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핵융합이 이런 거였어? f.인공태양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남용운 팀장)

  Рет қаралды 140,426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10 ай бұрын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Пікірлер: 120
@namse-back-account
@namse-back-account 10 ай бұрын
세상 진짜 좋아진듯.. 방구석에서 이런 석학들이 엄청 노력해서 쉽게 설명해주는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는게 ㅠㅠㅠ 감사합니다~
@shkim9043
@shkim9043 10 ай бұрын
그죠.. 모든것에 감사합니다
@user-wq9vd8zt4j
@user-wq9vd8zt4j 10 ай бұрын
하 맞습니다 대 공감합니다
@almondnut4764
@almondnut4764 10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티셔츠를 사서 응원합시다 ㅋㅋ
@jht6679
@jht6679 10 ай бұрын
핵융합 연료가 무한하다는것은 새빨간 거짓말이에요.. 삼중수소는 전세계에 고작 수십kg밖에 재고가 없고 Lithium-6 또한 중국이나 북괴만 소량의 자원이 있고 수소폭탄 제조용으로만 소량 채굴함. 각국 정부의 예산을 슈킹하는 핵융합 발전 카르텔..지난 수십년간 막대한 시민 혈세를 쳐먹었으니 이제 그만해라.. 기자들은 삼중수소와 Lithium-6의 현실에 대해 "영어"로 구글 검색을 하고 뉴스를 써야.. 핵융합발전은 연료 확보 곤란.. 기존의 핵분열 방식 기술 발전에 노력하면서 토륨을 원료로하는 핵분열방식을 개발해야..
@jht6679
@jht6679 10 ай бұрын
Lithium-6는 보통 리튬중 7%밖에 안되는 희귀한 물질.. 여기다 중성자를 쬐면 핵융합 핵심 원료인 삼중수소가 만들어지는데 이게 검증이 안된 기술..왜냐 이걸 잡아둘 용기가 중성자 조사에 견딜 내구성과 내열성이 있어야 되는데 아직까지 적합한 물질이 없음.. 일반 화력발전소 규모의 핵융합발전설비는 일년에 약 100kg의 삼중수소가 필요.. 현재 전세계 사용 가능한 삼중수소 재고는 20kg 정도로 추정.. 바닷물 속에도 금이 있는데, 바닷물에서는 1t당 약 72 mg(100만 톤당 약 6g)의 금이 들어 있다. 이걸 총량으로 환산시 약 2,700만 톤이라는 엄청난 양이 됨.. 바닷물에는 리튬-6가 있지만 극히 소량이고 이걸 뽑아내려면 어마어마한 돈이 들어야 함. 바닷물에서 핵융합연료를 뽑아낸다?? 말장난 같은 개소리임..
@SevenEight-cq2ii
@SevenEight-cq2ii 10 ай бұрын
요즘 콘텐츠는 삼프로보다 언더스탠딩이 나은듯
@zeroanger
@zeroanger 10 ай бұрын
여태까지 본 핵융합 컨텐츠 중 이해가 가장 잘 되네요
@lineroh1
@lineroh1 10 ай бұрын
과학적 개념에 충실하면서도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은 국내 탑이네요. 정말로 최고의 강사입니다.
@jht6679
@jht6679 10 ай бұрын
핵융합 연료가 무한하다는것은 새빨간 거짓말이에요.. 삼중수소는 전세계에 고작 수십kg밖에 재고가 없고 Lithium-6 또한 중국이나 북괴만 소량의 자원이 있고 수소폭탄 제조용으로만 소량 채굴함. 각국 정부의 예산을 슈킹하는 핵융합 발전 카르텔..지난 수십년간 막대한 시민 혈세를 쳐먹었으니 이제 그만해라.. 기자들은 삼중수소와 Lithium-6의 현실에 대해 "영어"로 구글 검색을 하고 뉴스를 써야.. 핵융합발전은 연료 확보 곤란.. 기존의 핵분열 방식 기술 발전에 노력하면서 토륨을 원료로하는 핵분열방식을 개발해야..
@user-xg8fi6nn2k
@user-xg8fi6nn2k 10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고퀄리티.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됩니다.
@Kkim0830
@Kkim0830 10 ай бұрын
진짜 과학 컨텐츠 하나는 언더스탠딩이 끝내준다 진짜 맨날 중독 되겄어.. 왜케 재밌냐고! ㅎㅎ 이렇게 금융공학으로 파생상품 포지션 헷징 델타 헤징 등등 하는것도 좀 기획해 주세요.. 옵션 포지션 등등… 이 어려운 과학 내용들 전달 하는거 보니까 왠지 그것도 가능할 것 같네요.. 예를들어 ETF 레버리지, 인버스, 보험 자산 헷지 등등!! 다요 꼭이요!!! 꼬기오!!
@dreamchoi3437
@dreamchoi3437 10 ай бұрын
그동안의 과학 내용 모아서 과학 언드스탠딩 만들어도 되실듯 재밌게 봤습니다👍👍
@ARMY-es5bi
@ARMY-es5bi 10 ай бұрын
유튭이 지식의 바다가 되는구놔 잘봤습니다 항상응원합니다
@JK-bm6im
@JK-bm6im 10 ай бұрын
핵융합 연구는 무한 투자를 해야한다고 본다. 남박사님 설명에 이해가 아주 잘되었어요!,
@die34younjin
@die34younjin 10 ай бұрын
문과에 수맹출신인데 이해됨 스토리로 이해됨 놀랍다
@user-sz4mm6ti7h
@user-sz4mm6ti7h 10 ай бұрын
남박사님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c6nv3so8n
@user-dc6nv3so8n 10 ай бұрын
세상에 모든 지식 언더스탠딩.. 이프로님 목소리가 더 잘 어울리는듯요😅
@user-el1ht5qj4w
@user-el1ht5qj4w 10 ай бұрын
와 그동안 기사만 봐서는 잘 이해가 안되었던 내용도 오늘 알게 되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leeon736
@leeon736 10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최고~
@user-rv8tc9pl3i
@user-rv8tc9pl3i 10 ай бұрын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paulsaint2366
@paulsaint2366 10 ай бұрын
핵융합 연구도 R&D 예산 대폭 감축 사태에 영향을 크게 받으면 안될텐데요... ㅠ
@Alpaca2023
@Alpaca2023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더스탠딩. 과학 오예
@user-sc2ms7vg7o
@user-sc2ms7vg7o 10 ай бұрын
안대표의 나날이 발전되는 질문의 수준은 지식이 더해지면 발산되는 핵융합적 에너지로 미래가 기대되게 만들고, 이프로의 흐름까지 위태롭게 만드는 개그본능은 분위기와 사고체계를 뒤흔드는 핵분열적 에너지로 부인할 수 없는 이제까지의 언더스탠딩의 원동력이다
@user-ek4ar0ez9a
@user-ek4ar0ez9a 10 ай бұрын
문과 나가
@jht6679
@jht6679 10 ай бұрын
핵융합 연료가 무한하다는것은 새빨간 거짓말이에요.. 삼중수소는 전세계에 고작 수십kg밖에 재고가 없고 Lithium-6 또한 중국이나 북괴만 소량의 자원이 있고 수소폭탄 제조용으로만 소량 채굴함. 각국 정부의 예산을 슈킹하는 핵융합 발전 카르텔..지난 수십년간 막대한 시민 혈세를 쳐먹었으니 이제 그만해라.. 기자들은 삼중수소와 Lithium-6의 현실에 대해 "영어"로 구글 검색을 하고 뉴스를 써야.. 핵융합발전은 연료 확보 곤란.. 기존의 핵분열 방식 기술 발전에 노력하면서 토륨을 원료로하는 핵분열방식을 개발해야..😂😂😂
@hyeokjong
@hyeokjong 10 ай бұрын
개발중인 과학 기술중에 가장 기대되는 분야입니다. 성공한 후에 미래에 대한 준비도 잘 되야 할꺼 같에요.
@followerim8582
@followerim8582 10 ай бұрын
진짜 재미있게 잘 들었어요 박사님 최고👍
@seojunkim8517
@seojunkim8517 10 ай бұрын
앗 관심분야. 영상 감사합니다
@seungilchoi3924
@seungilchoi3924 10 ай бұрын
남용운 팀장님은 과학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셔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설명 정말 쉽게 잘 해주시네요.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들에게 익히 들은 내용들도 있고 전달력,언어구사력도 좋으셔서 이해가 훨씬 잘 되네요 감사합니다!!
@richrich22
@richrich22 10 ай бұрын
너무 너무 재밌어요!!! 정말... ㅠㅠ
@sungso7689
@sungso7689 10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em4cx5ig2o
@user-em4cx5ig2o 10 ай бұрын
유용하게 보고 갑니다.
@user-ws9sf8ek5c
@user-ws9sf8ek5c 10 ай бұрын
분열이든 융합이든 모두 잘됐으면
@TV-fu6jf
@TV-fu6jf 9 ай бұрын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moneyi
@moneyi 10 ай бұрын
학교 다닐 때 과학 선생님이 이렇게 설명해주셨으면 자연 과학대 입학 했을꺼 같아요.
@user-id8tv8fd2y
@user-id8tv8fd2y 10 ай бұрын
왜이리 재미지나!
@yeongjinsim9185
@yeongjinsim9185 10 ай бұрын
문과도 이해했다
@smartcrookest
@smartcrookest 10 ай бұрын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토카막방식의 투입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되는 거군요!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6 ай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를 더 찾아보아야 합니다 -250도C까지 유지하는데 액체질소를 팽창시켜서 극저온을 유지하기가 쉽지않습니다. 초고 속리니어 모타도 열차에 강력한 전자석을 유지하는데 초전도 코일이 전열차를 들어올릴 만큼초전도 자석의 관리가 막대한 동력이 소모됩니다. 따라서 토카막도 유지하는데 초전도 코일을 초저온 상태로 유지하려면 에너지 소모가 많이 소모됩니다 상온 초전도체를 찾아 나서야 합니다.
@user-hl4lv5hw2n
@user-hl4lv5hw2n 10 ай бұрын
어려운 과학지식을 재밌게 공부했네요.
@user-ut7nu8zq3k
@user-ut7nu8zq3k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ut1ux3pr7z
@user-ut1ux3pr7z 10 ай бұрын
핵 융합을 성공 하려면 외계인 찾는게 더 빠를듯 ㅋㅋ
@KW-zb3sf
@KW-zb3sf 4 ай бұрын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길게 해놓은 듯.
@e-jeonghoon
@e-jeonghoon 10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SAM-sm1kc
@SAM-sm1kc 10 ай бұрын
상용화가 쉽지는 않겠네요.
@user-op9yo1yk8i
@user-op9yo1yk8i 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 👍 좋아요 클릭 광고 끝까지 시청해 주세요 언더스탠드 시대적. 좋은 정보 영상 보고자. 합니다
@jahlil11111
@jahlil11111 10 ай бұрын
18:19 미국은 이제 핵융합 순에너지 생산에 성공했다는데요. ->>> 2023.08.07 미국 연구소, 두 번째 ‘핵융합 점화’ 7개월만에 성공
@haj1126
@haj1126 9 ай бұрын
막연하게 알고 있던게 분명히 이해되는군요. 40:00
@please4593
@please4593 10 ай бұрын
다원시스.............
@user-iz4dr1rx1t
@user-iz4dr1rx1t 8 ай бұрын
Nice ❤❤❤good
@minyoungmoon7300
@minyoungmoon7300 10 ай бұрын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고 있는데 이영상을 먼저 보고 읽었으면 훨씬 이해가 잘 됬을거 같아요. 다시 읽어봐야 할 듯 ㅎㅎ
@dannygu3578
@dannygu3578 9 ай бұрын
오늘의 핵심 : 아이언맨 (아크 리액터) 만들 수 있나요? 1:01:11 핵융합은 반응로 크기가 클수록 쉽습니다. 고로 가슴팍에 넣을만한 크기라면 어마어마하게 어렵겠죠.
@user-JIGSAW
@user-JIGSAW 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언더스탠딩 & 이프로 보유국 입니다 >,.< b
@user-ll2ob8js9m
@user-ll2ob8js9m 10 ай бұрын
인간의 두뇌란게...놀랍다.ㅎㅎ 어쨋든....기술연구에 미래가 달려잇다는 이야기네.... 세금 잘쓰자.....
@3peace456
@3peace456 10 ай бұрын
👍
@peanuttaylor2767
@peanuttaylor2767 10 ай бұрын
만들어진 열에너지를 어떻게 전달하여 물을 끓일 것인가가 또한 숙제 고온의 플라즈마가 너무 뜨거워 토카막에 가두는 것인데 자기장에 떠있는 에너지를 전달할 방법이.. 똑똑한 분들이 알아서 해결 하시겠지만요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2 ай бұрын
전기를 국수가락으로 뽑아내는것 같으면 그 국수가 매우 가늘게 뽑아지고 틀에 넣으면 꽃모양이 될수도 있는 전자 형태 입니까? 잘만뽑아내면 손수건 처럼 엮어진 것으로 뽑아낼수 있는 전기같은 것입니까?
@isfp777
@isfp777 10 ай бұрын
전기넣어서 더큰전기생산 무한동력의꿈이네요 @.@;;
@user-kn9zd5bi6t
@user-kn9zd5bi6t 10 ай бұрын
현재 인류 문명 기준에서 핵융합으로 얻는 에너지 양은 무한동력은 맞지만 수소 헬륭 등을 융합하면서 무거워지다보면 종국에는 끝나는 작업이니 과학적으로는 무한동력이 아닙니다. (물론 댓님은 아시는거 같지만)
@user-mz4qs1nb7g
@user-mz4qs1nb7g 10 ай бұрын
태양도 50억년후면 연료가 고갈될테니 무한동력은 아니지만 100년 겨우 사는 닝겐입장선 무한동력처럼 느껴지죠
@carpediem8331
@carpediem8331 10 ай бұрын
동영상을 보면서 언더스탠딩에 좀 실망했습니다. 이런 초보적인 과학지식을 언더스탠딩에서 다룰줄은 몰랐거든요. 그런데 그런데... 역시 언더스탠딩은 절 실망시키질 않는군요. 그동안 내가 핵융합에 대해서 정말 쥐뿔도 모르고 있었구나. 이번 기회에 정말 자세히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점점 언더스탠딩에 중독되는것 같아 지극히 염려스럽네요. 한가지 아쉬운 점은 왜 헬륨3로 핵융합을 하려하는지가 안나왔어요. ㅠㅠ
@tubeyou1490
@tubeyou1490 10 ай бұрын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하는 반응 다음으로 쉬운 반응이라 그럴거에요. 지구에는 헬륨3가 적은데 달에 많으니까 지구에 있는 중수소와 삼중수소 다 쓴 다음에 차세대 에너지 원으로 보는거죠. 쌩 수소로는 핵융합하기가 너무 힘들구요.
@t-youngkim251
@t-youngkim251 10 ай бұрын
현재 한국발전의 발목을 잡는 가장 악적인 요소는 국회의원들입니다 의원 세비 50% 이하 줄이고 보좌관수 두명으로 줄여 의원이 스스로 발로뛰며 일하게 하고 당선되도 팔자 고치지 못하는 제도를 만들고 정착해야 "개욕쳐먹고 나라 말아먹어도 다음 공천만 받으면 땡이다" 라는 폐악적인 순환고리를 끊어야 대한민국 제 2의 도약이 시작됩니다
@kiwonlee7307
@kiwonlee7307 10 ай бұрын
리튬이 핵융합에도 필요하군요. 포스코홀딩스, 에코프로는 그냥 신급 주식인건가? 🤔
@user-wi4hg3zv5l
@user-wi4hg3zv5l 10 ай бұрын
양자 컴퓨터보다 이해하기 쉽다
@oennjchevvjlas2408
@oennjchevvjlas2408 8 ай бұрын
사람몸을 전기에너지로 전부 치환할수있다고 가정할때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100kg인 사람한명 몸에서 2500000000000 KWh 의 에너지를 뽑을 수 있는거네요. 미친 내가 희생할테니 전기좀 뽑아가서 쓰셈. 제발 내몸에서 10kg만 뽑아가세요.
@user-in3gv9gb6z
@user-in3gv9gb6z 10 ай бұрын
이상한 잡주식들 돈받고 출연시키지말고 언더스탠딩 유료화해라
@KLEE-ib2pl
@KLEE-ib2pl 10 ай бұрын
56:00 ㅋㅋㅋㅋ이프로 단군할아버지 김드립ㅋㅋ
@ChocouO
@ChocouO 10 ай бұрын
궁굼한게 있는데요 인터넷 매체를보면 진짜와 가짜 기사도많고 광고위해 올려진 낚시성 영상이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 유튜브에선 내가 보는 이영상의 주인본인이 맞는지 학위경력 등이 맞는지 유튜브에선 검증을하고 영상이 올라오는건가요???
@user-zj9ur3wp1j
@user-zj9ur3wp1j Ай бұрын
에너지? 가성비 감당되나?
@user-yl2cn1iv2h
@user-yl2cn1iv2h 10 ай бұрын
진짜 재밌네요 ㅋ그나저나 초전도체가 사기극으로 끝나버렸네요 ㅋㅋㅋㅋ
@user-rb5ng5xm7i
@user-rb5ng5xm7i 9 ай бұрын
수소폭탄의 핵융합 반응 원리는 어떤 것인지 멘트가 없어서 아쉽네요.
@user-gb3jy8ve7x
@user-gb3jy8ve7x 9 ай бұрын
저도 친정 유성가면 연구소 항상 지나치는데 이렇게 가까이 뵙네요 ㅋㅋ언더스텐팅 퐈이팅❤😊😢
@2000son7
@2000son7 17 күн бұрын
38:10
@miro3715
@miro3715 10 ай бұрын
앞으로 50년 걸릴려나?
@yeonizuma
@yeonizuma 10 ай бұрын
문과생의 날카로운 줄 아는, 이과생들은 너무 당연해서 의문조차 갖지 않는 질문에 너무 기뻐하지 마시고 흐름이 안 끊기면 좋겠습니다 이전 수많은 과학 컨텐츠들이 매번
@redonearth
@redonearth 10 ай бұрын
이등인가아
@user-gt1gg6jq9c
@user-gt1gg6jq9c 6 ай бұрын
🎉통일장 이론(한국의 K.star를 비롯한 곡선 핵 융합이 성공하려면 우리가 지적한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 2019.12.20) 태양과 같이 고온과 고압인 공간은 양성자와 전자, 파이온, 뮤온 등의 각종 소립자 들의 입자들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개별 입자들의 집합체가 바로 태양과 같은 별이다. 이 입자들 사이에도 물리학적인 힘이 작용하는데, 이를 뉴턴이 확립한 직용과 반작용의 법칙이다. 이것은 광속으로 일어니며 원자핵과 전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온과 고압인 플라즈마 입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보존 법칙과 벡터로 합성한 두 운동량의 값을 서로 수직인 성분으로 분해하여 얻은 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개별 입자에 적용함으로써 물체의 운동을 서술한다. 그래서 플라즈마 상태인 두 개의 양성자를 합쳐 1개의 입자로 만든다. 이것이 화학적인 기호로는 헬륨(He)의 원자핵이다. 그리고 우리는 개별 원소들 끼리 결합시키는 것을 대신해 입자들의 결합에 플라즈마를 이용한다. 또는 지구(핵), 태양(원자핵), 달(전자)과 같이 태양계와 주변 행성들의 운동으로 혼용한다. 그러나 3개의 양성자를 융합시켜 1개의 리튬 (Li)의 원자핵을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프엥카레가 3체 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수학적으로 증명해 버렸기 떄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것을 우회하는 빙법을 써서 그 해결책을 찾았다. 즉 3체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법칙 이외의 물리학 법칙들의 성분들을 모두 0으로 만드는 방법의인 간접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그리고 이들 플라즈마 속의 양성자의 수와 그에 따른 전자의 에너지를 양자화시키는 수단을 써서 원자핵에 존재하는 전자들의 에너지를 양자화시키고 있다. 그래서 원자나 전자들의 에너지 레벨이 양자화되었음을 보였다. 그리고 특수 상대성 이론도 만족하고 있음을 함께 유도해 두었다. 그리고 전자들의 에너지 분포를 양자화 시켰다. 이것은 공간에는 양자화된 에너지 레벨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일장 이론으로 명명한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3체 문제로 발생하는 문제를 우회하는 방법을 써서 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화학적인 방법은 간단하다. 3개의 양성자를 합성하면 1개의 리튬(Li)의 원자핵을 만든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을 써서 통일장에 의한 핵 융합에 접근한다. 그러나 작용과 반작용이 광속으로 일어난다고 추정했을 때 상대론으로는 광속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길이를 약간 늘이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로써 곡선(상대론)이나 직선(고전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통일장 이론을 완성한다. 그리고 실험으로는 미국의 리버모어 연구실에 행한 관성 핵 융합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다만 곡선을 적용한 것은(k.star를 비롯한 많은 나라의 핵 융합로가 실험적으로 성공하려면 3체 문제에서 지적한 광속을 초과하는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정지한 3개의 당구공 그 중심에 작용하는 힘을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대성 이론이 틀려 많은 사람들이 쓸데없는 시간과 비용을 허비할 뿐이다. 이것은 로슨의 점화 조건(온도, 밀도, 시간)에서 온도가 비슷하므로 입자들의 밀도를 증가시고 그 위치를 약간 수정하면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미국의 리보모어 실험실에서 행한 레이저 핵 융합 실험과 같이 입자들의 간격을 줄여 입자들의 밀도를 증가시고 그 위치 값을 약간 변화시키는 것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 러한 문제 때문에 늦게 시작한 미국의 관성 핵 융합이 먼저 점화에 성공하고 먼저 시작한 곡선 핵 융합은 아직도 점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로서 통일장을 완성한다. 그리고 그동안 우리의 연구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대힉으로는 호주의 국립 대학인 워일즈 대학,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 러시아 수학회 등이 있었다, 그리고 미국의 55만0 과학자들이 나를 펠로우한다고 한 미국 물리학회, 그리고 한국물리학회, 네이처의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린다. 또한 저를 응원해 주신 혜원여자 고등학교 여러 선생님들 특히 네이처에 사연을 올려 주시고 영문으로 번역 주신 김정현 선생님, 그리고 여러가지로 지구 과학에 생긴 의문의 해결에 도움을 주신 김연귀선생님께도 감사드린다. 동시에 묵묵히 과학 발전을 기다려주신 세계 여러 나라의 국민들에도 감사드린다.
@user-bs3ti6xe6u
@user-bs3ti6xe6u 10 ай бұрын
사등인가아
@yoonseo_ji
@yoonseo_ji 10 ай бұрын
나이드신 분들이 빠놀이 하고 게시네요.. 점잖으신 분들이😅
@user-wd2sd6kq7z
@user-wd2sd6kq7z 10 ай бұрын
핵융합이 왼싱되면 블랙홀도 생기는거 아닌가요?
@jaeyonglee296
@jaeyonglee296 10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질량이 큰 별은 자체 중력으로 핵융합이 중심에서 일어난 후에 마지막 단계에서 블랙홀로 바뀝니다. 지구상에서 인간이 만드는 핵융합은 핵융합이 발생할 정도로 고온과 고압을 전자기력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user-zk7mj3kd9l
@user-zk7mj3kd9l 8 ай бұрын
핵융합은 환상이다. 융합을 계속하기 위해 쓰이는 에너지가 만들어내는 에너지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pluoi7109
@pluoi7109 10 ай бұрын
볼때 마다 느끼는 거지만 진행자분의 운영의 묘가 좀 아쉽네요.. 그 자리에서 당장 생각나서 막 던진 질문내지는 발상을 직업적으로 연구만하는 전세계에 있는 전공자들이 그동안 생각조차도 못 하고 있을까요.. 어차피 자고 일어나면 거의 기억도 못할 거면서 이상한 질문으로 맥좀 그만 끊었으면 좋겠습니다.. 준비해온 사람이 생각해놓은 흐름대로 잘 진행되게 도움을 주는 게 먼저이지 본인의 비전공자 시각에서 나온 단순 궁금증을 해소하는게 절대 먼저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밸런스..
@user-ut1ux3pr7z
@user-ut1ux3pr7z 10 ай бұрын
어려운 설명을 듣자하니 딱 블랙홀 이내 ㅋㅋㅋ
@spacepark6830
@spacepark6830 10 ай бұрын
실험과정에서 1억도 에너지를 가둬두지 못하여 외부(지구)로 빠져나가면 온난화 폭발적으로 가속시키지 않나요?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7 күн бұрын
종이 한페이지가 책이 되는 원리입니까? 책을 둥글게 잡아 드드드드드득 0.0000000000001. 0.000000000001 0.00000000001 0.0000000001 0.000000001 0.00000001 0.0000001 0.000001 0.00001 0.0001 0.001 0.01 0.1 0 0.1 0.01 0.001 0.0001 0.00001 0.000001 0.0000001 0.00000001 0.000000001 0.0000000001
@user-vx6pn4qg7l
@user-vx6pn4qg7l 9 ай бұрын
우리는 가장 완벽한 핵융합로를 가지고 있는데...왜 그걸 이용할 생각은 아니하고 지구에 그걸 만들려고 하는건지요?
@user-cc4yy9dy3j
@user-cc4yy9dy3j 8 ай бұрын
어쩌다 운동권이 판치고 세상언론 대법관이 이상한 나라가되고 온갖저질모함이 진짜행세하고 데모가판치는더러운저질국가가되었나
@geratool
@geratool 10 ай бұрын
삼등인가아
@thanksguppy
@thanksguppy 10 ай бұрын
일등인가아
@user-ut1ux3pr7z
@user-ut1ux3pr7z 10 ай бұрын
세상에 똑똑하고 영리한 분들은 많다 이 분도 그 영역에 계신 분인데 왜 영역을 벗어 나서 외도를 하시지?
@user-rq7tv5xd8g
@user-rq7tv5xd8g 10 ай бұрын
미국이 말장난으로 사기친거구..
@suniljm41
@suniljm41 10 ай бұрын
사회지가 마음에 들지 않음
@lightcone7854
@lightcone7854 10 ай бұрын
이같은 말 해서 좀 아쉽지만, '핵융합연구소'는 정말 국민세금먹는 하마. 이미 한 두해도 아니고...
@user-ee6nv4eb9p
@user-ee6nv4eb9p 10 ай бұрын
웃음소리가 너무 시끄럽다
@user-ut1ux3pr7z
@user-ut1ux3pr7z 10 ай бұрын
케이스타가 딱 블랙홀 이내 ㅋㅋㅋ
@WilltoSurvive51
@WilltoSurvive51 10 ай бұрын
비지니스와 결합되지 않는 과학 연구.... 망하는 지름길입니다. 소련이 그 꼴이잖아요. 언제 될지도 모를 사업에 매년 2천억 넘게 수십년 간 쏟아붓고 있습니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방송도 예산 따먹기위한 홍보입니다. 핵융합연구는 당장 중단해야 합니다.
@jht6679
@jht6679 10 ай бұрын
공감입니다..
@sugarsoul8994
@sugarsoul8994 10 ай бұрын
다른 목적도 없는 오로지 시간을 잡아먹기 위한 진행자들의 질문, 드립들이 예전엔 그나마 볼 만하다가 이제는 흐름만 겁나 끊어대는 짜증 요소로 밖에 안 보인다. 특히 안승찬기자..
@user-vr1ki6ih8y
@user-vr1ki6ih8y 7 ай бұрын
인공태양.ㅡㅡㅡ조개가.ㅡㅡ진주만드는ㅡㅡ과정원리로.ㅡㅡ하면된다ㅡㅡㅡ 10:46
@rewrrresqwerssrr5068
@rewrrresqwerssrr5068 9 ай бұрын
태양신 니카모드 그만해라 이기야
@coincoin3020
@coincoin3020 8 ай бұрын
메기 이상윤 동생인줄...ㅋㅋㅋ
@user-kh9ff9su1c
@user-kh9ff9su1c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미래 바꿀 핵융합의 원료는 바닷물입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남용운 팀장)
1:13:24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미래에서 온 물질, 이것이 맥신입니다 (KIST 한.인도협력센터 이승철 센터장)
58:4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9 М.
[중급편 1부] 양자의 세계에선 귀신이 산다 f. 서울시립대학교 물리학과 박인규 교수
49:00
미국 원전의 푸틴 죽이기 시작됐다 (서병수 애널리스트)
56:4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42 М.
제주에 숨겨진 놀라운 과학 이야기 (플레이랩스 문경수 대표)
1:11:2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78 М.
[하이라이트] 어디 가서 써먹기 좋은 과학 상식 (에스엔에이치연구소 민태기 소장)
52:21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