 알아서 끝내면 되는 마인드여서 그냥 지각만 안하면 뭐라고 안합니다.
@prococonut2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에도 나왔는데. 출근시간이 업무시작 시간인가... 라는 말에 경험상 같지 않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몇 종의 일을 해보면서 경험에 의한 주관적 내용이라.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수는 없을 겁니다.
@박은민-t4c2 жыл бұрын
수능시험을 8시40분에 시작한다고 그때 가는게아니고 일찍가서 준비를 하니까 그거같이 회사도 일찍가서 준비하고 일시작을 9시 부터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only_myttss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제 생각에는 기동님이랑 비슷한 생각인거 같아요 지각을 하지 않기 위해 조금 몇분 일찍 나오고 이러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있어요 무조건 일찍 와라가 아니라 출근 시간엔 딱 맞춰서 와야한다고 생각해서 출근시간을 맞추기 위해 한 5분에서 10분정도 집에서 빨리 나오는게 좋을것 같다고 생각해요
@유승연-v7i2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상 9 to 6 근무라는 것은 말 그대로 근무입니다. 따라서 일찍 와서 업무 시작할 준비하고, 6시까지 근무한 후에 집 갈 준비를 하는 게 맞는 거라 봅니다.
@부리부리마왕-h8r2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미리와서 준비하는 시간 역시 근무의 일환입니다 해당시간만큼 시간을 할애하였으니 그만큼 일찍 가는것 또한 맞는것으로 사료됩니다
@볼빨간빠꾸2 жыл бұрын
불세편살중에 이번편이 제일 재밌네요 ㅋㅋㅋㅋㅋ기동님이 까여야 재밌음
@쩝쩝-p2u11 ай бұрын
맞는말이네 9시에 딱맞춰서 올거면 나갈때도 6시에 딱맞춰서 나가야지 그리고 10분일찍오는 사람이랑 매번 딱맞춰오는사람이랑 한번 지각할때 대하는 대우가 다름
@j4vendetta21 Жыл бұрын
기동이 생각이 맞지! 세상 모든게 자기 생각대로 흘러가나? 변수정도는 생각하고 움직여야지. 다들 불가피한 상황아니고선 연극, 영화, 공연도 딱 그시간에 맞춰 들어감?
근로기준법제50조 대기시간에 대한 내용이있습니다. 계약서에 9시출근으로 약정되어있지만 10분일찍나와서 준비해야된다. 하는 부분이 바로 대기시간으로 보게됩니다. 대기시간은 근로시간으로 보기때문에 근로시간이 늘어나게되는 겁니다.
@하얀쵸코송이2 жыл бұрын
저는 10분 전이요.9시부터 업무시작이면 9시 땡하자마자 업무 들어갈수 있게 10분전에 인사하고 가방풀고 화장실도 가고 pc키고 커피도 미리 준비해야된다고 생각해요
@jeongsanghun2 жыл бұрын
10분전은 나도 찬성인데 10분 일찍 나오면 15분은 일찍 나와야한다고 하고 나중에는 30분 일찍나오라고 하길래 빡쳐서 "왜요 1시간이나 2시간 일찍 나오라고 하지 돈도 더 안줘도 되는데" 이러니까 그다음부터 안그러더라ㅅㅂ 정도라는걸 모름 회사입장에서는 계속 찔러보는거야ㅋㅋㅋ
@가오리-r9q Жыл бұрын
어.. 근데 확실한건 있음 적어도 사장한테 예쁜 직원은 정시에 오는 직원이 아니라 10분 전에 오는 직원임 상사도 결국 인간인데.. 승진하고싶으면 10분전에오든 1시간 전에오든 뭘하든 사장마음에 들던가 혹은 실적을 잘내던가 해야지.. 아니면 그냥 평생 대리나 달고 살던지...
@나다가가-e3h2 жыл бұрын
정시 출근이 맞는데 사람들이 조금씩 일찍 오는건 지각할수도 있어서 조금씩 일찍 오는거지 딱히 회사에서 맞쳐서 온다고 뭐라 안함 근데 지각하면 걍 디지는거지 ㅋㅋㅋ
@JYEHA-jh992 жыл бұрын
다 챙겨보고 있는데 초반에 한것처럼 여러주제로 시간 길게 했으면 좋겠어요!
@fury-bg4nw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다녔던 회사에서는 9시 출근인데 아침 준비조로 8시30분까지 오게하고 추가 수당 30분치 1.5배로 주고 나머지 직원들은 9시출근했었는데 괜찮았던거같아요
@잉-u4t6z2 жыл бұрын
9시부터 근무시작이라고 하면, 근무를 시작해야 하는 시간이 9시라는 건데 무조건 10분 전에 오는 것 보다는 근무 준비시간이 3분이면 적어도 8시 57분엔 와야하는거 아닌가 싶어요.
@seansean44162 жыл бұрын
해결방법 : 탄력근무제로 변경 후 출근시간을 9:30~ 10시로 변경 -> 늦은만큼 더 일하고 퇴근 9시 50분에 오면 6:50분에 퇴근하면 됩니다...
@djsldjfldksldks9489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핫도그 알게되어 친구들이랑 완전 재밌게보고 있습니당 ㅎㅎ 이번에도 너무 잘봤습니당
@h._ax32 жыл бұрын
1일1영상 진짜 개행복,,❤❤
@찌니-y2l2 жыл бұрын
10분전 출근이 맞는것같아요~! 그리고 퇴근은 빨리하려고 준비하면서.! 유튜브회사이다보니 자유로운분위기는 존중하지만 그래도 회사에 왔으면 해야할일을 다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sh-xb7uh2 жыл бұрын
9시부터 업무시작이 맞는거지 ㅋㅋ 만약 학교라고 하면 9시수업이면 누가 9시정각에 왘ㅋㅋㅋ
@히익-w3q2 жыл бұрын
바로 보러와주는 센스 !!!♥
@jgh85352 жыл бұрын
딱 맞춰서 와도 상관은 없는데 기동님 말처럼 딱 맞춰서 오려다 지각함 ㅋㅋㅋ 글고 업무를 준비하는 시간도 분명히 업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업무 시작 시간 이런건 말장난이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