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프라도미술관 소장 벨라스케스 명작 ★시녀들 해설★

  Рет қаралды 2,663

모두를 위한 미술사

모두를 위한 미술사

Күн бұрын

스페인 마드리드의 세계적인 미술관 프라도가 소장하고 있는
거장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명작 '시녀들'을 해설해 드립니다.
즐거운 감상되시길 바랍니다.
미술사학자 김석모(독일 뒤셀도르프대 철학박사, 미술사전공)
[네이버블로그⎢모두를 위한 미술사]
giambologna.blog.me
[강의, 강연 및 집필의뢰]
sukmokimarthistory@gmail.com
-------------------------------------------------------------------------------
COPYRIGHT ⓒ 2020 SUKMOKIM ALL RIGHTS RESERVED
저작자와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 사용을 금합니다.

Пікірлер: 12
@miyoungnoh8531
@miyoungnoh8531 4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을 지적 깊이를 잃지 않으면서도 독창적인 해석이 돋보입니다 늘 이 좋은 강의를 쉽게 들을수 있다니 감사합니다~~~
@정나그네-t2m
@정나그네-t2m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어려운 미술사 및 미술작품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 저도 모르게 미술에 빠져들어가는 느낌입니다. 항상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arthistoryforall
@arthistoryforal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행복한 한 주 되세요~
@발그림tv
@발그림tv 4 жыл бұрын
제가 서양미술사 수업만 세 번 들었는데요... 이렇게 좋은 수업을 받았다면 한 번으로도 좋아서 흥미롭게 많은 것들을 찾아 봤을거 같아요.
@arthistoryforall
@arthistoryforall 4 жыл бұрын
그러셨군요. 좋은 내용으로 천천히 채워갈께요~
@아름다운날-k4l
@아름다운날-k4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니크-n3c
@유니크-n3c 3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민트초코-t9q
@민트초코-t9q 4 жыл бұрын
차분한 목소리로 설명하여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늘 고맙습니다 ~ 덕분에 미술사 공부 잘 하고 있습니다 ^^
@ogongbal
@ogongbal 3 жыл бұрын
벨라스케스의 그림 가운데 있는 것은 거울이 아니라, 초상화입니다. 초상화를 거울로 착각한 것이죠(김성훈, 하마터면 평생 뚱뚱하게 살 뻔했네, 21~27쪽을 참고하세요). 많은 사람들이 이런 착각을 그대로 받아들였고, 그 착각을 기반으로 한 담론들이 계속 재생산되고 있습니다. 먼저 그림 속 국왕부부의 모습이 거울에 비친 모습이 아니라 초상화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arthistoryforall
@arthistoryforall 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주장에 대한 분명한 근거가 있는지요? 참고하신 책을 미술사 전문 연구자가 집필했나요? 저자의 주장은 무엇을 출처로 하고 있는지요?
@ogongbal
@ogongbal 3 жыл бұрын
@@arthistoryforall 그 책은 미술사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쓴 책입니다. 그래서 미술사를 전공한 사람들은 볼 수 없는 부분을 보는 것이죠. 벌거숭이 임금님을 보고 벌거벗었다고 생각하려면 어린아이같은 눈을 가져야 합니다. 미술사 시간에 배운 내용을 모두 잊고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근거는 우리의 감각입니다. 책을 보시면 분명하게 아시겠지만 거울은 이런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arthistoryforall
@arthistoryforall 3 жыл бұрын
@@ogongbal 중요한 지점을 지적해 주셨습니다. 늘 어린아이처럼 미술을 보려고 노력합니다. 어렵지만 말입니다. 어느 쪽이 되었건 편견 혹은 선입관에 빠지는 것은 피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동의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유튜브를 비롯해 여러 글을 통해 가급적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려 노력합니다. 어떤 작품들은 작품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해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선생님께서 벨라스케스의 그림에 등장하는 국왕부부의 모습이 기존에 받아들여진 것 처럼 거울이 아니라, 그림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말씀하셨다면 저도 공감했을지 모릅니다. 그렇습니다. 그 그림 속 대상이 거울이 아닐지 모릅니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그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저는 거울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벨라스케스가 여러 다른 작품들을 통해서 실험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해석 때문입니다. 미술은 논의와 토론과 담론의 대상이지 결론과 결정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Beat Ronaldo, Win $1,000,000
22:4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8 МЛН
VIP ACCESS
00:4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이젠하임 제단화★
3:52
모두를 위한 미술사
Рет қаралды 1,2 М.
Греческий язык? Сейчас объясню!
16:44
Энциклоп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Meaning Behind the Form
25:41
後視野
Рет қаралды 8 М.
The Case for Impressionism
13:11
The Art Assignment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미켈란젤로가 그린 그림의 문제(?)
4:46
모두를 위한 미술사
Рет қаралды 1,1 М.
How to sketch cast shadows
8:56
product designer maker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Beat Ronaldo, Win $1,000,000
22:4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5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