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예감 별책부록] 가장 달콤하지만, 가장 고통스러운 것! ⟪가치투자는 옳다⟫ - 최준철 (VIP 자산운용 대표)

  Рет қаралды 10,333

KBS 1라디오

KBS 1라디오

Күн бұрын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KBS 1 Radio1 FM 97.3MHz 월~금 09:05-10:53
2023년 7월 22일 (토)
주말방송 [별책부록]
책 ⟪가치투자는 옳다⟫
최준철 (VIP 자산운용 대표)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최경영의최강시사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정용실의뉴스브런치 #최영일의시사본부 #라디오전국일주 #홍사훈의경제쇼 #주진우라이브 #KBS열린토론 #스포츠스포츠 #김성완의시사야 #금융 #주식 #투자 #가치투자 #책 #북토크 #경제 #성공예감

Пікірлер: 30
@jmchoi4542
@jmchoi454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네요☺️
@이선화-h8k
@이선화-h8k Жыл бұрын
멋있는 프랑스 형님, 오빠시네요 ㅎㅎ
@nomadiclifekorea
@nomadiclifekorea 8 ай бұрын
He had a good mindset and position so he was able stumble upon MSFT
@poongsin
@poongsin Жыл бұрын
KBS가 이대호 같은 사람을 MC로 고용하는 것도 공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건데, 심지어 이 영상은 그의 개인 채널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지금 KBS는 이대호에게 권위를 부여하는 공범이라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주식 사기를 쳤던 김정환, 시청자에게 매수를 권하고 본인의 회사는 공매도를 쳤던 염승환과 동행했던 자임을 알고도 마이크를 줬는지, 댓글을 읽고 그 사실을 인지하고도 계속 고용하는지, 중요한 공범 행위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greentomato530
@greentomato530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반포멋쟁이
@반포멋쟁이 Жыл бұрын
핵공감 끼리끼리 뭉치네요
@임재형-t1k
@임재형-t1k Жыл бұрын
완전공감
@허름한신사
@허름한신사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가치투자로 성공하려면~ ■주가가 배당금 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할만한 상태까지 하락했을때만 주식을 매수 해야 합니다. ■자본의 투자 효율성을 계산 할줄 알고 해도 수익을 내기 어려운 것이 ~가치 투자 입니다. ■배당수익이 5%이고~주가가 20%하락했다면 ~평가 수익은 -15%가 아니고 배당 5%를 받아서 6%~7%의 주식을 늘렸다는 것에 만족할줄 아는 사람만이 ~ 성공할수 있는 투자 입니다.
@추세추종자
@추세추종자 6 ай бұрын
인사이트 주는 댓글 감사합니다
@JS_MAN
@JS_MAN Жыл бұрын
좋은책 추천 감사합니다. ^^
@lycian1961
@lycian1961 Жыл бұрын
슈퍼개미 김정환님은 잘 지내시나요.
@이선화-h8k
@이선화-h8k Жыл бұрын
장마리 가치 투자는 옳다 좋으네요~♡ good~!
@서여선-o5z
@서여선-o5z Жыл бұрын
굿 모닝
@이선화-h8k
@이선화-h8k Жыл бұрын
장마르****이름이 길고 어렵네요
@권춘호-v2w
@권춘호-v2w Жыл бұрын
도덕적 으로 책임은 회피 할수 없습니다 이대호님 방송자제 하시고 자숙 하시는게 타방송에서 설레발(합리화) 푸는것보다 더나은 자세 입니다 라디오 편성국장님 제발 치워주세요
@smilepooh-i6j
@smilepooh-i6j Жыл бұрын
최준철대표님 이대호기자님 감사합니다.책 읽어 보아야겠어요. 항상 건강하세요.☺😊
@고요한아침-q5y
@고요한아침-q5y Жыл бұрын
거덜났죠 ㅋㅋㅋㅋ
@이선화-h8k
@이선화-h8k Жыл бұрын
이책을 꼭 사봐야겠어요 고맙습니다.
@고요한아침-q5y
@고요한아침-q5y Жыл бұрын
준철이 아직도 사기치고 다니네 ㅋㅋㅋ 퉷 여러분 얘 검색해서 과거 방송보세요 ㅋㅋ 얘 반대로 했으면 700프로 수익 ㅋㅋ 추천주만 피하세요 ㅋㅋㅋ
@이선화-h8k
@이선화-h8k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장기로 투자하면 몇프로를 가져 가시는지요?
@myoungseokkim7530
@myoungseokkim7530 Жыл бұрын
이대호 요즘 힘들겠던데...
@임재형-t1k
@임재형-t1k Жыл бұрын
이대호님. 김종환 님은. 어떻게 됐나요? 궁금합니다 ㅋㅋㅋㅋ ㅋㅋㅋㅋ나갑니다 ㅋㅋㅋㅋ 저두분 잘어울리네 ㅋㅋㅋㅋ
@내부자-g3m
@내부자-g3m Жыл бұрын
Kbs정신차려라 ㅡㅡ
@gardenerrabbit7782
@gardenerrabbit7782 Жыл бұрын
주식 방송 위주로만 하는게 안타까워요. 인문학적내용도 해주세요.
@해리라이프
@해리라이프 Жыл бұрын
구독취소다
@로베르피레스-v5d
@로베르피레스-v5d Жыл бұрын
SKC같은거를 포트에 담는 니한테 주식을 배우느니 지나가던 개한테 주식상담을 받겠다 ㅉㅉ
@반포멋쟁이
@반포멋쟁이 Жыл бұрын
가치투자하는사람이 sk지주사랑 메리츠를 그렇게 사남? 앞뒤가 안맞음..
@투자적기
@투자적기 Жыл бұрын
아베노믹스는 성공했다. 이제 일본과 미국을 살 때다. 중국은 작년 10.1일에 무너졌다. 롱텀디플레이션에 본격 진입한 것이다. 한국은 임박했다. 한국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그대로 따라 갈 것이다 또한 .. .힌극의 롱텀 디플레이션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다 경제계는 믿고 있다.(2024년 5월시쯤부터 본격화) 특히 부동산 버블붕괴에서 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한국의 롱텀 디플레이션은 정확히는 2002년년 12월에 시작되었다고 저자는 몇 년 전 [그림 5]의 첫 공개와 함께 이미 주창한 바 있다. 어느 나라의 롱텀 디플레이션 진입 여부는 그 나라의 화폐의 대 달러 환율과 주가지수의 관계가 반비례 관계인가아니면 정비례 관계인가를 판별 기준으로 한다. 버핏 옹이 일본에 투자했다는 얘기가 얼마 전에 나왔다. 역시 혜안을 가진 투자자임에 틀림없다. 마침 일본은 롱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있었으며 어느 나라나 주식이 아파트보다 먼저 오르니까 일본 주식에 투자할 때가 온 것이 맞다. 일본은 주식이 부동산보다 5개월 더 먼저 오르기 시작한다. 버핏 옹은 일본의 미쓰비시, 이토추, 미쓰이, 스미토모, 마루베니 등 5대 종합상사에 2020년 8월에 처음 투자했으며일본에서 융자를 받아서 투자했다고 한다. 돈이 넘쳐나는 그가 일본 현지에서 은행 융자를 받아 가면서까지 투자한 이유와 수출대기업에만 투자한 이유는? . 해외 투자 성공의 두 가지 조건 중 한 가지는 현지화 강세인데 지금 일본 엔화는 기나긴 약세 사이클에 접어들었음을그는 알고서도 일본 투자에 나선 것이다. 해외 투자는 아무나 아무 때나 하는 것이 아니다. 해외 투자는 허들 경기와 같다. 웬만한 투자자라면 해외 투자에 나서지 말길 권한다. 한국의 증권회사들은 환율 예측에 실패하고 현지 부동산투자에 실패해서 위험에 처할 수 있다.본 글은 아직 교정작업 중인 부의 창조. 히든스토리,60세에 시작해도 부자 되는 투자법. 어린이를 평생 주식 부자로 키우는 투자 비법 있다! 라는 책의 챕터39,313페이지의 글을 발췌한 것이다. 아베노믹스는 성공했다. 일본의 성공이면엔 미국의 뒷배가있고, 이제 일본 미국을 살 때다. 중국과 한국은 끝없는 침체에 빠질것이다 (약 30년 중국은 약 40년) 중
Enceinte et en Bazard: Les Chroniques du Nettoyage ! 🚽✨
00:21
Two More French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So Cute 🥰 who is better?
00:15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Beat Ronaldo, Win $1,000,000
22:4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8 МЛН
잠실동 vs 개포동 건물 투자는 어디가 좋을까?
13:25
[풀버전] 전설적 투자자들이 당신에게 건내는 투자 명언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
50:27
와이스트릿 - 지식과 자산의 복리효과
Рет қаралды 30 М.
[역사 속 그날들/풀버전4시간] 임진왜란 그날ㅣKBS 방송
4:02:25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409 М.
Enceinte et en Bazard: Les Chroniques du Nettoyage ! 🚽✨
00:21
Two More French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