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통해서 스픽 최저가 혜택 확인하고 영어 공부 시작해보세요! bit.ly/4h04IJo
@leonseat68115 күн бұрын
오늘의 여응상 결론 : "생각보다 나이가 많아보이시는데용?" ㅠㅠ
@Illiliiiiiilliiiiilli5 күн бұрын
모든 전국 선거구 사전투표, 그 당만 100프로 승. 사전투표함 속 그 유명한 형상기억종이는 죄다 그 당만 투표. 수학자, 통계학자, 공학자들 “하느님도 불가능한 기적“
@Madao69745 күн бұрын
스픽은 못참지 !! 당장 눌러보자~ 영어님 잠깐 비켜줄래요? 강사님에게 잠시 시켜볼게 있어요!
@빵끼-y8r4 күн бұрын
언제까지 링크유효한지 궁금합니다!
@Kira-rx4hu4 күн бұрын
그냥 강대국이 되면 됨 전세계인이 많이 쓰는 스페인어를 안배우고, 안쓰는 이유 미국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러시아어 전세계에서 쓰는 이유
@dicv4931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147회차 허브도시 선언 ㅋㅋㅋㅋㅋ
@푸르르-v3e5 күн бұрын
허브솔트공장이나 만들자!
@illiiiliiil5 күн бұрын
@@푸르르-v3e 내일 CJ제일제당 풀매수 갑니다.
@생각중-w3k5 күн бұрын
@@푸르르-v3e 그 공장도 주변에 아파트 들어 서면 바로 타도시로 런 해야함...^^
@sh1ltz5 күн бұрын
허브나 심어라 진짜ㅋㅋㅋㅋ
@푸르르-v3e5 күн бұрын
@@dicv4931 그 북항 재개발도 또파트 들어선다네요
@Y튭5 күн бұрын
부산사람 “엥?”하면서 들어왔습니다.
@부산에났다-v7h5 күн бұрын
부산살지만 매년 꿈이 바뀌어서 이제 놀랍지도 않다 2030엑스포 부산 국제물류허브도시 국제관광허브도시 국제금융중심도시 영남권 메가시티중심지 아시아 메디컬중심도시 에코시티 it글로벌도시 내년엔 또 머할건지...
@lonomy43835 күн бұрын
26년엔 전국에서 1호로 소멸되는 도시❤
@루비파도5 күн бұрын
저중 반만 됐어도 ....아니 하나만 제대로 됐어도.
@3월의라이온5 күн бұрын
옆동네에 도요타가 나선 우븐시티를 롤모델 삼아 ai 미래 도시를 표방할듯.
@Ramune2455 күн бұрын
실버타운
@Creed4WIN5 күн бұрын
@@Ramune245오 이거 될거 같다
@맨땅-f4v5 күн бұрын
영어도시 만들기 위한 우리 의원님들의 해외연수를 가장한 호화 여행
@husky59864 күн бұрын
진짜 이거.... 어질어질하다😖
@sca753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맨땅-f4v2 күн бұрын
@@sca7531 마냥 웃을수없는 현실임 나는 이거 제목보고 바로 생각한게 의원이랑 공무원들 싱가폴 여행 한번 하겠구나....
@제육볶음-h6n5 күн бұрын
직장 다없에서 젊은애들 다쫒아내놓고 이제와서 무슨 ㅋㅋ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오옹
@burninglime99605 күн бұрын
ㄹㅇ 버러지들이 아파트만 잔뜩 올려놓고 허브도시는 뭔ㅋㅋㅋㅋ
@ky84425 күн бұрын
돈 슈킹 해야 되니까
@vian4e1504 күн бұрын
부산은 늙은 정치인들이 몇십년째 조지는중 양쪽나오는 놈들 다 답이 없음ㅋ 그냥 제조업 관광만 밀었어도 지금 처럼 안됐을텐데 그놈의 재개발, 아파트만 밀어서 일할곳이 부족하고 월급도 낮은데 재개발 아파트로 부산집값만 ㅈㄴ게 올려놓음ㅋㅋ 답안보이니 젊은 사람 다떠남 진짜 노인과 아파트 되어가고 있음....
@66hf4 күн бұрын
완전 공감.......관광업, 최저임금 받는 알바나 다름 없는 일자리 제외하면 거의 전멸한 수준.
@sophialee21395 күн бұрын
지금 싱가포르에 살고 있어요. 고향은 부산이고요. 헛웃음이 나오네요.. 슬프기도 하고 ㅠ
@Powerbank-e7z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에서 뭐하십니까
@zero12-f64 күн бұрын
돈많아서 싱가포르로 런쳤네
@nvms2124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노
@kimjinuk63244 күн бұрын
Same for me LOL. Doing my degree in NUS EE right now. Hit me up fam
@moreinter3 күн бұрын
세계 8위의 월드클래스 NUS 싱가포르 국립대가 있는 싱가포르. 학사/석사 최고인재들의 요람인데... 가장 기본인 교육 인프라 자체가 넘사벽인데...
@lIllIIIIIIlIl5 күн бұрын
싱가폴처럼 영어가 기본인것도 아니고, 법인세가 낮은것도 아니고 상하이나 두바이처럼 돈이 많은것도 아니고 두바이처럼 소득세로 외국인들을 끌어올것도 아니고 ㅋㅋㅋ 되겠냐…?
@Banana-t4v9s4 күн бұрын
해처 먹는 용도이죠
@알콩-t8p3 күн бұрын
법인세 낮쳐주면 부자 감세라고 난리쳐서
@sung000013 күн бұрын
비판만하지말고 같이 방법을 찾아보는게 어때? 잘되보려고하는건데 찬물 뿌리지말자
@오락-q7c3 күн бұрын
언어란게 할꺼면 어정쩡하게 하게 하면 안됨 걍 부산자체를 한글이 불편할정도로 싹바꿔야함. 법인세도 걍 세수포기한다 수준으로 나가야함.. 이정도하면 10년뒤에 글로벌허브 될까말까ㅋㅋ
@my_23692 күн бұрын
@@sung00001 좀 현실성있는 정책을 들고나와야 응원을하지 딱봐도 뒤에서 해쳐먹으려는 ㅈ같은 의도가 보이니까 다들 이렇게 부정적인거 나닐까
@hwk6246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같은 국제 허브 도시될려면 제 1순위가 세금이 거의 없어야 하는 겁니다. 법인세는 10% 이하여야 글로벌 기업이 오고 상속세는 0%여야 글로벌 부자들이 옵니다. 근데 이게 부산시에서 할 수 있는 영역인가요? 불가능하죠. 고로 글로벌 허브 도시는 그냥 정치적 구호정도로 생각하시면 되는 겁니다.
@rounlee48734 күн бұрын
그거 곧 작살납니다. 아일랜드 싱가폴 네덜란드 기생 도시국가들 언제까지 타국 부 빨아먹게 냅둘 것 같나요. 과거였으면 점령당했습니다. 글로벌 최저 법인세 15% 적용하려 eu 미국 합의 했었는데 지금 트럼프가 꼬장내고 싶어합니다. 빅테크 조세회피로 무역수지에 제대로 안 잡히는데 이거 정상화되면 미국 무역적자라는 주장 큰 흠 생기니까..
@fossilfresh89954 күн бұрын
법인세가 10% 이하라라 글로벌 기업들이 온다면 15%가 넘는 홍콩 아일랜드 룩셈버그는 어케 외국 기업들이 갔나요? 너무나 재벌들이 하는 말들에 뇌가 절어있군요.
@지찬-r2k4 күн бұрын
세금 감세 없이 허브도시가 어떻게 가능함? 진짜 정치적 구호
@fossilfresh89954 күн бұрын
@@지찬-r2k 뉴욕 런던이 국제 허브 도시인가요 아닌가요? 그럼, 뉴욕 런던에 세금이 없나요 있나요?
@고물상-c4v4 күн бұрын
@@fossilfresh8995 대체가 가능한가? 근방의 비슷한 조건에서 최선의 국가인가의 문제지 대체 뭘 반박하고 싶은거에요?? 부자 재벌들 유리하개 하면 절때 안된다고 말하로 싶은거임??
@junehyukhan55905 күн бұрын
’무엇무엇을 하겠다‘= 이 프로젝트 타령으로 해쳐먹겟다.
@abjsjeuej22825 күн бұрын
"세금달라"
@자두-c6i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루 상하이 두바이 현지시찰 힐위고😊
@yuno33845 күн бұрын
다 먹고 난 가겠다
@정오-t8x5 күн бұрын
후쿠오카보다도 못한 도시.
@웅캉캉-z3y5 күн бұрын
아니 싱가폴 앞다바는 배가 많이 지나다니는 항로 잔아... 그냥 부산이 절대로 싱가폴이 되는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 아님??? 영어따위가 아니라.... 앞 바다 지나가는 선박수가 40배 50배 차이나는게 근본적인 이유 아님???? 중국 배가 미국 갈때 부산 들릴 이유도 없고 ㅋㅋㅋ
@php13545 күн бұрын
하수 - 아 또 누가 해처먹을라고 고수 - 아 부산에 큰 영어유치원이 생기나보구나
@방승혁-v1x4 күн бұрын
고수 : ㅋㅋㅋㅋㅋㅋㅋㅋ부산이?..되겠니?
@atlantis25684 күн бұрын
출산율보면 영어노인정이 더 가능성 높을듯;
@neoguri663 күн бұрын
@@방승혁-v1x 그건 초하수도 아는 사실인데용..?
@bluecitybluecity34433 күн бұрын
노인아파트
@최혁수-g5y3 күн бұрын
노인과 바다에 뭔 유치원이여
@yjj28265 күн бұрын
고령화 젤 빠른 도시에서 영어도시라.....아파트 짓는다고 기업 쫓아내는 짓부터 멈춰야 하지 않을까?
@yj-kim-yjk5 күн бұрын
댓글로 두드려 패시네요ㅋㅋㅋ 굿
@Dkdkwed-m9x5 күн бұрын
양파! 으니언~
@userskfjeyqs5 күн бұрын
고층건물 지을거면 상하이처럼 예쁘게라도 짓던가 다 똑같은 성냥갑 닭장아파트나 지어대니..ㅉ
@KISCZZ5 күн бұрын
세금부터 줄여야 함
@user-mt5ml2ky4y4 күн бұрын
@@userskfjeyqsaigo!!!이게 한국의 전통이라말입nida!!!
@여우노을5 күн бұрын
허브도시보단 할마시들 뜨끈하게 몸 지질 수 있는 허브 목욕탕이나 많이 만들어라
@변발신사제이호4 күн бұрын
ㅈㄴ웃기네
@제육볶음-h6n4 күн бұрын
@@여우노을 ㅋㅋㅋㅋㅋ
@김경덕-d9n4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정답이네요 ㅋㅋㅋ
@필-m1o4 күн бұрын
ㅋㅋㅋ 동래구 거주 주민으로써 격공
@jihyunnam20983 күн бұрын
진짜 ㅈㄴ웃기네 ㅋㅋㅋㅋ
@asdeef-w6r5 күн бұрын
부산은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그림의 떡만 보며 살고있네 ㅋㅋ
@abjsjeuej22825 күн бұрын
아파트는 지어놨는데 잘팔리진못하고ㅋㅋㅋ 기껏 생각해낸게 글로벌허브도시..
@englishmutton5 күн бұрын
진짜 공무원들 회의에서 진짜 나이 많으신 분들만 모여가지고 기획안 만들어서 통과시켜버린 거 같은 느낌..😊
@visionary_xrp5 күн бұрын
@@englishmutton꼰대도 꼰대인데, 젊은 공무원들이라고 뭐 대단할 것 같냐? ㅋㅋㅋ
ㅋㅋㅋ 외국인들 핸드폰 규제나 풀어라 ㅋㅋㅋㅋ 해외 이민간 친구들 한국오면 내 명의로 하나 개통해서 친구한테 핸드폰주는게 디폴트 설정임. 한국살다 이민간 한국인도 이런데 외국인은 걍 한국에서 아무것도 못하는 수준일껀데 글로벌 허브도시는 개뿔 ㅋㅋㅋㅋ 해외결제시스템 아무것도 한국에선 안됨. 아 물리적으로 가서 긁어야하는 비자카드 하나는 되는구나
@dalcomunion2 күн бұрын
해외결제 전부 되는데요 qr로 ㅋㅋㅋㅋ 스와이프 카드는 당연한거고
@NYCgragasКүн бұрын
@@dalcomunion paypal venmo zelle 여기서 되는거 하나라도??? 한국 갈때마다 미개해 죽겠다 ㅋㅋ 자기들 버블에 갇혀서 아이티 선진국 타령좀 그만해라
@Thankssato5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박형준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박형준
@bezalel52875 күн бұрын
분명 다른 단어인데 이질감이 전혀 없네요 ㅋㅋㅋㅋ
@RandolphHYAhn5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아파트 박형준 아파트 엘시티 두채나~
@arch94755 күн бұрын
별빛이 흐르는 다리를 건너 ~~~~~~~~~~~` 아파트 아파트
@신경희-t1o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cch1763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아파트
@LELELELE-o7z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에서 배우고 영어상용도시 실패사례 연구한답시고 세금으로 허구헌날 해외여행 다니는지 시의원들 구의원들 및 정치인들 모조리 철저히 검사해라
@tatiti66lef965 күн бұрын
절대 안된다 ㅋㅋㅋ 홍콩에 있는 외국계 기업들 홍콩 시위 이후 지금까지 쭉 다 싱가폴로 가고 있다 ㅋㅋ 아시아권에 지사 두는 거 죄다 영어 되는 도시로 두지 부산 절대 안됨ㅋㅋ
@hojudog5 күн бұрын
그니까 영어 하겠다잖아 =님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좋아해
@그냥쓰는댓글5 күн бұрын
그보다는 그냥 중국에 먹힐 것 같아서 안올듯 ㅋㅋ
@lexigone5 күн бұрын
뭐라카이? 와ㅡ 우리 부산을 무시하노. .... 알겠습니다, 영어 하기전에 사투리부터 없애라구요... 네....
@user-fn1yy4bk3o5 күн бұрын
마피아 야쿠자 애들이 페이퍼 컴퍼니로 마약이나 들여올듯 ㅋㅋ
@blur62545 күн бұрын
회사에서 만난 싱가폴 친구들이 많은데 그들은 어릴때부터 모든 수업을 영어로 듣고 쓰고 토론하면서 익히는거고, 부산처럼 보조 미디어 교육으론 절대 답없음
@duuckiee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사는데 여기도 주입식 교육 없는거 아닙니다.
@아랑사-f2z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바다 주제에 먼 싱가포르 ㅋㅋㅋㅋㅋㅋ
@강해린남친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바다 ㅋㅋㅋㅋㅋㅋㅋ 엌ㅋㅋㅋㅋㅋㅋ
@pricestealer5 күн бұрын
ㄴㄴ 노인과 아파트
@hdl79825 күн бұрын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기네
@AssyOdozzasae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아파트 ㅋㅋㅋ
@huan10665 күн бұрын
이게 존나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reshgreen50505 күн бұрын
허브를 재배해서 허브도시되는게 빠르겠다
@Andrea-d8x-h1n10 сағат бұрын
ㅋㅎㅎㅎㅎㅎ
@pasta_pizza_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직접 가보면 바로 느껴짐 부산이 글로벌 허브? 절대 안됨ㅋ 창이공항의 미적 아름다움을 떠나서 인종의 다양성이 말도 안됨 그리고 시내로 가면 수많은 글로벌 은행들의 마천루가 시야을 가득채움 도시에는 젊은사람들의 에너지가 넘치고.. 싱가포르의 위치적 가치도 동서양의 기착지쯤 되고 중동도 위치가 가운데임 근데 부산은 극동중의 극동임 허브인데 어딜 연결? 그리고 대중교통 타보면 다 늙은이밖에 없음 도로 구리건 옵션임
@englishmutton5 күн бұрын
이 댓글을 보고 올해 여행은 싱가포르로 결정했습니다. 한번 가보고 어떤지 직접 느껴보고 싶네요😊
@mubik4535 күн бұрын
와 갑자기 부산 가보고 싶어졌음
@robots6061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도 처음부터 허브였나? 부산이 인구유출 심해서 타계책으로 허브 선언을 했으면 응원해주면 되지 굳이 깎아내리기는..
@hojudog5 күн бұрын
해보고 말하자 꼭 이렇게 시작부터 까는사람이 있음
@주지운-c9j5 күн бұрын
@@englishmutton 부산은 안 느껴보고 싶으신가요?ㅋㅋ
@JiwonBaik-w5n5 күн бұрын
저는 마이애미사는데 부산에서 벤치마킹하려 왔었죠. 마이애미, 싱가폴 모두 부산이 절대 가지지 못하는 것들이 있죠. 이곳들의 원칙과 법에는 캐피탈의 자유도가 가장 중요하죠. 재산세가 없어야하고 상속세가 없어야합니다. 플로리다는 기업가가 망해도 은행에서 내 집을 차압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제프 베죠스, 메시, 베컴 그리고 팬데믹 이후로 300개 이상의 금융, 자본, 투자 회사가 뉴욕 및 세계 각지에서 마이애미로 이전했죠. 이러한 HQ가 부산으로 이사를 하려면 국민과의 합의가 우선입니다. 그 순간 소득 격차는 어마하게 벌어지고 갈등은 더 심해질 겁니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이 심한 대한민국에서 그것도 부산은, 도전 과제가 많습니다. 화이팅!
@Pedro-pg1mk5 күн бұрын
싱가폴 사람들 영어 굉장히 잘함. 한국인 입장에서는 미국/영국식 억양으로 말해야 잘하는 것으로 들리겠지만 싱가폴 사람들의 평균적인 어휘력/작문력/독해력은 서구 영미권 평균보다 더 월등. 또 지금의 젊은 세대는 싱글리쉬와 표준영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구사할수 있음 (편한 자리에서는 싱글리쉬, 공적인 환경에서는 표준 영어). 결정적으로 젊은 세대 대부분의 싱가포리언들에는 영어가 제1언어이기 때문에 부산에서 아무리 영어를 장려한다 한들 제2언어로 영어를 익히는 한국인 입장에서 따라가기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음.
@lillith666625 күн бұрын
싱가폴은 모국어니까 잘하는게 당연
@user-mt5ml2ky4y4 күн бұрын
모국어인데 잘하고 말것도 없지 ㅋㅋㅋ
@리치-u1w4 күн бұрын
발음빼곤 ...뭐... 처음 만나면 적응하는데 시간 걸림 한시간 쯤 지나니 내가 못하는 영어까지 알아서 알아들음 ㅎㅎ 일주일간 스위스에서 만난 싱가폴 친구랑 같이 돌아다녔는데, 예의 바르고, 매너 좋은 친구 였음
@userskfjeyqs4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싱가폴은 영어가 일반 소통언어임 중국+말레이시아+인도 3인종이 살아가는 나라라서 각자 집에선 다른 언어 쓰겠지만 다같이 모일땐 영어로 대화함
@duuckiee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11년차인데 싱글리시는 너무 짜증납니다만 제1언어가 영어여서 오는 국가적인 강점은 무시할수 없는거 같습니다. 다만 제 영어가 점점 싱글리시화 되는게 화날뿐…
@teethache5 күн бұрын
고립어중 압도적으로 사이즈가 큰 고립어가 한국어이고 뭐 일반적인 글로벌 언어로써도 7~8000만이 사용하는 제법 사이즈가 되는 언어라서 이 정도 되는 사이즈의 어족에 다른 언어를 이식하기 수비지 않음. 우리가 인도유럽어족이었다면.. 충분히 영어를 학습할 수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린 고립어라서 영어도, 중국어도 학습하기 어려움. 그나마 어순으로만 따지자만 우랄 알타이어계인 터키어나 일본어족 정도 학습할 때나 유리한 건데... 싱가폴처럼 만다린이 영어로 대체되어도 상관없다..라는 확신이 있지 않으면 저런 정책은 불가능함..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 지금보다 좀 더 강력한 회화 위주의 영어학습인거지.. 지금도 영어 회화 가능한 사람이 예전보다 늘었다고 하지만.. 기층으로 내려가보면 영포자들이 과거 수포자처럼..학교만 다니면서 영어수업이 끝나게 졸업만 기다리는 사람 널렸음.. 좀 더 영어 회화를 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기게 만들어야 할 듯.
@ekakfo1235 күн бұрын
걍 ai실시간 통역 상용화될때까지만 기다리자
@teethache5 күн бұрын
@@ekakfo123 문제는 ai 실시간 통역도 한국인아 타 언어 학습이 어려운 만큼 통역질이 문제가 있음.... 그런 관계로...지금처럼 한국에서 AI를 멀뚱멀뚱 쳐다볼게 아니라 주도적으로 개발해야 하는데... 이놈의 나라 R&D 비용이나 깎고 ai는 돈 많이 들어서 안돼...라고 하는 동안 중국애들은 딥시크 발표하고... 더 한숨이 나오네요.. ㅠㅠ
@lotus65744 күн бұрын
최근 연구로 우랄알타이가 언어, 민족 전부 깨졌다고 합니다. 한국, 일본은 완전 독자래요. 우랄알타이도 답 없습니다.
@김성은-i2d5 күн бұрын
부산은 왜 이렇게 가능성 없는거에만 세금 쏟아붇고 난리지? 기업도 날려버리고 아파트만 지으면서 젊은 층 떠나간다고 난리인거보면 코미디 그 자체임
@politiker94055 күн бұрын
점점 저능아만 모여 사니까
@jjk48914 күн бұрын
저도 항상 궁금... 부산에서 살았었는데, 그냥 가장 편리한 관광도시! 이런거하면 안되나? 바다,회=부산이라는 강력한 메리트가 이미있는데 왜 어려운길을 가는거야
@조구-b3i4 күн бұрын
@@jjk4891 그게 제일 메리트 없어. 일본한테 그냥 밀림.
@E_N_T_P4 күн бұрын
뭐 하나라도 한다고 해야 세금이 나오죠 하고 중간에 안되면 포기 하고 세금 꿀꺽 위에서 다 해쳐먹을 예정
@becoolforyou5 күн бұрын
요즘 여기 저기서 부산 띄울려고 노력하네..... 어디서 작업 들어갔나본데... 부산은 싱가폴이 될 수 없는게 부산과 싱가폴은 근본적 성질이 다름. 벤치마킹할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없고 싱가폴 연구해서 하면 최악의 결과가 나오기 쉬움.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이해가 안되죠 가능성도 없는 소멸도시를 왜 계속 뛰우는지
@becoolforyou3 күн бұрын
가능성은 매우 큰 도시입니다. 도시 인구가 200만이 넘는 항구도시가 흔하지 않죠. 다만 도로정비 및 개발과 문화시설 등 이 필요하죠. 일자리는 더더욱 필요하고요
@oscar_charlieee5 күн бұрын
BIFC 입주사 중 한곳에서 일하고 있습니다..ㅋㅋㅋ BIFC 주변이 솔직히 너무 휑하고 업무지구 내에 건물도 몇개 없어요ㅠㅠ 싱가포르나 홍콩 발끝이라도 따라가려면 업무지구로 개발할 수 있는 영역 자체가 훨씬 넓어져야 할거 같네요.. 바다랑도 너무 멀어서 해양도시 이점도 못살리는게 아쉽ㅠㅠ 그런점에서 북항쪽을 금융업무지구로 개발했으면 딱 좋았지 않나 싶네요..대형 증권사나 자산운용사, 공제회, 중앙회 등등도 하나 없고 공공기관만 있는데 이미 국제금융도시, 금융허브는 많이 멀어진거 같습니다..
@cheonjaesonyeon4 күн бұрын
애초에 그 계획을 믿냐 형준이가 해쳐먹고 싶은데 명분이 없어서 명분 만든거지
@namub11064 күн бұрын
뮤지컬 공연 때문에 몇 번 지나가던 때도 이 건물은 좀 뜬금포 같은데, 하고 지나갔었는데;;; 최근 싱가폴 다녀오고 BIFC 건물 생각하니 역시 너무 외따로 있는 것 같습니다...ㅋㅋ..... 싱가폴은 지상으로 다니다보면 온갖 은행들이 보여서 신기했었거든요. 벤치마킹 할 거라면 이런 물리공간적인 것도 생각해주면 좋겠네요
@shk2874 күн бұрын
금융인프라부터 전무한곳에 어거지로 만들려하면 그게 됨??ㅋㅋㅋ 딸링 공공기관 몇개 가져다 놓고 무슨 금융중심지 ㅋㅋㅋㅋ
@ghist_k3 күн бұрын
문현쪽은 도로가 넓어서인지 과거부터 상권발달이 전혀 안되고 있어요. 도로는 넓으나 출퇴근 시간 정체만 많고, 차량만 통과하고 유동 인구는 적고... 각 섹터들이 따로놀고 횡한 느낌. 30년 전부터 분위기가 동일합니다. BIFC 생기면 좀 달라질까 했는데, 고향 내려가보면 여전하더라고요.
@왕푸드코트2 күн бұрын
북항도 아파트때려짓는걸로 종결 씹노답
@justinl83055 күн бұрын
외국인하고 같이 일하게 되다보니 싱가포르 사람이 영어 잘하는게 이해가 간다. 외국인이랑 영어로 의사소통하며 모든 업무가 영어로 이뤄지는 환경에서 일하다보니, 이건 진짜 생존영어다. 그간 영어 점수 고득점이라고 우쭐했던 맘이 쏙 들어간다. 원래 지하철은 내 독서공간이었는데, 이제 지하철에서 거의 영어공부만 하느라 요즘 독서량이 많이 줄어들었다.ㅠ 우리나라 사람이 학창시절에 영어공부 열심히 하고도 성인되면 영어 못하는 이유는 결국 하나라고 생각한다. 영어 안쓰면 안되는 환경이 전혀 아닌데다 영어 몇마디만 해도 영어 잘한다는 말 듣고 우쭐해지는 환경이기 때문. 영어공부는 그저 취미생활이나 소일거리일뿐. 행여 영어공부 열심히 하더라도 그건 단지 점수 잘받아서 고스펙을 만들기 위한 수단일뿐.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영어 안 쓰면 안되는 환경이 되면 안되는거다 한국인은 한국어만 잘하면 되고 영어는 하고 싶은 사람만 배우면 된다
@justinl83052 күн бұрын
영어 안쓰면 안되는 환경이 돼야 한다고 댓글을 쓴게 아니라, 우리나라가 학창시절에 영어공부 많이하고도 싱가포르 국민만큼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이것 때문인것 같다고 쓴것 뿐임.
@Extra-Train5 күн бұрын
부산사람인데 허브, 글로벌 이름 붙인거 그나마 성공한건 김해공항 생긴거랑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말고 없어요
@주지운-c9j5 күн бұрын
세 개나 있네요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우으응
@민이-w4g5 күн бұрын
국제금융그것도 위치가 .....뭐 지하철이 생겼다곤 하나 솔직히 개뜬금없는거 같은데 위치가
@mrjoo19835 күн бұрын
국제금융센터(국내 공기업만 입주해있음)
@mrahn73215 күн бұрын
@@Extra-Train 국제금융센터.. 성공했다기엔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주변에 외국계 은행 줄줄이 들어서 있고 각종 금융기관들이 모여야 하는데 건물 하나 떡하니 지어놓고 주변에 국내 공기업 몰아넣은 정도? 국제라는 단어가 무색하게도
@mundotheatrum5 күн бұрын
경기도 출신인데 부산에 사 년 살았던 사람입니다. 솔직한 얘기로 우선은 다른 걸 다 떠나서 도시 분위기를 바꿔야 합니다. 언제까지 아랫 사람 괴롭히는 문화 `행님모르나` 할 겁니까 그들의 세상에 매몰되어 있으니 외부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는 걸 본인들만 인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usdjfkdnk4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사람 만나면 기싸움 무조건 해대고 착하거나 만만해보이면 성인들도 무슨 애들마냥 사람 우습게 만들고 반말해대고 불친절하다 좀 바뀌었으면 좋겠다하면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 얼른 가라 가 이런 반응들임 너없어도 잘돌아가 이런식임
@슈라-r9v5 күн бұрын
일자리 내몰고 집만 짓는 도시 부산. 파도가 몰아치는곳에 집을 짓는 부산. 젊은 사람은 없고 나이든 사람만 남은 부산. 소멸할거라고 예측한 도시 부산. 그래도 집만 짓는 부산.
@gtmj58435 күн бұрын
영어를 잘하게 하려면 영어를 공용어로 격상시켜서 일상생활에서 쓰게 만들어야지. 영어는 외국어로 정해놓고 실제로 학교에서 영어 주당 3시간 배우는데 무슨 말하기를 가르치겠나. 단어, 듣기, 읽기, 쓰기 가르치기에도 부족한 시간임. 맨날 10년 넘게 영어 배웠는데 말한마디 못한다고 ㅈㄹ하던데 당연한거지. 영어가 외국어인 대한민국에서 영어 텍스트 읽고, 쓰고, 자료 들을 일이 더 많지 영어로 말할 필요성이 더 크겠음? 그런거 따지면 학교에서 주당 영어 3시간 가르치면서 단어 읽기 쓰기 위주로 가르치는게 훨씬 가성비 높은거임. 말하기가 필요한 사람은 그냥 의무교육 이후에 각자 필요에 따라 배우면 됨. 영어 말하기 스킬을 기르려면 사회적으로 영어가 공용어여야 함. 영어가 외국어인데 학교에서 말하기 활동 좀 시킨다고 해서 애들 영어 말하기 실력이 결코 드라마틱하게 늘 수가 없음 이럴 때 지자체에서 젤 잘하는 뻘짓이 원어민 강사 채용해서 그 주당 3시간 수업 중 1시간 맡기는거더만. 영어교육이나 교육학 전공 안한 원어민들 와서 애들 30명데리고 혼자 이상한 게임이니 팝송수업하는데 아무 교육적 효과도 없음. 오히려 수업시간만 더 뺏기는 격인데다 애들 수가 많아서 말 한마디도 못하는 학생들이 태반임. 애들이 말하게끔 수업활동 구성 가능한 전문성 지닌 원어민 찾아보긴 극히 어려움. 애초에 그런 원어민들이 한국 공립학교를 왜 오겠음 ㅋㅋㅋ 국민들 영어 잘하게 하려면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교육과정에서 국어교과처럼 한 주에 5시간씩 가르치게 시간표 편성하면 됨. 그게 젤 빠른 방법임 근데 영어 공용어로 지정하면 또 발작하겠지. 사대주의적 발상이라고 ㅋㅋㅋㅋㅋㅋ
@NMMNZMN5 күн бұрын
어허 노예만들어야지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당연히 공용어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데 뭔 발작? 한국어를 세계 공용어로 만들면 된다
@user-kjmo1i4ny284nyv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바다" 라는 상황이 가속화 되어 가는 마당에 이제는 "노인과 바다 그리고 외국인 거주" 점점 할렘도시로 만들려고 작정을했네....
@jao20225 күн бұрын
외노자 거주...
@userskfjeyqs5 күн бұрын
원래 부산은 깡패로 유명하긴했지
@Shark-pm9bjКүн бұрын
실제로 유사 베트남이 다됐죠 ㅋㅋㅋㅋ
@keonwookim39995 күн бұрын
내가 봐도 웃긴데 전문가들이 보면 얼마나 어이없을까 ㅋㅋㅋㅋㅋ
@정호민-o5e4 күн бұрын
그럼 신세한탄만하고있나요? 북한가서 사세요 선생님 ^^
@숨쉬는곳4 күн бұрын
@@정호민-o5e네 그래서 젊은 인구들은 먹고 살기위해 수도권으로 튀고 부산은 노인과 아파트가 되었답니다^^
@user-ii6jn9cm6o5 күн бұрын
*오피셜) 세계에서 가장 늙은 영어도시 "부산"*
@rundat39044 күн бұрын
왜 싱가포르가 1인당 gdp가 8만달러가 넘어서며 금융허브인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알면서도 모르쇠로 엉뚱한 소리하는 조선인 종특이라고 해야겠죠. 1. 상속세가 없다. 2. 주식, 채권 등에 대한 양도세가 없고 이자소득세가 없거나 매우 적다. 이 두 가지를 안해주는데 무슨 금융허브 같은 헛소리를 하고 있습니까. 애시당초, 조선에서 부산만 따로 떼어서 저 두 가지를 제공해 줄 순 있습니까? ㅋㅋ
@mangoisproven4 күн бұрын
Fact
@성이름-y9m9yКүн бұрын
팩트
@oom835 күн бұрын
내가 지방시의회나 광역단체 뻘짓 참많이 봐왔지만 그중 최고는 진짜 부산임. 이 사람들 진짜 ..........
@wkdrnghd5 күн бұрын
젊은 사람이 하나도 없는데, 할아버지 할머니랑 영어로 대화하려고?
@pklr5 күн бұрын
비전 없는데 늘 거대한 비전을 가짐
@장도령-r9d5 күн бұрын
비전프로 하나만 사주세여
@pricestealer5 күн бұрын
우리팀 이즈네
@100-y1s5 күн бұрын
그래야 세금 받아쳐 먹으면서 삥땅치지
@Dkdkwed-m9x5 күн бұрын
앞비전 뒷플 부산
@제니훈-r5d4 күн бұрын
늘 뭐 한다고 해야 그거 핑계로 세금 해쳐먹을 수 있지. 국제행사 유치랑 비슷한거임.
@DerVogeldesJahres5 күн бұрын
한국 그리고 외국에서 둘 다 대학 나온 입장에서 대놓고 말하자면 대학 내 전공을 전부 100% 영어로 된 수업으로 바꿔야 합니다. 한국 대학에 들어가면 영어를 쓸 필요성이 거의 없습니다. 영어로 된 수업이 고작해야 몇 개 안 되니까 그것도 전공은 고작해야 둘 셋 남짓이고요. 전공을 한국어로 배워봤자 외국계에서 일하려면 어차피 쌩으로 용어를 새로 익혀야 한다는 뜻입니다. 굳이 그럴 필요 없이 애초에 영어로 익히면 외국 회사 입장에서도 한국 인재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질 수 있고 적어도 대학을 나온 사람이라면 언어로 인한 문제는 없을거라는 전제가 생길 수 있지요.
@삐로리라옹5 күн бұрын
그럼 교수를 다바꿔야험...
@DerVogeldesJahres3 күн бұрын
@@삐로리라옹 교수님들 다 미국에서 박사, 포닥하시고 오신 분들이예요... 험지에서 영어로 살아남은 분들입니다. 그 분들보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빠르게 따라올 수 있는지가 더 문제라고 봅니다.
@삐로리라옹3 күн бұрын
@@DerVogeldesJahres 전부다요?
@DerVogeldesJahres2 күн бұрын
@@삐로리라옹 교수님들 약력은 직접 확인 가능하니 적당한 대학 찾아서 한 번 보고 오셔요. 아닌 분 찾기가 더 힘들지 싶습니다. 국제 학회도 참여하시고 논문도 다 원어로 읽으셔야하는데 영어가 안 되실리가요 ㅎㅎ 발음이 영어권 수준이 아닐 수는 있겠지만 그거야 싱글리시, 인도 영어도 마찬가지고요...
@dalcomunionКүн бұрын
@@DerVogeldesJahres 어디 인문대 다니셨나봅니다.. ㅋㅋㅋ 교수 약력 한번 못봤나 교수를 다 바꿔야됩니다 이러네 ㅋㅋㅋ 근데 인문대도 다 해외출신아닌가
@jakeahn49215 күн бұрын
웅장한 스픽 빌드업 ㄷㄷ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흥흥
@polelaw5 күн бұрын
역시 자네야
@DJP-eu3kj4 күн бұрын
외국에 살고 해외 출장 직원들이랑 부산으로 많이 가는데, 절대 안 될 거라고 봅니다. 부산 많이가보신분들은 느낄꺼임. 그리고 중국인도 너무많고. 내부적인 문제나 먼저좀 해결해줬으면
@Primavista05 күн бұрын
부산 사람이지만 제목이 미쳤네요ㅋ 겠냐???😂😂😂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홍홍홍
@ibexvi6qxb6087ec2 күн бұрын
영어... 진짜 번역어플 이런거 아무리 발달해도 의사소통을 영어로 집적하는게 진짜 듸 중요하다는게 절실하게 느껴집니다.
@seoyunseok5 күн бұрын
이런 선언하고 성공한 걸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ㅋㅋㅋㅋㅋ
@빠밤바둥가둥가둥가5 күн бұрын
경제개발 5개년 정책
@seoyunseok5 күн бұрын
@@빠밤바둥가둥가둥가 그런 이름 말고 "글로벌첨단디지털특별혁신" 같은 이름들 달고 나온 정책들
@가리가리-b9o5 күн бұрын
@@빠밤바둥가둥가둥가 그건 내수용이니깐 성공했죠
@cch17634 күн бұрын
이걸 지자체장 따위가 할 만한게 아니죠 국가정책으로 해도 될까 말까 한걸 부산에 아파트만 짖는 박현준이?
@unhatheday25674 күн бұрын
미국 사는 한국사람으로써 진찌 한국이 회회만 진짜 잘하면 글로벌 잡아먹을꺼 같은데 하고 아쉬워요. 한국사람들 진짜 일잘하고 똑똑합니다.
@noserune5 күн бұрын
부산에서만 법인세 소득세 상속세 0% 하면 바로 성공할 듯ㅋㅋㅋㅋㅋ
@정경식-d6q5 күн бұрын
국세라 힘들듯
@mrahn73215 күн бұрын
그 정도면 다른 나라 수준인데...
@Jaden-005 күн бұрын
모나코 마냥 부산국으로 독립해야됨
@ekakfo1235 күн бұрын
당장부산가야지 ㅋㅋㅋㅋㅋ
@injangjujakeun4 күн бұрын
부산인구 1000만 확정 ㅋㅋㅋㅋㅋ
@hoonnicane5 күн бұрын
잘 되면 좋겠음,, 부산이 잘 돼야 한국이 좀 다채로워지지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부산말고 딴 지역이 잘되면 됨
@오리9년전수정됨5 күн бұрын
정책적인 부분이나 언어적 장벽을 진짜 말도 안되는 극악의 확률로 해결한다고 해도 말라카해협이라는 핵심 기착지를 부산이 어떻게 따라함 ㅋㅋㅋ 맨날 그렇듯 "글로벌" "금융" 들어가는 전형적인 공무원식 탁상정책이지 뭐
@seungchulkim91643 күн бұрын
젊은 애들 월급 많이 주기 싫어서 노인네 동네 만들어 놓고 8만 달러 도시를 벤치 마킹ㅋㅋ
@짐짝맨과조개소녀5 күн бұрын
Blueberry smoothie
@그킬5 күн бұрын
블루베리스무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oChairsExist5 күн бұрын
블\루/베/리\스\무/디\
@mjkim17295 күн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jeiw94j29d4 күн бұрын
벌러바리서머디
@jjk48914 күн бұрын
바다,회=부산이라는 강력한 메리트로 관광의 1도시가 될수도있는데 왜 어려운길을 가는거야... 전에 부산에서 몇년 살았던 사람으로써, 정말 부산 살기 좋고 놀기좋은데. 기후도 온화해, 산과 바다도 조화로워, 기본 관광 인프라도 있어 (호텔도 많고, 지하철도 다 있고), 특색있는 음식들도 있어! 관광도시되면 영어하는 사람도 자연스럽게 많아지면서 영어도 잘하게되어서 딱일텐데.
@helloworld-b1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법인세가 높고 기업규제가 많아서 부산인들이 영어를 아무리 잘해도 글로벌 허브도시가 될수 없음
@MK-jt8yd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으로 규제완화를 시도하는거임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Mauritania-b6s5 күн бұрын
한국만큼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어디있다고 ㅋㅋㅋ 대기업 ceo들은 알아서 잘 우회하고 법률, 주주 좆까라하면서 개꿀빠는데 한낱 노동자새끼들이 기업 걱정하는게 유머긴함
@chamonixx5 күн бұрын
그 법인세를 과연 정치인만 올렸을까? 개돼지들이 남 잘사는 꼴 못보는데 법인세 인하는 있을 수 없지ㅋㅋㅋ
@l3y3nf5 күн бұрын
@@MK-jt8yd 허구언날 떠드는게 규제완화지만 현실은 허구언날 스타트업 떠나는중
@neistde.99075 күн бұрын
이야 영상 제목으로만 사람 웃기게 만드는 재주가 있으시군요
@ssssupers5 күн бұрын
현재 만들어진 것만 보면 국제 허브 도시는 송도가 제일 적합해 보이는데;;;;;;;;;
@bksuh95605 күн бұрын
거긴 교통이 좀..
@user-vg8fm6sy2y5 күн бұрын
거긴 중국한정이잖아 부산도 일본에 치우치긴 했어도 남쪽이라 태평양 물류길 거쳐가는거라도 노려볼 수 있지
@ssssupers5 күн бұрын
@@user-vg8fm6sy2y 해외투자유치 규모 + 바닷길 + 하늘길 부산은 고급 일자리도 없지만 송도는 삼성 sk 롯데 셀트리온 자족기능 바이오 천지에요 부산은 인구 감소 인천은 인구 증가 지는해 vs 뜨는해 종합적으로 생각해 본 근거입니다
부산 ㄹㅇ 지금 직장이 없어서 다 수도권쪽으로 가고 집값도 계속 떨어지고 빈집도 많아지고 있는데 어떻게...? 요즘 부대 보면 진짜 유령도시 된것 같더라ㅠㅠ
@유튜브용-v5q5 күн бұрын
부산시민둥절
@드림컴트루-x9p3 күн бұрын
영어공부 동기부여가되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geniekk125 күн бұрын
당장 싱가폴만큼 세금 혜택 안주면 불가능함. 아파트 짓는다고 공장 내쫓는 부산에게 기대를 해볼 수나 있을지 의문..
@YS-zo3tf4 күн бұрын
그냥 차라리 '노인이 살기 좋은 도시'로 제대로 만들어보면 실버산업 관련 기업들이라도 들어오지 않겠나??
@LevisKIM5 күн бұрын
영어 좀 한다고 한국에 어떤 도시도 싱가포르가 될 수 없음. 싱가포르는 엘리트들의 도시임. 엘리트를 모으기 위해 사력을 다한 도시가 바로 싱가포르임. 친 엘리트적이고, 고액 연봉자 세금을 낮추고, 이런것들이 병행하지 않는한, 절대로 발끝도 못 쫓아옴
@Cloud1-b3g5 күн бұрын
엘리트가 아니고 돈 많은 사람들이지
@ilililiililiil30065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영어는 그저 외국어1이라는 인식이 있는 나라에 영어가 편한 도시 같은 정책이 받아들여질리가ㅋㅋㅋㅋ
@Ohleeh5 күн бұрын
말로만 외치는 계획~~ 실행으로 옮기는 빼돌리기~~
@오눌만시청가능-i8r5 күн бұрын
잠깐 모두들 얼음!!!! 에프컵 김다솜 분수 낼까지 달릴게 나의 채::::눨에 컴온 걱정마
@lightinmind4 күн бұрын
뭘해도 영어가 처음이라면 무슨 도시를 만들건간에 영어교육 확실히 밀어주는건 좋은것
@user-mt5ml2ky4y5 күн бұрын
자국 2030도 탈출하는 상황에서 외국애들이 오겠냐 ㅋㅋㅋㅋ
@insam26675 күн бұрын
1인당 GDP가 높다고 하지만 여기도 빈부격차는 어마어마함. 마리나베이에 가까울 수록 집 렌트비가 천정부지 높아지고 말레이시아, 외곽에 가까울수록 싸짐. 증권맨으로 싱가폴에 취직하는거 아니면 싱가폴에서 사는거 고민해보심이 좋아요 ㅋㅋ 저같은 서민이 싱가폴살면 상시 호커센터에서 밥을 먹어야... ㅠㅜ 만약 그래도 이민 생각있다면 절대 가면 안되는 싱가폴 기업으로 1. 싱가폴 회사 ( 크앜 MOM은 반성하라 ) 2. 한중일 회사 ( 복지나 임금 짜기로는 여기도 만만찮음 ) 위 2개만 지켜도 성공한 싱가폴인입니다. 다른 외국회사 가세요 무조건
@윤유상-n8b5 күн бұрын
@@insam2667 4년차 웹개발자 입니다. (지금은 퇴사) 개발자로 영어권 나라에서 일하는데 관심이 있어서 어제 직접 싱가폴와서 한달살기 하고 있습니다 ㅋㅋ 혹시 아시는 바가 있으시면 테크 업계 현황 같은것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레딧에 물어봤을때는 현지분들이 다들 쉽지 않다고 하셔서 ..
@moreinter3 күн бұрын
싱가폴에서 증권맨으로.... 하늘의 별 따는게 쉽지 않을까요? 그쪽은 극최상위 레벨이잖아요.....
@insam26673 күн бұрын
@moreinter ㅋㅋ 그렇긴해요. 차라리 별따러 가는게 더 쉬울지도 😭
@Tekkensupporter5 күн бұрын
글로벌한 문화와 매너를 갖추는게 우선임.
@Powerbank-e7z5 күн бұрын
최고네요. 5만불 되려면. 에티켓 사회가 되야지요
@englishmutton5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는 건국 초기부터 다인종으로 이뤄진 국민 통합을 위해서 국가 언어 자체를 영어로 선포한 국가인 걸로 알고 있는데;;;; 😅
@빠밤바둥가둥가둥가5 күн бұрын
ㄴㄴ 화교절대다수 국가였음 물론 말레이인 소수 백인 인도인들이 있었지만 70프로가 화교였는데 리콴유가 의도적으로 영어우대 정책을 폄 금융허브로 만드려면 영어가 중요하다는 걸 알았던 거임
@villainyeouido29795 күн бұрын
휴 국가산업은 금융을 강제로 부산으로 노나먹는 식이 되니 우리나라 금융이 후진거임. 부산으로 금융이 가면 외국인들이 아무도 부산까지 가서 미팅안함. 진짜 관치금융 한심
@ktw29575 күн бұрын
아 이래서 아파트를 왕창 만들고 공장 내보냈구나
@username-59484 күн бұрын
머 다 좋은데.. 어차피 기대는 1도 안되긴 하지만.. 이 나라의 영어 교육 시스템부터 바꿔야한다.. 싱가폴이나 인도를 비롯한 기타등등 영어가 1언어는 아니어도 공용어가 되는 나라의 특징은, 우리처럼 영어를 글로 배우지 않는다는 거임.. 걔네들은 그냥 영어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있는거고, 우린 그러지 않음. 그리고 뭣보다 말을 말이 아니라 글로 배우니 수능 전국 1등이어도 싱가폴 지잡대 애들보다 영어를 못하는거임. 문법중심, 스펙을 위한 토익이 아닌, 언어로써 접근해야 하는데 이거부터 이 나란 불가능에 가까움. 사교육이라는 빅부라더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지
@mangoisproven4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실제 업무로 부딪히지 않는 이상 회화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어려움 그덕에 제가 밥 벌어 먹고 사는 거죠
@Harry-n2j4 күн бұрын
교육 시스템을 왜 바꿈? 요새는 회화 배울 방법은 무료나 큰 돈 안들이고도 천지에 퍼져있는데 어플로도 금방 외국인과 대화하고 친구할 수 있는 시대에 알아서 배워야죠.. 님 말씀대로 수능 전국 1등이 싱가폴 지잡대 보다 영어를 못하면 영어만 잘 배우면 경쟁력도 알아서 생기고 오히려 좋은 일이네요
@선비처럼-n9z3 күн бұрын
회화를 배우는것과 실생활에 쓰는거랑 아예다름. 공부못하는애도 호주같은데 가서 일하다 오면 영어 기본회화는 다 구사함 걔네가 지방에서 영어학원 강사같은거 하는거고
@calmdown2875 күн бұрын
내가 부산 좋아해서 여러번 갔었는데 나이드신 분들 좀 어떻게 해라. 젊은 사람들 등쳐먹을려고만 하고 엉망진창임. 늙은 사람들만 가득하고 그 분들이 나이든 사람의 품격을 보여주긴 커녕 관광객인 젊은이들 등쳐먹을려고 하는데 어떻게 잘 되겠음?
@ckehf5 күн бұрын
뭐라도 해보려는 시도 자체를 폄하할 순 없겠지만.. 싱가폴에 손님들 다 뺏긴 현재의 홍콩만큼의 경쟁력도 없어 보이는데, 도대체 무슨 이유로 그 손님들이 다시 싱가폴을 떠나 굳이 부산으로 와야하는지 그 이유가 진짜 1도 안보인다는게 많이 안타깝긴 하네요.
@내가자전거가없어가지5 күн бұрын
진짜 한국인들 지금도 교육수준 높고 똑똑하고 성실한걸로 유명하긴 한데 영어만 잘했어도 다들 지금보다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을텐데
@user-px8jk7mk1w5 күн бұрын
영어 잘하면 영미권으로 도망가지 않을까용
@cheonjaesonyeon4 күн бұрын
@@user-px8jk7mk1w그게 좋은 기회인거잖아요
@글루미갓데이4 күн бұрын
@@user-px8jk7mk1w무슨 쌍팔년도 시대살고있나 요즘같은 역이민 시대에ㅋㅋㅋ
@duuckiee4 күн бұрын
요새 젊은친구들은 토종이어도 영어 잘해서 해외로 많이 뻗어나가더라구요.
@victorjeon3225 күн бұрын
길거리에 담배피고 침 뱉고 가오잡고 그러는거 싱가포르에서 하면 바로 감방인데 이런 사회 시스템부터 싱가포르를 좀 닮으려고 해라...
@joung-joonlee10374 күн бұрын
English 를 대한민국에 살면서 반 강제로 접하다 보니까 영어가 익숙하기는 한데, 머릿속으로 평균 1초 이내로 리얼타임으로 English 하는 일에 방법이 없을까? 에 대해서 고민을 해봤음. English 원어민과 외국인의 차이가 Yes or No 에 대해서 접속사로 Mind 를 부연하는게 속도 차이에서 약간 벽이 있지만 외국인 데려와서 연습하면 영 안 될 것은 아니기는 함. 팁을 주자면, 외국인이랑 샤바샤바하려면 부산시민들은 Yes or No 로 Mind N번 부연하면서 이러면 되네를 깨달아야.... 🔃
@joung-joonlee10374 күн бұрын
과연될까. 😗😗
@Jin-s9c5 күн бұрын
노인과 바다인 부산이 개뿔 피식
@MrtaiDiary5 күн бұрын
이젠 바다와 방파제로 향하는중
@luluryankung5 күн бұрын
글로벌 허브도시인기 하지 더포레스트아파트 센텀시티아파트 오션뷰아파트, 죄다 아파트가 영어가 넘치는 곳이고 또 계속 영어로 된 아파트 생기고 있으니 이미 글로벌 도시여ㅎㅎ
@longever25785 күн бұрын
중국도 베이징 올림픽 때 단기간에 택시 기사들한테 기본적인 영어 가르쳐서 외국인 손님 응대하게 하는 걸 실패했는데 영어 못하면 가게에서 물건도 못사는 정도의 극단적인 환경을 만든다고 해도 대다수의 부산 시민이 영어를 유창하게 하는 데까지 몇 년이 걸릴 지...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몇년이 아니라 불가능함 고령층이 많은데 그렇게 해도 공부안하고 해도 안됨
@neomind92295 күн бұрын
부산은 그냥 기업친화정책이나 해라 자꾸 삽질하지말고... 부산에서 살고싶어도 괜찮은 일자리가 없어서 못내려가겟다
@오진균-q4o5 күн бұрын
되겠냐 당장 법인세 내리면 미쳐 날뛰는 나라가
@고스트-i8z3 күн бұрын
지금도 복지가 부족한데 법인세 또 내리면 죽자는 거지
@Ahrism74 күн бұрын
1. 인종 다양성 높이기 2. 영어 교육 3. 금융, 무역 관련 일자리 창출 2-1. 영어 교육 지원, 교육비 지급, 교환학생 유학 기회 많이 만들기. 3-1. 신입에 대한 지원, 인턴쉽, 도시 차원의 세미나나 학습을 위한 주말 강의, 적절한 마케팅...홍보...
@nub75485 күн бұрын
공장 다 밀고 아파트만 지었으면서 무슨 글로벌 허브...?
@먼데이좋은데이2 күн бұрын
영어는 기본이고 세금 낮춰줄 자신 있나. 같은 영어 쓰는 미국 내에서도 결국 세금 문제로 다들 텍사스로 대동단결 하고 있는데.
@chasekorea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금융도시가 될수 없는건 영어문제 보다 한국경제가 재조업 중심 경제이기 때문인걸고 아는데..... 결국 안되는거 알면서 정치인들 표팔이 하는거임. 한국이 영국처럼 재조업 내려 놓을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sssbbb18715 күн бұрын
영국은 그 애들 밥도 못 먹이는 동네잖아요
@asdzxcz5m4 күн бұрын
위대한 같은 부산 건달들부터 청소합시다.
@연어맛-n4x5 күн бұрын
미안하지만 부산은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싼마이던데…
@psyche8501184 күн бұрын
근데 부산 노인과 바다라고 하지 않았나? 일단 일자리가 많아야 젊은이들이 가고 그럴텐데 그런거 없이 영어만 가르친다고 이게 되나?
@kagerani5 күн бұрын
싱가폴살고 친가 외가 있어서 부산도 많이 가봤다. 한 15년 잡고 계획잘하면 못할거 없다. 단, 규제 풀고 , 세금 싱가폴만큼 내리고 국제학교 싱가폴 만큼 지어라. 그러면 할 수 있다.
@hyungjunkim26164 күн бұрын
규제 풀면 그게 한국이냐 😂
@duuckiee4 күн бұрын
국제학교 지으라는거에 동의함. 싱가폴에서도 로컬학교에 자리 안 나서 국제학교들 보내는데 싱가폴로 새로 이주하는 부모들은 다 애들 학교 고민 하더라.
@appletimes8804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같이 될려면 금융 부터 뜯어고쳐야하는데, 부산 한정 금융법을 고칠수없으니 안타까움. 한국 법은 기본적으로 반 자본주의적인 법이 너무 많음. 왜 싱가포르나 옛날 홍콩같이 금융선진국이 될수없는지 봐야함.
@hso59375 күн бұрын
부산 박형준 또 멍멍이 소리하나?
@dojunkim21524 күн бұрын
부산은 노인과 바다인데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왕 이렇게 된거 노인 천국 도시로 만들어야 됩니다. 남는 아파트를 노인요양원으로 만들고, 키오스크 금지, 노인전용 은행창구, 노인전용 카페, 등등 해서 도시 전체를 거대한 실버타운으로 만들어야 실버산업으로 그나마 먹고 삽니다.
@poa_5 күн бұрын
법인세나 낮춰라 허브도시 말로만 하지 말고 ㅋㅋㅋㅋ 하긴 조금만 감세해도 부자 감세니 뭐니 발작하니 되겠냐 …
@CHYoo-mg4fx5 күн бұрын
1:08 😂😂😂😂😂😂 아니 그놈의 "허브"는ㅋㅋㅋㅋㅋㅋㅋㅋ 한 20년은 우겨야 하냐ㅋㅋㅋㅋ 개웃기네ㅋㅋ
@inydaily5 күн бұрын
부산: 노인과 바다 그리고 아파트
@CY-wd4sd5 күн бұрын
걍 공공기관 몇개 bifc에 강제이주 시켜놓고 뭔놈의 허브 ㅋㅋ싱가폴 홍콩 발끝도 안됨
@doxop5 күн бұрын
단일민족+인종차별 심한 우리나라에 누가 와서 투자함... 말이 아시아허브지 대부분 중국돈일텐데 반중혐중 심한 우리나라에 누가와서 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