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성에 100% 몰빵한 래퍼들

  Рет қаралды 495,878

나초마초

나초마초

Жыл бұрын

#비오

Пікірлер: 1 100
@naacho_02
@naacho_02 Жыл бұрын
------세 줄 요약------ -영상에 오타가 많습니다 -시청에 방해를 드려서 죄송합니다 -검수 작업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user-sv2wj6qh9z
@user-sv2wj6qh9z Жыл бұрын
김강토가 돌아오기 전까지 여기만 보겠읍니다 설명 깔끔하고 국/외힙 이해도도 어능정도 있으신 것 같아요
@pododangsatang
@pododangsatang Жыл бұрын
@@user-sv2wj6qh9z 김강토 어디갔어 ㅠㅠ
@user-sv2wj6qh9z
@user-sv2wj6qh9z Жыл бұрын
@@pododangsatang 블랙넛과의 합작 앨범 준비중인 듯
@user-zq1eh8pc2b
@user-zq1eh8pc2b Жыл бұрын
근데 국힙 병신들도 상업래퍼 아님? 지들이 장르 만든것도 아니고 이미 해외에서 하던거 그대로 배껴가지고 따라하면서 언더니 뭐니 자유롭니 지랄하는게 맞음? 새로운 장르를 만들 수 있고 없고가 자유롭다의 기준 아님?? 남들 따라하면서 자유롭다는게 무슨 개소린지 잘 모르겠음 국힙도 결국 외힙 아류작 그이상 이하도 아닌데 지들끼리 욕이나 쳐하고 쌘척하면서 이미 외힙에서 다만든 드릴장르나 이런거 하면 자유로운 거고 여유있는 비트에 사람들 좋아하는거 하면 병신취급하는게 존나 웃기긴함 애당초 지들도 외힙 따라하는거 원툴인 병신들인데 ㅇㅇ 지들이 장르 개척하면 몰라도 따라한다는 관점에서는 둘다 똑같은데 누군 병신이고 누군 신이고 지랄하는게 웃김
@user-te2uo6lg3x
@user-te2uo6lg3x 7 ай бұрын
이게 정보성 유튜버의 한계인가? 국내 가수로 관심 모으고 뒤에 줄줄 해외 아티스트 나열.. 결국 초반엔 비오로 어그로 끌다가 해외 아티스트로 비교하는 대본.. 이거 다 작가 고용해서 시청률 목적으로 대본 작업하고 나레이션 하는 거 알겠는데 알아서 자기 음악하고살고, 좋은 노래 내는 사람을 니 밥줄인냥 멋대로 판단하고 영상 편집하지 말자 그쪽 구족자 2.8만인 유투버인데 코난이랑 비교하면 기분 좋겠는지? 고정 댓글만 봐도 자기 잘못한거 없다 생각하나본데 개나소나 유튜브 하며 연예가쉽거리 써먹는 마당에 뭐가 죄냐는 생각 할 거 뻔해보인다 시청에 방해가 되고 검수 '반드시' 거치지 못했으면 채넗 하지를 마세요
@lhinleyland269
@lhinleyland269 Жыл бұрын
이젠 비오랑 빅나티같은 부류는 따로 분류해야될 것 같음 빅나티가 저번에 자신은 힙합이 아니라고 한 것처럼 뭔가 힙합에서 파생된 그 싱잉랩 장르를 정의할 때가 오고있음
@user-jn3zq8sh5t
@user-jn3zq8sh5t 3 ай бұрын
+진영씨... edm가수 같음
@yoon00_
@yoon00_ 3 ай бұрын
​@@user-jn3zq8sh5t 애쉬는 거의 보컬로이드로 분류해야하지 않을까..
@yuyuyuyu25
@yuyuyuyu25 2 ай бұрын
ㄹㅇ....이 정도면 힙합이 아니라 오토튠아티스트로 명명하는 게 맞다고 본다
@islandnew4403
@islandnew4403 Жыл бұрын
상업래퍼 까는게 어이없는게 쇼미, 딩고 없으면 조회수 10만도 못뽑고 기형적으로 씬 자체가 의존중인건 한마디도 안함
@user-hg2zr9tp6p
@user-hg2zr9tp6p Жыл бұрын
ㄹㅇ 빈지노 이센스급 아니면 ㅋㅋㅋㅋㅋ
@user-vj4mr9ws3x
@user-vj4mr9ws3x Жыл бұрын
@@user-hg2zr9tp6p 걔네도 이젠 퇴물이라 10만 안찍힘
@user-xp9xv8pv1w
@user-xp9xv8pv1w Жыл бұрын
호미들
@user-hg2zr9tp6p
@user-hg2zr9tp6p Жыл бұрын
@@user-vj4mr9ws3x 빈지노 3주전 유튜브 신곡 조회수 60만인데요..
@user-gp7pq4xb2c
@user-gp7pq4xb2c Жыл бұрын
@@user-vj4mr9ws3x 이센스는 몰라도 빈지노가 퇴물이라 하는거면 니가 그냥 랩알못인거임
@PJBSM
@PJBSM Жыл бұрын
비오나 파테코같은 알엔비장르 래퍼들의 엘범은 엘범의 수록곡이 부드럽게 흘러가고 뭔가 엘범이 해주고자 하는말이 있는 프더비나 킁같은 엘범이 아니라 그냥 싱글을 합쳐서 엘범단위로 만든 플레이리스트같은 엘범인듯
@manayng
@manayng Жыл бұрын
이런 상업성에 몰빵한 래퍼.. 이런 사람들도 필요하다고 봄 이런 것들이 성장하면서 국힙이나 외힙의 입지들이 커진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
@KimDaeung
@KimDaeung 8 ай бұрын
본토도 아니면서 정통성 따지는꼴이 우습긴해 뭐든지간에 상품화가 되서 꾸준히 소비가 된다면 그건 충분히 그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user-li3jj3pf1g
@user-li3jj3pf1g Жыл бұрын
주제도 신선하고 설명도 깔끔해서 좋당
@SayHelloToMyWoojin
@SayHelloToMyWoojin Жыл бұрын
copycat
@user-li3jj3pf1g
@user-li3jj3pf1g Жыл бұрын
@@SayHelloToMyWoojin 누구 카피켓?
@junyonglee5149
@junyonglee5149 Жыл бұрын
@@user-li3jj3pf1g 우키팝 카피 아님? 근데 난 둘다 좋음
@user-io3or8lt1x
@user-io3or8lt1x Жыл бұрын
@@SayHelloToMyWoojin 밑도끝도없이 카피캣 ㅇㅈㄹㅋㅋㅋ
@widmeinhefuxxinlazy1.5
@widmeinhefuxxinlazy1.5 Жыл бұрын
음악도 음악인데 예능 같은 곳에서 편집이든 본인 의지든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들한텐 익숙하지 않은 때로는 거부감까지 드는 아이돌같은 모습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함
@pallowwecha5330
@pallowwecha5330 Жыл бұрын
상업래퍼 궁금했는데 마침 영상으로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g5fq9zn8x
@user-gg5fq9zn8x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너무 좋다
@user-ln3zt4nm2y
@user-ln3zt4nm2y Жыл бұрын
약 10년 전쯤 하이라이트 레코즈가 언더그라운드 씬을 고수하고 상업적인 시장은 배척하는 시대쯤은 당연히 언더그라운드에서의 힙합적인 깊이감과 완성도 높은 음악들을 여럿 찾아볼 수 있어서 그 파가 확실히 나뉘는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쇼미더머니의 비중이 국내 힙합에서 커지면서 상업적인 부분이 어느 정도 차지도 함과 동시에 한국 힙합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는 그런 정의를 하고 싶네요. 언더그라운드와 상업적인 시장에서의 구분이 미비해진 것이 사실이구요. 쇼미더머니는 현재 시점에서 힙합보다 시청률에 지배당한 컨셉이라 확실히 엿같지만 현재 국힙씬은 외힙에서 들을 수 없는 국힙다운 사운드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좋은 것 같습니다. 허나 현재는 이런 국힙 상태를 상업성에 팔아먹은 심각한 상태라고 생각하고 외힙을 지나치게 따라하거나 배척하는 래퍼들(게토힙합을 추종하며 섀깅하고 스키니진에 에어포스원을 신는 듣보 국내 래퍼들, 일명 드릴좆목단)이 많이 생겨나서 괜히 보기 불편하더군요… 어찌되든 쇼미를 떠나서 각자의 스타일에 맞게 음악을 하는 비오나 이런 저런 아티스트들을 무조건적으로 음악을 제대로 들어보지도 않고 상업적이다, 힙합 아니다라며 까는 행위는 요즘 국힙 시장에서 뒤떨어진 시각이 아닐까라고 생각해 봅니다.
@lililiiillilill6838
@lililiiillilill6838 Жыл бұрын
막상 독창적이고 새로운거 내면 안 듣는게 현실... 상업적인 음악이든 구석에 박혀있는 마이너한 음악이든 그냥 자신이 듣고싶은거 들으면 되는것 이런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가 있고 저런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가 있는거지 상업적인 음악만 한다고 욕 먹을 이유가 하나도 없음
@brandonlee9079
@brandonlee9079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정답인 듯 음악성이라는 주관은 그냥 말싸움하기 좋은 주제고 대중음악을 한다면 차트가 성적이고 그런 성적과 관계없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한다면 그게 순수예술에 가까운거고...
@gkpcs8703
@gkpcs8703 Жыл бұрын
@@xodusrla7 카티는 ㅅㅂ 내기만 하면 ㅈㄴ 들을 준비됨
@user-db3vw6yu3s
@user-db3vw6yu3s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ㅋ 올해 ㅠㅠ나 번역중 손실만 봐도 진짜 트렌디하고 신선한데 요즘 힙합에 신선한거 없냐고 까댐 ㅋㅋㅋㅋㅋ 시선만 돌려서 찾으면 신선한거 조온나 많은데 싱잉랩에 악플달면서 정작 안들음 ㅋㅋㅋㅋㅋ
@user-gb8pg9jz6z
@user-gb8pg9jz6z Жыл бұрын
@@user-db3vw6yu3s왜 이런 날만 피곤할까~ 새로운거 들고 나와서 다들 듣는건 빈지노 정도는 되어야 하긴 하는듯 알아서 다 찾아갈 정도로 하드한 리스너들은 자기 취향 따라 아티스트들 찾을거고
@user-ep1cl3zp8p
@user-ep1cl3zp8p Жыл бұрын
​@@user-db3vw6yu3s ㄹㅇ개공감한다 올해 나온 국힙 앨범들:ㅠㅠ 번역중손실 Dirt 걘 롤링라우드 등등등 국힙 부흥기라고 해도 될정도로 좋은 앨범들이 많이 뽑혔는데 쇼미 하나 망했다고 힙합이 망했니 뭐니 하는 모습~
@user-xi1de4kn9u
@user-xi1de4kn9u 7 ай бұрын
마이너가 곧 메이저가 되고 대중성이 되는건데, 전통과 og만 고집하는것도 시대를 따르지 못하는거라고 봅니다. 그냥 다들 재밌게 듣고 즐기세요!! 이 또한 문화입니다 ㅎㅎ
@user-fv5gf7on6v
@user-fv5gf7on6v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는 랩을 좋아하는게 아니라 랩스타를 좋아하는거라 상업래퍼 안하면 돈을 벌수가 없음 저스디스 진짜 힙합 할때는 돈 못벌어서 쩔쩔맸는데 바로 연예인으로 갈아타고 쇼미 나가니까 떼돈 버는거 보셈 ㅋㅋ 젓딧 진짜 힙합 할때 노래 들어주지도 않던 애들이 이제 와서 젓딧 왜 힙합 안하냐면서 까는게 웃음벨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amza616
@gamza616 Жыл бұрын
ㅆㅇㅈ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앨범을 냈어 반응 뜨겁데 주변에서 근데 내 잔고는 변한게 없지 리스너 같이" 진짜 ㅈㄴ 슬픈 구절인듯
@user-hg2zr9tp6p
@user-hg2zr9tp6p Жыл бұрын
그럼 vmc를 까질 말았어야지
@user-zn1rv8ys6z
@user-zn1rv8ys6z Жыл бұрын
@@user-hg2zr9tp6p 이게맞지 ㅋㅋ
@jprode99
@jprode99 Жыл бұрын
@@user-hg2zr9tp6p 이것도 가사에 있지않나 6년?전에 뱉은 말이 아직도 적용되는 힙합씬이라고 언제까지 vmc디스 한거로 우려먹을거냐
@user-ix8is4hp3l
@user-ix8is4hp3l Жыл бұрын
상업성 랩이라도 결국 리스너들에게 들을 거리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들도 커리어 리스크를 감수한 부분이니까요. 제일 멋없는 부류는 앨범이나 작업물량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시즌마다 쇼미에 나와서 기웃거린다거나 몇년째 똑같은 노래로 축제 시즌에 행사로 땡기는 사람들이지 않을까 싶네요. 아티스트는 음악으로 평가받아야 하는데 평가할 수 있는 음악 자체가 적은 이들을 과연 아티스트라 할 수 있을지…
@BCL-yp9lt
@BCL-yp9lt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ㅋㅋ 비오를 상업래퍼라 욕하지만 3개월짜리 유사연예인들보다야 훨씬 낫죠
@rainnam4n438
@rainnam4n438 Жыл бұрын
@@BCL-yp9lt 그렇게 빨아재끼는 비오를 3개월짜리 연예인이랑 비비는거부터가 비오를 억빠하는거 아닌가 ㅋㅋㅋ 더 이상 상업성 랩들은 힙합으로 보긴 어려운데
@BCL-yp9lt
@BCL-yp9lt Жыл бұрын
@@rainnam4n438 물론 비오를 근본 래퍼로 보는건 나도 반대해요 ㅇㅇ 근데 여타 쇼미나와서 유명세얻고 끝나면 클럽에 처박혀서 싱글깔짝내고마는 놈들보다는 그래도 작업물 꾸준히 내는 비오가 낫다는거지 "아티스트" 측면에선 "힙합" 측면이아니라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rainnam4n438 애초에 힙합적인 측면에서 힙합이란게 한국에 거의 없음;; 힙합은 노래에만 적용되는게 아니라 삶 전체에 적용되는건데 누구는 음주운전에 경찰 폭행, 누구는 마약에, 누구는 군대논란.....
@nick6255
@nick6255 Жыл бұрын
@@suba012 여기선 힙합 음악을 말하는겁니다
@ssg3295
@ssg3295 Жыл бұрын
상업래퍼든 언더래퍼든 랩에는 자신의 철학이 담겨야한다고 생각해요. 직장인 뿐만 아니라 예술인들도 결국 돈 없이는 예술을 할수없기에 상업적인 노래를 하게되는 현실은 공감합니다. 그런데 어쩔땐 세속과 타협하지않는 리얼 래퍼인척 하는데 언젠 또 상업적 노래를 하고있으니 이 사람이 도대체 어떤 래퍼인지를 모르겠다라는거죠. 그러다보니 그 래퍼가 랩에서 하는말들이 다 거짓말처럼 들리는거고 결국 욕을 먹는게 아닌가 싶어요. 허클베리피가 자신이 했던 말은 지겨야한다고 했던 말이 생각나네요.
@user-zd3lc8yi1k
@user-zd3lc8yi1k Жыл бұрын
이사람 너무좋다 영상 고마워요
@nikeheritage86
@nikeheritage86 Жыл бұрын
어떻게든 평가질하고 비교하고 순위 매기는 문화보단 본인의 취향과 개성과 메세지와 창의성을 눈치보지 않고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는 힙합음악씬이 되길 바랍니다
@user-tq3qx2tp9n
@user-tq3qx2tp9n 4 ай бұрын
이게 맞습니다😢
@user-xe6uf1sr2m
@user-xe6uf1sr2m 3 ай бұрын
그럴꺼면 음악 왜함 걍 혼자 쓰고 혼자 듣지
@zzz2505
@zzz2505 Жыл бұрын
현시점 힙합의 트렌드가 팝랩인 건 맞는 것 같은데 기존 우리가 부르던 힙합과 구분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상업적이라하는 래퍼들의 음악도 가치있다고 생각하고 개인적으로 종종 즐겨 듣습니다. 하지만 스크릴렉스의 등장으로 덥스텝이 유행했을 때 보통 덥스텝이 유행했었다고 하지 덥스텝의 상위 장르라는 이유로 투스텝 개러지가 유행했었다고 하진 않으니까요.. 지금 상황을 싱잉랩, 이모랩이 유행한다고 표현해야하는 것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실 표현의 범위의 차이이고 대중들이 이런 내용까지 관심가질 필요도 없을뿐더러 광범위하게 보자면 팝랩이 힙합이란 장르에 속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렇지만 현시점의 팝랩이 붐뱁, 트랩과 다른 성향을 띄고 있다고(다른 장르의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때문에 이런 이슈가 생겨났을 것이니까요, 리스너들 중 한 명으로서 구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느끼고 있긴 합니다. 근데 우리가 조금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게 힙합이 아니라고 해서 그 음악이 별로고 쓰레기인 건 아니라는 거죠. 힙합이 아닌 음악을 힙합이라고 하는 것이 잘못된 건 맞지만 그렇다고해서 힙합이 아닌 음악이 저평가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는 건 대중들이 빠지게 하는 무언가가 있었다는 것이고 그건 그 곡을 만든 아티스트에게도, 그 음악이 포함되는 장르 내에서 매우 큰 성과니까요. 여러가지 장르가 섞였을 수도 있고요. 음악의 장르를 구분하는데에 뚜렷한 기준이 있는 경우가 많지도 않고 뭄바톤처럼 레게톤 드럼에 전자 사운드를 올린다던지 의도적으로 여러 장르를 섞는 경우도 있습니다. 음악의 장르를 구분하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지지않되, 문화로써의 가치를 가지는 장르의 음악을 하는 경우 그 문화의 무게와 특징, 정신을 존중하려는 태도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Dowool497
@Dowool497 Жыл бұрын
빅쇼트님 느낌이라 좋습니다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criticalhit87
@criticalhit87 Жыл бұрын
좋은 음악, 그것도 돈이 있어야 하는겁니다. 아티스트의 선택이고 책임도 본인이 지는거죠. 다만 비오는 첨부터 아이돌 스텐스였고 본인이 지향하는 바도 그쪽일뿐. 팝랩을 하는 사람들을 욕하진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이 2천년대 초반도 아니고 발라드랩 싱잉랩한다고 까기엔 세상은 너무 많이 변했고 장르는 너무 다변화되었어요. 붐뱁 랩싯만이 힙합이라고 힙부심 잔뜩 세우는 자칭 리스너분들때문에 점점 힙합이 주류에서 멀어져간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장르를 일단 붐업 시켜야 산업이 커지고 신이 커지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돈이 모이면서 퀄리티는 올라가리라 생각해요.
@user-vt4e
@user-vt4e Жыл бұрын
소신발언: 상업래퍼든 뭐든 좋은 음악은 좋음.
@kobebryant9889
@kobebryant9889 Жыл бұрын
차트 이런거 전혀 신경쓰지 않는데 제대로 성공한 아티스트들 보면 신기함ㅋㅋㅋ캔드릭 라마 개쩔지 빌보드 535주ㅋㅋㅋ계속 쭉쭉 올라가겠지 뭐. (편집) 힙합만 말하는게 아니라 전체적인 음악으로 말하는거.. 그래서 래퍼 대신 아티스트로 쓴거. 미국 1위 장르 힙합인거 당연히 알죠.. 전 거의 서양쪽 반응들만 보는데 거기서도 오직 퀄리티만으로 저 자리까지 올라간거 신기하고 대단하다고 함 🐐 이러면서. 역사상 스트리밍 제일 많이 돌아간 앨범 (현재)31위에 있고
@kobebryant9889
@kobebryant9889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차트에 올라가도 구린 음악은 구리지
@nick6255
@nick6255 Жыл бұрын
듣기좋다와 가치있는,잘만든건 다르다
@cood_oa7283
@cood_oa728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gy7yw6gv7p
@user-gy7yw6gv7p Жыл бұрын
@@nick6255 듣기좋은음악이 잘만든음악이지 ㅋㅋ말도안되는소리를 그럴듯하게쓰시네 잘만든음악중에 듣기싫은음악이잇나ㅋㅋ?아시면 소개좀 반대로듣기좋은데 못만든음악은또뭔지?
@imk9386
@imk9386 Жыл бұрын
VMC 해체한거 보면 생계 책임져줄 것도 아니면서 힙합 강요하는것도 별로인거같음 팬들 눈치보면서 나온 음악이 좋을거 같지도 않고 걍 하고싶은거 하면서 좋은거나 냈으면 좋겠음
@user-xj8xs9uz6r
@user-xj8xs9uz6r 3 ай бұрын
편집이 다 글켔지만 우키팝 이 너무 생각이 나는건 어쩔 수 없나봐요 잘 보고 갑니다
@Nofound404
@Nofound404 7 ай бұрын
’힙합‘ 은 그 어떤 예술보다 표현의 자유로움을 추구하지만 정작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힙합’이라는 장르를 어떤 고정된 형식이라고 생각하면서 조금이라도 자신이 생각한 틀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면 ‘힙합이 아니야’ 하면서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힙합도 힙합이라는 형식 이전에 하나의 예술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시대의 변화와 선호에 맞게 변화할 수 있는 것임을 인지하는 유연한 사고를 했으면 좋겠네요. 예술은 결국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자기 실현을 위해서도 만들어진 것이잖아요? 틀에 갇히면 갇힐수록 점점 고립되어서 창의성이 줄어드는 고루한 것이 되어버릴 수 있다고 생각해요.
@chadollmarajonnamasitta
@chadollmarajonnamasitta Жыл бұрын
뭐 힙합이니 뭐니 별개로 나는 비오가 왜 좋냐면 가사가 진짜 공감되는게 있긴함 비오 덕분에 힙합에 대한 편견을 깨게 됨
@private5260
@private5260 Жыл бұрын
근데 비오 서동현 활동도 많이하고 곡도 괜찮은 수준으로 많이내고 폼 안떨어지게 허슬하는거 대단하긴함
@user-rl1yl8zr5w
@user-rl1yl8zr5w Жыл бұрын
비오는 플로우 변화가 없는 게 아쉬움
@user-jl1id2tv9t
@user-jl1id2tv9t Жыл бұрын
@@H4wkAVlrt 그게왜문제임?
@user-dv6ox1nd8g
@user-dv6ox1nd8g Жыл бұрын
@@user-jl1id2tv9t 래퍼라면서 rnb느낌도 아니고 아예 발라드로 불러버리면 그건 문제가 맞죠
@user-jl1id2tv9t
@user-jl1id2tv9t Жыл бұрын
@@user-dv6ox1nd8g 그니까 그게 왜문제인가요? 댄스가수가 발라드 노래부르는것, 발라드가수가 춤추며 댄스곡 부르는것 트로트가수가 발라드 부르는걸로도 이렇게 까이나요? 왜 ’힙합‘에서는 그게 문제시 되는지 진짜 몰라서 묻습니다 그냥 그렇게 까대는 분위기길래 까는거면 알필요도 없겠지만요..
@thurscoin420
@thurscoin420 Жыл бұрын
@@user-dv6ox1nd8g 근데 빅나티는 자기가 힙합 아니라 해서 뭐
@Name_No9999
@Name_No9999 Жыл бұрын
따봉 박음👍🏻
@user-gu2dy6rw4c
@user-gu2dy6rw4c Жыл бұрын
비오는 상업래퍼의 계보를 잇는다기 보다는 그냥 장르가 아예 다른거라고 봄..(힙합이라기 보다는 알앤버) 그런면에서 산이랑은 다른 경우라고 봅니다. 산이는 그 당시 용어로 언더그라운드 힙합 하다가 JYP 들어간 이후부터 갑자기 음원 차트 노린 발라드랩을 한 경우라서..
@YELLOWSOCKSMAFIA
@YELLOWSOCKSMAFIA Жыл бұрын
JYP보단 브랜뉴 입단 이후가 크죠 오버클래스 컴필로 산선생님 시절랩을 계속 했으니
@user-fq8fx6ge3m
@user-fq8fx6ge3m Жыл бұрын
싱잉랩이랑 발라드랩은 다른거 아닌가요?
@user-eg8of2hr5t
@user-eg8of2hr5t Жыл бұрын
​@황보석 아이돌랩은 빅뱅이랑 지코빼고 다 쓰레기인 건 팩트인 듯
@user-eu7xh6xt5p
@user-eu7xh6xt5p 8 ай бұрын
뭔 알앤비야...그럼 나얼도 래퍼냐??ㅋㅋㅋㅋㅋㅋㅋ
@user-im9eg6qf5l
@user-im9eg6qf5l 6 ай бұрын
딘 같은 애들은 국힙취급해주면서 끼워주고 비오는 에잇 저리가 하면서 알앤비쪽으로 털어내고ㅋㅋㅋㅋㅋㅋ 이게 힙찔이들 모순중 하나임ㅋㅋ
@user-pu1tt1nb2v
@user-pu1tt1nb2v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떴으면 좋겠다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잘알려줌 이해도도 있고
@user-um2vt4jo8v
@user-um2vt4jo8v 8 ай бұрын
난 극호인편..솔직히 힙합씬이고 뭐고 자기 장점을 잘 살려서 좋은 노래 많이 내주니까 너무좋음
@Ehevehe
@Ehevehe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그랬는데 힙합은 다른 장르에 비해서 텃세랑 힙합탈레반들이 많음. 편협적이고 자부심 강하고. 가리온 무투 때도 그랬으니 말 다했지. 근데 발라드도 아이돌 가수들은 가수아니다 라고 하면서 탈레반들 있었는데 kpop신이 산업이 되고 너무커지고 돈을 많이 버니까 좋은 인재들이 전부 아이돌 지망생이 되어버리니까 이제는 뭐.. 그런 의미에서 돈자랑 하는 랩이랑 상업적 랩이랑 힙합신 발전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ynleu
@ynleu Жыл бұрын
@종빈 이 근데 일반인들은 그렇게 못함
@startigot
@startigot Жыл бұрын
사실 태균이를 보면 알 수 있다와 에고 높은 래퍼들이 스스로 돈 되는 걸 일부러 안 한다고 착각하지만 못 한다고 봐야한다와 뭐 순수 상업성, not 힙합이라고 그거 아무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라와 그 김심야도 본인 스스로 그럴 능력이 없다 식으로 말했던 것으로 아는데 아닐 수도 있으니 정확한 발언인진 몰?루
@leociel0414
@leociel0414 Жыл бұрын
힙합을 존중하는 태도만 갖춘다면, 무슨음악을 하든 상관이 없다 생각함. 장르의 벽은 허물어졌고 이로인해, 다양한 사운드들이 음악시장을 채운다는건 긍정적인 현상이라 생각함. 그런데, 힙합은 음악장르이기전에 자기자신을 표현하는 예술문화임. 그렇기에 힙합문화를 존중하고 즐기며, 상업적인 음악을 하는거면 좋다고봄. ex)리쌍, 에픽하이, 다듀, 슈프림팀.
@Kevin7.7_
@Kevin7.7_ Жыл бұрын
드레이크여서 가능한게 아니라 애초에 우리나라 힙합 리스너는 '돈'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느낌이 큰 것 같아요 애초에 언더그라운드라는 시장 자체가 '돈'이 되지 않는 시장이였으니까요 그 낭만과 감성을 원하는 골수 한국 힙합 리스너들의 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힙합이야 다양하면 다양할 수록 좋죠.. 무튼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
@user-oc1zr6xb9k
@user-oc1zr6xb9k Жыл бұрын
걔네는 지들이 원하는 사운드만 있으면 아티스트가 돈을 못 벌든, 밥을 굶든 관심없음. 언더만 힙합으로 보는 힙부심 가진 새끼들이 국힙 발전을 망치는 가장 큰 요인중 하나인듯.
@azhy2500
@azhy2500 Жыл бұрын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힙합 리스너들은 래퍼가 돈을 버는걸 싫어하는게 아니라 좋은 음악을 한 래퍼가 돈을 많이 버는게 옳다고 생각해서 이런 거부를 드러내는거예요. 자기가 좋아하는 좋은 음악이 시장의 선택을 받아야 많은 래퍼들이 좋은 음악을 만들고, 리스너들이 들을게 많아질테니까요. 좋은 음악의 기준은 리스너마다 다르지만, 자기 취향은 아니어도 훌륭한 음악성을 가졌다면 보통 리스펙합니다. 비오같은 아티스트들이 주 타겟이 되는 이유는 취향은 고사하고 이런 음악으로 자기가 사랑하는 래퍼들의 자리를 뺏으니까 비판받는거고요.
@pary_ver
@pary_ver Жыл бұрын
@@azhy2500 한마디로 열등감 느낀다는 건가여?
@rockstv1859
@rockstv1859 Жыл бұрын
@@azhy2500 그러나 그들은 돈을 쓰지 않는다 ㅋㅋ
@user-kq3oh9yn5s
@user-kq3oh9yn5s Жыл бұрын
​@@azhy2500 허나 그들이 좋아하는 래퍼는 돈을 벌지못해 결국 시장에 나오게 되는게 다반수인데 그게 싫다면 자칭 리스너들이 돈을 써야하는게 맞음 근데 그들이 하는거라곤 방구석에서 상업의 대표격인 쇼미더머니를 보면서 상업래퍼들을 까는 것뿐
@user-bj3pe3gd7b
@user-bj3pe3gd7b Жыл бұрын
리쌍한번 다뤄시주시면 안될까요?
@you_me_us
@you_me_us Жыл бұрын
제발 이사람은 김강토마냥 어디론가 사라지지 말아라.. 내가 두번 볼게
@Toomanyhomes41kid
@Toomanyhomes41kid Жыл бұрын
난 창모가 진짜 존나 좋음 대중적인 곡으로 일단 자신을 각인 시키고 그뒤에 본인의 스토리에 빠져들게 함 그래서 창모의 스토리랑 곡이랑 연결지어들으면 가사를 통해 당시의 상황이 내가 겪지 않은일임에도 생생히 그려짐 덕소리에서 자라서 서울을 동경하고 사랑을하고 랩스타가 되고 단지 멜로디가 좋고 가사가좋은개 다가 아니라 한계단 더나아가서 그냥 창모라는 사람이 좋고 창모가 하는 모든게 좋음 나 진짜 덕질 앨범사기 뭐사기 이런거 절대 안하는데 처음으로 팬심에 질러봄 뜬금없이 창모 찬양해서 그렇긴한데 그냥 창모 나오길래 적어봄
@keunsu2208
@keunsu2208 Жыл бұрын
이게 힙합씬만의 고민이아니라 모든예술인의 고뇌겠죠 ㅋㅋㅋ 자기가 열심히 만든 음악이 대중의 관심을 받지 않는 슬픔 대중의 사랑을 받지만 내맘에는 아쉬운 문제 이간극을 밸런스있게 하는게 음악하는사람들의 평생의 숙제겠죠
@pedcozyboy
@pedcozyboy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설명 제일 재밌게 잘하시는듯
@noah7644
@noah7644 Жыл бұрын
Babe girl 난 취할때만 calling
@eh3136
@eh3136 Жыл бұрын
말해줘 날 맘에 뒀다고 해
@riverboi419
@riverboi419 Жыл бұрын
김강토의 후예,,,
@tnfrivergang
@tnfrivergang Жыл бұрын
블루후우우우우우우우
@user-sg4qv9nm6v
@user-sg4qv9nm6v Жыл бұрын
카운팅스탈스 발음 폼 미쳤다 ㄷ
@NinjaPiano1
@NinjaPiano1 6 ай бұрын
대중들이 듣고 싶은 음악 = 내 일상과 공감대가 있는 편안한 음악 힙합음악 = 화자의 의도에 집중하고 분석해야 하는 음악
@user-jh5yt9oo2v
@user-jh5yt9oo2v 3 ай бұрын
먼 ㅅㅂ 힙합은 공산당이냐? 먼 이래야 된다 저래야 된다 선비들이 ㅈㄴ 많어 상업적이건 예술적이건 완성도에 따라서 성공 하거나 실패 하거나 하는거지
@user-nv3xz7zl8v
@user-nv3xz7zl8v Жыл бұрын
귀여워.
@nicehanul
@nicehanul Жыл бұрын
구독 누르고 갑니다
@user-ri8by5tt7m
@user-ri8by5tt7m 9 ай бұрын
깔수 없다고 생각함,, 본인이 언더라고 미디어에 굴복 안한다고 자부했던 래퍼들, 거즘 다 기회되면 상업적활동, 미디어에 얼굴비추고나서 '응 나 변했어', '니들은 나보다 돈 못벌어' 해버림.. 이런거 보면 상업적이지 않은 랩으로 래퍼의 길을 가겠다는 사람들은 사실 '내가 랩은 잘하고 좋아하지만 방송으로 주목받을 깜냥은 아닌거 같고, 미디어에 굴복하지않는다는 명분이랑 멋이라도 챙겨가자.' 이런 스탠스로 보임.. 단순히 돈을 쫒는 랩을 한다고 비판할게 아니라고봄.
@user-pg1yw5yy1z
@user-pg1yw5yy1z Жыл бұрын
비오도 나쁘진 않지만 딘같은 스타일로 상업성과 음악성 모두 잡는 아티스트가 많이 나왔으면 함 딘이야말로 이분야의 탑 아닐까
@hangvsssg7352
@hangvsssg7352 11 ай бұрын
몇년 식물인간됐다가 깨어났음?;;
@GO_health
@GO_health 9 ай бұрын
작업물이 없는데뭔ㅋㅋ
@user-eu7xh6xt5p
@user-eu7xh6xt5p 8 ай бұрын
딘은 싱잉랩퍼가아니라 알앤비가수지..
@user-qw2jn1gf5w
@user-qw2jn1gf5w 8 ай бұрын
곡도 안내는데 뭔
@sanglee4636
@sanglee4636 7 ай бұрын
그분야탑은 창모나 비와이겠지
@Giyomiranbow_sexy
@Giyomiranbow_sexy Жыл бұрын
와ㅋㅋㅋㅋ
@hookandhook1027
@hookandhook1027 Жыл бұрын
나는 솔직히 상업성에 몰빵한 래퍼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데 하고싶지도 않은데 그저 돈을 버는것만이 좋아서 음악을 하는 래퍼들은 반대하는 입장임 그냥 돈이든 뭐든 자유로운 정신으로 음악을 만드는 래퍼들이 많아지면 좋겠음
@Ivmdaniel
@Ivmdaniel Жыл бұрын
그냥 이지리스닝으로 듣기에 비오, 빅나티, 애쉬아일랜드만큼 좋은 아티스트는 없긴 하지 근데 진짜 음악을 좋아하고 음악듣는게 취미인 사람들이 들었을때는 많이 부족한게 사실이고 뭐 토일같은 프로듀서만 봐도 음악에 죄다 통샘플 갔다박는데 그냥 대중이면 몰라도 업계사람이나 힙합팬의 입장에선 평가가 좋을수가 없는게 맞음
@grgrgrh
@grgrgrh Жыл бұрын
빅나티 밴쿠버 들어보셈 생각이 달라짐
@Ivmdaniel
@Ivmdaniel Жыл бұрын
@@grgrgrh 방금 듣고왔는데 안달라짐
@grgrgrh
@grgrgrh Жыл бұрын
@@Ivmdaniel 첨 들었을땐 원래 그럼
@grgrgrh
@grgrgrh Жыл бұрын
@@xodusrla7 ㅇㅇ
@Sakurakou_K-ON_Bu
@Sakurakou_K-ON_Bu Жыл бұрын
@@grgrgrhㅋㅋㅋㅋㅋㅋㅋ뭔 세뇌임?ㅋㅋㅋ
@iamganggang
@iamganggang Жыл бұрын
상업적이라는 것이 거부당하는 이유는 상업적인 음악이 싫은 것이 아니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장르의 기본 틀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schanhong8192
@schanhong8192 Жыл бұрын
전 드레이크가 상업적이지만 흔한 힙합음악의 트렌드한 사운드가 아닌 타 장르의 새로움을 벤치마킹해오는 모습이 기타 상업래퍼와 차별적인 노선으로 행보하였다 생각해여
@user-nh6st5hg5n
@user-nh6st5hg5n Жыл бұрын
앨범 리뷰 해주세요 형님 강토 잡읍시다
@ceo7732
@ceo7732 Жыл бұрын
내가 좋아하는 장르가 상업 래퍼의 랩이였구나..
@user-xu5ti2kh7g
@user-xu5ti2kh7g 4 ай бұрын
상업래퍼니 뭐니 구분짓는 거 자체가 넌센스. 그냥 인기있는 래퍼냐 인기없는 래퍼냐의 차이일 뿐
@user-hw2in1pn6r
@user-hw2in1pn6r 4 ай бұрын
드레이크 존잘이네 ㄷㄷ
@user-dw1il2lm4p
@user-dw1il2lm4p Жыл бұрын
상업성 잡는게 조온나 빡센거같음 못 뜬 래퍼들 간간히 대중성 짙은 곡 내도 아무도 안듣거나 몇명 듣다가 마는 경우가 많던디..
@c_kgooou
@c_kgooou Жыл бұрын
상업적이라고 힙합이아니라고 까내리기보다 많은사람들 귀에 맞는음악을 잘 알아내고 그걸 만드는것도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게 가능한 래퍼도 소수라고 생각하고요. 애초에 한국힙합씬이라고 칭하는 이 장르에서 올드스쿨적인 힙합요소는 많이 사라졌을뿐더러 대부분 힙합음악이 아닌 랩음악을 하고있으니까
@user-gb8pg9jz6z
@user-gb8pg9jz6z Жыл бұрын
일정 이상 깊게 파는 힙합 리스너들 귀를 만족하는 것 보단 가볍게 듣는 대중의 귀를 만족시키는걸 선택했다의 차이가 있겠죠
@user-nb9wm3sn8f
@user-nb9wm3sn8f Жыл бұрын
원래 대중성챙기는게 더 어려움 그래서 창모가 대단한거지
@zzz2505
@zzz2505 Жыл бұрын
@@user-nb9wm3sn8f 뭐가 더 어렵다 따지기 뭐한게 둘이 다른 재능의 영역이라... 그냥 기존에 있던 길들 중 또다른 길을 찾은 거라 보는 게 맞을 것 같아요.
@goyangmandu
@goyangmandu Жыл бұрын
그냥 상업 래퍼들은 서동현처럼 자기 스스로를 래퍼라고 칭하지 않고 아티스트나 가수라고 하면 좋을 것 같음.
@suntory13
@suntory13 Жыл бұрын
매일 이런 주제로 사람들이 싸우고 칼로 쑤시며 서로 난도질 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흐뭇해지는 것 입니다. 자신의 바닥을 보일 때까지 거품을 물며 서로에게 달겨드는 모습만이 흥미 있는 것입니다.
@silsigan
@silsigan 4 ай бұрын
지금같은 시대에 아티스트 정의 재정립이 필요해요. 전제가 잘못되면 답도 잘못됨. 그냥 리스너가 듣기 좋으면 되는거임
@user-zl7lf5rg2c
@user-zl7lf5rg2c Жыл бұрын
자신에게만 선한가vs타인에게도 선한가의 차이 보다 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음악이 인정받는건 당연한것
@user-wb8ln7lt1m
@user-wb8ln7lt1m 8 ай бұрын
ㅅㅂ상업적음악이고 쥐젖이고간에 대중귀에 좋은노래가 좋은노래다
@TopENT.Shen_Team_Leader
@TopENT.Shen_Team_Leader 7 ай бұрын
산이 랩 진짜 잘하는데…
@351story5
@351story5 Жыл бұрын
락부심 - 힙부심 전승됐죠 ㅋㅋ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결국 문제는 지나친 빠들과 지나친 힙부심... 싱잉랩, 팝랩이 힙합씬을 키운건 부정할 수 없는 팩트임. 근데 그게 힙합 씬 전체를 키웠냐? 그건 절대 아님..싱잉, 팝을 존나 키운거지. 싱잉랩, 팝랩으로 힙합을 입문하게 되는 사람들은 거기서 멈춤. 그게 그들의 힙합이고 다른 건 없음. 이걸 이지 리스닝이라고 한다 하던데 뭐 맞는듯. 결국 커진건 싱잉과 팝이지 랩은 아니란거지. 래퍼들이 예전부터 해오던 말 중 하나를 가져오면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늘지 않았어요." 나도 오히려 줄었다면 줄었지 늘진 않았다고 생각함. 싱잉팝으로 유입이 많아진건 사실이지만 랩을 듣는 사람은 그닥 늘지 않았지. 그리고 내가 살아오면서 싱잉랩만 듣는 사람들을 보면 드럼같이 둥둥 거리는게 거슬린다는 사람도 있었는데, 대부분은 들어보지도 않고 "랩은 나랑 안맞아." 였음. 그니까 랩이 뭔지를 모르는거지. 돈자랑하고 니 여자 내꺼 이런 것만 힙합으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많더라, 플레이리스트 보고 이것도 힙합이야 하면 "뭐? 진짜?" 이런 반응... 얘기가 좀 많이 산으로 갔는데;; 첫줄에 말했듯 지나친 빠들과 지나친 힙부심. 이게 뭔소리냐면 상업 래퍼들을 보면 빠들이 참 많은걸 느낌. 내가 그렇게 느낀거긴 하지만 비오도 보면 빠들이 진짜 존나 많음. 이게 문제가 되진 않음. 전혀 없음. 근데 그걸 이제 내가 가진 힙부심 기준으로 보면 "뭐 씨발? 이게 힙합? 이센스 이방인은 들어봤냐? 아니 ㅋㅋ 노래만 부르는데 랩이 어딧냐고ㅋㅋㅋ" 음.....힙부심 기준에서 보면 이게 진짜 내 자신이 존나 추해지는 걸 느낌. 그 사람들 기준에 좋다는데 내가 왜 지랄일까...이게 힙부심으로 가버리면 뭔가 너무 빨아주니까 내가 ㅈ같고 아 누구누구는 랩도 ㅈㄴ 잘하는데 안뜨고 얘는 노래 부르고 뜨네 뭐 이런 반항심리 생기고....그러니까 내 말은 그냥 각자 노래 듣자. 난 진짜 내가 장르 안가리고 다 듣는다고 생각하는데 (트로트 제외). 상업 음악들이 나쁜게 전혀 아니라고 봄. 싱잉으로 유입된 힙합 뉴비? 들이 거기서 멈춰서 안들을 수도 있지만 더 관심이 생겨서 다른 음악들 찾아보고 명반들 들어보고 할 수도 있는거니. 상업랩=홍보랩? 뭐 이런 느낌으로 난 지금 받아들이고 있음. 그리고 힙부심을 없애고 이 음악을 들으면 좋음 ㅋㅋㅋㅋ. 랩이란 생각을 안하고 이걸 들으면 노래 ㅈㄴ 좋음. 우리 모두 힙부심, 빠부심? 뭐 이런거 좀 내려놓고 오락으로써 이걸 즐기는게 가장 좋은 마인드인듯. +끝까지 읽은 당신 축하드립니다. 이 글이 ㅈ같고 지ㄹ하는 것 같으면 댓글로 반박하시고 애초에 여기까지 읽었다는 것 자체가 대단하네요. 장문이라고 넘기지 않아서 감사합니다. 이 잡소리들이 힙합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줬으면 좋겠네요.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여기 댓글들만 싹 훑어봐도 지금 힙합 리스너들의 힙부심을 알 수 있음. 물론 나 포함해서;; 너무 과함 우리 모두가....진짜 너무 과해...댓글에서 이렇게 힙부심 쩌는 척 쓰고 실제로 한국 힙합을 소비해주는 사람들은 몇이나 있을까...앨범은 사본걸까? 콘서트는 가봤을까? 음....
@user-ov5ku9it5g
@user-ov5ku9it5g Жыл бұрын
님이 제일 과몰입 세게 하는듯 장문을 넘어 초장문;;
@eunm1n
@eunm1n Жыл бұрын
@@user-ov5ku9it5g근데 저는 공감 가서 다 읽게 되던데..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user-ov5ku9it5g 그래서 나 포함 과몰입이잖음ㅋㅋㅋㅋ 나도 솔직히 요즘 과거 돌아보며 힙부심 ㅈㄴ부리면서 살던게 ㅂㅅ같고 그럼...그래서 좀 덜 부리려고 하는데 신나서 장문 갈겨버림 ㅋㅋ ㅈㅅ;
@wjddbs042
@wjddbs042 Жыл бұрын
@@suba012 네 앨범 30장 넘겠고 콘서트 방학때마다 가는데요
@yaneodu3
@yaneodu3 Жыл бұрын
씬에서도 인정받고 대중들의 인기를 독차지한 창모는 진짜 대단한거였구나
@richardsuperbig1519
@richardsuperbig1519 Жыл бұрын
씬에서의 인정은 매 시기마다 바뀜 호불호의 영역이 왔다갔다 하는걸 시기마다 다 다르기때문에
@richardsuperbig1519
@richardsuperbig1519 Жыл бұрын
창모의 경우임 다른 래퍼는 호불호도 잘 못 맞추지
@user-ud2dc7vl9z
@user-ud2dc7vl9z Жыл бұрын
창모는 한국의 칸예다
@DamnPeggyy
@DamnPeggyy Жыл бұрын
​@@user-ud2dc7vl9z 한국의 칸예는 노창 정도가 비슷하지 않을까
@pepsicola4137
@pepsicola4137 Жыл бұрын
창모 걍 퇴물인데 뭔 ㅋㅋ
@user-pu1bh3eo2x
@user-pu1bh3eo2x Жыл бұрын
클래식을 대중에게 알리는거랑 비슷해 보이네요 클래식도 접근법 바뀌면 정통성 잃었다 하는데 ㅋㅋ 대중성 클래식은 누구나 다 아는거라 막 어려운거 찿아듣고들 하는지라 ㅋㅋ 물론 힙합이나 클래식이나 내가 좋음 그만이라 ㅋㅋ
@user-ht4by1ve7w
@user-ht4by1ve7w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상업래퍼고 뭐고 손절래퍼랑 옥중래퍼만없으면 되는거 아니냐ㅋㅋㅋㅋㅋ
@user-pt6lb2ev5v
@user-pt6lb2ev5v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상업이던 이제는 다들 신경 안쓰는 부류인데 힙합을 이용해서 양지로 뜨려하는게 개같은 거임 근데 그런 애들은 거의 음악이 좋지가 않음 비오가 이번 앨범을 줜나 잘만들었다면 과연 욕먹었을까 뭐 물론 사람마다 다르게 생각 하겠지만 나는 지금처럼 까이지는 않는다고 생각함 단순하게 넉살 보면 여러 예능 프로나가서 활약하지만 가져오는 앨범이 좋으니까 누가 넉살을 깜 상업래퍼라고 해서 안좋아 하는게 아니라 그냥 음악이 구린이유가 더큰거 같음 여기까지가 내 소신;;
@Momsidtouch
@Momsidtouch 3 ай бұрын
그 변한 모습을 못받아들이는 건 그 아티스트에 대한 팬이 아니라 그사람에 대한 열등감을 합리화 한거에요.
@lj1744
@lj1744 Жыл бұрын
근데 여기서 생각해야될건 드레이크나 이런 래퍼들은 앨범트랙에서 싱잉과 랩이 둘 다 있음 근데 요새 한국 상업래퍼쪽은 앨범이 전체가 팝과 싱잉인데 그걸 힙합으로 말하는게 좀 애매함 상업적인걸 따라가는게 나쁜건 아니지만 래퍼면 랩을 해야함 진짜로 근데 요즘은 랩하는 래퍼들을 좋아하면 힙찔이 소리를 듣는게 현실…
@dcsnot
@dcsnot Жыл бұрын
난 자기가 하고 싶은거면 괜찮다고 보는데 아니면 전략적으로 쓸 수도 있지 대중성 있는 노래를 내서 많은 팬들을 만들고 그 후에 대중성이 떨어지는 음악을 내도 어느 정도는 화제도 되고 팬이 좀 있으면 흥행도 어느 정도는 되겠지 구냥... 자유롭게 자기가 하고 싶은 음악을 했으면 좋겠네요 모든 래퍼들이
@Elon_Musk628
@Elon_Musk628 Жыл бұрын
비오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아티스트 이건 ㅈㄴ 팩트고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하기도 함. 그치만 힙합을 대중에게 더 어필했냐 이 장르에 기여가 되는 커리어냐고 묻는다면 그냥 힙합을 물감이나 붓처럼 도구로 사용한거지 힙합을 라이프스타일로 받아들이거나 더 깊게 이 문화에 기여할 생각은 없어보임. 고로 비오는 성공한 아티스트는 맞고 장래가 기대되지만, 힙합이란 말을 갖다 붙이기에는 모순적인 행보가 너무 많기에, 어디가서 힙합이라곤 말 안했으면 좋겠음. 추가로 계속해서 본인의 색을 찾아서 더 좋은 음악들 많이 만들었으면 좋겠음. 비오 팬은 아니지만 응원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블랙넛 이번에도 앨범 안내면 진짜 각오해라
@user-wd4sd9vi9e
@user-wd4sd9vi9e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다
@BITTSM
@BITTSM Жыл бұрын
유행 따라가는 래퍼가 잘못은 없지만 유행을 만드는 래퍼는 존나 간지다
@moodyboidenni
@moodyboidenni 10 ай бұрын
샤이보이토비~~
@kingisbullback4620
@kingisbullback4620 10 ай бұрын
씨몽이에게 당시 힙합이 아니다라면서 엄청난 비판을 받으면서 힙플에서는 금지어 수준이였으나 지금 생각하면 힙합계의 선구자중 한명이였다고 생각함.... 결국 많은 래퍼들이 몽이 노선을 타는중임 결국 사람들이 듣기 좋은 중독성있는 노래 위주로 뽑아내는 게 돈이 되는거였고 결국 돈 벌자고 하는건데 돈을 못벌면 무슨 의미가 있나 싶고
@barryallen7910
@barryallen7910 Жыл бұрын
비오 앨범은 진짜 좋았음ㅇㅇ 상업적이라고 랩이 구렸냐 하면 그것도 아님~ 피쳐링도 찰떡이고
@tevemo9915
@tevemo9915 Жыл бұрын
음악 자체는 솔직히 좋긴함. 근데 그게 있음. 제대로 된 결의 힙합이였던 적은 없는데 비오 자체의 영향력, 팬덤이 너무 막강하니까 비오는 쇼미도 나오던 래퍼니까 쟤가 하는 음악이 힙합 음악이야라고 프레임 씌워지면서 다른 소위 말하는 거친 가사, 거친 사운드 음악들이 점점 마이너로 몰려지고 소외받는 그 느낌을 두려워하면서 비오씨를 욕하는 느낌같음. 예시로 카운팅스타가 힙합의 범주안에 들어가버리면 스트리밍하거나 앨범 구매하시는 대중들이 원래 그 전통적으로 raw하게 뱉는 그런 가사의 음악들이 마냥 자극적인 저질의 음악으로 여기게 돼버리고 그 현상때문에 당연히 정통힙합하던 뮤지션들의 전체적인 파이가 줄어들게 됨
@0chch
@0chch 10 ай бұрын
​@@tevemo9915본인 곡에서도 힙합같은거 조금 해 줬으면... flick 들으니까 괜찮던디
@poppyplaytime4661
@poppyplaytime4661 Жыл бұрын
마이티마우스 프리스타일 언터쳐블 긱스 딘딘도 상업성 래퍼 아닌가요?
@user-tb8lk1ty4r
@user-tb8lk1ty4r 10 ай бұрын
요즘 힙합에 대한 내 개인적인 생각은 예술성이 너무 결여되고 상업성이란 게 결국은 유행인데 언제나 따라가고 선두하는 게 쉽지는 않다보니 점점 쏟아져나오는 아이돌이나 장르도 애매한 인스타 원빵 가수들에게 상업성도 장기적으로 볼 땐 점점 밀리는데 또 쇼미 보고 랩이나 해볼까 혹은 상업적이지도 예술적이지도 않은 사람들도 쏟아져나오면서 힙합의 의미도 인식도 점점 가벼워지는 악순환만 되고 있는 거 같음 근데 또 쇼미나 상업적인 래퍼들 덕에 힙합이 뜬 것도 맞으니깐 한국에서 힙합은 그냥 쇼미로 잠깐 뜨고 다시 언더로 버려질 운명이였던 거 같기도 함
@-v-6137
@-v-6137 Жыл бұрын
근데 난 이게 진짜 힙합의 범주에 들어가는지는 잘 모르겠다 노래도 찾아들을 정도로 엄청 좋다기 보단 그냥 지나가던 까페에서 나와서 한번 흥얼거릴 정도라서 개인적으론 썩 좋아하는 장르는 아님
@mulbono7546
@mulbono7546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비오가 싱잉랩으로 욕을 아무리먹어도 시즌 끝나자마자 엘범을 계속 쏟아내면서 차트 상위권 계속하는거 보면 진짜 천재인거같음
@illyan1366
@illyan1366 Жыл бұрын
한국 차트는 좀 기형적인 부분이 있음 차트상위권 노래가 구리다는게 아니라 순도 100%가 아니라는거
@illyan1366
@illyan1366 Жыл бұрын
​@@W_HAT_THE_HELL 돈버는데 천재다 그런 맥락인듯
@KOREAN87
@KOREAN87 Жыл бұрын
차트는 사실 믿거 하면됨 비오 앨범 꼬라지보면 천재는 지랄 ㅋㅈㅋ
@illyan1366
@illyan1366 Жыл бұрын
@@KOREAN8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속이 뻥
@piggy0927
@piggy0927 Жыл бұрын
​@@illyan1366 바퀴버래한테 뇌가 뚫렸니?
@user-nh6vf1td8c
@user-nh6vf1td8c Жыл бұрын
팩트)이 새77ㅣ도 상업 양산형 유튜버 그 자체임 ㅋㅋㅋ
@GyuBinJeong
@GyuBinJeong Жыл бұрын
한국같이 시장이 작은 나라는..대중성을 섞어야 함..그래야 먹고 살지..미국은 힙합으로 개쎈꺼 해서 듣는 사람이 적어도 먹고 살정도는 되는거라..
@user-fz2br2ec6o
@user-fz2br2ec6o Жыл бұрын
비오 줄은 진짜 한번들어보세요
@danielleem145
@danielleem145 Жыл бұрын
돈 잘 벌면 장땡이지 뭐.. 돈 다 벌거 벌고 하고 싶은 음악 하면 되지..
@user-qv7ws5gc3t
@user-qv7ws5gc3t Жыл бұрын
상업성있는 노래들에 좋긴하지 일반적인 대중들은 랩보단 멜로디에 매력을 느끼니까
@user-dz1sr1ws3n
@user-dz1sr1ws3n Жыл бұрын
아이 ㅅㅂ 상업이든 뭐든 열심히 고뇌해서 앨범만 자주 내주면 짱이지
@user-xp1ns5eq4e
@user-xp1ns5eq4e Жыл бұрын
상업의 기준이 뭐임 도대체?? 듣기 좋고 익숙하거나 뻔하거나 그냥 좋은 멜로디는 상업 음악이라는건가? 아니면 싱잉이면 상업인가 도대체 상업의 기준이 뭐임ㅋㅋㅋㅋㅋ그냥 그런 멜로디나 그런 스타일의 노래인거지 상업이라는말은 왜붙이는거임?
@bonnoobonn
@bonnoobonn Жыл бұрын
머니 코드란 말이랑 일맥상통함 대중들이 선호 하는 스타일은 유행에 따라 꽤 한정적이고 아티스트가 그 요소에 얼만큼 비중을 뒀냐에 따라 상업성을 가를 수가 있음. 꼭 멜로디컬한 음악에 한정할 순 없지만 적어도 국내에선 아이돌, 팝스러운 느낌의 곡들을 상업적인 요소라고 받아들이는 것 같음. 실제로 그것들이 한국에선 잘먹히는 요소고
@parkroy4683
@parkroy4683 8 ай бұрын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대중적인 그들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할 이유도 없다고 보는게 이 장르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더 다양한 사람들이 듣고 불러야하며, 더 신박하고 실험적인 결과물이 나와야 된다고 생각함. 물론 그게 대중적으로 마니아적으로도 합격점을 받으면 좋겟지만, 당연히 쉽지않은 일임. 과하게 대중적 노선만을 고집하는걸 비난하는 마음은 이해하지만, 비난만으로 대중적인 시도를 평가하는것은 달리보면 이 분야의 다양한 발전가능성을 막는걸 의미한다고 생각함..
@Mr.Ironhead
@Mr.Ironhead Жыл бұрын
가장 효과적인 비판은 안듣는거고, 가장 효과적인 응원은 듣는거다.누가 뭘 하던 그 사람 자유고, 내가 방구석에서 왈가왈부할 이유는 없다. 내가 좋아하는 g-funk 는 안팔려서 안나오는거고, 싱잉랩은 잘 팔려서 나오는거다. 굳이 관심도 없는 노래 찾아 들으면서 욕하고, 상업적이네, 쇼미빨이네, 국힙따리네 할 필요 없이, 내가 듣고싶은걸 내가 자주 들어주면 되는거다.
@user-bx2rp3yh6m
@user-bx2rp3yh6m Жыл бұрын
아니 비오는 ㄹㅇ개쩔긴함
@studio_VA
@studio_VA Жыл бұрын
음악이란 결국 인간 취향에 따른거니 누구를 욕하든 누구를 좋아하든 음악을 듣는 사람도 자신만의 관점을 구축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함
@jomaroot
@jomaroot Жыл бұрын
선입견이 무섭긴하지만 일단 그런거 생각말고 들어보고 자기가 좋으면 들으면 그만인듯 깔것도없고 어차피 신경도 안쓸텐데 본업인 래퍼들이 알아서 하겠지
@tak_hoyaki
@tak_hoyaki 3 ай бұрын
싱잉 상업랩 다 좋은데 아쉬운건 원래 빡신랩 하던 애들이 상업랩만 하는게 아쉬움ㅠ 가끔 예전 모습도 보여줬으면...
@cmkcck1246
@cmkcck1246 Жыл бұрын
창모처럼 둘다잘하면 아무도 뭐라못함
@user-ir4pc5tn1g
@user-ir4pc5tn1g Жыл бұрын
블랙넛은 상업적인 노래여도 이해해줄테니 내줘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곧 나오잖아 정규
@user-hr8kd7uv6f
@user-hr8kd7uv6f Жыл бұрын
@@suba012 그말을 믿는구나....
@suba012
@suba012 Жыл бұрын
@@user-hr8kd7uv6f ...? 저스트뮤직 스토리 봤음?
@user-sv2wj6qh9z
@user-sv2wj6qh9z Жыл бұрын
@@suba012 야.. 그런 어그로 3번은 더 있었어.. 블랙넛 걔를 아직 믿냐? 죽을때까지 안나올듯.. 내도 우리 기대감 못 미칠걸.. 프더비 같은 쌉 명반을 못 가져오면 어차피 사람들이 안 좋아할거고 그러면 블랙넛 앨범은 이제 앞으로 더이상 못 봄 ㅋㅋ 반박시 님들 말이 다 맞음
@128g
@128g Жыл бұрын
18일에 나온다는 떡밥이 있음
@Frog27beat
@Frog27beat Жыл бұрын
언더씬은 순수예술을 추구하는 것인가.? ㄷㄷ
@user-qt7pu3jn6g
@user-qt7pu3jn6g Жыл бұрын
힙합이 뭔데? 이 질문에 답을 할수있다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 그 사람은 존나 편협한 생각을할수도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r4ov2mj6x
@user-tr4ov2mj6x Жыл бұрын
상업예술 아닌게 지금 세상에 있나요?
왜 이들의 기믹엔 더 엄격한 걸까?
9:23
나초마초
Рет қаралды 241 М.
천재 피아니스트가 취미로 랩을 했는데..?
9:55
나초마초
Рет қаралды 171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Когда на улице Маябрь 😈 #марьяна #шортс
00:17
Маленькая и средняя фанта
00:56
Multi DO Smile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대형 기획사와 안 어울리는 대표적인 아티스트
12:03
실력을 키웠더니 망했슺니다
7:38
나초마초
Рет қаралды 780 М.
랩퍼는 진짜 돈을 많이 벌까
10:52
뉴사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11 М.
빅나티가 욕을 먹어도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
7:21
진짜 X구린 래퍼 특
16:31
김강토
Рет қаралды 295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