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요 ㅅ.ㅅ 우리춘란은 향이 없잖아요. 그러나 중국 춘란은 향이있고. 소위 서양란이라 불리는 야들도. 동양란도 모두 향이 있어요. 없는거는 없고요. ㅅ.ㅅ 호접란도 향이 없는줄 알지만. 향이 좋은것도 무지 많아요.
@southjava4 жыл бұрын
오리기널스베시에스난콫이 한국에 있어요
@말티푸모카짱6 жыл бұрын
화이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난초에 대한 잘못된 분류에 대해 이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OrchidStory6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제가 감사합니다.. ㅅ.ㅅ
@ТатьянаГерасименко-е8у4 жыл бұрын
Do you sell Oriental Orchids (Furan) to Ukraine? How is it possible to contact you?
@probegreen74395 жыл бұрын
※난초가 가장 종이 많다고 하나 국화과가 가장 많습니다 뭐 난초를 동양란 서양란이라고 분류하긴 하는데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생각하는것처럼 생각하지 않고 고대 동양애서 먼저 키워왔던 난초는 동양란 서양에서 먼저 키웠으면 서양란인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의 잔재라기보다는 중국.일본에서 수입하거나 한국에서 캤으니 이건 동양란 쟤네는 서양에서 육종해서 동남아쪽에서 오면 서양란 인듯합니다 (아님 그냥 수수하냐 화려하냐로..) 뭐 심비디움하고 춘란을 비교하면 크기가 심비디움이 압도적으로 크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비슷합니다
@OrchidStory5 жыл бұрын
난초는 원종만 2만5천이 넘습니다 국화과는 어느정도 일까요? 동양. 서양 어디가 먼저 키웠냐 보다는 일본 원예계가 영국왕립협회에 등록된것을 사양란이라고 봤는데. 영국왕립협회 등록품의 수많은 원종이 교배종이 사실은 아시아 즉 동양의 난초애요. 호접란은 명확히 아시아만 있는 난초지만 서양란으로 불리듯요. ㅅ.ㅅ 춘란도 심비디움 고링귀로 심비디움의 하나일 뿐입니다. 난장이 심비디움. 난초의 분류 동양란. 서양란에 관해서 조금더 알아 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probegreen74395 жыл бұрын
@@OrchidStory 국화과도 단순 원종만 3만2천종이 넘습니다 지금도 국화과하고 난초과하고 종 경쟁을 벌인다네요 상추.쑥.감국.해바라기.코스모스.백일홍.에델바이스.개똥풀?.씀바귀.민들레 같은 애들이 다 국화과라고 합니다 쥐라기 후반부터 존제한 목련 (magnolia)도 250종 정도인데 정말 대단한 식물인것 같습니다 식물학계에서 가장 진화과 많이된 식물은 난초과라고는 하지만 난초과 특성상 지생.착생란을 모두 포함하고서도 한반도 남해안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그 위로 올라오는게 쉽지 않고 춘란도 충남에서도 살짝 걸친 수준인지라 생존력은 역시 국화과인가 봅니다
@OrchidStory5 жыл бұрын
@@probegreen7439 국화가 어마어마한 대 식구네요.. 덕분에 국화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짐심으로 알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