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정상적으로 운영을 하고 돈을 반납할수록 높은 성과점수를 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신속집행은 진짜 말도 안되는 일임
@miniald10 сағат бұрын
탄핵이나 신속집행하라고
@bemithas11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인력 좀 줘라.. 사람을 새벽 3시 4시까지 이게 정상이냐? 저분이 웃으면서 말하고 있지만 진짜 사람 갈아가면서 일 시키는 거임
@Kneeg77711 сағат бұрын
이미 도로과에서 하는 계약으로 바쁜 사람한테 안행국 계약까지 얹어주는게 레전드네 ㅋㅋㅋㅋㅋ
@minseokjeong839410 сағат бұрын
인력이 많아지면 그대로 업무도 더 늘어나는게 현실임
@너굴냥이10 сағат бұрын
이게 맞나... 진짜 너무 고생이신데
@MrCjg102410 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도 사람인데....인력이 왜 자꾸 줄어드는지
@송명진-q1l10 сағат бұрын
이러고 욕은 또 욕대로 먹고..
@김정민-n8u11 сағат бұрын
인터뷰한 사람 대단하네 총대메고 다 말하는듯
@성이름-e7w7v11 сағат бұрын
팀장보직 받지않은 무보직계장(팀장보직 받지않은6급)이신듯
@seoun9510 сағат бұрын
어차피 저 사람 한테 뭐라할 사란도 없을듯 ㅋㅋ
@yoi_yoshi10 сағат бұрын
어차피 못짜름 ㅋㅋㅋ 짜를 사람도 없을걸요??
@taeyanglee307810 сағат бұрын
자를테면 잘라봐라네 ㅋㅋㅋㅋㅋ 저 일을 누가 대신할거여 대체
@seoun959 сағат бұрын
@@yoi_yoshi 저 사람 나가면 ㅋ 뻔하지 위에서 다리 꼬고 신문만 처 읽는 윗직급이 다 떠안아야되는데 실무 ㅈ도 모르는데 그게 되나 ㅋㅋ 저거 장요구르트도 백퍼 윗직급이 쉬업쉬엄해 ㅇㅈㄹ 하면서 책상에 가져가준거임
@월루-s7p11 сағат бұрын
1. 신속집행은 보여주기용 쇼다. 그리고 저런 쇼들이 겹치면서 민생에는 중요하지만 정치적으로 덜 중요한건 뒤로 밀린다. 2. 공무원 중에서 주 57시간 이상 무급으로 일하는 사람도 많다. 공무원이 일 없다고 하는건 인생을 커뮤에서 배운 백수 3. 공무원, 공공기관의 비효율적인 업무에는 수십년전 수준의 erp와 틀딱들의 페이퍼 선호 문화가 한몫 한다. 4. 당연하겠지만 저런 공무원 대부분은 쥐어 짜여서 과로사 하거나,은퇴하거나,이직하거나,병들어서 점점 찾아보기 힘들다. 아마 10년후면 한국행정은 매우 느려지고 답답해 질수 밖에 없을거다
@취성어10 сағат бұрын
안타깝게도 기술 발전으로 더 빨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wogns35735710 сағат бұрын
사람이랑 업무는 줄고 시스템은 빨라지길 바라야지
@eatsub11768 сағат бұрын
행정도 의료도 OECD 평균수준으로 가야함
@gori34207 сағат бұрын
@@취성어 그 기술 발전이 실무에 도입되는 게 한세월입니다. 우리나라 정도면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해 있다고 봐요. 그런데도 인력 갈아서 돌아가는 게 국가행정이죠.
@새냐-b2b7 сағат бұрын
기술발전하면 기존꺼 하면서 신기술도입해서 또해야하는게 공직의 현실
@크쿠르키루쿠11 сағат бұрын
비공무원이지만 이렇게 공무원 실무쪽의 얘기를 들어주는게 참 좋네요 이런 목소리 내는게 쉬운일이아닌데 충주시유튜브가 커져서 좋은 창구가 되어주는듯
@soharu90769 сағат бұрын
공감합니다 !
@doushirotoTV11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준공 완수 검수 이런거 14일에서 7일로 단축된 거 땜에 존나 바쁨, 게다가 대금지급을 3일 내로 하래... 아니 그럼 검토는 뭐 언제 하라는 거임? 일단 돈 주고, 문제 있었으면 너는 책임만 져라? ㅋㅋㅋㅋㅋㅋㅋ 코로나 떄 경제 활성화 한다고 특례로 해놓고 코로나 끝난지가 언젠데 왜 6개월마다 반복적으로 계속 특례 진행하냐? 시도 차원에서 이의 답변 공문 보냈는데도 무시당함ㅋ
@keobuk73310 сағат бұрын
ㅇㅈ 정부부처는 책임은 지자체가 알아서 지고 성과만 우리가 챙겨먹겠다 하는 부처들 넘쳐남...그래놓고 지자체들이 제대로 안하면 성과순으로 줄세워서 개쪽 줌...일제시대 같음
@DEBU55Y10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신속집행 소비투자 노이해입니다;; 업체는 필요 없다는데 오히려 선금 지급해 주려고 하는 게 참. 문제 생기면 실무자 책임이고
@해커형8 сағат бұрын
@@DEBU55Y 돈 벌라고 직장 다니는데 구상권 청구 당해서 빚쟁이 되는 직업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atsub11768 сағат бұрын
사기업은 더 바쁨
@thewaves.77 сағат бұрын
@@eatsub1176바쁠려고 사기업 간 거 아님?
@용용-g7u10 сағат бұрын
저러니까 회계과 직원들이 예민하지..같은 직원이 뭐 물어보거나 작은 실수만 해도 개같이 성질내는 사람이 많음..이해가면서도 참 서로 기분이..
@김누구-b7f6 сағат бұрын
맞아요. 지출서류 대여섯번 빠꾸먹은 적이 있는데 당시엔 넘 스트레스였는데 이제는 이해가 갑니다..ㅜ
@홍랑이냐옹6 сағат бұрын
마자요ㅠ 엄청 예민하신데 듣고보면 또 이해되는거ㅠ
@욘수리6 сағат бұрын
저 자리 가면 백이면 백사람 그렇게 됩니다..
@AZIT06210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 행안부 장관 만나서 신속집행 의미 없다고 인터뷰 하셨었는데 아직도 계속되고 있음..
맨날 내 세금 내 세금 노래 부르시는 분들 저딴 신속집행 그만두라고 기획재정부에나 민원 좀 넣으세요. 공무원이 정확하게 검토해서 공사대금을 지출하는 것이야말로 세금을 정당하고 적법하게 집행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문제는 저걸로 전국시군구 순위 매기는 거 꼴통 아이디어 그 자체임. 그놈의 순위...
@SealDaily11 сағат бұрын
윗대가리들은 신속집행하라고 쪼아대는데 실무에선 죽어나는 현실 😢
@배민3만_나눔_내채널와11 сағат бұрын
😊 *내 닉넴 확인해* 😊 *다 나눠줄게영*
@vvvgrffgghhj11 сағат бұрын
왜일까 석렬이가 생각났음...
@Woongverin9 сағат бұрын
@@vvvgrffgghhj시작은 문재인이 했는데용
@khs27504 сағат бұрын
@@vvvgrffgghhj ㅋㅋ 효율극대화라는 말도 안돼는 궤변ㅋㅋ 절대적인 1인당 근무량이 있고 효율극대화라는 취지라면 인원 감축하기 전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건지에 대한 구체적 대안부터 제시해야 하는데 인력들이 갈려 나가던 말던 지 정치적 안위만 해결되면 된다는 막장 X심보라고 생각함ㅋㅋ
계약 담당인데 공감 많이 갑니다.. 저렇게 새벽까지 일해놓고 감사때 또 ㅈㄴ게 터지는게 계약이라 쉽지 않구요..
@tomato3659 сағат бұрын
사장님들이 맛난거 사주자나~~ 한잔해
@creamy55889 сағат бұрын
회식은 자주 시켜주잖아요. 그걸로 퉁 칩시다.
@hhh-us5bc9 сағат бұрын
@@creamy5588공무원 회식 n빵아님?ㅋㅋㅋㅋㅋ
@jabcdjaa55958 сағат бұрын
@@tomato365김영란법 걸려서 바로 해임당함
@eeheon60486 сағат бұрын
뭐 좀 먹인다고 퉁쳐지는 부서가 아닙니다.. ㅠㅜ
@군뱅9 сағат бұрын
충주맨 총대매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짜 신속집행은 없어져야하는 짓입니다. 업체도 받기싫다는 선금은 왜줘야합니까 대체 선금나가는 것으로인해 증가되는 서류가 한두개가 아닙니다. 그따위 보여주기 행정으로 직원들 죽어나요.. 그리고 지자체별 순위는 왜 매기게 해서 더 압박줍니까? 중앙이나 더 잘하라 하세요..안그래도 줄어드는 업무는 없고 늘기만하는데.. 저도 계약담당할때 새벽퇴근은 늘상이고 연말은 퇴근안하고 밤샜습니다. 일 줄여주지 못할망정 늘리지는맙시다
@schokolade567711 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 200 월급으로 수억대 물어내라하면 멘탈 나가지;; 준공금 받고 튄 업체는 제대로 처벌받았나 모르겠네🤬
@ssk255411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개힘들어보이네
@Dotax043610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신속집행, 조기집행좀 그만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게 경제활성화와 뭐가 관련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준공금 지출해도 어처피 다 기업입으로 들어가는데 그게 경제활성화와 관련이 있는건지? 조기집행과 경제활성화가 연관이 없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이럴거면 회계연도를 6월에서 6월로 바꿔주세요..
@홍은영-u9n10 сағат бұрын
새벽 3,4시까지 일해도 초과근무수당 제한에 걸리면 무급이죠... 일을 할말큼 주던지, 일이 많으면 직원을 늘려주던지... 공무원 칼퇴근 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렇게 일은 일대로 하고 수당도 못받으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wangpanda1177 сағат бұрын
애시당초 하루 4시간이 최대치라..
@은하수커피6 сағат бұрын
월화수목금금금 정해진 초과 넘긴 이후부터는 무급노비...ㅠ
@마스크-n2m6 сағат бұрын
00시부터 익일로 쳐서, 다시 출근 눌러서 수당 받을 수 있긴 함. 초과 신청할 때 수당 제외시간에 퇴근시간 기재해놓고. 물론 월 상한시간 넘겠지만 참고로 하세용
@킹갓-aaa6 сағат бұрын
@@마스크-n2m 월57시간 제한인건 매한가지임 매일 4시간씩 쭉 받을수있는게 아니여
@rgrgrgrgrgrg28696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9-6해서 못끝내는거면 업무 분장이 잘못된거 아닌가 싶음 사람을 더 주던가
@욕망의귀뚜라미11 сағат бұрын
선출직의 표를 얻기 위한 공약에 죽어나가는 건 실무자들이네
@히오스를지키는사람11 сағат бұрын
이분 말이 정확함.. 선출직들이 자기들 업적채우려고 실무자들 개고생시키는 업무문화가 모든 공무원사회에 만연함
@user-fis7f6fks210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그럼 진짜 좋은 선출직은 시민을 위한 정책을 추구하되 불필요한 일을 줄여서 실무자들도 할일만 하게 하는거 시킨다고 다 일이 아니라는걸 깨달아야함 그래봐야 대충하고 덮어놓는 일만 늘어남
@Elaine698539 сағат бұрын
의원들 시다바리임 공무원은 3권분립 외치느 ㄴ놈들 태반이 소득세도 못내는 놈들이고
@이영탁-b5c9 сағат бұрын
그래서 차라리 공직에 있었던 선출직이 장으로 선출되는게 그나마 편함 그분들은 적어도 뭐가 똥인지 된장인지는 확실하게 구별하고 지시사항도 명확함 반면에 진짜 암것도 모르는 선출직은...하....
@뇽뇽도7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올드보이-f9z11 сағат бұрын
듣는것만으로 힘들다
@goodtogood668710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이거 행안부 국회 지방의회 다 봐야함.. 저분들도 다 국민이다
@이경탁-v1r11 сағат бұрын
6시 퇴근전에 급하게 올린 충주맨
@배민3만_나눔_내채널와11 сағат бұрын
😊 *내 닉넴 확인해* 😊 *다 나눠 줄게영*
@lIlIllllIIIIIIl10 сағат бұрын
올리고 튄거같아요 ㅋㅋㅋㅋㅋ
@polelaw9 сағат бұрын
이 또한 신속집행이겠죠
@이경탁-v1r9 сағат бұрын
@@polelaw ㅋㅋㅋㅋㅋㅋ
@심승우-t3b11 сағат бұрын
돈 빨리주는 거야 영세업체 입장에서 절실한 일이라 그렇다 쳐도 상반기 중에 몰아서 집행하는 거 진짜 국민입장에서 체감도 안되고 괜히 졸속으로 하게 일하게 돼서 하등 쓸모없는 느낌임...
@Fuskqnathing1234r7 сағат бұрын
이게 경매 부쳐서 싼 값에 진행하는게 많은데 그 업체들도 중소업체여서 현금이 없는경우가 많음 그런업체가 책임지고 하면 돈 빨리 줘도 괜찮지만 한두 군데만 배째도 몇억이상 나가는거임 선입금 해주기싫지 그러면 담당자들 책임인데 전부 그래서 보면 조금씩 줌 업체도 그만큼 느리게 일하고 서로 어쩔수없음 리스크를 최소화 해야돼
@kdj365810 сағат бұрын
웃으면서 이야기하고 계시지만 공공기관 계약업무는 업무량이 정말 많은데 담당 인원은 적어 업무수행능력과 상관없이 초과근무를 해야해요 그 부서는 당연 기피 부서가 되고 어떻게든 해당부서 근무를 피하려고 휴직을 하거나 하는 사례가 생기죠 인원을 충원해서 누구든 가서 일할수 있는 현장을 만들어주면 좋겠어요
@fire915511 сағат бұрын
공뭔봉급에 새벽에 퇴근한다하면 누가 공뭔한다그러겠어요..
@JM-ol4pj11 сағат бұрын
충주맨 옛날폼좀 살아나는거 같은데 요즘 영상이 너무 짧았었는데 공무원 현실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니 영상도 조금 길어지는듯
@uiyongi11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도 긴 영상 있죠.. 글구 12월이라 저거 기획한듯요
@chotnt6 сағат бұрын
나라가 힘들다보니 거리가 생기는
@Pessimini11 сағат бұрын
1:51 쌓인게 많으셨던..
@l9금-여돌불보기고지033 сағат бұрын
저분이 웃으면서 말하고 있지만 진짜 사람 갈아가면서 일 시키는 거임 - 저분이 웃으면서 말하고 있지만 진짜 사람 갈아가면서 일 시키는 거임
@l9금-여돌불보기고지033 сағат бұрын
저분이 웃으면서 말하고 있지만 진짜 사람 갈아가면서 일 시키는 거임
@kany3w3st10 сағат бұрын
격무부서에 감사까지 겹쳐봐... 칼퇴해서 4시간자고 나와서 다시 출근하고 몇날 며칠을 일했어요 ㅋㅋㅋ 결국 중간에 6개월 쉬었지만, 전국의 모든 주무관님 힘내세요. -현직-
@KrenT11710 сағат бұрын
와.... 진짜 공감을 안 할 수가 없다.... 전국 회계과 모두 화이팅입니다
@naaamee11 сағат бұрын
공짜로 일하는 시간이 57시간 이상에 신속집행으로 잘못되면 돈도 물어줘야할 경우가 생긴다니 정말 개같네요
@ロ口-h9j5 сағат бұрын
와 형 드디어 신속집행 건들이는거야??? 동종업계의 사람으로서 진짜 리스펙합니다...
@도비전자7 сағат бұрын
현직 공무원인데 공무원 진짜 노답임. 말단만 죽어나는 구조.. 외부사람들은 그저 꿀빨고 세금 축내는줄만 아는데 공무원 현실이 이런거 알았음 진작 관뒀음.. 의사결정권자는 국민들이 듣기 좋은 정책 밀어 붙이고 실무자는 죽어남.. 앞으로도 행정에 요구하는 바는 많아 질테고 나아질 기미가 안보임
@hongstar200210 сағат бұрын
이런 채널 없었으면 실상도 모르고 내 세금으로 공무원 놀고 먹는다는 얘기가 100년이 지나도 나왔을듯
@최승상-e5r11 сағат бұрын
저게 말도 안되는 업무량인데 개인이 근성으로 의지로 커버하는 사례가 있다보니까 인력충원도 뭣도 안됨... 그냥 한번 퍼져봐야됨 그래야 정신차림
@성수동의현인10 сағат бұрын
전부 휴직하면 그때 채워 줍니다… 끝까지 참는 게 능사는 아니에요
@lastsummer19 сағат бұрын
저런게 다 안좋은 선례를 남기는거임
@안까망까망9 сағат бұрын
마즘.. 그래서 책임감있고 묵묵함 애들만 저런곳 보내는듯
@eatsub11768 сағат бұрын
중요한건 개인의 근성으로 커버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종국적으로 잘못하는지 모름. 조직 전채로 봤을땐 터질건 터지는게 맞는데, 가끔 조직에 인정받고싶은 욕구가 있는 사람이 있음. 이런 사람들이 개인의 근성으로 커버하고 그걸 후임자한테 강요함. 후임자는 그거 못버티고 런치거나 살자.
@킹펭구인7 сағат бұрын
저 분이 새벽까지 무급으로 묵묵히 일하니 윗대가리는 아! 굴러가는구나 생각함 다같이 휴직 병가 사고 묻지마연가 써야함
@rewa-god10 сағат бұрын
이런 문제를 공무원이 아니면 평소에 알 길이 없긴 하지.. 유익하네
@SanghoonLee-m4b3 сағат бұрын
현직 계약담당자입니다. 국가계약법 시행령 한시적 특례 이거 문제 많습니다. 1. 대가지급기일이 5일에서 3일로 줄어드는 바람에 몰려드는 세금계산서 처리로 격무에 시달릴 뿐만 아니라, 너무많은 업무로 지급기한 놓치면 개인돈으로 지연이자를 배상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2. 검사/검수도 마찬가지로 14일에서 7일로 줄었는데, 대충보고 검수하라는 얘기랑 같습니다. 서류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 준공상황을 정확히봐야하는데 대규모 공사인경우에는 7일로는 택도 없습니다. 3. 입찰/계약보증금도 절반으로 줄였는데, 입찰/계약이 어그러지는 바람에 발생하는 공공기관의 손해가 보상이 안되는 수준이라 몇몇 악질기업들만 신났습니다.
@필라테스님11 сағат бұрын
보상은 적고 일은 일대로 많고 책임은 큰 부서네요 저분들이 애국자네요...
@sally76775 сағат бұрын
이영상 진짜 온 국민이 봐야함. 공무원 업무가 쉬운줄알고 특히 정부기관 회계가 기업이랑 비슷하거나 쉬운줄 아는데 아니라고 ㅜ 정말 복잡하고 고충도 많고 어렵다고 ㅜ ㅜ 신속집행 좋아하시네..
@dalhogwak250110 сағат бұрын
이거 말하기도 상당히 쉽지 않았을텐데 ㅠㅠㅠ 오늘도 훌륭한 컨텐츠 잘 보고 갑니다 전국의 모든 공무원 분들 파이팅입니다!
@ihv115010 сағат бұрын
현장의 목소리를 보여줘서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계속 해주세요
@abell16897 сағат бұрын
지방직 공무원들 전부 공감할텐데 선출직 기초 자치단체 장과 의회는 없애는 것이 맞음 지방 토호들 이권 카르텔 놀이터 그 자체 광역 자치단체(도, 광역시, 특별시)만 선출직으로 뽑고 기초 자치단체 장은 해당 지자체 공무원 중에 도지사가 임명하든지 따로 내려 보내든지 하고 기초 의회는 그냥 무조건 없애야함
@citrusmixgold10 сағат бұрын
새벽 3,4시는 많이 아니지 않나? 이건 노예보다 더 한데? 이러면서 공무원 티오 줄이고 건전 재정이라는 탈을 쓴 근거 없는 긴축을 하고, 해야 할 곳엔 안 하고 오히려 늘려야 할 곳을 긴축해버리네;;
@뭉벼리-c1m10 сағат бұрын
선출직 임원급 지인 알박기 공무직부터 다 쫓아내야함...
@8109x11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고생많으시네요 인력이 충원되어야 할것같아요. 웃으면서 말씀하이지만 사람을 갈아넣어서 굴러가는건 아니죠.
@catsbe11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 같은 것보다 정확하게 보고 집행해줬으면 한다. 빠르게 할 땐 빨라야되는데- 너무 빠르니 문제가 되는것도 있다. 적정한 시간 설정이 중요하다..
@쿠로카즈8 сағат бұрын
마지막말이 명언입니다 선배들이 귀찮아하더라도 물어야 자기가 삽니다
@skel4000110 сағат бұрын
이런거 자꾸 올려줬으면 좋겠어요! 공무원도 사람인데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을 일반인들도 알아야된다고 생각해요! 물론 격무부서가 아닌데도 있지만 모든 것이 일반화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destiny9810 сағат бұрын
아니 뭐 일 많이하는거야 그러려니 하는데 금전적인 책임도 지라는건 좀 너무하네. 저러니까 공무원들이 면피하고 수동적이게 되는거지.
@용용-g7u10 сағат бұрын
그래서 적극행정이란 말을 싫어하죠 공무원들은..
@보거스-f1d6 сағат бұрын
@@용용-g7u 적극행정 하면 감사나 더 빡시게 받습니다~
@진개벚10 сағат бұрын
계약팀 경리팀은 진짜 행정직중 최고로힘든부서중 하나다.. 직원을늘려서 일을 나눠야한다..
@deahun11255 сағат бұрын
이번에 영상 잘 올린듯 이런거 하나씩 풀어서 공무원 고충 알리면 괜찮을거같네
@곰탱-v2b9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 부작용이 많다 생각했는데 좋은 컨텐츠였어요
@bland__salt11 сағат бұрын
2:53 3일에 60시간이면 생명력을 갈아서 일하는 수준아닌가.........😰
@성이름-e5x5p7 сағат бұрын
그마저도 52시간 이상부터는 무급노동 ㅋㅋ
@sunlee875411 сағат бұрын
6시정각! 퇴근과 함께 업로드하는 갓충주맨!
@illliliiiliilil10 сағат бұрын
와 진짜... 솔직히 순한맛만 말한거지만 지방직의 현실을 조금이나마 말씀해주시네요. 많은 수의 지방 공무원이 정도의 차이이지 갈리면서 일하는데 미꾸라지 몇놈들때문에 문제임. 그놈들은 마이너스 인력이라 티오만 차지하고 일는 안하니 정상인들은 더 업무 많아져서 갈리고 책임감때문에 갈리고 정신과 다니거나 암인 직원 참 많음. 그리고 진짜 민원때문에 일을 못함... 6시이후엔 전화 안받아도되니 그때부터 본격적인 업무시작임ㅠㅠ
@정진-x5g11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선배한테 귀찮을 정도로 물어봐야 자기가 삽니다!😮
@s고은10 сағат бұрын
남들은 연말이라고 기분낼때 회계마감 맞추느라 늘 야근하고 카드명세서 확인 못해서 연체되고 낮에는 전화돌리고 서류 오는거 고대로 쌓아놨다가 전화 안오는 밤에 서류보고 다시 낮에 전화하고 서류 쌓이고 무한반복 ㅠㅠ 힘내세요
@kimkyungmok10 сағат бұрын
정권 바뀔 때마다 어줍잖게 작은 정부네 큰 정부네 하지만 그 어느것도 아닌 채로 사업만 나날이 늘어감.
@뭉벼리-c1m9 сағат бұрын
사람만 줄이고 업무는 계속 증가ㅋㅋㅋ 작은 정부를 외치면서 큰정부를 만듦
@블루다이아-r7m7 сағат бұрын
남겠다고하셨다는것 자체가 존경스럽네요.....
@HoiZha10 сағат бұрын
마지막멘트.. 진짜 영혼이 담긴 공무원 자체를 보여주는 멘트
@설미얀9 сағат бұрын
요런거 시리즈로 종종 올리시면 고충을 시민들이 많이 알아가실 것 같아요 물론 단체장들과 행안부 관계자들이 알고 개선시켜야하겠지만
@ThorneSATr6 сағат бұрын
구상권청구 법적으로 지자체나 소속행정기관에서 책임지게 해야한다 말이되나 내가하는일이 내 사업도아니고 행정기관이름으로나가는건데 왜 책임은 본인 혼자 져야함? 일시킨사람 그런 시스템만든 사람이나 기관이 해야 당연한거 아냐?
@arnshutain10 сағат бұрын
2:37 저것도 의원면직하는 이유 중 하나임
@sunfyre34635 сағат бұрын
의원면직이 뭔가요?
@arnshutain5 сағат бұрын
@sunfyre3463 공무원이 스스로 사표를 쓴거
@ßßßßßßß-u1z10 сағат бұрын
마지막 물어야 자기가 삽니다 가 킬포 ㄷㄷ 안 물어보면 물어줘야합니다...
@조아시공-f4x10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쪽팔리고 전화상대 짜증내고 그런거 생각할 겨를 없음 나중에 뭘 사주든 보답은 무조건 하되 안 물어보면 진짜 뒤짐 ㅋㅋㅋㅋ
@mycatiscute55629 сағат бұрын
이런 유튜브가 있는게 좋다
@FatePhilia9 сағат бұрын
바빠져도 의미있는 짓을 해서 바빠지면 괜찮은데 그냥 "시장님이 소상공인들 고충을 듣고 신속집행으로 원활한 자금융통을 도와드리도록 했다"는 기사 한줄 내보내는 게 이 뻘짓의 전부임 어쩌다 자금경색 됐을 때 말고는 주기적으로 나가는 거 며칠 더 빨리준다고 바뀌는 것도 없는데 그 며칠 때문에 야근을 하고 서류검토가 부실해지고 책임은 야근한 사람이 지고 ㅋㅋㅋㅋ
@decemberhare1005 сағат бұрын
안총과 도로과 교통과 민원썰 들어보면 괴담도 이런 괴담이 없는데 이런거 한번씩 모아서 얘기해줬음 좋겠네요ㅋㅋㅋㅋ현부서 담당자들은 말 못하니까 떠난 사람들 기억에 남는 일화 이래서 목소리변조하고 가면 씌워서....
@김민수-w3l7f8 сағат бұрын
행안부장관도 모르던 그 신속집행..말도 안되는 정책을 듣고 어처구니가 없음. 있어서는 안되는 정책임
@KKA-pj1gl10 сағат бұрын
저러니까 지방직 공무원들이 퇴사하는거지....
@leeAlice-ge4wi11 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분들 월급인상 기원합니다😊
@시나몬-p9e9 сағат бұрын
와… 설명만 듣는건데도 와…
@wawa-eo6kz10 сағат бұрын
현실이다 ..! 그래도 선생님 건강이 우선이라고 꼭 말씀드리고 싶어요. 너무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더 힘들지 말았으면
실제로 날탱이들 ㅈㄴ 많고 아무리 바쁜사람도 중간중간 쉬면서 합니다 ㅋㅋㅋㅋ 근데 지들은 뭐 8시간 내내 일 하나 ㅋㅋㅋㅋㅋ 1-2시간 일하고 6시간 농땡이 피우다 오는 놈ㄴ들이 태반인데
@뭉벼리-c1m9 сағат бұрын
폐급이나 방전된 사람들 충전시키려고 보내는 동사무소 시구청에서 민원대 일하는 사람만 보고 그렇게 말함ㅋㅋㅋㅋ 주민들 들락날락해서 업무환경에 제일 좋은 곳 가놓고
@아침햇살-h4u9 сағат бұрын
난 공무원 노는거 봤다는 것도 말도 안된다고 생각함. 뭐 주민센터가면 공무원들 하루종일 다 인터넷하고 차 마시고 하하 호호 한다는데 그 말은 그걸 본 본인은 평일 대낮에 일도 안하고 하루종일 거기 죽치고 있었다는 거잖아 말이 안되지(애초에 그런 것들 공무원 입직실패, 본인불법으로 공무원에 처분받은 사람이 대부분임) 보통 자기 볼일 끝나면 바로 나가잖아. 거기다 근무중 정말 한순간도 쉬지 않고 일하는 직업이 있나? 중간중간에 숨 좀 돌리고 일해야지 주민센터가 정말로 일 안하고 놀면 그곳 당장 없애도 주민생활에 아무런 영향이 없어야 하는데 없애자면 찬성하고 뒤늦게 후회하지
@그냥해-y8h7 сағат бұрын
그냥 그런 말하는 사람들 자기 직장 천장에 cctv 달아놓고 단 한번이라도 잡담하고 옆사람이랑 웃고 있으면 귀싸대기를 날려야 됨 놀고 먹는거니깐
@스위트홈-e9u6 сағат бұрын
부서별 편차가 매우심해서 그런거임
@ylena84414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을 해야할 업무가 있고 안해야할 업무가 있는데 일괄적으로 다 하니까 문제임. 건설부문에서 가장 큰 문제는 인터뷰에 나온것처럼 기일 지키려고 선지급하려다가 사고나는거 외에도 일률적으로 1월에 설계집행하면 설계가 갑자기 몰려서 설계업체 과부하 걸려서 설계남품이 부실해짐. 그리고 설계중 관계부서 협의를 다 마칠때까지 서류 보완이 필요해서 용역을 완수하면 안되는데 신속집행땜에 설계를 먼저 준공해버리니 돈받고나서 업체는 돈받았으니 서비스가 부실해지고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하도급주는 바람에 설계담당자가 다른 회사 소속인 경우가 태반. 또한, 상반기, 하반기에 관급자재 납품이 몰리다보니 자재 품귀로 자재가격이 올라가버림.. 건설쪽만 얘기한거지 보조금 사업도 문제 많을듯.. 아니 예산을 집행하는데 신속보다 중요한건 정확하고 꼼꼼하게 하는게 맞는데 정신나간 정책임.. 행안부가 더 부추기고 있고;; 돈 빨리 썻냐로 평가하는 경우도 있고 문제임.. 6월 30일에 나가나 7월 1일에 나가나 뭐가 다름.. ㅋㅋㅋ 이상한 정책인데 고치려고 노력하는 사람 한명이 없다니 노답
@sk9072 сағат бұрын
담당자가 억대 구상권 청구 당한 것까지 아니어도 준공 전 준공 쳤다가 하자보수 지자체가 독박 쓰는 등 문제 안 겪어본 지자체 없어요. 특히 2분기 실적 압박이 심한데 시장, 국장, 과장 등등한테 그 어떤 압박을 받아도 주무관들 준공검사 안해야 삽니다. 정작 전직 행안부 장관 이상민씨는 신속집행 실적 압박 때문에 행안부에서 펀법으로 집행중인 개산금 지급에 대한 개념도 모르던데요? 용혜인 의원이 개산금이 뭔지 아냐고 물으니 눈만 껌뻑껌뻑하던데요? 신속집행이 경제부양효과가 있다고 떠드는 현장 사정 1도 모르는 학자들은 업체도 거절하는 선금 사정사정해서 지급하느라 같은 일을 두번 하게 되는 행정력 낭비에 따른 비용, 선금 받은 업체가 폐업하는 등 무리한 집행으로 계약에 하자가 생겼을 때 그걸 수습하기 위해 들어가는 행정력과 그 비용은 왜 계산하지 않는건가요? 그 비용에는 당신들이 결코 고려하지 않는 공무원 노동력 뿐 아니라 soc부터 동네 공원 운동기구, 지역 축제까지 불완전한 과정을 거쳐 계약, 공사(용역) 진행으로 손해가 발생했을 때 전 국민이 나눠져야 할 불편과 손해도 포함됩니다. 제발 신속집행 좀 없애요. 이 논리대로라면 1월에 공무원 1년치 월급 다 줘버리면 되는거 아닙니까? 주는김에 한 10년치 한번에 주는건 어때요? 공사도 계약과 동시에 준공금 다 주는건 어때요? 코로나 끝난지가 언젠데 코로나 특례를 몇년째 따박따박 6개월씩 연장하는지도 모르겠어요. 사업 담당자고 미치고 계약 담당자도 미칠 노릇이라구요. 보통 시설직 주무관이 아주 적게 잡아도 몇십개 공사를 동시에 담당하는데 그 몇십개 공사 준공검사를 어떻게 일주일 안에 다합니까? 소액공사는 감리비가 별도 편성되지 않기 때문에 담당자가 다 검사해야하고, 전기/소방/통신 이 분야는 따로 검사해야 하는데 이게 일주일 안에 가능해요? 게다가 일단 인사 내고보는 공무원 조직 고질적 문제로 위 공사 담당자가 행정직이라면??? 설계도서 읽을줄도 모르는데 그걸 일주일 안에 준공검사 해야하는거에요. 전 지출 담당이었는데도1, 3, 6, 9, 12월에 야근을 안하는 날이 없었어요. 아 행정직인데 공사하라고 해서 정말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줄도 이해가 가지 않는 설계도서를 들고 울면서 시설직 주사님들한테 도움 구하면서 공사했구요. 계약부서 57시간이 뭡니까 100시간도 넘길 수 있습니다. 망할놈의 신속집행과 특례 때문에요. 12월 31일과 1월 1일엔 매년 출근했구요. 워낙 업무량이 많고 업체와 사업 담당자한테 받는 압박이 심하다보니 평소 친절 공무원, 업무 잘 알려주는 좋은 주사님도 인사이동 반나절만에 악마로 만드는 자리입니다. 감사 때는 주요타겟이라 감사 대응하느라 일할 시간이 없어서 정작 본인의 업무는 야근과 주말근무로 겨우 쳐내는 빡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구요. 숨만 쉬어도 바쁜데 왜 쓸데없는 짓거리와 감사로 사람을 극한으로 모는지 이해가 안가요. 사기업도 계약 담당자가 이 정도로 격무에 시달리며, 감사의 주요대상이며, 재수가 없으면 번 월급보다 손해배상 등으로 털리는 돈이 더 많은지 궁금하네요.
@힌졔-t6r5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계약팀 공무원인데 신속집행은 도대체 누구 머리에서 나온건지 ...저주할거임 ㅠㅠ
@creamy55889 сағат бұрын
80시간 초과를 하면 가정생활은 뒷전이 되는 거죠.. 근무수당이라도 챙겨받아야 할 텐데 걱정입니다.
@toryba36111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 생각해낸 놈은 고통스럽게 죽을것
@spring281211 сағат бұрын
절대 돈 먼저 주면 안됨. 절대 안됨
@test-driver7 сағат бұрын
3:04 이렇게 일 못하게 전화오는걸 방지하기 위해 자동화 및 전산화 해야지. 허구한 날 똑같은 것만 계속 차세대 전산화 작업...
@dhlee121910 сағат бұрын
고생많이하시네요 응원할게요 감사합니다
@냐-r1r10 сағат бұрын
사실 공무원들 노는 부서 거의 없어요 일 많은 곳이 대부분임ㅠ.. 맨날 공무원 줄이라고나 해대는 사람들 있는데 사람 죽어요 그러면.. 진짜 너무 힘들어서 관뒀더니만 그만두고나니 얼굴 너무 좋아졌다고 어디 피부과 다니냐고 질문도 받아봤음ㅋㅋ.. 더 다니면 철밥통이고 나발이고 이러다 내가 죽던가, 아님 누구하나 담그겠다는 극단적인 생각이 들더라고요 와.
@creamy55889 сағат бұрын
대부분의 업무가 전산화되고, 공무직이나 계약직도 많아졌는데 왜 일이 많다고 하시는 거죠? 이해가 안되네요. 장사꾼들이 흔히 하는 장사 안된다는 엄살아닌가요?
@tomato3659 сағат бұрын
@@creamy5588영상은 뻘로 보심?
@여름-g5j9 сағат бұрын
@@creamy5588해보세요^^ 일도 없고 대부분 전산화됐는데 공뭔 하면 좋죠^^ 뭐든 해보시면 압니다. 모르면 입을 다물어야한다는 사실을 특히 아시게 될겁니다.
@jmh78438 сағат бұрын
@@creamy5588 업무 전산화라 하더라도 계약이나 공사, 용역, 물품구입 등과 같은 것은 전자문서로 가능하나 첨부문서 등은 수기결재 등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이런 서류들은 자체 종합감사나 도, 감사원 등의 감사 시 반드시 원본을 구비해야 하는 서류들이라 감사시 입증책임을 할때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아울러 현재 행정서비스 환경은 수시로 바뀌어서 기존에 업무분장에 있는 압무외에 새롭게 내려오는 업무들도 있어 일이 더 많아 집니다
@히힛히힛-k3o8 сағат бұрын
@@creamy5588 그 만든 전산 유지보수는 누가 하나요? 또다른 전산이 하나요? 그 유지보수비는 누가 내나요? 컴퓨터가 지가 스스로 내나요? 그리고 공무직 계약직들은 저런 리스크가 큰 일 안맡깁니다 대부분은 청소하시던 분들 전환되어서 많아진것 뿐이죠
@valumean46489 сағат бұрын
이렇게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essential726510 сағат бұрын
짧은 인터뷰만으로도 숨이 턱 막히네요 😟
@kisistyle5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응원합니다!
@희진-e1i7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고생이 많으시네요..
@닐왕10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고생하십니다 공무원분들
@포po-i7s9 сағат бұрын
충주홍보를 넘어서 공무원 시스템의 심각성을 홍보해주시는게 대단하시네요..
@서윤-w4m2e11 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은 아니지만 저같은 경우 미리 준공못한다 말씀드려도 계속 시키시면 부장님 저 녹음해도 되나요?😊 해버림
@sylee307610 сағат бұрын
1:33 이건 좀 많이 무섭네 ㄷㄷ
@imonperiodnow466711 сағат бұрын
저분 멘탈 좋으시다 ㄷㄷ 안그만두시네
@캉수수10 сағат бұрын
아마 높은 확률로 외벌이가 아니실까 싶습니다ㅜ 요즘 기피부서를 외벌이 가장들이 많이 간다고 들었거든요ㅜ
@Astronomical_Unit5 сағат бұрын
전국 지자체 회계과 주사님 팀장님 화이팅입니다.
@vella77069 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하지말라고 힌트주잖아 ㅋㅋ 근데 경기안좋아지면서 다시 공무원 인기많아질것같고, 처우는 고대로일것같아서 걱정임
@jblee17037 сағат бұрын
고생 많으세요!! 😊
@포도원츄-i5r6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 진짜 왜 하는지 모르겠어요...3월까지 40프로 쓰고 6월까지 70프로 쓰라니... 아니 그럼 다른 달은 뭐 먹고 삽니까...
@eok82711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은 진짜 효용가치 0에 수렴하는 개악정책임
@blackberry_bd6 сағат бұрын
내년에 구매계약 업무분장 받을 예정이라고 오늘 들었는데 타이밍 무엇ㄷㄷ
@TheJH77711 сағат бұрын
신속집행 만들어낸 인간은 진짜 매달아야한다
@장순재-l4i6 сағат бұрын
담당자는 몇억 팀장, 과장은 몇천 ?... 책임이 무거워서 높은 자리라 대우받는게 아닌가 ...
@서종일-h1i10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tomato3659 сағат бұрын
열심히 해서 승진 한단계 더 한다고 생애소득 얼마 차이 안나요... 그 대가로 스트레스 받고 건강 나빠지고 내 라이프만 깎아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