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무선충전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Рет қаралды 169,335

bRd 3D

bRd 3D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331
@Misericorde1234
@Misericorde1234 3 жыл бұрын
ㄹㅇ 전국의 공교육기관에 이 채널 뿌려야한다
@myunnngg
@myunnngg 3 жыл бұрын
ㄹㅇ
@myunnngg
@myunnngg 3 жыл бұрын
혻시 모르니까 와드
@타이거-g6f
@타이거-g6f 3 жыл бұрын
EBS과학교과서 이런식으로 만들면 될듯?
@9이은찬
@9이은찬 3 жыл бұрын
ㅇㅈ
@smr-y6ldkrs5q
@smr-y6ldkrs5q 3 жыл бұрын
ㄹㅇ 너무 잘 설명해줌
@자유완성
@자유완성 3 жыл бұрын
발송배전 기술사 입니다. 기술사 입장에서 볼때 누구나 이해하기쉽게 잘 만드신거 같습니다. 정말 이런자료가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페러데이 법칙과 렌츠의 법칙이 발전기의 가장 큰 기본원리죠. 이런 설명방법에 감동 받았습니다. 진심)
@_haam1711
@_haam1711 3 жыл бұрын
@@마이클패러데이-g2j 기술사 맞는구 같은데요 여러곳에서 기술사라고 언급하신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인증이 굳이 필요할까요
@라마-n9u
@라마-n9u 3 жыл бұрын
@@마이클패러데이-g2j 잼민아 아니라는 이유를 증명해라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3 жыл бұрын
진심이면 사랑한다 고백 ㄱ ㄱ. 사랑합니다.
@수고
@수고 3 жыл бұрын
@@마이클패러데이-g2j ???: 니 프사는 문돌이같냐
@sectrum-x8n
@sectrum-x8n 3 жыл бұрын
@@마이클패러데이-g2j 입 좀 닥치구 있그라
@LIBRARYKOFIC
@LIBRARYKOFIC 3 жыл бұрын
정말 차근차근 잘 설명하셨네요. 우리나라 AC 주파수가 60Hz 인것은 맞지만, 전류방향(극성)이 1초에 2번씩 바뀌므로 정확하게 설명하면 1초에 60번이 아니라 120번 바뀝니다.(11분 4초)
@yshong509
@yshong509 3 жыл бұрын
1분 4초 아닐까요?
@MrKarlotto001
@MrKarlotto001 2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1초에 60번 맞아요. 정상파 전류는 사인곡선을 그립니다. 60hz전류는 1초에 60번의 주기를 가지니까 +에서 -로 바뀌는 사인곡선의 주기가 60번 반복됩니다.
@김기탁-z7c
@김기탁-z7c 2 жыл бұрын
@@MrKarlotto001 제 글을 오해하셨네요. 저는 60Hz 전원주파수를 말한 게 아닙니다." 바뀐다"는 우리말의 의미를 말한겁니다. 60Hz는 분명 1Hz 마다 극성이 두번 바뀝니다. 이 문제가 만약 자격시험 같은 공적인 문제로 출제되면 답은 "1초에 120번 바뀐다." 입니다. "1초에 60번 바뀐다." 를 답이라고 하면 120번이라고 답한 사람들이 틀림없이 국어사전 들이댑니다.
@이다루-h8o
@이다루-h8o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부분이 궁금했는데 주기는 1/60 이고 방향을 바꾸는 건 120번 이렇게 되는군요
@예제가여
@예제가여 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려운 걸 쉽게 설명하시는 능력이 탁월하신 것 같습니다. 크게 배우고 갑니다!
@김재현-z5w1p
@김재현-z5w1p 2 жыл бұрын
와.. 전자기 유도법칙 배우면서 그 반대의 경우 에너지가 무한정 커진다는 생각을 해 본적이 없음. 어렸을때 이렇게 생각했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을텐데..
@류승원-k1u
@류승원-k1u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계의 차기 기술이사님으로 모셔야겠습니다. 아무리 설명해도 모르는걸 동영상으로 보여주시는 능력은 도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천재 한명 나오심.!!!
@gmjdh123
@gmjdh123 2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쳤다......... 설명퀄리티, 영상 퀄리티 전부 말도안되는 퀄리티다
@Bongsnow
@Bongsnow 3 жыл бұрын
기능사 공부중인데 맨날 공식만 보다가 애니메이션으로 보니 바로 이해가 되는구나
@박아령-l7m
@박아령-l7m 4 жыл бұрын
어렵지만 쉽게설명하시는 능력이 있으시네요^^
@housegamer224
@housegamer224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가장 쉬운 설명은 뭐든 눈으로 보이게 설명하는 것입니다. bRd 3D님은 그것을 알고계시죠. 2D그림으로도 설명가능하지만 저렇게 3D영상으로 시각적 자료를 보이면서 소리로만 설명한다면 더할 나위 없죠. 그중에서도 원탑. 묘사를 너무 잘하시는거임. 사람은 누구나 눈으로보고 느껴야지 이해를 합니다. 그냥 말과 정적인 그림으로만 설명하면 굉장히 이해하기도, 지식을 쌓기도 어렵죠.
@Yallong
@Yallong 3 жыл бұрын
@@housegamer224 아주 공감합니다 ㅜ 싸인파 그려질 때 원리가 궁금했는데 시원하게 풀렸네요..
@YeaandNay
@YeaandNay 3 жыл бұрын
4:30 개웃겨ㅛ 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ml07065
@uml07065 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떡상할 것이다.... 하지만 나만 아는 채널로 남고 싶다....
@myunnngg
@myunnngg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박우기-s2g
@박우기-s2g 3 жыл бұрын
나두 나두! 혼자서 실컷 잘난체 하고 싶다!
@lli1324
@lli1324 3 жыл бұрын
맞다아!!!
@housegamer224
@housegamer224 3 жыл бұрын
보면 볼수록 bRd 3D님의 영상은 참으로 정성스럽다는 느낌이 드네요. 괜히 질 좋은 3D영상이라고 처음부터 느낀게 아니네요
@운산-w5e
@운산-w5e 3 жыл бұрын
다른 부분도 좋지만 2:33 이후 정말 탁월하게 설명하셨네요!
@pkh866
@pkh866 3 жыл бұрын
분명 고등학교때 배웠는데 왜 30대가 된 지금 이해를 하게된걸까..
@fuck_you-chinese
@fuck_you-chinese 3 жыл бұрын
아재서요
@limyh1982
@limyh1982 2 жыл бұрын
이분이 대단한것은 어려운주제를 참 쉽게 풀어낸다는것이다. 단순히 영상을 잘 만들어서 호평받는게 아님. 유튜브로 돈 많이 버셔서 많은 영상이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junindori
@junindori 3 жыл бұрын
찾아보지는 않으면서~ 항상 궁금했던 거였는데... 이해가 쏙쏙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isene
@wisene 3 жыл бұрын
4:3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애니메이션 넘 귀엽네요
@이다루-h8o
@이다루-h8o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들어 주셨습니다...관련영상 10개 정도 찾아봤는데 최고입니다
@followerim8582
@followerim8582 2 жыл бұрын
울 아들이랑 발견한 채널인데 넘 훌륭한 내용들이 많아 구독해요. 감사합니다
@Henry.k_Gohc
@Henry.k_Gohc 6 ай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셔도 어렵네요ㅎㅎ 그래도 너무 유익합니다. 화이팅!!
@totomeerkat
@totomeerkat 3 жыл бұрын
3:00 내용도 유익하지만 애니메이션이 정말 재밌고 정성스럽네요 bRd 3D 최곱니다~
@walking_rockcrab
@walking_rockcrab 2 жыл бұрын
4:35 빵터졌습니다 ㅋㅋㅋㅋ
@HEROHEROHERO9021
@HEROHEROHERO9021 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김형남-y9d
@김형남-y9d 2 жыл бұрын
전기기사 공부중인데 무선충전기 궁금해서 검색했다가 전기기사 관련지식 제대로 얻고갑니다 책쓰셔도 되겠네요
@mnmmnnmnnm
@mnmmnnmnnm 3 жыл бұрын
컨텐츠 스타일 진짜 잘 잡았다. 흥해라
@ksn0017
@ksn0017 3 жыл бұрын
✨이정도 고품질영상은 최소 100만이 되야한다‼️ 구독자 100만 가자~~~~🙏
@Teiro224
@Teiro224 2 жыл бұрын
쏙쏙 들어오는 설명에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mwdjþek
@Smwdjþek 3 жыл бұрын
4:34 ㅈㄴ웃기넼ㅋㅋㅋㅋㅋㅋ 만드느라 수고하셨어요 ㅋㅋㅋㅋ
@JR-hg3jh
@JR-hg3jh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LilacBlooms77
@LilacBlooms77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설명도 최고입니다.!!
@9kjd
@9kjd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다만 "무한에너지가 생기게 하지 않기 위해 저항하는 힘이 생긴다."는 표현은 다분히 인위적인 해석으로 보입니다. 자연이라는 주체가 의도를 갖고 힘을 부여하는건 아니니까요. 그보다는 자석이 코일로 들어옴으로써 자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와 자석의 자기장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의 방향이 다시 반작용하는 힘을 만들어낸다고 해석하는게 과학적인 풀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산-t7i
@김산-t7i 2 жыл бұрын
저는 괜찮은 설명이라고 생각했어요. 저 문장으로만 놓고보면 다소 어색하긴 하지만, 댓글쓴님의 문장으로 설명하면 그 뒤에 왜? 가 또 생길수 있거든요. 열역학적으로 왜 그에 반하는 힘이 생겨야 자연계의 이치에 맞는지, 알기 쉽게 설명하려다보니 저렇게 표현이 되었다고 봅니다.
@fgd3476
@fgd3476 2 жыл бұрын
@@김산-t7i 알기쉽게하겠다고 왜곡시키는건 좋지않다고 보네요.
@얽-v4r
@얽-v4r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보면 맞는 얘기 아닌가요? 들어온 에너지를 다른 곳에 소모하기 위해 자계의 공간에 에너지를 저장하는거니까요. 작용반작용의 관점에서 보느냐, 에너지 보존 법칙의 관점에서 보느냐의 문제인듯 하네요
@chigim-ne5qr
@chigim-ne5qr Жыл бұрын
누가봐도 쉽게설명하려고 일부러 그렇게 말한건데… 굳이 그걸 상대적인 움직임 어쩌구저쩌구 반작용 어쩌구 저쩌구…..
@와규와규-v9n
@와규와규-v9n 2 жыл бұрын
무선전력충전개념이 이해가안갔는데 패러데이 법칙이군요 바로와닿네요 감사합니다!
@Trifreedom216
@Trifreedom216 4 жыл бұрын
알기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모터원리도 잘 보고갑니다~ 알기쉬운 전기관련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 ~
@pjh99
@pjh99 3 жыл бұрын
3:48 아 저는 썩었습니다.
@minsu07311
@minsu07311 3 жыл бұрын
저도 썩었습니다... 이쿠욧!!!
@fully5771
@fully5771 3 жыл бұрын
나랑 같은사람이 있다니..
@blues50542
@blues50542 3 жыл бұрын
썩었어..ㅜ
@김한결-h9x
@김한결-h9x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유익한 영상에 섹드립으로 재미까지 더한다고? 흠칫 놀랬다가 아 난 쓰레기구나 반성하고 그래도 어딘가 나같은 사람이 있겠지 하고 댓글찾아봤는데 역시나 있었고 따봉이 20개나 눌러져있어서 그나마 위안이 됐음.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3 жыл бұрын
한심한 새끼들. 이래서 남자들은 상종하면 안됨
@suah4004
@suah4004 3 жыл бұрын
그동안 구독했던 채널중 가작 유익한 채널같네요 책을 보고도 목말랐던 부분들이 해소되는 느낌입니다 진심 고맙습니다
@pe_pe59
@pe_pe59 3 жыл бұрын
4:34 진짜 너무 귀여운거아니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머리박는것봐
@이위람
@이위람 3 жыл бұрын
4:35 미친ㅋㅋㅋㅋㅋ
@형수님보즤찢은찢재명
@형수님보즤찢은찢재명 3 жыл бұрын
에혀~~~ 잼민이ㅂ ㅅ! ㅡㅡㅗ ㅉㅉㅉㅉ
@user-dh4rh5hq2z
@user-dh4rh5hq2z 3 жыл бұрын
?
@qwerty9_9
@qwerty9_9 3 жыл бұрын
깨알꿀잼ㅋㅋㅋ
@Jekiy08
@Jekiy08 3 жыл бұрын
3:48 난 썩었어.....
@김현우-j7z4r
@김현우-j7z4r 3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본것 같지 않으세요?
@김현우-j7z4r
@김현우-j7z4r 3 жыл бұрын
3:49
@Jekiy08
@Jekiy08 3 жыл бұрын
@@김현우-j7z4r 본거같아요......
@박민식-h7k
@박민식-h7k 3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많이 본것같아요
@김-j6g2t
@김-j6g2t 3 жыл бұрын
난 이미 흙이 되었어..
@_-_v
@_-_v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해가 좀 됐어요.ㅎㅎ😊
@nextone5735
@nextone5735 3 жыл бұрын
학교 전기과 선생님들 보다 설명 잘하십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이수현-j6t2j
@이수현-j6t2j 3 жыл бұрын
애니메이션 너무귀엽네요 ㅋㅋㅋ
@AIArtistNoahC
@AIArtistNoahC 2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으마으마 하네요
@3id8udud8w8
@3id8udud8w8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hyeok-is6bf
@hyeok-is6bf 2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원리를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인더문
@인더문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느리지만 안답답한 영상"
@zunxul
@zunxul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1.25배속이 딱인건 어쩔 수 없네요 ㅎㅎ
@zunxul
@zunxul 3 жыл бұрын
@ls joso 한국인에겐 느리게 느낄수 있는 영상이지만 내용이 충실하고 함축적이어서 답답함을 못느끼는 영상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알면서 물어보신것이라 생각하지만 ㅋㅋ
@자전-e6o
@자전-e6o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 드립치는 애들 잼민이들이냐 지겹다이제
@scoutidea
@scoutidea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한텐 느리지만 안 답답한 영상 느리지만 한국인이 안 답답해하는 영상
@_Kim_Parrot_
@_Kim_Parrot_ 3 жыл бұрын
@@zunxul 전 영상 보면서 답답함을 너무 심하게 느끼는데요
@황금화살-b3m
@황금화살-b3m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기초 과학 컨덴츠 엄지척
@ILoveSturmTiger
@ILoveSturmTiger 3 жыл бұрын
무선충전 원리 전혀몰랐었는데 이제 알게되었습니다!
@jajajaja4534
@jajajaja4534 3 жыл бұрын
4:35 졸귀탱
@sunwooikim6043
@sunwooikim6043 2 жыл бұрын
크으 렌츠 법칙을 이렇게 설명할 수 있군요!!
@cryptotsla5443
@cryptotsla5443 3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입니다. 계속적으로 활동해주시는거죠?
@qzpm1324
@qzpm1324 3 жыл бұрын
3:49 어디서 본 것 같지 않냐 할 때 다른거 떠올렸다..
@김씨주승
@김씨주승 3 жыл бұрын
나하고 똫같은생각을 한건가...?
@저녘놀
@저녘놀 3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니 잘 이해가 됐습니다. 그런데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해서 충전을 한다면 스마트폰 기기 내부의 다른 장치들은 어떻게 그 영향이 없이 잘 작동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yong-junhwang7811
@yong-junhwang7811 3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때 이해 못 했었는데~이영상으로 이해 완료~!!~ 휴대폰 무선충전 들었다 놨다~터짐 ㅋㅋㅋ
@이진희-w1q
@이진희-w1q 2 жыл бұрын
03:45 하 음란마귀...
@리타상
@리타상 3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너무 좋아요 ㅠㅠㅠ
@zoooooooable
@zoooooooable 3 жыл бұрын
저도 모두들처럼 잘 이해되게 그리고 고퀄리티 애니매이션에 구독합니다
@전영운-v5e
@전영운-v5e 9 ай бұрын
0:10 밖에서 신던 분홍색 운동화를 침대에서도....
@wonjaelee5789
@wonjaelee5789 3 жыл бұрын
후시대로 갈수록 인류가 똑똑해지는건 이런 분들이 있어서가 아닐까
@musecine
@musecine 3 жыл бұрын
재밌고 신기합니다. 전기차 시대에 전기차도 무선충전을 하게 된다면...기업을 공부해서 투자를 해야 하는데 돈이 없네요 ㅋㅋ
@OhOhOhOhGood
@OhOhOhOhGood 3 жыл бұрын
1:47 아 그래서 빨리 삽입하면 효과가 크구나
@우큐-g3i
@우큐-g3i 3 жыл бұрын
난 썩었어...
@davidbeckhaification
@davidbeckhaification 3 жыл бұрын
@@우큐-g3i 그 경우엔 늦게 삽입해야 효과가 큰데 ㅋㅋㅋㅋㅋㅋ
@883scv
@883scv 3 жыл бұрын
????
@cchocopie
@cchocopie 3 жыл бұрын
공부 열심히 해서 입사 하세요
@독자적인이름
@독자적인이름 3 жыл бұрын
3:47 어.... 본것 같긴 한데...
@평범하지_않은_인간
@평범하지_않은_인간 3 жыл бұрын
난 썩었어
@widmeinhefuxxinlazy1.5
@widmeinhefuxxinlazy1.5 3 жыл бұрын
그 본 곳이 허브 사이트였나?
@탤점
@탤점 3 жыл бұрын
난 눈동자에서...
@jacobkim3869
@jacobkim3869 3 жыл бұрын
정지한_안드로이드를_긴_막대자석으로_짜릿하게_충전.avi
@니콜키크드만-f6p
@니콜키크드만-f6p 3 жыл бұрын
나같이 엉큼하신 생각을 하시다니...
@1byte997
@1byte997 3 жыл бұрын
와...ㄹㅇ 바로 이해됩니다. 저의 학교 물리 교수님이 되주세요....
@TaehoPark-n4p
@TaehoPark-n4p Жыл бұрын
그냥 이해시켜버리네여 와우
@한재동-q5y
@한재동-q5y 3 жыл бұрын
3:00 츤데레네
@이에이잉-z6l
@이에이잉-z6l 3 жыл бұрын
순간적으로 과학시간인줄..
@min173kim
@min173kim 3 жыл бұрын
3:10 고무고무
@Jsjnakdkekak23
@Jsjnakdkekak23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ax-tc8qi
@Max-tc8qi 3 жыл бұрын
제가 지금 60대인데 이런논리 궁금했었습니다 설명도쉽고 그림도쉽고... 광팬되겠습니다
@MrRednoah
@MrRednoah 3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콘텐츠!
@TTT-V
@TTT-V 2 жыл бұрын
대박 이해가 한번에 되네요
@personaalan
@personaalan 3 жыл бұрын
색감. 배색도 너무 좋아요
@sfefdfes9531
@sfefdfes9531 3 жыл бұрын
3:52 역시 넣고 뺄때마다 찌릿하는 이유가 이거군
@Northstar610
@Northstar610 3 жыл бұрын
4:35 ㅁㅊ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터졌다
@SENTORI
@SENTORI 3 жыл бұрын
전자과입니다. 완벽한 설명이에요.
@김일욱-i5o
@김일욱-i5o 11 ай бұрын
그럼 충전기 안에 자석이 있다는거여 아니면 메인선에서 교류로 들어와서 핀셋부분에 직류로 바뀐다는거여 ~?
@엄주윤-n6r
@엄주윤-n6r 3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Yanewworld
@Yanewworld 3 жыл бұрын
착한 생각.....
@883scv
@883scv 3 жыл бұрын
????
@Y_Kim5
@Y_Kim5 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저렇게 여러 번 (직류-교류) 변환해야 하니 당연히 효율이 떨어지겠군요. 편리해 보이지만 에너지 관리 측면에선 낭비로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이지요.
@kalkim8442
@kalkim8442 3 жыл бұрын
변환 안하고 그냥 변압기로 전류 낮추는 기술 나오겠죠
@hhsg6817
@hhsg6817 4 жыл бұрын
냉장고나 에어컨 등 냉방 시스템에 대해 알려주세요!
@bRd3D
@bRd3D 4 жыл бұрын
진행 예정 중인 영상이 몇개 있어 조금 기다려주세요~
@하순이-i8k
@하순이-i8k 3 жыл бұрын
정말 최고입니다.....
@금눈쇠올빼미
@금눈쇠올빼미 3 жыл бұрын
공영방송인줄 알았네요 ㄷㄷ
@정민서abc
@정민서abc 3 жыл бұрын
3:49 네ㅎㅎ 어디서 해본 것 같네요^^ㅎㅎ
@서율버
@서율버 2 жыл бұрын
엄청 어려운 내용인데 알기쉽게 설명해 주셨네요... 물론 무슨내용인지 하나도 이해 못했습니다;;
@President-Loon.s.g
@President-Loon.s.g 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지역마다 발전헤르츠가 달라서 50헤르츠 쓰는곳은 분주기 써야하죠. 60헤르츠 를 전국적으로 쓰는게 개이득이라는.
@moory1791
@moory1791 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갤럭시에서 핸드폰을 무선충전보조배터리로 사용할수 있는지 이제야 이해가 아네요 감사합니다
@myede
@myede 3 жыл бұрын
무선충전단점:충전을하면서사용할수없다 장점:멋있다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3 жыл бұрын
교류를 직류로 바꿔서, 다시 교류로 바꾸고, 핸드폰내 코일에서 교류로 받아서, 다시 직류로 바꿔서, 배터리를 충전한다. 4번이나 바꾸는거면,,, 그냥 유선충전기로 2번만 바꾸는게 효율이 좋을듯…
@큐리오
@큐리오 3 жыл бұрын
학생때는 그렇게 이해 안되던 유도 전류가 애니메이션으로 보니깐 바로 이해되네요
@moto_play1
@moto_play1 3 жыл бұрын
퀄리티가... 잘보았습니다~~~!!!!
@어느날2
@어느날2 3 жыл бұрын
몰상식 +극 -극 방향은 딱히정해져있지않타 콘센트 꽂는 방향이 정해저있지않은이유가 이이유다 (그대신 한방향으로만 이동)
@ililiiillllll
@ililiiillllll 2 жыл бұрын
근데 꼭 구리로 된 저 구조, 모양으로 되어있는 코일만 저런현상이 일어나나요? 왜 굳이 저렇게 돌돌 말아져있는 구조로 해야하나요?
@쩜오-d1o
@쩜오-d1o 2 жыл бұрын
저 영상에서 무선충전기 내부로 전기가 들어올 때 어댑터를 통해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되어 들어온다 까지는 이해를 하겠는데 무선충전기 내부에서 다시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된다는 내용의 원리 이해가 안되네요... 무선충전기 안에 인버터가 있는건가요?
@와규와규-v9n
@와규와규-v9n 2 жыл бұрын
네 그런거같아요
@chsjqn9323
@chsjqn9323 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떡상한다에 다 건다
@after718
@after718 Жыл бұрын
들어가려 하면 못들어오게 막고 나가려고 하면 못나가게 붙잡는다 어디서 많이 본거 같긴 하네요
@LEG3ND_THANOS_230
@LEG3ND_THANOS_230 4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영상 업로드!
@김동수-w9r9g
@김동수-w9r9g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무선충전기 위에 다양한 어떤 기종을 올려도 충전이 되나요?
@bRd3D
@bRd3D 3 жыл бұрын
죄송해요.잘모르겠습니다~
@김동수-w9r9g
@김동수-w9r9g 3 жыл бұрын
@번역 네 감사합니다 ^^
@김동수-w9r9g
@김동수-w9r9g 3 жыл бұрын
@김대영 네 잘알게습니다^^
@김동수-w9r9g
@김동수-w9r9g 3 жыл бұрын
@@bRd3D 네 ㅎ
@rkdendndable
@rkdendndable 3 жыл бұрын
진짜 교육자료 만드는 채널 같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12-e7x
@312-e7x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을 학창시절 보았다면 전 분명히 과학이 좋아졌을겁니다. 아 물론 이과입니다.
@박우기-s2g
@박우기-s2g 3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본거 같지 않으세요...? 네, 교류전기입니다. 평소에 계속 진지하게 나가다가 살짝 어투 바꿔서 나만 웃긴건가;;;
@물같은인생여행
@물같은인생여행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어요.. 자연의 섭리로 들어올때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힘이 생겼고 그건 코일에 생긴 전류가 자기장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했는데요. 질문드려봅니다 1. 전류는 전자의 흐름인데 그럼 그 전자는 어디서 그렇게 무한히 얻고 있는건가요? 2. 자연의 섭리가 구리코일에만 적용되는건 아닐거 같은데 철로 만든 코일에도 전류가 발생하는거죠?
@김성중-k4l
@김성중-k4l 3 жыл бұрын
1. 자유전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이지 전자가 소모되거나 하는 게 아닙니다. 일반 금속에서 전자가 떨어져나가면 양전하가 되는 거고, 전자가 다시 붙으면 평범한 극성이 없는 금속이 됩니다. 2. 철에도 전기가 통합니다만, 저항이 구리보다 높습니다. 도전율이 은>금>구리>알루미늄>철 순인데 은 금은 비싸서 전선으로는 못 쓰겠죠? 가장 가성비 있는 소재를 찾다 보니 구리가 당첨된 겁니다.
@물같은인생여행
@물같은인생여행 3 жыл бұрын
@@김성중-k4l 막 출근하려다 답글 감사히 잘 받았습니다. 그러면 발전소에서 부터 각 가정까지 연결된 구리로된 전력선안의 자유전자가 부하를 지나 중성선을 지난후 다시 전력선으로 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두번째 답변은 완벽히 이해되었습니다.
@김성중-k4l
@김성중-k4l 3 жыл бұрын
@@물같은인생여행 전자는 정~~~말 미세한 거리만큼 움직입니다. 그 미세한 움직임이 수없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흐름이 '전류'구요. 여기서 송전계통을 논하기엔 길이가 너무 짧긴 하지만,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집까지 나르는 건 사람이 일렬로 늘어서서 물양동이를 옮기는 것으로 비유하는 게 나아보입니다. 사람들은 거의 제자리에 붙어있지만, 물양동이는 계속 손에서 손으로 이어져 전달되겠죠? 이와같이 전자가 직접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손에서 손으로 '에너지'를 옮기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물같은인생여행
@물같은인생여행 3 жыл бұрын
@@김성중-k4l 감사합니다. 전기 어렵고 재밌습니다..
@bugim4081
@bugim4081 3 жыл бұрын
3:53 착한생각..착한생각...
@lkgv123
@lkgv123 3 жыл бұрын
시발 ㅋㅋㅋㅋ
@ppang11ppang
@ppang11ppang 3 жыл бұрын
가능
@fduf64du85
@fduf64du85 3 жыл бұрын
미친놈인갘ㅋㅋㅋ
전기자동차 모터는 어떻게 작동할까?
14:07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СИНИЙ ИНЕЙ УЖЕ ВЫШЕЛ!❄️
01:01
DO$HIK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Bird sound with floating LEDs
5:06
Electronics project & software Stuff
Рет қаралды 15
건전지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21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330 М.
GPU는 어떻게 작동할까
14:04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612 М.
How is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Science cookie x intellectual Minani]
11:52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513 М.
CPU는 어떻게 작동할까?
21:48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100% 국산기술로 개발된 원거리 비접촉식 무선 충전기술
12:5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Рет қаралды 26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