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때 수학여행 갔었던 속리산이네요^^ 그이후로 한번도 못갔는데 덕분에 멋진 영상 감사드립니다 😊
@제갈공명-d1j10 ай бұрын
헉 저도 50년전 서울 성동중 2학년때 속리산으로 수학여행 갔습니다 문장대까지 올라갔다왔는데 그게 딱 50년전이네요
@강발TV10 ай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emory-j1b9 ай бұрын
32년전 저도 중학교 수학여행 갔었네요. 그이후 한번도 가보지 못한곳.
@자유인-d1f9 ай бұрын
법주사 입구 주차비 너무 비싸지요 5,000원
@바람꽃-b1b9 ай бұрын
좋은소식 감사합니다 충북보은군도 인구가 줄고있습니다 3만무너질것 같습니다 지역발전은 기업 유치입니다 수도권 에서 지방으로 분산하려면 정부가 나서서 정치 경제의 분권을 해야 합니다 지방 하나로 묶어야 합니다
@금천-z7p10 ай бұрын
23년5월4일부터 문화재관람요 폐지 되었습니다. 대신 정부에서 보존해 주는것으로 되었습니다
@밤송-c9h10 ай бұрын
새발에 피 입니다
@matthewshin89409 ай бұрын
옳습니다. 말씀처럼 큰 기업이나 작은 중소기업이라도 집단이 들어 와서 활성화 돼야 지역경제가 삽니다. 유통이나 자영업자는 그들 뒤에 제조업체들이 바치고 있어야 사는 것이죠. 그런데 이 나라는 정치하는 것들이 제조업 망하게 하려고 혈안이 돼 있으니. . 지금 공단 주변 유통,자영업자들 다 망해 가는 중입니다.
@이득희-n9h6 ай бұрын
강발~너무 잼 나고~지기줍니다~!! 나는 창녕군 영산면 사람 입니다!~전번 한번 올리주소~~!!
@솔-b5y10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수학여행 갔었죠~~
@대전오류동삼성한의원10 ай бұрын
충청도가 위치가 좋아서 오기좋죠 가까워서 당일치기
@은님-p6r10 ай бұрын
속리산 좋아하는 산인데 중학교때 수학여행 갔었던깊은산속숙소도 기억나고 지금 막둥이가 보은에서 군생활 하고있어요 ❤ 낼은 병장되고 휴가나온답니다
@지금여기-k7i10 ай бұрын
조계종이 정부와 타협을 잘해서 사찰 입장료를 없앤 게 매우 잘한 일입니다. 입장료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내기에, 그 돈을 정부가 대신 국민들 세금으로 대신 내는 것이지요.
@cho72739 ай бұрын
법주사는 평지라서 좋아요.
@김데이비스-w4r9 ай бұрын
11월초에 법주사랑 보은 말티재 갔었는데 금요일이었는데 사람들 엄청 많았어요 법주사는. 지리적위치도 좋고 경관도 멋지고 계속 사랑 받을듯합니다
@YS_LEE8 ай бұрын
강발님 덕택에 모처럼 속리산 영상을 잘 보았습니다~
@강발TV8 ай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초-s2n10 ай бұрын
복 많이 받으실 것 같아요. ^^!!!
@강발TV9 ай бұрын
특별히 받을 거 같은 축복은 어떤게 있을꽈여?^^💚👄
@성초-s2n9 ай бұрын
@@강발TV 돈?
@SyngmanRheeNOW9 ай бұрын
입장료없애니 주차비 내라고 돈 더 받더이다
@진임-r3y10 ай бұрын
73년 수학여핼지 중2 처음으로 멀리 여행했던곳
@최병택-k9i10 ай бұрын
속리산에 벚꽃이 활짝 피었군요. 다음주쯤 진안마이산에 가면 벚꽃이 활짝 피었겠네요. 제가 전주 사는데 진안마이산 벚꽃은 전주보다 보름정도 늦게 피니까 전주거 구경하고 마이산 구경하면 좋습니다.
@더도덜도말고9 ай бұрын
세상에 강호티비 역대급 많은 사람이 등장하는 영상이네요
@bymutho829410 ай бұрын
법주사 구경 잘 했습니다.
@이지종-k5k10 ай бұрын
법주사 일대 상가는 모두 법주사 소유입니다 절에서 들어오는 수입과 상가에서 들어오는 수입도 엄청날텐데 그돈은 다 어디에쓰고 문화재 유지한다고 지나가는 등산객들에게 입장료를 받았지요 지금은 그 입장료를 정부에서 보조해주고 있어요
@강발TV9 ай бұрын
법주사는 거의 강소 기업이군여 어찌해야 그리 부자가 되는지 부처님 가피를 입어서겠죠 ㅋ ^^💚👄
@태백검룡10 ай бұрын
주차비 받는것도 많은사람이 싫어하죠.
@kyeongseopchoi11559 ай бұрын
오십년전 중학교 수학 여행때 한번 가보고 추억만 남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체리부로10 ай бұрын
어차피 정부에서 목돈으로 보전해줍니다.
@앵그리버디10 ай бұрын
우리 아파트 앞에 지나는 사람들에게도 돈받아야겠네. 무소유의 설법은 예전에 지나갔네. 혼탁한 세상에 빛은 못될망정.탁발오면 돈덜라해야겠네. 우리땅 밟았으니.
@풀-k7z4 ай бұрын
세금지원 하고 있습니다 세금지원 끊어야 합니다 !!!!! 🥶🥶🥶🥶🥶🥶🥶
@klarenzjeong803110 ай бұрын
오 벚꽃 보너스까지
@혜란권-c8n9 ай бұрын
사십연전 저도여기로 신혼여행가다왔네요
@토토리로9 ай бұрын
법주사 넘 좋아서 두번 갔었네요 최근에... 세조길 넘 좋아욥 ㅎㅎ
@강발TV9 ай бұрын
오 그렇군요 💚👄
@myangmyang965910 ай бұрын
주차장 무조건 오천원 받지않나요
@강발TV10 ай бұрын
무조건 5천원 맞고요 상당히 부당합니다 국민 신문고에 신고 바랍니다💚😭🍒
@황인관-z8i9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가는사람들 주머니 삥만뜯었는데 이제 세금으로 충당해서 생전 가보지도않은 국민들 주머니에서 까지 삥뜯어가네요 저걸왜 나라에서 세금으로 내주는지 이해할수없네요
@enyoh3219 ай бұрын
산, 호수, 강 내륙여행 0번지 넘버원 충북!! 무엇보다 존경하는 민간자본 민간기업 기업가님들 기업 유치가 답이다 ㄹㅇ 잘 뫼셔라 청주충북 공뭔 철밥통들아 ㅋ
@plus775610 ай бұрын
모를수도있지 험하게 말씀하시네..강호쎔,화이팅!!
@훈김-c9t10 ай бұрын
상속 증여세 없애면 부동산 문제 해결되지 않을까요?
@김종수-o6e9 ай бұрын
원님들..봉급은뭘로주고...네리고..깍아야되질안켓나요
@jonghopark48110 ай бұрын
강호발 선생님.. 전국에 망해버린 산업단지도 짚어주시죠.. 충북 보은 산단도 규모대비 입주율이 거의 나락이었는데..
@서정남-f3i10 ай бұрын
속리산 법주사에서 문장대로 비로봉 입석대 경업대 천왕봉까지 하루에 등산하고 계곡에서 텐트치고 자는데 얼마나 추웠던지 20대 초반 때였습니다ㆍ
@강발TV9 ай бұрын
함께 해 주셔서 감솨합니다^^💚👄
@kida759110 ай бұрын
1994년도에 가봤습니다. 정말 오래되었네요
@강발TV10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이동렬-t4y9 ай бұрын
속리산 많이 찾아오니까 상가도 많아졌고 속리산도 가볼만 하더군요.
@금천-z7p10 ай бұрын
고속도로 개통 으로 속리산은 당일로도 충분 하지요.
@김태우-k1c10 ай бұрын
정신차린거좋아하네요,국가에서세금으로충당하는것입니다
@TV-ds4ji10 ай бұрын
중학교 시절 수학여행으로 놀러갔는데 어릴적 시절이라고 기억이 안놨는데 불상 등등 바로 여기 같네요 인터넷으로 갔더곳 여러곳 찾았는데요 여기군요 ㅎㅎ좋은 정보 알려주셨어 감사합니다 나중에 시간되면 어릴적추억으로 놀러가봐야 겠서요 ㅋㅋㅋㅋ
@강발TV9 ай бұрын
함께 해 주셔서 감솨합니다^^💚👄
@장영석-w5f10 ай бұрын
알고 말씀하세요. 우리 세금으로 대신 보전해주는 조건으로 없앤겁니다. 아셨습니까?
@강발TV10 ай бұрын
이미 알고 있거등여 노무현 때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말만 꺼내놓고 실천은 하나도 몬하다가 지금에서야 없앤 사실은 아세여? .💚😭🍒
@장영석-w5f10 ай бұрын
@@강발TV 무슨 말씀을 하십니까?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된게 언제인데... 제대로 알고 있는게 하나도 없군요. 참나.. 이제껏 전부 그릇된 정보를 제공해왔나 보군요 허허. 유튜브하면 안되겠네요.
@장영석-w5f9 ай бұрын
@@lemonnara 잘못된 정보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줍니다. 댁이야 밀로 왠 시비? 재수없게시라
@나스닥10010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방문객이 많은 국내 여행지를 보니까 순간 일본인지 착각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선생님 🎉
@용서-allpeopleworld9 ай бұрын
옛날엔 절에서 모든 중생에게 열린 자비의 마음으로 지나가는 나그네에게도 점심 한끼 무료로 먹게 해 주셨답니다. 전 그 때 감동받아 불교신자가 아님에도 지금껏 어느 절에 가든 시주함에 시주하고 옵니다. 근데, 조계종도 언제부턴가 상업화가 진행되어... 옛 불교정신이 그립습니다... 😢😢
@일심-s9u9 ай бұрын
시주하라고 누가 강요 하든가요 당신은 당신의 복밭에 복의씨앗을 뿌린겁니다 다음생엔 그복락을 누릴겁니다 그게 뿌린대로 거둔다는 논리죠 봄에 씨를 뿌리지않고 어찌 가을에 수확을 기대하리요
@그림자-b10 ай бұрын
#동화사부근가게모델도옛말이되었네요 😎.
@강발TV10 ай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림자-b10 ай бұрын
@@강발TV 어디애~~~ 제가 더 고맙습니다.
@바꾸자-k7s10 ай бұрын
지금 벚꽃 시즌땜시 관광객이 있음
@KKK-i8t3t10 ай бұрын
한국관광지는 모두 돈쟁이들만, 가지 맙시다
@goh-bom9 ай бұрын
혈세 1천억 불교지원......문화재테크로 살벌하게 잘사는 형세타불들
@제니스-i9y10 ай бұрын
근데 입장권 안받는 대신 세금으로 얼마나 지원해주는지 궁금하네요.....
@세금은누구꺼10 ай бұрын
가격이 얼마길래…
@내마음의풍차9 ай бұрын
정신차렷다고요??? 뻐쓰떠나고 손흔들어봣자죠..ㅋㅋㅋ
@munzajomba10 ай бұрын
경주시민 입장에서 정말 본받았으면 하네요. 불국사 땡중들도 정신 차려야할텐데 말이죠. 또한 언제까지 황리단길 하나에만 메달려서 시정 운영을 할런지..하는짓들 보면 정말 갑갑하다..
@TV-sl6km9 ай бұрын
전에는 입장료 5천원, 주차비 5천원... 받으니 주 출입구 상가쪽으로 등산을 안했죠... 그러니 상가가 죽어버렸죠... 등산객들은 반대편 화북분소에서 올라들 갔죠... 입장료나 주차비중 둘중 하나는 징수 하지 말았어야 하는데 말이죠 ;;; 지금 입장료는 나라에서 세금으로 보존해주니 없앤거죠 ㅡㅡ
@강발TV9 ай бұрын
주차비도 지금 느무 비싼데 국민신문고에 고발해 주세여 주차비 느무 비싸다고 여러사람이 계속 해 주시야 됩니다💚👄
@byunghoyoo9 ай бұрын
돈 받아야지 안받으면 개인 사유지 개나소나 들어가면 안되지......
@bukhansan94839 ай бұрын
윗동네에서 아래동네로 가을수학여행때 거대한 콘크리트 불상을 본후 안가봤는데.기억에 남는 건 쉰김밥을 모두 버렸다는것 밖에 기억에 없네요
@구재규-v7v9 ай бұрын
2년 전까지 입장료 받았던거 같은데😢 없어졌다면 다행😂
@lky4269 ай бұрын
같이 갔던 사람들 .. 지금은 다 어디서 잘 살 고 있는지. 찾으려면 찾겠지만 ... 그냥 간직하고 있는 것이 좋을 때가 많습니다.
@이은수-r5f9 ай бұрын
할아버지와손자랑 즐겁게다녀온곳ㅠ 아부지 기억나시쥬 옥시기ㅠ
@수락산-k6j9 ай бұрын
사찰입장료 잘없앴다 세금정부지원도 없애야한다
@user-tw7sv3ft6l6 ай бұрын
본시 절은 개인사업이여
@bosug759 ай бұрын
수목원에 돈내고 들어가는걸 당연시 하면서 사유지인 사찰을 들어가면서 돈내는건 이상하게 생각하는게 문제 아닌가? 불교인들이야 불교 교리에 어긋난다고 항의 할수는 있지만 불교를 믿지 안는 사람들은 세상의 법에 입각해서 사유지를 관람하는데 돈내는게 당연한거지.
@강발TV9 ай бұрын
예전에 탁발승이 마을에 탁발을 하러 다닐 때 그때 마을 사람들이 탁발승에게 사유지에 들어 왔다고 던을 내라고 할걸ㅋㅋ^^😭💚
@삽질만렙9 ай бұрын
갠적으로 절은 아닌데 등산로에 입장료는 받는게 맞음. 일단 등산로 안전을 위한 구조대 문제와 쓰레기등 청결문제 그리고 산림도 쉬어야 한다는등을 생각해보면 돈을 아에 안받는것도 문제는 있음.
@일심-s9u9 ай бұрын
그 등산로도 절부지죠 전국어느사찰이든 유명산은 절부지를 통해야 갈수 있어요
@정원희-i7k9 ай бұрын
입장료폐지했나요
@강발TV9 ай бұрын
네 폐지 되었구여 근데 주차비가 일괄 5천원이세여 😭💚👄
@아리칸9 ай бұрын
한글을 만든 신미대사님이 주지스님으로 계셨던 속리산 법주사 군요,, 법주사 절 史記에 신미대사가 세종대왕의 명을 받고 집현전 학자들을 모아놓고 자음과 모음에 대해 강의를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읍니다, 출가전 사가 족보에 보면 신미대사가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고 말타고 궁궐에 드나들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읍니다, 1991년도에 제주도 고관사 절 주지스님이 시중에 오래된 고불상을 사서 절로 와서 보니 부처님 배안에서 산쓰크리트(범어)로 된 진언문이 발견됬는데 ,바로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반포 7년 전에 쓰신 글이었읍니다, 이 글문장이 훈민정을 창제원리와 점하나도 안틀리고 똑같은 것 이었음. 모든 정황증거가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만들었다 입니다, 세종은 엄호만 해준것 뿐입니다,, 당시에 똥글이라고 상소가 올라왔는데,, 임금이 직접 만들었으면 어디 감히 그런 표현이 가능하겠읍니까, 어느 신분낮은 중이 해놓으니 마구 물어 뜯느라 그런 것이죠,,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님을 역임했었던 강상원 교수님이 밝혀내신 겁니다, 세종은 불상해서 한글 만들어 내놓는다는 글 한줄 뿐입니다, 어릴때 수학여행 가며 들렀던 법주사네요,, 앞으로세월이 흘러도 우리 문화유산으로 늘 변함없길 바랍니다,
@wkjung49559 ай бұрын
😢수학여행 속리산~~ 맛이 없었음~~
@하늘-y8d8g10 ай бұрын
속리산은 주말에 미어 터져. 서울하고 가까워서?
@이영주-z3b10 ай бұрын
아래분 말씀대로 정부나 지자체에서 감면비용을 지원한다는 조건입니다. 즉 세금으로 낸다는 거지요. 돈독이 오른 중들이 그럴리가 없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사찰은 옛부터 조상들이 시주하여 유지하여 온만큼 누구의 것이 아니고 모두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실장-p1s9 ай бұрын
속리산수학여행 ㅋ 강호님 단군이랑 동기? 언제쩍 이야기 ㅋㅋ
@강발TV9 ай бұрын
단군님 계열은 조히들 보다는 조금 윗 세대분이세여 ㅋ💚👄
@soolee492710 ай бұрын
설악산도 정신 차렸나?
@김판곤-j6v5 ай бұрын
청도모절에는입장료를더믿으로내려와서받던데
@노휴먼-n1t10 ай бұрын
법주사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절 아닌가요? 부처님도 제일 크고 ㄷㄷ
@일심-s9u9 ай бұрын
부처님이 아니고 불상입니다 부처님은 당신이 부처님이죠
@오봉성-s9w9 ай бұрын
조계종 사찰 입장료 폐지된게 아니고 정부에서 지원해 주고 있는 거 아닙니까?
@dontcrymybaby-.10 ай бұрын
뭔 정신을 차려 그거 세금으로 받는거로 바뀐지가 언젠데
@ebj160010 ай бұрын
예의는 좀 지키심이….
@사랑인가10 ай бұрын
세금으로 한다는 사고방식이 진짜 웃김. 당시 불교관련 망언으로 문제되자 180석으로 입장료가 아니라 세금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바뀜.
@정안-x7s9 ай бұрын
산에 오른기만하고 절을 가지 않아도 입장료를 내니까. 사람들 불만이 많았죠. 그걸 정부에서 돈 줄테니 입장료 받지 말라고 한거죠 . 스님들이 악마죠. 쓰레기같아요. 😮😮
@RE100_SOON9 ай бұрын
경어는 아니시더라도 배려심으로 상호존중하심이 어떠실까요? 정보라는 것도 오류가 있으실수 있잖아요?
@jin26479 ай бұрын
이런일 저런일 다있는세상 인터넷세상 저정도는 들을만 한데요 그리 막말도 아닌데요 ^^
@mm-kb1ho10 ай бұрын
뭔 정신을 차릴까? 현재 정부가 국가세금으로 입장료 보전해주는걸로 바뀐지가 언젠데 글고 다른데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해인사는 그것도 성에 안차는지 그 무렵부터 사람 입장료는 안 받아도 차 입장료는 그대로 받더구만 웃기게도
@모래금10 ай бұрын
중놈들이 돈독이 올라서요.. 대부분 절을 찾는 사람들은 담은 얼마라도 시주를 합니다 그런데 입장료를 받고 주차비도 받고..
@경기중부-e8i9 ай бұрын
진리를 설법 한다고 하는 사찰에서 문화재를 보러 오지 않은 사람에게 까지 엉터리의 문화재 관람료를 받는것은 진리와는 너무나도 동떨어진 처사입니다. 진리를 설법 한다는 말을 해봐야 진리가 아닌 말처럼 들리게 되는 처사입니다.
@김조이-k6s9 ай бұрын
신도증 발급받아 사찰경내에 들어가 닭 삶아 먹는다고들 ...
@망상어-j9d10 ай бұрын
그러고 보니 어디 교회나 성당 들어갈 때 돈 내고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나~?
@일심-s9u9 ай бұрын
교회나 성당에 관광객 오는것 보앗소이까
@망상어-j9d9 ай бұрын
@@일심-s9u 제일교회 계산성당 필수 코스인디~
@yms825710 ай бұрын
대추의 산지 보은ᆢ 36년전의 추억. 지금은 이전 한적하고 조용하지 않겠지요. 두 셋집 산나물전문식당 있었는 데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