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이 북한땅? 대한민국의 악몽이 돼버린 최초의 휴전 제안.

  Рет қаралды 24,304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28 күн бұрын

6.25전쟁 기간 중 최초의 휴전 제안은 누가 했을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은 이렇습니다.
전쟁에 지친 소련의 UN 대사 말리크가 먼저 휴전을 제안했고
미국이 이를 받아들여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휴전회담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최초의 휴전 제의는 1951년 1월,
미국의 동맹인 영국이 주도하여 캐나다와 인도 등이 함께 했습니다.
소련도 아니고 미국도 아닌 영국이 왜?
이 최초의 휴전은 한국에게는 최악의 악몽이었습니다.
1951년 1월의 전선상황은
중공군이 서울을 점령하고 천안, 삼척 선까지 내려가 있는 상황.
만약 이대로 휴전이 된다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망하는 것과 다름이 없었습니다.
인생 일대 최대의 고민을 하는 미 애치슨 국무장관.
영국의 뜻에 따라 휴전 제안을 공산측에 할 것인가? 말 것인가?
그리고 마오쩌둥의 고민도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중공군이 완전히 이길 것 같은데 휴전제안을 받아야 하는가?
이 결정에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운명이 달려 있었습니다.
과연 애치슨 국무장관과 마오쩌둥은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그리고 한국의 운명은 어떻게 변해갔을까?
✅ 구독하기
👉 / @war-history
✅ 6.25 전쟁 컨텐츠 재생목록: • 6.25전쟁 (한국전쟁)
✅ [자발적 시청료계좌]: 국민은행 442802-01-064997 (예금주 : 이X민)
✅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lwc76@naver.com
💛회원가입을 통한 혜택과 커피한잔 후원💛
👉 / @war-history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Prisoner of Darkness -
• • [브금대통령] (영화/드라마/Epic) ...
#휴전#애치슨장관#중공군

Пікірлер: 162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10:43 에 나온 트루먼 정부의 예측 시점은 1951년 6월 입니다. 이 시기는 국군이 용문산, 파로호 전투에서 감격적인 승리를 거둔 직후이며 미군 또한 중부전선에서 진격하던 시기였습니다. 밴 플리트는 이 시기를 미 육군 역사상 가장 감격스런 시기라고 언급할 정도였습니다. kzbin.info/www/bejne/gKu1lmCom991oKc ( 밴 플리트가 최선을 다해 싸웠던 이유) 이 시기는 미국 정부도 인정했지만 고지전이 시작되기 전이었기에 마음 먹고 진격했다면 중공군을 충분히 압도할 수 있었습니다.
@minkweon7028
@minkweon7028 25 күн бұрын
그 시기에 진격을 했으면 대동강선까지는 갈 수 있었을 것입니다.
@user-sy9kf9kc7l
@user-sy9kf9kc7l 25 күн бұрын
그럼 맥아더가 워커의 조언을 듣고 청천강-함흥라인에서 멈췄서야 했습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유엔군의 전력이 많이 상승해서 다시 북진할 수 있게 되어 현재의 휴전선의 모태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죠~~ 다만 6월부턴 이미 중공군도 고지전에 대한 대비를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고 개성, 철의 삼각지대, 태백산맥 일대에 많은 병력과 장비들을 집결시키고 매복하고 있었답니다. 그래서 더 진격하려 했어도 평양원산선까지 북진했을 거라는 건 결과론적인 생각이라고 봅니다. 더 북진하기 위해선 유엔군이 젊은이들과 비용을 더 투입시키고 갈았어야 했는데 당시 유엔 참전국들이 그 정도의 적극적인 추가 공세를 찬성하지 않았죠
@sjyoon0603
@sjyoon0603 25 күн бұрын
주인장님 영상 잘봤어여! 하루빨리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이 모두 망해서 이세상이 평화로워지면 좋겠네여.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04:30 에 나오는 당시 애치슨 국무장관의 고충이 상상이 됩니다. 휴전제안이 거부되기를 바라면서 휴전제안을 하는 상황 말입니다.
@gracelee9965
@gracelee9965 25 күн бұрын
하나니의 손길이 느껴졌습니다. 대한민국을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전쟁 발발 3일만에 서울 먹히고 낙동강까지 밀려나 적화통일될 위기에 처했던데다 그 후에도 한번 더 서울 먹히고 37도선까지 밀려난 걸 생각하면 지금 휴전선도 얼마나 국군, 유엔군이 힘들게 목숨 버려가며 투쟁해서 얻어낸 것인지 아시게 될 겁니다. 물론 더 북진할 수 있었다며 두고두고 아쉬워하지만 그렇게 따지면 북진통일 하지 않는 이상 아쉬운 건 끝도 없으며 애초에 우리 국군 자력으로 북한을 못 무찌른 한계를 탓해야죠
@jusungpark7249
@jusungpark7249 25 күн бұрын
정말 아찔했던 순간의 연속이었군요...강대국 각국의 실리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한반도의 역사적 비극...이제 스스로 부강하여 반복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정확합니다. 우리의 의지와 관계없이 극과 극을 오갔습니다. 미군도 한국을 포기할까 말까 생각했을 정도로 전의를 상실했던 1951년 1월. 영국은 자신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인도, 캐나다와 함께 휴전을 제안했습니다. 그렇지만 미국이 허락해야 이것도 가능했죠. 미국은 고민 끝에 이것을 허락하고 중공에게 휴전을 제안합니다. 만약 이때 중공이 OK했다면 그 전선에서 큰 변화없이 협상에 들어갔을 것입니다.
@user-xt1yc3jd4w
@user-xt1yc3jd4w 25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parky0ungmin
@parky0ungmin 25 күн бұрын
어떤 나라든 자신의 국익을 가장 우선시하지.. 남의 나라를 위해 피 흘리는건 한계가 있습니다. 저때 미국은 옛날 공산주의 확장을 막으려 희생 했던거지.. 지금 같으면 남의 나라를 위해 저정도로 피를 흘리지 않아요. 심지어 자유 진영 vs 공산 진영 대결 구도가 심했던 옛날에 6개월만에 휴전하자고 영국이 주도 한걸 봐도 알수 있죠..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첫번 째 휴전은 영국이 주도했습니다. 당시 영국 영향권 아래에 있던 캐나다, 인도와 함께 제안했다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는 휴전을 하기엔 너무나 잃을 게 많은 시기였습니다.
@user-is1xk9zv5k
@user-is1xk9zv5k 25 күн бұрын
전쟁이 중후반부터 지지부진한 것은 거제도 수용소 폭동 사건과도 연관됩니다. 당시 중공군 포로가 휴전하면 중공 복귀가 아닌 대만행을 선택했기에, 중공군 포로끼리 싸웠는데, 중공 입장에서는 중공군 포로 일부의 대만행을 허용하면, 체제 위기가 오기 때문에, 쉽사리 휴전 협정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결국 포로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한 후에 휴전 협정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ongjaelee4190
@dongjaelee4190 25 күн бұрын
마오의 헛발질이 이것 뿐인가...대약진 운동, 문화 대혁명 등등...자국의 역사와 문화를 스스로 지워버린 희대의 코미디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25 күн бұрын
중공군은 보급능력도 열악하고 알보병 위주의 병력과 통일되지않은 무기체계등 열악하디 열악한 환경에서도 저정도 성과를 냈다는건 놀라우리만치 대단하긴합니다
@jgd824
@jgd824 2 күн бұрын
그만큼 물량전이 무서운거임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25 күн бұрын
서울 땅이 북한 🇰🇵 땅이 될뻔 했네
@user-sy9kf9kc7l
@user-sy9kf9kc7l 25 күн бұрын
한국전쟁에서 중부전선의 고착화가 결국 휴전으로 전환하여 지금까지 휴전선이 유지되고 서로가 전쟁에 대한 피로감에 휴전이 성사된 것이지만 처음 휴전을 제의한 것은 영국의 애틀리총리이고 마오쩌둥이 처음에는 휴전제의를 거부하다 더이상 전선을 돌파하지 못해서 마지못해 수락한 것을 보면 양측다 휴전을 할수밖에 없는 분위기로 갔고 53년 7월 27일에 휴전에 합의한 것입니다!통일을 하려해도 결국 휴전을 하면서 한반도를 완충지대로 만들었으니 강대국들은 더는 한반도의 현상유지만 원했던 것입니다!
@changheelee5451
@changheelee5451 25 күн бұрын
이 ㅅㄲ는 어디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 당연한 정보를 ㅈㄴ 전문가마냥 떠들어대네 ㅂㅅ
@user-bl8cb5ck5h
@user-bl8cb5ck5h 25 күн бұрын
댓글도 아까워 지웠다 함부로 욕하지마 ㅅㄲ 야 ㅂㅅ ​@@changheelee5451
@charming567
@charming567 24 күн бұрын
중공군 개입후 37도선까지 전선이 밀려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북진통일 희망은 없어졌다고 하더군요… 38도선 부근까지 휴전선 사수해주신 참전용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래도 면적이 약3퍼 늘어났고 강원도 일대를 더 차지한건 정말 다행이라고 봅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2 күн бұрын
경기 북동부도 더 얻어왔죠 ㅋㅋ 물론 개성과 황해도 남쪽 두 반도를 잃은 건 안타깝죠 ㅜ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모택동이 휴전제의를 거절한 후 유엔군과 국군이 다시 가다듬고 북진한 덕분에 현재 휴전선까지 북상할 수 있었던 건 천만 다행입니다. 그 덕분에 수도 서울을 다시 대한민국의 영토로 공고히 만들고 전쟁 이전에 비해 대한민국 영토 면적이 3,300km^2 가량 더 증가했으며 군사적으로 상당히 유리해졌으니까요~~ 다만 고려의 수도이자 도시 개성을 상실한 것은 정말 안타깝긴 합니다
@user-ej8mn8xs9x
@user-ej8mn8xs9x 24 күн бұрын
미안하지만 개성은 고려의 수도가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성이 고려의 수도인데 욍궁이 없을리가 없잖아요 식민사학의 역사에 놀아날 필요가 없습니다
@krosskim624
@krosskim624 24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자유진영의 수장이 된건 국력도 국력이지만 필요하면 피를 흘리고 희생하면서까지 희생을 했기 때문이었고 소련은 책임과 희생이 필요할 때 비겁하게 피하기 바빴기 때문이다.
@krosskim624
@krosskim624 24 күн бұрын
이념이다 전략적 이익이다 뭐다해도 하나뿐인 목숨을 알지도 못하고 들ㅇㆍ보지도 못한 이땅에 뿌린 미국 고맙습니다
@user-nk5jn7ov8m
@user-nk5jn7ov8m 25 күн бұрын
저때 미군이 유엔이 철수했으면 볼만했겠다
@minkweon7028
@minkweon7028 25 күн бұрын
맥아더도 모택동도 승리에 도취되어 오판을 했다. 그리보면 팽덕회는 참 무서운 인물이다.
@user-rz9eq9pb9v
@user-rz9eq9pb9v 24 күн бұрын
우리 입장에선 잘 된 일 = 방호산과 팽덕희가 각각 김일성, 모택동에게 숙청당한 일..... 아, 근데 이승만과 박정희도 지네들 정치적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는 전쟁앵웅 백선엽과 채명신을 외국 대사로 추방하듯 보내버렸으니 딱히 비난할 자격이 없는 건가...
@bk2111
@bk2111 15 күн бұрын
38선 이북에 있었던 설악산이라도 되찾은것을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war-history
@war-history 15 күн бұрын
밴 플리트 장군의 공이 컸습니다. 사실 밴 플리트 장군은 금강산까지도 차지할 계획을 세웠지만 미군 지휘부에서는 끝내 그 계획을 거절했습니다. kzbin.info/www/bejne/iGmzh52heJ2mjqM (휴전 이전에 금강산을 탈환하라!)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11 күн бұрын
차라리 개성쪽을 되찾았어야~~
@user-nw7jp3yl9g
@user-nw7jp3yl9g 10 күн бұрын
​@@user-by9xj7cg2uㅇㅈ 맞는 말씀이십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지금 러우전쟁 상태가 저 37도선 근처까지 후퇴했을 때랑 비슷하죠 ㅠ 우크라이나는 새로 얻은 땅 하나 없이 다 빼앗기기만 했는데 여기서 휴전하면 돈바스를 비롯한 남동부 일대의 요충지들과 크림반도를 다 러시아가 갖게 되고 오데사 동쪽 해안선이 없어져 항구도 줄어들고 준 내륙국으로 전락하게 되죠.
@jaehoonjun1278
@jaehoonjun1278 8 күн бұрын
❤😂😂😂❤ 진짜 역사를 바로 알아야합니다.한국 미국 영국유엔은 동맹입니다..북 중러는 적이 확실합니다.
@Anti_gay_taiwanese
@Anti_gay_taiwanese 5 күн бұрын
장애인 발견!
@Anti_gay_taiwanese
@Anti_gay_taiwanese 5 күн бұрын
정보 : 트럼프에 관련된 뉴스 하나만 보고 오셈
@Anti_gay_taiwanese
@Anti_gay_taiwanese 5 күн бұрын
또 영국 전범국은 왜넣노태우??
@colt7057
@colt7057 24 күн бұрын
에치슨라인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된 에치슨이 의외로 현명한 인물이었군요
@war-history
@war-history 24 күн бұрын
애치슨 선언으로 애치슨은 미국 내에서도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애치슨 선언은 사실 한반도가 아니라 대만을 타겟으로 놓은 발언이었습니다. 미국이 대만을 포기하는 인상을 줌으로써 중국에 유화 제스처를 보내 중국과 소련을 갈라놓기 위한 대전략의 일환에서 나온 말이었습니다. 그 와중에 한반도가 곁다리로 들어간 것일 뿐입니다. 그는 예일대를 졸업하고 하버드 로스쿨까지 나온 굉장히 머리가 좋은 인물입니다.
@beyondthehorizon7651
@beyondthehorizon7651 22 күн бұрын
​​​@@war-history애치슨은 봉쇄전략을 처음 마련한 이였지만 군축을 정당화하고 전선 축소를 주장해(그 결과는 한국전쟁의 발발, 국공내전에서 빨강이 승리) 매카시스트들한테 개같이 까이고 이후 미국의 전략은 덜레스의 도미노이론, 대량보복으로 바뀌게 되죠.
@glentv1797
@glentv1797 25 күн бұрын
수도권.강원도를 빼앗겼다면 대구나. 부산이 수도였겠네요. 그래도 저들이 공산정권을 유지하는 한 지금과 별로 다르지 않았을 겁니다. 우리가 발전한건 민족의 역량보다는 우수한 지도자와 자유민주주의체제. 미국의 지원이 크다고 본다면 영토가 좀 더 작은 대한민국이 되었겠네요.
@ank48668
@ank48668 13 күн бұрын
한국 입장에서 애치슨이 나쁜 놈(?)이죠. 잘못하면 국공 내전과 똑같이 제주도로 추방돼서 대만🇹🇼처럼 될 뻔 했죠.
@warsepick4621
@warsepick4621 18 күн бұрын
모선생의 훌륭한 업적은 이후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으로 화려하게 꽃피우게 되지요. 중공이 다시 그런 지도자를 받아들여야 할텐데.
@user-os1sl9nm9m
@user-os1sl9nm9m 9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정말 천년의 적이다!! 마오쩌둥 님 어서 중국에 제 2차 문화혁명 좀 제발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저 1.4후퇴하고 37도선까지 밀려났을 때 모택동이 휴전제의를 수락했다면 정말 휴전선은 아산만-충주-삼척 선으로 그어졌을 겁니다 ㅜ 그럼 대한민국은 수도 서울은 물론 경기도와 강원도 (삼척 일부 제외)를 다 북한에게 빼앗기고 한반도의 30%만 겨우 가지게 되어 명분으로도 북괴에게 밀리고 군사적,지리적으로도 훨씬 불리해졌을 겁니다. 삼남지방만 가지고 경제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것이 실제보다 훨씬 어려웠을 것이며 아니면 그 중간에 북한에게 적화통일되었을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북한은 서울을 수도로 삼아 자신이 정통 한국이라고 세계에 내세웠을 것이고요
@war-history
@war-history 24 күн бұрын
이 컨텐츠에서 말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1951년 1월에 휴전협상이 시작되었다면 현재 영역에서 협상이 시작되고 고지전으로 들어갔을텐데 그러면 거의 전선 변화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나마 불과 5개월 사이에 밴 플리트 장군의 화력전 등으로 조금이나마 밀고 올라간 것이 지금의 휴전선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war-history 그리고 4월에 일어난 중공군 5차 공세 때 서울이 세번째로 다시 함락될 대위기에 처했는데 밴 플리트 장군의 뛰어난 전술로 서울이 재함락되는 걸 막은 게 신의 한수였습니다. 이 때 서울이 정말 다시 공산군에게 넘어갔으면 한강 일대에서 전선이 고착화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습니다. 그럼 한강이북 서울과 경기북부, 강원 중북부는 다 북한 영토로 넘어갔습니다
@aweless6
@aweless6 22 күн бұрын
그때 중공은 당연히 휴전거부하지...
@jgd824
@jgd824 11 күн бұрын
에치슨 라인 그어버린 에치슨 때문에 6.25터진거 보면 에치슨 저ㅅㄲ가 모든 원흉이자 웬수중 한명
@user-lv4ml9pi2n
@user-lv4ml9pi2n 11 күн бұрын
힘없는 우리와 그런 약한나라를 침공한 북한을 욕해야지 왜 에치슨을 욕함? 미국이 한국에 갚아야할게 있는것도 아니고
@user-oy2dv4ee7p
@user-oy2dv4ee7p 10 күн бұрын
​@@user-lv4ml9pi2n 지들이 분단시켜놓고 나몰라라 하는게 정상?
@user-iy4mt6we4e
@user-iy4mt6we4e 10 күн бұрын
에치슨은 아니에요. 에치슨라인은 "이 선 밖에 있는 나라에선 일단은 나가있겠지만 뭔 일 생기면 바로 달려오겠다"는 의미였지 "이 선 밖에 있는 나라들은 버린다"는 의미가 아니었는데 김일성이 후자로 착각한겁니다.
@user-gj9bf5nr8o
@user-gj9bf5nr8o 10 күн бұрын
@@user-oy2dv4ee7p소련 미국
@user-gj9bf5nr8o
@user-gj9bf5nr8o 10 күн бұрын
@@user-oy2dv4ee7p소련군한테 다 먹히는거보다는 분단이 나음
@Patrick-tn3ll
@Patrick-tn3ll 25 күн бұрын
진짜 영국은 제국주의 시절(산업혁명)이후, 유럽에서나 중동에서나, 아시아에서나 얍삽한 외교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비열한 나라...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25 күн бұрын
그럴수밖에 없죠. 섬 하나로 전세계를 지배해야 하니.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24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영국이 설마리 전투 등에서 얼마나 열심히 자국 젊은이들 희생해 가면서 중공군 저지한 거 생각하면 영국 마냥 나쁘게 볼 수 없다고 봅니다 ㅜ
@wlcjfgh121
@wlcjfgh121 24 күн бұрын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제공도 영국이지. 양복입은 신사?
@user-js8bs8rh7s
@user-js8bs8rh7s 16 күн бұрын
또 영국 이야 세계사 문제 대부분 정답
@chalsepark476
@chalsepark476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마오쩌둥은 반도의 호구였구나 ㅎ
@sfk1031
@sfk1031 25 күн бұрын
전쟁나면 외국인들이 한국통일 지원해줄꺼라고 우리는 남의 나라 개입하면 안된다고 윽박지르지 평소에 밥사주는거 먹던 애가 왜 밥사냐고 윽박지르고 나만 잘살면 그만이라는데 왜도와줄까? 외국에 소문 다 났다던데 체불하고 추방한다고
@dolgum826
@dolgum826 24 күн бұрын
돼버린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8 күн бұрын
미국아 ... 20만명 사상자 감수하고 진군 했었어야지 ... 그럼 한국은 일본 자민당 처럼 친미정당이 독점했었을꺼야 ... 미래적으로 보면 가치 있는 건데 😢
@user-wo8px5op7t
@user-wo8px5op7t 7 күн бұрын
왜 도와줘도 뭐라하냐 빨갱이냐 닌 북한가라
@krj8731
@krj8731 5 күн бұрын
20만명이 무슨 옆집 개 이름이냐? 20만명 중 한명 한명이 귀하디 귀한 누군가의 아들이자 아버지인데 지도자로서 충분히 고민하는게 당연한 거다
@user-ys3yc6uo1l
@user-ys3yc6uo1l 4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이미 쥐었고 동북아 최빈국 아프리카 수준이면 다행인 나라인데 그걸 구하자고 사상자 20만을 생기는건 상당히 끔찍한 고민임. 우리가 그토록 욕하는 단군 욕, 왜 이딴 땅에 자리 잡았냐 하는 지정학적 위치가 남한을 미군이 구하게 해서 탄생시킴.
@SAlNTLAURENT
@SAlNTLAURENT Күн бұрын
​@@user-ys3yc6uo1l왜이리 짱깨 옹호하는 댓글들이 늘어나냐
@kdwni03
@kdwni03 25 күн бұрын
왜 한반도에서 기회를 날려버릴까요?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25 күн бұрын
2차대전 끝난지 얼마안돼 발생한 국제전이기도 했고 한국에 그닥 관심이 없었던
@kdwni03
@kdwni03 25 күн бұрын
@@user-sanaekochiya 하긴 자기들 알빠 아니니까
@user-kdg3hsjab8n
@user-kdg3hsjab8n 11 күн бұрын
나름 재밌을 것같은데 수도권이 없는 한국.. 아마 수도는 부산 대구 중심에 삼남지방으로 균형발전이 이루어졌을수도 삼남지역만 있어도 북한을 막는건 문제없음
@user-id4qd3lg1z
@user-id4qd3lg1z 10 күн бұрын
아니죠. 휴전선이 저기 그어지면 개발 가능한 땅이 훨씬 줄어드는데요.^^; 충청도 절반은 개발 불가일 듯.
@SM02_
@SM02_ 3 күн бұрын
참 개븅신 같은 생각이네 ㅋㅋㅋㅋㅋㅋㅋ
@SAlNTLAURENT
@SAlNTLAURENT Күн бұрын
​@@SM02_경상도 도갤충임 저새끼
@user-bq7wz2ql2n
@user-bq7wz2ql2n 25 күн бұрын
서울과 수도권 밀렸더라도 아산만 ~ 죽령축선으로 버텨볼만하다 마치 고구려 전성기 때 백제와 신라처럼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서울과 수도권을 잃은 상태에서 휴전 협상이 이뤄진다면 휴전이 되도 한국에 무슨 미래가 있겠습니까? 이 컨텐츠에서 말하는 부분은 바로 그 부분입니다. 하지만 마오쩌둥은 이기고 있었기에 미군이 한반도와 대만을 포기하면 협상에 응하겠다고 큰 소리칩니다만 다시는 미군을 이길 수 없었습니다. 지금의 휴전선은 그래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rlatjdgh42
@rlatjdgh42 25 күн бұрын
@@war-historyㄹㅇ방어가 문제가 아니라 미래가 없네
@user-kz1sv1lv8e
@user-kz1sv1lv8e 28 күн бұрын
바다사자 작전이 성공했으면 영국은 저딴말 안했을텐데 ㅋㅋ
@war-history
@war-history 28 күн бұрын
한국으로선 불운하게도 1950년 당시 영국은 노동당이 정권을 잡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노동당의 애틀리 수상이 상당히 친중국적인 인물이었습니다. 자국이 직접 군대를 파병한 전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게 한사코 제한전을 해야 한다고 압박이 대단했다고 합니다. 미국이 핵폭탄을 사용하지 못한 가장 큰 원인도 애틀리 수상 때문이었습니다.
@user-sy9kf9kc7l
@user-sy9kf9kc7l 25 күн бұрын
그래서,영국은 우리에게 도움이 안되는 것입니다!지금도 마찬가지고!!
@user-ky6pn9cn6d
@user-ky6pn9cn6d 25 күн бұрын
​@@war-history더욱이 애틀리 수상이 내세운 외무장관 배빈이 돌연 아랍측을 지지하면서 유대인측과 등을 돌리게 되면서 중동전쟁의 또다른 원인이 되었죠.
@war-history
@war-history 25 күн бұрын
@@user-sy9kf9kc7l 예전에 들은 말이 생각납니다. 영국은 언제나 이기는 편에 붙는다. 그래서 영국이다.
@user-sy9kf9kc7l
@user-sy9kf9kc7l 25 күн бұрын
@@war-history 지금도 우리나라의 K9A2을 구매하겠다고 말하다 결국 선택한게 독일 라인메탈의 RCH155를 구매해서 그게 우리의 입장에선 물을 먹은건데 영국의 입장에선 우리를 강대국으로 본게 아니라 약소국으로 아직까지 보고 있죠!!정말 영국이라면 이가 갈립니다!
@user-gs8zh4hb5l
@user-gs8zh4hb5l 5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압록강에 핵만셨어도 ....
@user-pr2oi8ob1k
@user-pr2oi8ob1k 24 күн бұрын
예슈샬롬 부정선거 특검하라 주예슈하나님 샬롬 한국 이스라엘 퐈이팅 핵점령 우주점령 오직 막강한 자주 국방력뿐 핵없는 국가는 진정한 자주 독립국가가 아니다 미중러의 영원한 식민국이다 샬롬
@user-bf9dk3mg1c
@user-bf9dk3mg1c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수도권이 공산화? 호남으로 바꿔줄껄 그랬다.
@user-xm6hz6oz6m
@user-xm6hz6oz6m 13 күн бұрын
호남이 임란때 6.25때 호남국군이 정말열심나라지켰지 ! 대구가원래더이상한동네아닌가
@user-fb2hz1dc3c
@user-fb2hz1dc3c 25 күн бұрын
돼버린 되버린 어느 게 맞을까? 응?
@ighybrid
@ighybrid 25 күн бұрын
개버린
@user-hl5sx1ht7m
@user-hl5sx1ht7m 25 күн бұрын
울버린ㅋㅋ
@user-ks9gl2gx4n
@user-ks9gl2gx4n 24 күн бұрын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 것은 하나님의 역사라고밖엔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승만대통령의 절대적 기도때문이죠.
@user-ml7gj1fi3q
@user-ml7gj1fi3q 12 күн бұрын
전쟁터지고 도망다니면서 이기고 있다고 뻥치면서 졸라 기도 했나보네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11 күн бұрын
으이구 지겨운 개.독들..이승만부터..ㅠ
@user-iy4mt6we4e
@user-iy4mt6we4e 10 күн бұрын
알라후 아크바르!
@user-xk5tq3cm5f
@user-xk5tq3cm5f 25 күн бұрын
한반도는 남중국(현재 타이완)때문에 휴전으로 갈리고 또는 유럽과아메리카때문에 휴전되였다 한반도를 노리는 나라가 너무 많아서다 조만간에 🇷🇺가🇨🇳이랑하여 한반도2차남북전쟁으로하여 🇺🇸이 패하여 한반도는 하나가되여 제2의 🇻🇳으로 살것입니다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21 күн бұрын
아무도 믿지 마라. 미국 영국 중국 러시아 모두 유엔연합 국가다. 남북한 우리 피해자다
@grant70000
@grant70000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인인가? 미국, 영국이 북한을 돕는 러시아와 중국에 대항해 우리와 싸워주지 않았다면 우린 지금 김정은 치하에서 살고 있겠지.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64 МЛН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6 МЛН
6.25전쟁, 유엔군이 최초로 결성된 이유/한국전쟁9
12:48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418 М.
가장 치열했던 고지전, 백마고지의 혈전과 영웅
18:50
우크라이나 전쟁 총정리 [원인부터 최신전황까지]
22:18
써에이스쇼 sirace show
Рет қаралды 302 М.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