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까지 치고 들어온 ‘폐교 도미노’...인구절벽 문제에 직면한 대한민국 / 14F

  Рет қаралды 517,501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Жыл бұрын

둘리의 고향에 있는 서울 도봉 고등학교가 2024년 2월, 인근 학교로 통폐합되면서 문을 닫기로 했습니다. 학생이 없어서 사라지는 학교, 이제는 지방 소도시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게 된 건 데요. 서울 지역의 일반계 고교가 폐교하는 것은 현재의 학제가 확립된 1950년대 초 이후 이번이 처음있는 일입니다. 무서운 속도로 사라지고 있는 학교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도봉고 #폐교 #인구감소

Пікірлер: 2 400
@opgg
@opgg Жыл бұрын
출생률이 늘려면 국가 정책도 필요하겠지만 영상에 나왔듯이 직장내 인식부터 필수로 개선이 되어야할 것 같은데 참 어렵겠네요
@warnnie
@warnnie Жыл бұрын
기업은 돈으로 기계와 AI로 대체할 거라서 인구가 줄어드는 건 신경쓰지 않음.
@messi-nk9bl
@messi-nk9bl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인구감소로 소멸될거 북한과 전쟁 한번 일으키자
@orrot__
@orrot__ Жыл бұрын
육아휴직 하고 돌아오면 의도적인 불이익과 인사조치를 당하는 곳이니 뭐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Жыл бұрын
뿐만 아니라 결혼에 대한 어른들과 남자 여자들의 인식도 싹 바껴야해요.. 이혼 시 무조건적으로 여자에게 유리한 위자료 및 재산분할로 인한 고의적 이혼테크도..
@joda1223
@joda122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의 특성상 업무의 정형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업무의 정형화가 되지 않는 한 직장내에서 육아 휴가에 대한 인식은 개선은 불가능합니다. 아마도 업무를 해 보시지 않은 것 같네요. 님도 육아 휴직으로 인한 추가 업무로 고생하시면 비슷한 반응을 보이실 겁니다. 인식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의 문제입니다.,
@user-lp1oz3vl4f
@user-lp1oz3vl4f Жыл бұрын
어디든 사람귀한줄 알아야 한다 전부터 사람알기를 우습게 여겼으니 지금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거다
@elliotjay4074
@elliotjay4074 Жыл бұрын
언제는 귀한줄 알고는 있었냐 ㅋㅋ 사람알기를 우습게 안여겼다고 큰소리 치는 양반들이 이태원 사건을 일으켜 ㅋㅋㅋ
@user-lu3sc4il2z
@user-lu3sc4il2z Жыл бұрын
@@elliotjay4074 양반도 종류가 있잖아요..ㅋㅋㅋ 기업가들은 양반이니 당연히 사람 귀할줄 알아야하고.. 공무원 나으리들은 나으리니까 좀 깨끗하게 살아야하고...ㅋㅋ 서로의 본질적 가치가 조금 다릅니다ㅋㅋ
@Role_playing_comment
@Role_playing_comment Жыл бұрын
우습게 여겼으니 베이비붐세대가 태어난 것임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Жыл бұрын
@@elliotjay4074 이태원사고가 왜나와 뻘갱아
@user-yi7ob9vl4u
@user-yi7ob9vl4u Жыл бұрын
노동착취 오지게해서 거기 일하러 안간다니까 국민의힘당정부에서 외국인노동자 대려오는게 해법이라는데 해결되겠음? ㅋㅋㅋ
@beenpoiuy7160
@beenpoiuy7160 Жыл бұрын
출산 휴가나 육아휴직 쓰고 복직했더니 몇시간 거리의 지방지점으로 발령내고있는게 현실인데 뭐 일자리냐 자식이냐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하는데 아직 멀었어요 우리나라는 ㅠㅠ
@user-bo7dt4zg1k
@user-bo7dt4zg1k Жыл бұрын
출산 육아 휴직 동안에 대체인력이 보충 됐다면 회사 입장에서도 복직자를 기존 부서로 재복직 시키기에는 다소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겠죠 최소 6개월에서 1년간 발생한 업무 공백이 전체 업무에 지장이 생길수도 있구요 그동안 일해오던 직원이 복직으로 인해 인사이동 및 퇴사를 하게 된다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길수가 있기에 회사로서는 효율적 판단으로 내린 조치일수도 있다는게 제 뇌피셜 입니다
@user-nc6cw3yv2x
@user-nc6cw3yv2x Жыл бұрын
@@user-bo7dt4zg1k 효율적인 판단이어서 지금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mikewazowski9556
@mikewazowski9556 Жыл бұрын
@@user-bo7dt4zg1k 너같은 생각을 가진사람때문에 출산율이 떨어지는것이다.
@user-cy5np9mp5g
@user-cy5np9mp5g Жыл бұрын
이미 초등학교는 겪었고 이게 중등을 거쳐 대학까지 올라온거죠. 그간 준비할 시간이 충분했는데도 아무런 대책 없이 현재에 온거.
@messi-nk9bl
@messi-nk9bl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인구감소로 소멸될거 북한과 전쟁 한번 일으키자
@hernankim8476
@hernankim8476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 부터 기득권까지 부동산놀음에 빠져서 주택은 건듷지 말았어야 했는데.... 주택만큼은 친서민 정책및 평등하고 공평하고 아주 제한적으로. 신혼부부에게만 우선권이 가게끔 만들어야지. 의식주 중에 주거가 해결되어야 맘이 놓이고 , 애키우는데 집중가능할것이야. 그다음은 사교육문제인데........ 해결
@colly08
@colly08 Жыл бұрын
근데 유치원은 왜맨날 대기타야하나용? 자리가 보통 없던데요
@user-ok1ph1jt4p
@user-ok1ph1jt4p Жыл бұрын
@@colly08 그전에 사람없다고 막줄여서 그래요 이제 초등학교 중학교 대학교 고등학교 다 그꼴남
@hernankim8476
@hernankim8476 Жыл бұрын
@@user-af6sr5qt7r 대기업에의한 낙수효과를 옹호하는 입장이긴 하지만, 그 낙수가 제대로 되는지 감시가 안됨. 안타까움. 맨날 하청 협력업체들 쪼아서 본인들 배부르기에 바쁨
@hyukk43
@hyukk43 Жыл бұрын
20년전 전교생 3000명이던 초등학교 모교가 지금 300명밖에 안된다는걸 보고 진짜 인구문제가 심각해졌다는걸 깨달았네요. 시에서 가장 큰 초등학교가 이정도인데 다른데는 얼마나 더 심할지...
@user-np8qu6ep3w
@user-np8qu6ep3w Жыл бұрын
난 없어짐
@jejek790
@jejek790 Жыл бұрын
@지구테스트서버관리 지금 처럼 가면 그렇죠 ㅋㅋㅋ 슬슬 대비하고 조금식 고쳐나가야죠 ㅎㅎㅎㅎ
@hyukk43
@hyukk43 Жыл бұрын
@@jejek790 지금부터 시작해도 늦은감이 있는데 지금 정치인들 나라 반으로 갈라치기하고 우리는 무조건 옳고 너희는 전부 틀렸어하는 꼬라지보면 앞으로 10-20년 안에 제대로 된 정책이 나올까싶긴하네요. 적어도 정치인들 한두세대는 지나야 물갈이가 되면서 논의할듯...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강남 학군은 멀쩡하니 걱정 안해도 됨.
@user-id4zd6os1w
@user-id4zd6os1w Жыл бұрын
30년전 4000명 가까이되던 학교 지금보니 560명이네 ㄷㄷㄷ
@Hellofirepunch
@Hellofirepunch Жыл бұрын
대학교는 일부가 없어지는게 맞습니다. 너무 무분별하게 지어서 이름없는 지방대는 사실 교수들, 임직원들 돈잔치하는 철밥통이고 학생들은 4년간 의미없는 학비만 바치는데.. 대학교비리 장난아닙니다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 Жыл бұрын
저혼자 살아가기도 힘들어요 근데 자식이 있다면 이고통을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는 않네요
@jael6898
@jael6898 Жыл бұрын
생각 있는 사람이라면 얘는 낳고 싶어도 애기를 위해서라도 안 낳고 말지
@gmvisck
@gmvisck Жыл бұрын
여자들이 노는데 맛들이면 애 안낳음...
@MM-qv6bt
@MM-qv6bt 8 ай бұрын
뭔 말이야 이게
@user-ge6ot1nl9t
@user-ge6ot1nl9t Жыл бұрын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일반고에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도봉고가 인구부족으로 폐교한다는 것도 맞는 사실입니다만 학생들 사이에서 도봉고는 좀 노는 애들이 가는 학교,산이 바로 옆에 있어서 등굣길도 힘들다 등등 인식이 별로 좋지않아 지망에 써서 가는 학생들은 없고 다 다른학교 썼다가 떨어진 학생들입니다 도봉고 근처에 학교도 3개나 있고…굳이 쓸 이유가 없는거 같아서….
@unnamed6590
@unnamed6590 Жыл бұрын
원래 이런 뉴스는 정확한 진단 안하고 끼워맞춰서 사회에 큰 문제 있는 거처럼 얘기함 본인처럼 사정 잘 아는 사람 아니면 그런 줄 알고 따봉 날려주거든요 내용도 보면 사라질만 해서 사라지는게 뭐 엄청난 사회문제인양, 그리고 그걸 국비로 해결하라는 식으로 얘기하잖음
@user-kc1ql3yr6d
@user-kc1ql3yr6d Жыл бұрын
원래 뉴스란게 뻥카 적당히 보태야 소비가 되는거라 이해하시길. 출산률 낮은게 팩트기도 하고 뭐.
@yougguroo
@yougguroo Жыл бұрын
고등학고가 뺑뺑이된지 언젠데 노는애들이 간다는 소릴..ㅡㅡ 학생수 작고 도봉산 밑에 있긴 하지만 노는애들은 어느학교에나 있어요 이십년전 이야길 하시네
@user-nw1cl5bs2m
@user-nw1cl5bs2m Жыл бұрын
@@yougguroo 누가 고등학교 뺑뺑이래요...??
@yougguroo
@yougguroo Жыл бұрын
@@user-nw1cl5bs2m 고교 평준화정책 모르세요? 자사고 특목고 제외 일반고는 지망순위 뺑뺑이입니다 거주지 주소기준으로요 중학교 내신 거지같아도 명문 일반고 가는거고 내신 좋아도 구석진데 가는거예요
@user-mv6fu3wc5p
@user-mv6fu3wc5p Жыл бұрын
도봉고는 원래 작년에 통폐합이 추진됐다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반대해서 엎어졌죠 그래서 지금 들어온 신입생들은 1학기동안 45명이서 내신 경쟁을 했다고 해요 물론 학교가 사라지는 건 아쉽고 서러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그냥 유지하는 건 재정 문제를 떠나 대부분 억지로 들어올 신입생애게 너무 잔인한 일 아닐까 생각합니다
@oxenee
@oxenee Жыл бұрын
45명이서 경쟁하면 친구가 아니라 경쟁자라고 생각하겠네 ㄷㄷ
@fockemejdod3054
@fockemejdod3054 Жыл бұрын
45명이면 반 2개에서 싸우는거네 ㅋㅋㅋㅋㅋㅋ 요격 잘못맞으면 1등급은 가볍게 날라가고 2등급도 삭제될 수 있겠네 ㄷㄷ
@user-mv6fu3wc5p
@user-mv6fu3wc5p Жыл бұрын
@@oxenee 1학년은 그나마 나았죠 1학기 하고 전부 전학 갔으니까… 지금 2학년은 60명 조금 넘는 인원에 선택과목까지 여러 개로 나눠져서 경쟁하고 있어요…
@g.2004
@g.2004 Жыл бұрын
우리 언제까지 내신 경쟁 시키냐.... 애 안낳아야지 ㅈㄴ 힘들었다
@gru-boy
@gru-boy Жыл бұрын
@@oxenee ㅐㅐ ㅐㅓ ㅐ
@user-ym5gp7od4u
@user-ym5gp7od4u Жыл бұрын
출생률 문제에는.. 회사가 수도권에 너무 몰려있기 때문에 거기에 인구가 몰려 있고.. 이미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오를대로 올랐기 때문에 아무리 맞벌이를 해도 육아를 할 경제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가 풀리지 않은 이상 이런 문제는 풀리지 않을 거예요;;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hdjjdsjensn
@hdjjdsjensn Жыл бұрын
ㅇㅈㅋㅋ 애매하게 경기남부로 내리질 않나 하여간 정치인들이 문제임ㅋㅋ 내릴꺼면 전라도 경상도 이렇게 내려야 되는데
@kyungminlee3388
@kyungminlee3388 Жыл бұрын
뭐 예전엔 수도권 집중 아니었음 ???
@songcamp99
@songcamp99 Жыл бұрын
이런 상황인데도 부모들은 세상 돌아가는거 안보고 자식보고 대학가는게 답이라고 아직도 말함. 지금 중고 고등학생쯤 되는애들이 제일 딜레마임ㅠㅠ
@user-dn5xx7fj9e
@user-dn5xx7fj9e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대학을 왜 가냐? 자기가 생각해도 불확실하거든 ㅋㅋㅋ 자기가 어릴때부터 어느 분야에 재능이 있으면 오히려 대학을 가서 더 깊게 파겠지 대학과정 필요없는 분야는 기술은 기능사 노가다 급 아니면 유튜브, 스트리머, 영상쪽, 프로그래머 근데 애초에 프로그래밍쪽에 재능이 있었으면 명문대 컴공을 가겠지 ㅋㅋ
@skk4517
@skk4517 Жыл бұрын
본인이 하고싶은거도 없고 잘하는 것도 없으면 대학가는게 답이 되는건 맞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만 유독 그런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Жыл бұрын
대학도 안가고 뭐하려고??
@user-dq9rg6vy9t
@user-dq9rg6vy9t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의 지역 분산화가 절실합니다.. 수도권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집값도 너무 비쌉니다. 그리고 기업들의 육아휴직보복도 법적으로 처벌이 강력해야 출산율이 올라가지.. 이대로는 안됩니다.
@youngryu7450
@youngryu7450 Жыл бұрын
그러면서 니도 수도권살고있자너 집값타령한거보니 ㅉㅉ
@Catpiecatpie
@Catpiecatpie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많은 대학이 경기권으로 내려감
@user-ut7fz6ki8f
@user-ut7fz6ki8f Жыл бұрын
개돼지들은 의견을 내면 수렴하고 토의를 해야니 맨날 '그럼 니가 가라' 이 지랄 ㅋㅋ 이런 개돼지들하고 뭔 대화를 하냐
@user-dq9rg6vy9t
@user-dq9rg6vy9t Жыл бұрын
@@youngryu7450 집 값타령이 아니라.... 집있어..ㅉㅉㅉ 이런 글단다고 난 집없다고 생각하는 니가 루저지...안스럽다 너의 막힌 사고방식.. 수준을 알것다.
@youngryu7450
@youngryu7450 Жыл бұрын
@@user-dq9rg6vy9t 미안 나 호주시민권자
@Tivec123
@Tivec123 Жыл бұрын
출생률도 결국엔 사회에서 자신이 아이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가져야 하는데...
@user-fx1jn1mm2i
@user-fx1jn1mm2i Жыл бұрын
환경 좋아져도 인식이 안바뀌면 출생률 안늘어남 우리나란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여성인식이 좀 변태처럼 되어버림
@user-ry2tn8qj3b
@user-ry2tn8qj3b Жыл бұрын
환경은 핑계일뿐 옛날에는 환경도 안 좋은데 왜 10명씩 낳냐
@gnsdl116
@gnsdl116 Жыл бұрын
​@@user-ry2tn8qj3b 그 환경이 근로 소득이나 기술 발전이라기보단 애를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함 예전에는 대가족과 마을 단위 공동체가 잘 작동했기 떄문에 애기를 낳으면 마을 어른이나 할머니, 큰 아버지, 사촌 형 등 부모가 항상 곁에 없어도 애를 지켜주고 양육해줄 시스템이 존재했었음 하지만 지금은 대가족과 마을 단위 공동체가 해체되었기 때문에 부모가 보지 않으면 어린이집같은 보육 시설 밖에 없음 그리고 거주지 같은 부분도 크지 집값이 너무 비싸서, 설사 애를 낳았다고해도 전세가 떄문에 이사해야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니까
@user-mi7py4zb7n
@user-mi7py4zb7n Жыл бұрын
@@user-ry2tn8qj3b 옛날이랑 지금이랑 비교를 왜해요 ㅋㅋㅋㅋ 수준차이가 ㅈㄴ나는데
@ccs2299
@ccs2299 Жыл бұрын
@@user-ry2tn8qj3b 당장 자식생각만 해봐도 답이 나올텐데.. 제일 큰게 취업률, 비정상적인 한국 교육제도지.
@user-pr7ky6xb4o
@user-pr7ky6xb4o Жыл бұрын
임신해서 입덧때매 하던업무를 동료들이 나눠서했는데 그중엔 걱정해주는 사람도 있었지만 책임감 쓰레기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더라고요 그한두사람 때문에 임신 출산 육아가 너무 힘든 대한민국이되는것같아요
@martinaston9233
@martinaston9233 Жыл бұрын
얼른 육아휴식을 하고 대체인력을 뽑든거 해야지 그건 회사 문제죠
@user-wg6je5qn1d
@user-wg6je5qn1d Жыл бұрын
ㅇㅇ 그건 회사문제맞음 축하는 해주되 내일과는 무관한건데 그분때문에 업무가 늘어났다면 저라도 빡칠듯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의 본질은 청년이고.. 육아는 그 이후 문제일뿐.. 전제를 해결하지 않고 후제에 접근하는 멍청한 방식이지..
@jadenkim4826
@jadenkim4826 Жыл бұрын
ㅆㅂ 댓글들 외국한번도 안가본 자존심만 ㅈ나 높은 한국인들 밖에 없네 ㅈ나 쪽팔린다 한국사람들은 언제쯤 자기자신을 내려놓는법을 배울까.... 걍 인정하고 바뀌어야 된다는거좀 인정하면 안돼? 니들 자존심이 이 나라보다 더 중요해? BB세대 꼰대들아 정신좀 차리라고 시야를 넓히라고 예예 저 까는 악플 ㅈ나 달아도 되니까 좀 제발
@otisphilips1011
@otisphilips1011 Жыл бұрын
껄껄 댓글들 달린 거 보니깐 결국 통 안에 다른 가재들이 올라가는 가재를 끌어내리는 거였구만 ㅋㅋㅋㅋ 현실은 민폐 끼치기 싫다고 아이 안 낳은 니들 DNA만 도태되는 거구연 ㅋㅋㅋㅋ
@user-cw8br8bf2b
@user-cw8br8bf2b Жыл бұрын
모교 검색해보니깐 대학 포기자들도 많드라구요.. 이전에는 남들가니깐 나도가야지 였는데 요즘친구들은 꼭 필요한게아니면 안가는것같아요
@user-rv7pv4gg7l
@user-rv7pv4gg7l Жыл бұрын
같이 일하는 여자팀장님이 월급 받으면 애기 학원비, 아이 봐주는 어머니께 월급겸용돈 주면 남는게 없다고.... 혼자 살래 ㅠ..
@user-ng8zk7hb1e
@user-ng8zk7hb1e Жыл бұрын
학윈비랑 용돈을 줄여야죠, 남는게 없으면
@user-mx8rg3qb1w
@user-mx8rg3qb1w Жыл бұрын
홀벌이에 애둘은 자폭이예요 수입이 괜찮으면 괜찮겠죠.. 근데 애키우는데 진짜 돈덩이예요
@user-tr8ie8ub7c
@user-tr8ie8ub7c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사교육비.. 차라리 그돈 모아서 자녀 성인되면 그돈으로 알아서 제테크해서 결혼 하라고해야지.. 공부할놈은 안시켜도 하고 안할놈은 시켜도 안함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Жыл бұрын
@@user-tr8ie8ub7c 옆에서 애기들이 너는 왜 학원안다녀 라고 이상한애취급할텐데 애기 기가 살겠냐 집에와서 나도학원갈래 조를텐데 사회적 문제 의식자체가 막혔다고 그거 뭐어쩌겠어 사람욕심은 끝이없어 부모마음은 애가 뭐라도해서 이름나길 바라는거임
@skk4517
@skk4517 Жыл бұрын
@@user-tr8ie8ub7c 시대가 달라졌습니다. 옛날이나 애들 공부 안하면 놀이터나 동네애들 만나서 뛰어다니며 놀았지, 지금은 학원 다니는거 자체가 노는겁니다. 애들 학원 안다니먄 놀 친구도 없는게 현실에요. 방에서 게임하거나, 방 밖으로 나가서 학원. 지금 구조자체가 그럴수밖에 없어요. 공부? 공부 학원보다 운동, 예체능, 취미 같은 모든걸 학원에서 합니다.
@Dexar215
@Dexar215 Жыл бұрын
내가 다니던 서울에 ㅎ 초등학교는 내가 다니기 몇년 전까지만 해도 6개 반이 있었는데 2개 반으로 줄어들더니 내가 5학년이 됐을때(9년 전) 이미 1학년이 10명 조금 넘어서 1개 반으로 줄었더군요. 아직 그 학교 오케스트라 영상 올라오던걸로 보아 살던 동네가 재개발 되면서 다시 학생이 많아져 폐교는 안 된 것 같긴한데 당시 충격이 컸고, 이러다 우리 학교 진짜 폐교 되는거 아니냐고 친구랑 대화하던게 생각나네요
@user-sf9nv7vh5o
@user-sf9nv7vh5o Жыл бұрын
전직장의 어느 대리님 출산직전까지 일하고,, 출산하고 3일만에 일했어요 애도 안나아본 제가봐도 대단했어요. 대기업이야 출산휴가가 있겠지만 작은 회사의 경우 출산휴가 조차도 안되는 경우가 많죠.. 법적으로 제도화가 되어도 형식적인 곳도 있겠죠
@hallawkim7245
@hallawkim7245 Жыл бұрын
출산직전까지일하는 건 상관없죠 많은 사람들이 출산 직전까지 일 합니다 출산후에 산전후 휴가를 써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게 더 나으니까 그리고 법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는 걸 찿아 먹지 못하는 건 자기 탓이지 뭘 어째요 최소한 숟가락을 만들어 손에 쥐어줬으면 지 입으로 넣는 건 지가 해야 합니다. 물론 회사가 지 입으로 넣는 걸 막는다면 법에 호소를 해야 하고 뭔가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결국 지 입으로 넣는 거 조차 하지 않는 그런 소극적인 사람은 밥 못먹어 배고픈 걸 지가 감당하는 겁니다.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하지 않는다"는 게 로마시대 이후 지금까지의 법의 태도입니다. 그리고 이건 대단한 게 아니라 대가리가 단단할 정도로 멍청한 겁니다. 멍청한 사람이 때로는 우직한 것처럼 보이지만 진실은 멍청한 거죠
@otisphilips1011
@otisphilips1011 Жыл бұрын
@@hallawkim7245 그 우직한 사람들이 손해 보는 게 너무 힘들어서 사회 구성원 낳기를 포기하고 너한테 까지 피해가 갈텐데 그럼 너가 멍청한 거 아닐까? 남의 멍청함까지 계산에 넣지 못한 너의 멍청함 말이야
@user-of4ln9tb8l
@user-of4ln9tb8l Жыл бұрын
@@hallawkim7245 참 하기쉬운말이지. 회사에 일을 법에 호소해야 한다느니.
@hallawkim7245
@hallawkim7245 Жыл бұрын
@@user-of4ln9tb8l 법에 호소하기도 힘들죠(자기가 직접 하기 힘드니 노무사, 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도 받아야 하니 우선 자기 돈 들어가기도 하고) 그런데 회사가 미리미리 알아서 고치던가 직원이 이의를 제기했을 때 고치던가 하지 않았을 때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게 법에 호소하는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쳐지지 않아요. 회사 일을 법에 호소하기 쉽지 않다고 가만히 있을 거면 그냥 지금처럼 대우 받으면서 다니면 됩니다. 대신 회사일을 해결해 주지도 않을 엉뚱한 데서 징징거리면 안되는 거죠 징징거릴 시간에 법에 호소하던가 젖 안줘도 울지도 않은데 젖 줄 거 같아요? 가장 가까운 엄마도 애가 울지 않으면 배고푼 줄 모르는 데, 하물며 부려먹는 데만 관심이 있는 사장이 가만히 있는 데 밥숟가락 떠 먹여줄 거 같아요? 다시 말하지만 권리 위에 잠자는 자의 권리는 아무도 챙겨주지 않아요
@MDY1472
@MDY1472 Жыл бұрын
올해 19살인 학생입니다. 올해 제가 다니던 초등학교가 폐교됬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제가 다니던 중학교도 학년당 많아야 6명 남짓인데 곧 폐교 될거같네요. 근데 수도권에는 사람들이 너무 과부화돼서 압사참사가 일어나고.. 빈부격차만이 문제가 아니라 인구격차가 너무 심한거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대한민국이 대단히 잘못되어 가고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Meow-ny6hg
@Meow-ny6hg Жыл бұрын
인구분산 안됨-> 서울에만 인구 몰림-> 사람 많으니까 경쟁치열, 집값 등 살기 퍽퍽함 -> 그래서 서울 사람들 애 안낳음, 지방에는 사람 자체가 없어서 소멸 + 그리고 자신의 삶을 더 즐기려는 기조가 강한 mz세대들, 맞벌이가 다수인데 육아시설 부족, 경단녀문제 -> 점차 출산 더 기피. 이게 악순환이라고 봅니다
@user-nu3mc6nx6c
@user-nu3mc6nx6c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도미노 처럼 다 영향 가고 있음 지금
@MUGUI012
@MUGUI012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대기업 본사는 지방으로 이전시키고, 지방에 있는 공장을 서울로 이전시켜서 지역별로 널리 퍼뜨리면 악순환은 사라지죠... 그런 법안을 안만드는게 문제지만!
@user-zx8tj2ie7w
@user-zx8tj2ie7w Жыл бұрын
교육부터 기업 사회제도 복지제도 교육자들 경영자들 정치인년놈들까지 아직까지도 개도국 인식마냥 인적자원 개처럼 취급하니 망한 겁니다. 이거 개선할 방법은 다 뜯어고치는 건데 경제가 이미 휘청거리는 데 그런 여력이 이제 남았으려나 모르겠네요
@user-er3pq4en1k
@user-er3pq4en1k Жыл бұрын
ㄹㅇ;; 나 경기도 지방 사는 고딩인데 애들이 여기서 다 빨리 나갈라고함 ㅋㅋㅋㅋ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bca5927
@bca5927 Жыл бұрын
주변사는데 도봉고 전부터 노는애들 가는 학교로 소문이 자자했음. 인원도적고 3년전에도 도봉고붙었다하면 우는 애들 많았음.. 인구감소문제도있지만 이런 부분도 적용됐을듯
@user-ti6ut9nj5v
@user-ti6ut9nj5v Жыл бұрын
서울용문중..1학년전교생..50명 미만ㅜㅜ 소중한 학창시절 추억도...옛말입니다.
@user-ri1cm6lv5t
@user-ri1cm6lv5t Жыл бұрын
이런현상 인구절벽은 어떤수를 쓰더라도 해결할수없는문제이고 지금부터라도 인구절벽에대비에 국가차원에서 후휴증 최소하기위해 심혈을 기울여야한다ㆍ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ncdwrdph
@ncdwrdph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땅덩이에 인구가 너무 많은건 맞는데... 애초에 적었던게 아니라 이렇게 많았다가 확 적어지면 연금, 국방, 노인부양, 생산성 등등에서 진짜 나라가 골로갈텐데 20대로서 너무 미래가 걱정된다 침몰하는 배에서 가만히 기다리는 느낌
@user-pl1lt1tm8k
@user-pl1lt1tm8k Жыл бұрын
지방가면 안 사용하는 땅 많음 수도권이랑 서울에만 집중하고 있어서 그렇지 그런 곳을 이용하면 혜택도 더 주고 시설도 좋게 만들면 인구 분산 저절로 되면서 인구 많다고 느끼지 않을거임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폭력적이고 이기적인 86세대가 50대가 될 때까지 철 들지 않았으니 당연한 결과. 좋은 일자리란 일자리는 다 움켜쥐고 놓지 않으려 정치권력을 동원해 노동법을 바꿔 절대 자신들을 해고하지 못하게 함. 앞에서 똥차가 빠지질 않으니 모든 도로가 꽉 막히고 사람들은 새 차를 살 엄두를 못 냄.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이제 와서는 저 86세대들도 조만간 하나둘씩 노인빈곤, 고독사로 댓가를 받을 가능성이 크죠.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제대로 알았으면 좋겠네여. 이전에는 모든 직원들이 다 정직원이어서 법적으로 해고 자체가 까다로왔어요. imf전후로 탄력고용제나 파견직에 대한 법이 새로 만들어지고 악용되어 인건비를 깍고 계약 중단이라는 이름으로 쉽게 해고되게 바뀐거죠. 노동시장 유연화를 위한 법은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법이고 노동계가 반발을 하긴 했지만 소용이 없었죠. 누가 누구의 이익을 위해 법을 만들거나 변경했는지 정확히 알고 이야기하세요.
@user-jf5vw9rk5t
@user-jf5vw9rk5t Жыл бұрын
@@user-pl1lt1tm8k 이미 하고 있습니다 대기업도 내려 보내보고 공기업도 내려보내봤는데 큰 효과가 없었습니다 입사하고 1~2년 안에 이직한답니다 대기업 공기업도 가서 큰 효과 못보는데 중견기업들이 가고 싶어 할가요? 결국 일자리에 맞는 여가시설과 교통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야 사람들이 갑니다 서울에 모든게 과분할 정도로 넘치는데 굳이 갈 이유가 없죠 일자리+문화시설+교통시설 거기다 상징성까지 사람몰리는 명문 대학이 가는것도 한 방법인데 절대 반대하니 뭐... 수도 이전이라도 했으면 좀 나아졌을텐데 관습헌법이라는 엘리트 판사들이 좋은 판결 내려서 무산되고... 그냥 나라가 가라 앉아야죠
@theWiseRiver
@theWiseRiver Жыл бұрын
산업재해, 노동시간, 노인빈곤율, 자살률 만 봐도 우리나라에서 버티고 산다는게 그리 쉽지만은 않다는걸 알 수 있지. 애 낳을 여유가 나올 구멍이 없음.
@tigerropegymm6613
@tigerropegymm6613 Жыл бұрын
바뀌어야 하는건 시민 학생이 아니라 지도자들부터지...
@user-gb7to8dz6n
@user-gb7to8dz6n Жыл бұрын
서울,경기에 집중된 각종 기업, 인프라를 전국팔도로 분배할 필요가 있다고본다. 서울로 갈수밖에 없는 시스템을 만들어놓고 서울가서 살면 집값, 물가 등등 사회초년생들이 살기엔 버거우니 결혼도 연애도 다 포기하지..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blanc_de_soo
@blanc_de_soo Жыл бұрын
결혼과 출산을 하기 위한 사회가 만들어져야하는데, 맞벌이 벗어나기 힘든데, 육아를 할 수가 없다 ㅠㅠ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남자도 능력안되면 결혼하면안됨.. 최소한 남자혼자 벌어서 아이 대학졸업까지 학비내줄정도는 되야함
@user-hu2ev8ju1x
@user-hu2ev8ju1x Жыл бұрын
@@greenmonster769 원래 남자는 능력 안되면 결혼은 물론이고 연애도 못해요 도태남 이라는 말이 뭐 괜히 나왔겠어요
@jdk2320
@jdk2320 Жыл бұрын
고물가 시대에 결혼 후 집장만 자녀 양육비용 학원비 등록금 등등 암울한 청년 현실...
@molem6766
@molem6766 Жыл бұрын
수도집중인 사회를 먼저 정리해야 할꺼같고 이민자도 한동안은 받아들여서 국가가 유지될 힘도 길러야 하는것도 맞는거 같다. 회사는 사람을 고용하는거 라는 인식을 당연히 가져야 하고. 너무 여태 안일했다. 서울 기업다니면서 6년 살다가 개인사업 하면서 고향으로 내려왔는데 솔찍히 돈만 아니였으면 지방에 자기고향에 남고싶은 사람 생각보다 많습니다. 하는 일은 같은데 받는 금액은 반토막 수준인데 어쩔수없는 선택으로 수도권 가지만 거기서도 집세며 온갖 공과금등으로 나가는돈 때문에 모이는 돈은 없고 답답했습니다. 사람도 결국 동물이라 생활과 환경이 안정되면 2세 생각 들수있는데 지금은 내몸하나 건사하기 힘드니 자식 생각이 들까요?
@user-sc9nz3rk5o
@user-sc9nz3rk5o Жыл бұрын
본캐 키울때 행복해야 부캐를 키우지 않을까 기술은 발전했는데 대부분 기업의 복지가 시대에 따라 바뀐 건 없어보임
@user-cobaltblue
@user-cobaltblue Жыл бұрын
출산장려한다는 놈들이 난임가정 시술비 지원하는거만 봐도 성의가없지 소득제한 걸어놓고 횟수제한 걸어놓고 요즘은 초혼연령이 늦어져서 다들 노산이고 난임이 많은데 소득제한 걸어놓고 횟수제한 걸어버리니 지원받지도 못하고 수백만원씩 쓴다 그리고 지역에 가보면 소아과도 없다 여기 지역광역시인데 밤에 아이가 열나서 응급실 갈려고 했는데 주변 응급실에 소아과의사 없다고 받아주는데가 없다 딱 3군데 있더라 2곳은 대학병원, 한곳은 종합병원급 근데 애 낳으라고?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그런 건 누구 돈으로 할 건데? 거지 주제에 바라는 건 많노.
@user-lg3rt7qg2j
@user-lg3rt7qg2j Жыл бұрын
소득제한이랑 횟수제한도 걸어놔요?? ㅇㅁㅇ.. 아이 어떻게해..ㅜㅠㅠ 지원이 정말 시급하네요..ㅜㅠㅠㅠㅠㅠㅠ
@user-sp5zi8nx3r
@user-sp5zi8nx3r Жыл бұрын
진짜 학생 수 엄청 준건 맞는것같음 지금 고삼인데 우리학년은 작년보다 한 반이 줄었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더 줄다가 내년 모집인원은 144명이라는 이야기 듣고 개놀램....우리가 214였는데...
@user-uw7nt9sk7m
@user-uw7nt9sk7m Жыл бұрын
우리학교는 왜 갈수록 학생이 늘어나지
@sangkk315
@sangkk315 Жыл бұрын
라떼는 한학년에 오백명... 지금 서른초반인데 거의 삼분의일 토막났네요...
@user-aaa95
@user-aaa95 Жыл бұрын
@@sangkk315 ㄹㅇ..저도 30댄데 고딩때 우리학년 500명 넘어서 15학급 있었어요 그게 10여년 전인데 그 사이에 절반 넘게 줄었다니ㄷㄷ
@lucks768
@lucks768 Жыл бұрын
@@user-uw7nt9sk7m 저희도 올해 들어서 두세 반은 증가... 내년에는 더 는다는데, 왜 저흰 거꾸로 갈까요...?
@user-rr6kn9jo8t
@user-rr6kn9jo8t Жыл бұрын
@@user-uw7nt9sk7m 어딜까요?
@rlaehduq9606
@rlaehduq9606 Жыл бұрын
이제와서 상황을 돌리기란 무리가 있어보이네요. 저출산의 원인이 너무 다양해서 극단적인 해프닝이 발생하지 않는 한 변화하지 않을 겁니다.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user-yj7fl2ys4t
@user-yj7fl2ys4t Жыл бұрын
직장에서 몇년전만 해도 7시에 마쳤는데 그때는 미혼 다른분들은 일 늦게 마치고 애들 케어하시는 분들 대단하다 생각든다 살림도 살아야 되고 애들도 봐야지 어이쿠..지금은 5시에 퇴근 미혼인데도 집에오면 쓰러지는데 좀 쉬었다가 씻으면 6시 밥먹고 좀 앉아있으면 자야될 시간ㅜㅜ 요즘은 5시에 마쳐도 힘든데 어떻게 결혼하라 하는지 정말 알수가 없다
@yjc4364
@yjc4364 Жыл бұрын
지역 거점 국립대 졸업했는데 요즘애들 수시 정시 입시결과 한번 봤는데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음.. 내 입학당시 성적이면 어느학과든 골라가고도 한참남음
@user-ub5zg6sg5u
@user-ub5zg6sg5u Жыл бұрын
저도... 전 전문대 출신이라서 원래 좀 낮았지만 저때는 기계과 수시 최저가 4.5였는데 지금은 9...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user-it3zl9tn7h
@user-it3zl9tn7h Жыл бұрын
물가는 치솟고 올라가는 대출금리에 허덕이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결국 돈이 문제지 대부분 자기생활이 안정적이지 않다 인식하며 살아가고 있는게 크지않을까요?
@user-sp1jm2hd1f
@user-sp1jm2hd1f Жыл бұрын
지역균형발전을 진작에 해야되는데 후... 지금이라도 할수있는한 했으면 좋겠네요..
@cogbrain2479
@cogbrain2479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이 문제가 점점 발화되네요. 2015년도부터 kbs다큐 ebs다큐 등에서 온갖 학자들과 위원들, 각종 연구들로 인구문제가 꾸준히 위험하다고 했는데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순간을 넘긴 것 같습니다. 변곡점은 2013~2015년이였던 것 같아요. 일본만큼만 잘 넘겼으면 좋겠어요. 일본은 출산율 1을 잘 방어했는데도 저러는 거거든요.. 우리는 외국인 출산 제외하면 0.5도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Ovoena
@Ovoena Жыл бұрын
욕먹을각오하고 쓰는 숨겨진 저출산이유(뻔한 집값,경제적문제 등 얘기 다 빼고) 1.남자 강제징병문제. 월급 10 만원, 20만원 주면서 2년가까이 강제징병을 너무 오랫동안 해버림. 하다못해 전역할때 천만원씩 주고 격려하면서 전역시켰어야됐는데, 남자를 아주그냥 노ye 취급해버림. 이제 결혼적령기가 된 남자들은 국가에 충성심도, 인생에 의욕도 없음. 2. 한국에서 사는건 너무 우울하고 피곤함. 밤10시, 11시까지 야자, 학원, 수험생활, 징병, 취직, 야근 등등 너무 지옥임. 거기다가 부모나 선생들도 학생을 갈구기는 또 얼마나 심하게 갈구는지. 넌 이래서 별로야. 저래서별로야 하면서 가스라이팅은 ㅈㄴ 심함. 항상 욕먹고 괴롭힘당하고, 고쳐야할점만 항상 들음. 넌 이게 문제야, 저게문제야. 항상 부정적임. 행복한얘기, 칭찬, 즐거운얘기가 거의없음.(가정에서도 마찬가지. 아이를 갈구는게 좋은교육이라고 생각함. 아이는 짜증만 늘고, 표정은 굳어감.) 한국인들은 행복하게 사는게 어떤개념인지를 모름. 외국 나가보면, 노래연주하고 춤추고 환호하면서 웃고 떠들고 즐길줄아는데, 한국인들은 뻘쭘하게 서있거나 눈치만 봄. 그런데 가오잡는건 세계1등. 3. 한국은 너무 깝깝한국가임. 비교질도 너무심하고. 키, 얼굴, 나이, 직장, 얼굴크기, 어깨넓이, 연봉, 집안재산, 남편월급 등등 모든걸 비교하고 저울질하고 울고불고 난리쳐야 적성이 풀리는 비교패티쉬국가. 본질적으로 말하자면, 한국은 소시오패스들한테 너무 휘둘리는 국가임. 그러다보니, 수많은 평범한사람들이 상처를 받고, 나라가 살기가 너무힘들어지고- 어느 학교를 가던, 대학을 가던, 군대, 직장 어디든간에 " 사람, 인간관계" 때문에 스트레스받게되는거임. 미국같으면 진작에 뚜들겨맞았을 소시오패스들이, 한국에선 온갖야비한 행동과 화려한 언변, 정치기술로 사람을 휘두르고있으니- 문제는 심각해지는것이다. 우리나라는 판사들부터가 소시오패스천국이라, 자력구제를 완전히 막아뒀지...
@user-cs7ml1no8l
@user-cs7ml1no8l Жыл бұрын
@@Ovoena 1. 맞음. 근데, 군인에 대한 존대가 없는건 보통 다 그럼. 우리나라만 그런건 아님... 영화 람보에서 보면 퇴역 군인들 자살하는거 못봤음? 그게 그냥 보편적 현실임. 전역할때 못해도 1000만원은 줘야 되는 건 동감함. 경제적 보상은 반드시 필요함. 2. 혹시 타임머신 타고 오셨는지? 야자는 진작에 없어지고 오히려 교권이 떨어져서 아이들이 자기 마음대로 하는 세상인데... 요즘은 반대임. 교권이 떨어지니 학부모랑 학생들이 큰소리치고, 교사는 별 말도 못하는 경우가 많음. 학교폭력이니 뭐니 해도 학폭자체가 쌍방인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가해자 애들만 신난 상황임. 대놓고 가해 해놓고 피해자 학생 고발하고 교사 고발하는 경우도 흔함. 아이들에게 권력을 주고 학부모를 민원인으로 취급하면 안 되는걸 여실히 보여줄 뿐임. 이건 그들에게 권력을 주고 표 눈치보는 누군가들의 잘못임. 3. 그건 어느 나라나 다 그럼. 미국 같으면? 미국에 더 싸이코 많음ㅋㅋㅋ 걍 사람 사는 곳 사이코패스는 어디에나 있고, 그게 우리나라라서 딱히 많은건 아님. 미국같으면 진작에 뚜드려맞긴 뭘 맞음. 똑같음. 문화는 다를 수 있어도 정치질, 야비함 같은건 다 똑같음. 사회생활에 대한 이러한 언급자체가 그냥 세상 물정 모르는 철없는 소리로만 들림. 뻔한 집값, 경제적 문제가 핵심인데 왜 뻅니까. 어디가서 이런 소리 하지 마세요. 일베냐고 묻습니다... 그런 분들 말 듣지마세요. 패배자들은 환경을 저주하는 법입니다.
@hellobixxhs
@hellobixxhs Жыл бұрын
@@Ovoena 판사가 소시오패스라는거 제외하고 다 맞는말같습니다 ㅋㅋ
@Ovoena
@Ovoena Жыл бұрын
@@user-cs7ml1no8l 야자를 하던세대가 애 낳을시기인데, 그것도 이해못하는거보면, 니 지능문제고- 딱 너같은애들이 소시오패스임.
@yunground
@yunground Жыл бұрын
@@Ovoena 아들~! 학원 늦겠다 얼른가!
@jja0615
@jja0615 Жыл бұрын
결혼하지니 돈이없고 출산하자니 돈이없고 애를낳아 그나마 한명이라도 키우자니 더 돈이없고... 그러다 싸우고 이혼하니 환경은 더 열악해지고 인구는 절벽으로 가고 이게 대한민국 현실입니다...
@user-vs3um3br9n
@user-vs3um3br9n Жыл бұрын
가난은 대물림 된다. 굳이 아이를 낳아 가난을 대물림 하기 싫다.
@user-wh2qo9eo3r
@user-wh2qo9eo3r Жыл бұрын
원래 낳을 생각도 없는 사람이 훨씬 많은 듯 해요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user-wh2qo9eo3r 라기엔 부자들은 지금도 잘낳는거 보면 못낳는 게 더 크죠.
@user-wh2qo9eo3r
@user-wh2qo9eo3r Жыл бұрын
@상윤 과연 그럴까요!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user-wh2qo9eo3r 소득분위별 출산율 구글링하면 고소득층 출산율은 1.2인가 그래요.
@user-wq8qk7jk6i
@user-wq8qk7jk6i Жыл бұрын
@@AZ8513 1.2도 0.7에 비교하면 높은거지 굉장히 낮은 수치 아닌가요?
@cogbrain2479
@cogbrain2479 Жыл бұрын
별개로 영상 내용과 구성 정말 좋네요!! 양질의 정보 잘 봤습니다
@user-oj4wq7cv5h
@user-oj4wq7cv5h Жыл бұрын
행복은 멀리있지않다... 존내 멀리있다.
@haeb0811
@haeb081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rts3985
@hrts3985 Жыл бұрын
와이프 취직하려니 자녀계획부터 물어봅디다 출산휴가쓰면 채용안하려고 ㅋㅋ 그리고 국가기관인 공단에서도 출산휴가쓰면 눈밖에나서 지방으로발령내버리는데 어떻게낳나요 사기업은 또 얼마나심할까요? 공무원빼고 직장인이라면 생존을위해 애를 낳을수가없죠 그리고 이런 악랄한 규칙을 만든게 486들인데 486들은 입으로는 요즘애들 애않낳는다~그러는게 제일웃김 ㅋㅋ
@user-kp2pu1zv5o
@user-kp2pu1zv5o Жыл бұрын
@상윤 586이나 486이나
@BCCho-tr3xu
@BCCho-tr3xu Жыл бұрын
아이 안 낳는다고 대책도 중요하지만 있는 젊은이들과 아이들이라도 지키자 뭔 개같은 행정의 부재로 떼죽음 시키지 말고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떼죽음 2번째인데 그것도 세월호 또래 애들이 또 당함
@NoEyeDear96
@NoEyeDear96 Жыл бұрын
ㄹㅇ 이태원이 행정의 부재로 일어난 사고라고 생각함? 진짜 시체팔이 끔찍하네
@user-lf4og9ct7r
@user-lf4og9ct7r Жыл бұрын
@@NoEyeDear96 ㅇㅇ맞아 신고도 몇번이나 들어가고 국가가 해야할 헌법의 의무도 안지켜서 행정이 손놓은게 맞아. 시체팔이라는 단어는 니 가족들한테나 언급하고 버르장머리 없는 놈아.
@user-lf4og9ct7r
@user-lf4og9ct7r Жыл бұрын
@유유 뭐래 틀딱아 그냥 조용히 가줘 그게 국가에 도움이 되는일이야.
@user-uk1ws6wg9i
@user-uk1ws6wg9i Жыл бұрын
@@NoEyeDear96 경찰의 부재가 행정력 미스지 ?
@jungheekang9419
@jungheekang9419 Жыл бұрын
출생률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태어난 아이들 잘살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용하지 않을까요? 이태원사고로 20대들 세상을 떠나고 초중고 아이들 외국으로 유학가고. 출생률만 높힌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user-uf1yy7eu3j
@user-uf1yy7eu3j Жыл бұрын
모든 국민이 인구학자나 재정담당 관료가 될 필요 없고 될수도 없다. 신생아가 줄어들고 있다면 현재 우리 사회가 적은 신생아를 가질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도 있다. 오히려 종전 세대가 지나치게 많이 낳아서 극심한 경쟁과 인명경시형 산재 등으로 많이 사망하는 끔찍한 구조를 가졌던 것이 제자리를 찾아가는게 아닐까.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 Жыл бұрын
이제부턴 대학교든 어디든 각개전투라고 생각해야함. 가만히 있어도 될거라는 생각은 버리는 게 맞지...
@user-pn8gv5ky2f
@user-pn8gv5ky2f Жыл бұрын
졸업했던 초등학교 가봤는데 한 학년에 반이 2~3개 있는 거 보고 깜놀...
@user-zp6sb1lg7p
@user-zp6sb1lg7p Жыл бұрын
와... 내가 꿈꾸던 교육 환경. 한학년에 10명 교사4명 3개반.. 우리땐 60명 15개반. 미친;;
@KAMI_00
@KAMI_00 Жыл бұрын
@@user-zp6sb1lg7p 제가 다니는 학교가 전국에서 가장 학생수 많은 일반고등학교인데 반이 13~14반인데 반당 평균 32명입니다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니던 학교는 영상의 학교 처럼 통폐합을 검토중 ㅋㅋㅋ
@messi-nk9bl
@messi-nk9bl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인구감소로 소멸될거 북한과 전쟁 한번 일으키자
@user-zp6sb1lg7p
@user-zp6sb1lg7p Жыл бұрын
@@KAMI_0030명 13개반이 넘는 곳이 있어요? 이야....^^.님에게 좋은 교육 조건인가요?
@sunpowerk
@sunpowerk Жыл бұрын
저는 90년대~2000년초까지 초중고 대구에서 나왔었어요 그때는 서울 뿐만아니라 직할시 광역시에 사람이 몰리던 끝물시기라 학교도 학생도 많았죠 지금은 반대로 서울부산대구 등 규모 있는 도시들은 인구가 줄고 들고 있네요 전통적으로 집,땅 비싸던 곳에서 상대적으로 싸왔던 인천,경기쪽으로 이동중이네요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user-fr4or1ut1j
@user-fr4or1ut1j Жыл бұрын
다 죽어가는 한국노인들과 불법체류 흑인, 동남아 외노자로 가득찬 미래🥳 그것이 미래의 한국입니다.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user-tw7ev8dv2o
@user-tw7ev8dv2o Жыл бұрын
뭐든지 희소해야 대우받음. 사람이 없어서 회사가 안 돌아가면 자연스럽게 회사의 입장이 바뀜
@greatmeerkat
@greatmeerkat Жыл бұрын
강남 8학군 출신자로서 나 초딩때는 한반에 최대 70명까지 있어봤다. 보통 50명은 넘었던것 같다. 그런데... 요즘은 신도시 아파트 지으면 무조건 학교는 들어가기 때문에 학교수에서 예전과 지금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나 꼬맹이때보다 지금이 총인구수가 더욱 많다는것만 봐도 단순히 인구가 줄어든다는것으로 현상황을 설명할게 아니라 과도하게 많이 지어진 학교수도 조절해야한다고 설명을 해주는게 맞다고 본다. 그리고 내가 사는 신도시엔 고등학교가 모자르다고 난리다.
@KHF0986
@KHF0986 Жыл бұрын
송도 인가보네
@user-bu9ku6zf1s
@user-bu9ku6zf1s Жыл бұрын
라떼도 한반에 50~60명이랬음 오전오후분반도했었고, 국민초중고 모두 반내 최소 인원45명이내 고1때 유학인원때문에 35명으로 한반에있어봤지만 확실히 적은게 쾌적하긴함ㅋㅋ
@buralthergran554
@buralthergran554 Жыл бұрын
동의한다
@VirginPride
@VirginPride Жыл бұрын
도봉고가 서울이라 하기에도
@user-oy2wq8jh2z
@user-oy2wq8jh2z Жыл бұрын
@@VirginPride 서울이던 아니던 고등학교 폐교는 50년 이후 첨이래잖아 ; 개소리할거면 댓글ㅊ쓰지마셈
@Thfdkiiygbgh
@Thfdkiiygbgh Жыл бұрын
적은곳은 너무적어서폐교하지만 많은곳은 또 과밀학급이라 모듈러로 학교건물 운동장에짓고 ᆢ 인구가 한곳에집중되어서그럼 이건아이를 낳고 안낳고가문제가아니라 수도권 중심으로 돌아가는거에 문제임
@user-cd3hq7up2m
@user-cd3hq7up2m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비해 학교가 없어지는게 아니라 많아졌던 학교가 줄어든 것이다...
@jse5217
@jse5217 Жыл бұрын
점점 더 거세지는 저출산... 지금은 학교, 직장, 군대 등에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지만 수년내에 부동산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겁니다.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Zman158
@Zman158 Жыл бұрын
노도강 쪽은 서울이라도 워낙 중심 일자리 접근성이나 그런게 좋지 않다보니 인서울 상징성 이외에는 갈수록 의미가 사라지는 듯... 어쨌든 서울 주소 안에서도 이제 외곽쪽은 갈수록 이런 상황들이 많아지는 것 같은데 하물며 지방 쪽은 앞으로... 뭐 일본도 도쿄 외곽쪽에 빈집이 즐비하듯이 이제는 시골이나 지방 낙후지역 만의 문제가 아니라 서울 도 갈수록 안쪽으로만 집중되어 갈 것 같네요. 이용할 사람 없는 인프라들이 버려지는 건 어쩔 수 없지만 훗날 여기저기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있을 폐가나 폐교 들을 생각하니 정서적으로도 더 음침한 느낌을 주고 우울감을 주는 풍경들이 펼쳐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Divine_Intervention796
@Divine_Intervention796 Жыл бұрын
노원은 학군지인데요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mmyou-ky6sj
@mmyou-ky6sj Жыл бұрын
한국에 육아휴직은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들에게만 허용되는 제도인듯 중소기업이나 인원이 적은 회사면 육아휴직이 곧 퇴사랑 비슷하고 남자도 육아휴직 그런건 생각조차 해보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coldboricha
@coldboricha Жыл бұрын
세상이 요지경인데 새로운 인간을 어찌 데려오겠습니까..
@user-js2dk6nz5f
@user-js2dk6nz5f Жыл бұрын
청소년은 앞으로 학교가 아니라 내가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 보여줄 준비가 돼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미래에 보탬에 되는 방향으로 국가의 방향이 정해져야 한다. 무엇보다 일순위는 학생의 밝은 미래가 되야한다.
@skypink3828
@skypink3828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시작이 아니라 어린이집 유치원부터 타격먹은게 재작년부터 좀 확실해졌는데... 재작년도만해도 어린이집 5군데중 한두군데는 문 닫았고... 애들 4명 5명 데리고 운영하다가 참다참다 작년에 문닫은 곳도 수두룩... 어린이집 유치원 문 닫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이제 대학교... 인구는 계속 감소중이고 미래는 안그려지는...
@myway2506
@myway2506 Жыл бұрын
미래는 대한민국 망함
@soboru4160
@soboru4160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을 못내린다면 사람들이 서울에 살지 않아도될 이유를 줘야하죠. 출근이 필요없는 사무직업군은 모두 재택으로 강제로 돌려야 합니다. 지방은 집값이 낮으니 주거가 어느정도 해결되겠죠 그리고 사람들이 점점 지방으로 내려가면 상권이 살아날거예요.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hyznloco4641
@hyznloco4641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 폭락하면 경제 자체가 무너집니다...
@soccer3912
@soccer3912 Жыл бұрын
ㄴ 그거 살리려다가 국가가 없어지는데요. 국가가 없어지는데 경제가 무슨필요할까요
@TV-yc6ig
@TV-yc6ig Жыл бұрын
폭락안하면 출산이 힘들어집니다
@ssong9727
@ssong9727 Жыл бұрын
@@hyznloco4641 실례지만 근거가 뭔가요?
@user-ye5cm6ng2w
@user-ye5cm6ng2w Жыл бұрын
도봉고 폐교된 건 주변 중학생들한테 정말 천운 같은 소식 ㅠㅠㅠㅠㅠㅠ… 맨날 10명정도씩 납치해감… 그러면 주소 옮기면서까지 전학 가야 하고 선배들 자기들 도봉고 걸렸을 땐 펑펑 울었으면서 왜 폐교는 반대했는지…
@user-mk8fz3zs7g
@user-mk8fz3zs7g Жыл бұрын
저는 도봉고 옆에 사는 사람인데요 혹시 학생들이 도봉고를 기피하는 이유가 무엇이었나요? 등교길이 험한 것도 아니고 학교도 넓직하고 도봉산역에서 5분거리에 있고 버스정류장도 있어서 참 편한 것 같은데.,. (오히려 교통은 누원고가 더 애매한 느낌) 노는 애들이 많아서 그런건가요?
@user-ye5cm6ng2w
@user-ye5cm6ng2w Жыл бұрын
@@user-mk8fz3zs7g 도봉고 교통도 괜찮고 시설도 도봉구 내 학교에선 손 꼽을 정도로 좋다고 들었어요 근데 고등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입시에 불리한 점이 많아서요… 주변 주택 인프라가 없어서 학생수가 없으니 상대평가인 입시에서 많이 치명적입니다 개교한 이래로 서울대를 한 명도 보낸 적이 없다고 해요 반면 누원고는 교통이 애매해도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많기 때문에 학생수 유치가 되죠
@user-jg8hm8no7i
@user-jg8hm8no7i Жыл бұрын
인구 많아지면 그만큼 관리도 힘들어지고 줄어드는것도 나쁘지않다 인구수 고점. 현재 조정이 필요한시기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kaylee5717
@kaylee5717 Жыл бұрын
90,80대 부모를 돌보는 60대들이 은퇴하고 자식들의 도움을 받고 부모와 자식을 부양해야하는 50,40대들은 부모와 자식들에게 쪽쪽 빨리고 부모의 지원을 충분히 못받은 20,10대들은 징징짜는 중……
@miniz2723
@miniz2723 Жыл бұрын
지금 태어나는 애들이 미래에 짊어져야 하는 책임이 너무 많아질 것 같아서 굳이 출생을 늘리기보다는 그냥 줄어든 상태를 가정하고 개편을 하는게 더 나은 선택이 아닐까 싶기도 한데...... 좀 삐딱하게 보는 것일수도 있는데 지금 애들이 막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거 아니면 출생하는 애들은 저 많은 노인들 부양에 엄청난 비율의 세금 부담해야 하니까
@GOM_Bal_Ba_Dack
@GOM_Bal_Ba_Dack Жыл бұрын
내 어린시절 학교에 애들이 북적북적하고 운동회때 그 많은 아이들과 인파들.. 그런 풍경이 이제 점점 없어진다는게 슬프고 안타깝다..
@ccs2299
@ccs2299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저출산문제라고 하는 소리가 기억하기로는 거의 10년전쯤부터 나왔는데, 역대 정부들이 하나도 신경안쓰고 그냥 젊은이들이 이기적이라는 프레임만 씌워서 그냥 업보라고 생각한다.
@user-764qotttt
@user-764qotttt Жыл бұрын
그냥 냅두면 자연~스럽게~어떻게 새로운 사회가 되겠죠. 기대해봅니다~~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덮어놓고 낳아봐야 거지꼴을 못 면한다. 짐승도 둥지가 있어야 새끼를 깐다. 그동안 인간가치 껌값 취급해왔던 결과를 지금 받는 것일 뿐이다.
@C96_Wauser
@C96_Wauser Жыл бұрын
지당하신 말씀이십니다. 그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악으로 깡으로 버텨야죠.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C96_Wauser 감사합니다.
@DB-ix4sd
@DB-ix4sd Жыл бұрын
배우신분
@jbs7946
@jbs7946 Жыл бұрын
인류 역사에 있어서 엄청난 변화.... 먹고 살 만한 계층만 출산을 하고, 인구 고령화가 되면서 '청소년' '청년' 의 기준도 바뀌고....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Yangpa2
@Yangpa2 Жыл бұрын
5:31 이 부분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빈집에 세금이 부과되는게 아니라, 사람이 살든 자시든 고정자산세와 도시계획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되는데 "특정 빈집"(소위 말하는 폐가) 이라는 제대로 분류가 되면 기존 거주용 주거가 받던 세금 혜택을 못받게 되어서 세금이 뛰어오르는 것입니다.
@ruruku8219
@ruruku821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인구감소현상은 막을수 없는 단계임. 결국 근미래에 자연소멸할 나라.
@user-du8mc9yf5q
@user-du8mc9yf5q Жыл бұрын
보건복지부, 교육부 그리고 기획재정부까지 더 나아가 행안부, 국방부도 이 문제에 관해 관련 부처 간 검토 해야한다.
@Pinetree4405
@Pinetree4405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값 이 싸지면 다 해결될 문제인데, 국토부가 왜 빠졌죠?
@SLee-vh2jw
@SLee-vh2jw Жыл бұрын
@@Pinetree4405 절대 그렇게 간단하게 해결안돼ㅋㅋ집값도 문제지만 사회분위기가 많이 바뀌어서(특히 여성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져서) 해결하려면 정책방향을 당근에서 채찍으로 바꿔야함.
@SLee-vh2jw
@SLee-vh2jw Жыл бұрын
경기도한정 출신지원금있고 전 지구를 둘러봐도 우리나라만큼 어린이집 유치원서비스 활성화된곳이 없음. 다자녀가구에 주택청약 가산점도 들어가고 여성취업제한이 없으면서 육아휴직또한 잘 정비되있음(회사내 불이익받을시 법적대응가능) 다른 열강들에 비교해도 꿇리지않는 복지인프라가 구축됐는데도 안먹힌다는건 정책 방향이 틀렸다는거지. 일본처럼 유화정책으로 출산율이 1.4이상 나온다면 복지유지가 필요하고 아니라면 이스라엘처럼 자녀가 없는 37세미만 여성에게 군복무를 강제해야함. 더이상 우리나라는 잉여여성인구를 감당할수없음..강경하게 나가야되는데 표팔이 정치인들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있는중이고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user-uv2bj8rq3s
@user-uv2bj8rq3s Жыл бұрын
맞벌이 하면서 돈벌어야 하는 상황에 임신, 출산하면 공직이 아닌이상 직장에서 책상 빼는건 기본인데 누가 이런 불안정한 사회 구조에서 자기 커리어를 버리면서까지 아이를 낳으려고 할지 의문인데.
@user-yr8gl8sg2v
@user-yr8gl8sg2v Жыл бұрын
당장 부모님만 봐도 아이 두 명에 등골 휘는거 보이고 사회에 진출해도 내 몸 하나 건사하기 힘든 상황이라서 나 이외의 다른 생명까지 생각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질 것 같음. 내 집과 안정적인 직장만 보장되어도 출생률은 자연스럽게 올라갈 것이라 생각함.
@user-uv7rg7ru8k
@user-uv7rg7ru8k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없다는건 앞으로 사회에나와서일하는사람들이없어진다는거나마찬가지입니다 무섭네요 이 지경될때까지 밥그릇싸움한 정치인들이 전부 이민가거나 물갈이되지않는이상 답이없는듯합니다
@user-hv7ds2vl6o
@user-hv7ds2vl6o Жыл бұрын
이제부터 시작이죠 저도 국민학교 졸업당시 300명이였는데 지금은 57명 졸업이고 작년 입학생은 29명이였음 학년반도 줄어들고 학생도 줄어듬
@user-ue4me1np4k
@user-ue4me1np4k Жыл бұрын
타노스: 음 여기는 그냥 지나가도 되겠네
@user-kb2ov8dw8t
@user-kb2ov8dw8t Жыл бұрын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
@user-fo6cm7lz8v
@user-fo6cm7lz8v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jjjound2539
@jjjound2539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간만에 신선한 드립이었다 ㅋㅋㅋ 피식함 ㅋㅋㅋㅋ
@ori5581
@ori5581 Жыл бұрын
문노스 미만잡
@zamiwayo
@zamiwayo Жыл бұрын
너무 웃겨 ㅠㅠㅠㅋㅋㅋ
@kingtiger9405
@kingtiger9405 Жыл бұрын
이미 예견된 일들이었고 문제제기를 하거나 대책을 강구할 시기는 이미 지났죠.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기 때문에 이제는 앞으로 벌어질 일들을 받아들이고 감내할 마음의 준비를 할 때입니다.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인구 적은대로 분수에 맞게 살면 됩니다.
@user-pe4iz9ye8v
@user-pe4iz9ye8v Жыл бұрын
그건 내수가 잘 되어있는 나라구요 대한민국은 내수 ㅈ망인데 ㅋㅋ 나라의 근간을 흔듭니다
@user-jv3ru7pd4j
@user-jv3ru7pd4j Жыл бұрын
좋은 현상
@there2
@there2 Жыл бұрын
일본 욕하지만 일본은 우리보다 확실하게 선진국인게... 출산율이 낮아진다고 하더니 이제는 오히려 오르네... 우리나라는 도대체 언제 육아휴직 같은 제도 안봐주냐 얼른 무조건 육아휴직 2년 보장하는 법안 마련해야한다...그냥 이대로 봐주다가는 나라 망한다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거기다 현재 일본 출산률부터가 1프로대로 진입했답니다. 0.6프로를 바라보는(?) 코리아 주재에 어딜 감히 일본과 비교하러 들어??? 일본처럼 해주고 나서 일본과 비교하면 또 모르겠네 별....
@hhhhhd
@hhhhhd Жыл бұрын
@@user-vp6hl9yk3m 바교는 ㅆㅂ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Жыл бұрын
@@hhhhhd 다시 수정했수다.
@User-18saeki
@User-18saeki Жыл бұрын
님같은 국민 필요없으니 제발 이민가세요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일본을 무시하는 나라는 전세계에 한국과 북한밖에 없습니다 ㅋㅋ 중국조차도 일본한테 한한령같은 극단적인 보복을 한 적도 없어요 ㅋㅋㅋ
@ssaktoong
@ssaktoong Жыл бұрын
지금 초등학교 입학하는 세대들 사회 진출할때 같이 일하는 직장동료 태반이 외국인(이민자)로 채워지지 않으면 기업들 문닫음, 인구가 줄어서 취업인력이 줄면 쉽게 취업할꺼란 생각은 ㄴㄴ, 소위 경쟁력 있다는 회사들은 외국인을 뽑든 아예 해외 지사를 두던 하지, 사람 부족하다고 인재들의 퀄리티를 다운시키면서 까지 채우지 않음
@user-fk5pr4jn2h
@user-fk5pr4jn2h Жыл бұрын
그러지 않을껀 지금은 그래도 뽑을만한 인원이 나와서 그런거야 일본보면 그 인원조차 안나와서 진짜 대졸자들 찾아다니면서 뽑던데 해외충원도 가능한 정도를 벗어나면 그때부터 기업도 발에 불떨어짐
@user-yz7dm8db6i
@user-yz7dm8db6i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채워지는게한국이냐
@user-yz7dm8db6i
@user-yz7dm8db6i Жыл бұрын
외국인만있는한국이면한국없어져도됀다
@worktolive5885
@worktolive5885 Жыл бұрын
@@user-yz7dm8db6i 그런 생각이 문제인거임 미국도 앵글민족이 수가 1위가 아니잖아 그냥 우리도 이제부터 이민의 나라가 되어보는것도 나쁘지않지 오히려 발전할 기회임 이런 배타주의때문에 일제침략당한거임
@jejek790
@jejek790 Жыл бұрын
@@worktolive5885 근데 그 외국인이 우리나라보다 괜찮은 나라에서 온거면 상관 없는데 소위 말하는 후진국에서 온거면 너 친구들한테 똑같이하듯이 할 수 있어?
@user-iw4iz7zy4s
@user-iw4iz7zy4s Жыл бұрын
출산은 몸이 힘들고 양육은 몸과 맘 엄청 힘들다
@user-wn2lo2fg3c
@user-wn2lo2fg3c Жыл бұрын
이나라 살면서 행복한 적이 거의 없는데 애를 처낳겠냐고
@jihoonjung7527
@jihoonjung7527 Жыл бұрын
늘 새로운 대한민국이 기대됩니다!
@user-oe6wz6pd4g
@user-oe6wz6pd4g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직장에서 저정도의 이해를 바랄려면 40~50년은 지나야 할껄..
@user-zx8tj2ie7w
@user-zx8tj2ie7w Жыл бұрын
직장문화나 인식 교육자나 경영자도 죄다 개도국 수준 생각에 머무니 인적자원 개차반 취급하니 멸망 직행버스 탄 거
@koleanan1001
@koleanan1001 Жыл бұрын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면 피드백이 더 꼼꼼해져서 학습효과가 상승하고 감시도 쉬워져서 학교폭력도 감소합니다. 그리고 고용효과도 늘어나서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게 됩니다. 그래서 초중고는 학생수가 줄어들면 폐교시키기 보다 학급당 학생수를 대폭 감축시켜서 존치해야 합니다. 그래야 공교육이 살아납니다.
@71jq
@71jq Жыл бұрын
그대신 내긴따기가......
@user-kv1eg4sv2i
@user-kv1eg4sv2i Жыл бұрын
중학생부터 절대평가 상대평가 같이하면됨 이제 애들 몇명 안되니 학기 기말고사를 기초학력평가 이런것처럼 시 도별로 시행 혹은 전국평가로 등급제 중간고사 수행평가는 기존 학교에서 시행 학기 전체 내신은 학점제로 등급도 내신에 영향있으나 학점+등급 따로표기하면 됨 초등생은... 5-2학기 6학년 대상으로만 한정한다든지 중학교 올라가면 쓸데없는 아이큐검사 시키지말고...
@user-nc6cw3yv2x
@user-nc6cw3yv2x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하면 물론 좋겠지만 교사 수는 그대로니까 월급 즉 세금의 문제가 생기죠. 댓글님께서 말씀하신 이상적인 장점보다 세금 같은 현실적인 문제가 더 크니 학생수가 줄어듦에 따라 교사수도 줄이고 있는 겁니다. 슬픈 현실이죠ㅜㅜ. 윗사람이 세금 상관없이 교사수 절대 줄이지 말라고 하지 않는 이상 실현되기 어려울 듯 싶습니다...
@koleanan1001
@koleanan1001 Жыл бұрын
@@user-nc6cw3yv2x 세금문제는 본인도 공감하지만 사람밖에 자원이 없는 현실에서는 공교육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학생들이 훌륭한 인재로 성장해서 소득을 많이 벌어오면 그만큼 세수도 커버될 수 있다고 봅니다. 오히려 교육을 못받아서 저소득 계층으로 전락하는게 세수감소의 더 큰 위협으로 다가올겁니다.
@user-bw3sn9vb1v
@user-bw3sn9vb1v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법과 제도등 여러가지가 개선되지 않는이상 인구는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겠죠. 법이 가해자편인데 누구좋으라고 애를 낳는지.
@psychic3660
@psychic3660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살만한 원룸이라도 구할라면 전세 2억 청년대출은 8~1억이 맥시멈. 1억이 현금으로 있거나 다른 대출을 받거나 해야되는데 숨만 쉬어도 돈이 ㅈㄴ 나가고 내 목숨 하나 부지할만한 저축하기고 벅차다
@RG-qb8cz
@RG-qb8cz Жыл бұрын
여기는 강원도 태백인데요... 서울에 전세 2억이면 여기서는 자가로 약 2~3억짜리 좋은 아파트로 들어갈수가 있습니다... 문제는 일자리가 없다는게....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Жыл бұрын
왜 서울에 살려고함?? 살기 진짜 나쁜데
@RG-qb8cz
@RG-qb8cz Жыл бұрын
@@greenmonster769 지방보다 좋은니 서울에서 사는거죠....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Жыл бұрын
@@RG-qb8cz 태백은 당근안좋죠 지방신도시는 도시계획이잘되잇어 주변환경깨끗하고 건물들도 거의신축이라 살기완전쾌적함 서울원도심처럼 지저분 낙후되지도않고 교통체증적고 인프라잇을거다잇고 일자리도 많고 교외나가면 경치좋아서 힐링도되고 낚시도하고
@RG-qb8cz
@RG-qb8cz Жыл бұрын
@@greenmonster769 맞는말인데 왜이리 눈물이 ㅠㅜ
@user-yi9ei1mv5g
@user-yi9ei1mv5g Жыл бұрын
더 심해질듯 수원에서도 어린이집도 만세했고 대책을 세워야 막지 너무 늦었지만 저출산부터 막야야 살아남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maj46014
@maj46014 Жыл бұрын
"너 아니어도 일할 사람 많아!" 직장에서 보잘것 없는 권력 쥐고 있는 사람도 이런 사고방식으로 부하직원들을 부당하게 대우합니다. 인력의 소중함을 모르는 자들이 권력을 쥐고 있는 사회는 위태로울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썩은물들 때문에 신규인원들, 특히 청년들은 돈을 모으지 못하게 되고 당연히 결혼도 못하게 되니까요. 청춘들, 결혼 안하는게 아니라 못하는 겁니다.
@user-fs4vr4xr1p
@user-fs4vr4xr1p Жыл бұрын
참 희망적인 뉴스네요. 인구가 좀 더 줄어야 쾌적한 대한민국이 될 것 같습니다.
@user-ww3jm3fh6d
@user-ww3jm3fh6d Жыл бұрын
출산 문제부터 빨리 해결해야지 정부에서 자꾸 출산이 아니라 이민자 등을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가려고 한데 제발 그러지 말고 출산 문제를 해결해 주면 좋겠다
@user-kl2us4sr3v
@user-kl2us4sr3v Жыл бұрын
정부는 한국을 없애는게 목적입니다.
@wqw56462
@wqw56462 Жыл бұрын
불가능입니다. 지금 한국인 출산율을 높인다쳐도 출산율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요…한국의 인구문제 해결책은 이민자받는것 밖에 없습니다..이미 늦었어요..
@MUGUI012
@MUGUI012 Жыл бұрын
해결이 되는 방법이 없어서 그렇지 ㅋㅋㅋ 콧대 높으신 한남거리는 여성분들께서 과연 출산? 결혼조차 안할려고 하는데 ㅋㅋㅋㅋㅋ 이민자를 받는게 속편하죠
@user-euusorssss
@user-euusorssss Жыл бұрын
이미 지근 0.7명대인데 여기에서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들의 출산율을 뺀 순수 한국인의 출산율은 실질적으로 0.6명 후반대임...
@pancake024
@pancake024 Жыл бұрын
이민자도 받고 출산문제도 같이 해결하려해야할거 같아요. 당장 노동인력이 없는걸요
@user-fm1vn7nc5x
@user-fm1vn7nc5x Жыл бұрын
일본 : 출생아수 피크에서 1/3으로 쪼그라드는데 70년 걸림. 한국 : 출생아수 피크에서 1/4로 쪼그라드는데 50년 걸림
@RG-qb8cz
@RG-qb8cz Жыл бұрын
뭐든지 일본에게 질수 없는 상황인가요??
@user-mi3py5hg6l
@user-mi3py5hg6l Жыл бұрын
뭐든지 빠른 대한민국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Жыл бұрын
@@RG-qb8cz 네. 이제는 뭐든지 일본한테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반도체 수출이 좋으면 뭐하나요. 서민 경제에 하등 도움이 안되고 있죠. 한국의 자살률과 노인빈곤율은 이미 유명하고 국민연금 고갈과 노인부양비 폭등 등 암울한 통계만 주구장창 나와있어서 참 ㅋㅋㅋ
@user-ev9dj1fw6z
@user-ev9dj1fw6z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이 1명대에 근접하지도 않잖아 ??:하지만 빨랐죠
@Superpremium_parkway
@Superpremium_parkway Жыл бұрын
게다가 한국 출산율은 1.0이 되질않으니
@commi3205
@commi3205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이웃끼리 애도 봐주고 해서 어떻게든 육아와 업무의 병행이 가능했는데, 이젠 시스템이 그걸 뒷받침 해줘야지. 어린이집이 과연 일과 육아의 병행이 모자라간 함.
@user-nl1tr4qy9i
@user-nl1tr4qy9i Жыл бұрын
출산하는 여성의 부담을 줄이고 가정에 참여적인 남성들이 많아져야한다. 그리고 남성들은 그걸 어필해라. 그럼 된다. 돈만 번다고 가정이 돌아가는게 아니다. 아이와 정서적인 교감을 해야하는데 독박육아가 너무 심하다.
@Hedione90
@Hedione90 Жыл бұрын
산아제한정책은 진짜 신의 한수가 맞다 ㅋㅋㅋㅋ 완벽히 수행되었음 ㅋㅋㅋㅋㅋㅋㅋ
@Smile_77
@Smile_77 Жыл бұрын
하나만 낳아 잘기르자가 이런 후폭풍이 될질 당시는 알 수 없었겠지…아직 멜서스 이론을 가져와서 설명하던 시대이니.
@AZ8513
@AZ8513 Жыл бұрын
@@Smile_77 그거 안했으면 고령화 더 심했음
@worktolive5885
@worktolive5885 Жыл бұрын
@@Smile_77 그때는 산아제한이 맞는거임 인구많다고 능사가 아님 못사는나라에서 인구 많으니 오히려 발목잡는게 인도 이집트 태국같은 나라임 지금와서는 많이 낳아야하지만 산아제한시절엔 더 낳았으면 ㄹㅇ 헬임
@user-yx7qp2vt6f
@user-yx7qp2vt6f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왜 지금까지 되는데
@user-fz4jo6ry3n
@user-fz4jo6ry3n Жыл бұрын
응 이게 광복 이후 근 70여년간 지방 식민지화 하고 서울공화국 만든 결과야~ㅋㅋㅋ 지방 몰락할때 강 건너 불구경 하고 좋았지? 지방 소멸하면 다음은 블랙홀마냥 지방 빨아먹어서 버티던 서울 차롄거 모르고 있었누?ㅋㅋㅋㅋ 대한민국 멸망 가즈아~!!!
@yomogimusume
@yomogimusume Жыл бұрын
일본 유학생이었다가 자리잡아 결혼 출산 육아중인 사람입니다. 배우자도 외국인 유학생이었구요. 아는 얘기가 나와서 왠지 반갑네요.. 저희는 그냥 유학생 받아준대서 장학금 지원해서 갔었는데 배후에 외국인 유학생 30만명 유치..이런 얘기가 있는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아무튼 감사하면서 학교 생활 했습니다. (모든 게 장밋빛은 아니었다고 해도) 출산휴가도 썼었는데 기업에 따라서는 눈치보여서 쓰기 힘든 경우도 아직 많다고 들었습니다.
@azure397
@azure397 Жыл бұрын
앞으로 로봇자동화가 많은 부분 인력을 대체할 건데, 참......어려운 문제다.
@user-pl3bd8gf6i
@user-pl3bd8gf6i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의 체계 비교분석까지,,b 영상 유익하게 잘봤습니다 :)
'성인 절반은 캥거루족' 지금 한국의 저출산이 해결될 수 없는 이유
13:08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Рет қаралды 293 М.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 сосисочки! (Или корейская уличная еда?)
00:32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Тяжелые будни жены
00:4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