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영상에 미공개 영상(풀영상 무편집 영상)을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gGmUdparhZuYmJY kzbin.info/www/bejne/e4Saomype7-Ve9k 📌 구독자들을 위한 카카오 오픈 채팅방 개설! 영상업로드 일정 및 입시에 대한 고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오픈 채팅방 들어가기↓↓↓↓↓ pf.kakao.com/_GExaKxb
@유하영-d8y4 жыл бұрын
왼쪽분 솔직하고 진솔하게 얘기해주셔서 좋네요
@nananna87984 жыл бұрын
왜 학교 내신을 학교수업으로 해결할수없는걸 내는지... 결국 학교내에서 소화가 안되니 학원을 의지하고 과외를 하고.. 그냥 수업내에서 끝낼수있는 것으로 해서 주어진시간내에 순수하게 자기실력으로 할수있는것으로 하기를..
@윤형준-e6c4 жыл бұрын
안 그러면 분별력이 없으니깐 그러지. 대치동에서 수업 수준으로 해결되는 시험내면 한문제 틀리면 9등급 나올듯 ㅋㅋ. 그리고 교과서랑 나눠준 프린트물만 다 외워도 점수 잘 나옴. 그냥 공부하기 싫은거지 ㅋㅋ. 그런 시험 시스템을 원하면 유학가세요. 대신 유학가면 정말 꼼꼼하게 숙제 해야됨 숙제랑 수업태도랑 적극성 같은거 다 채점 받아서 전부 94점 이상 나와야 함. 결론은 공부는 너희들이 안하는거지 못하는게 아님. 정말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수업에서 나온것만 공부해도 1등급 받음
@은소정4 жыл бұрын
@지성김 썩었지 썩었어...
@희희-z3k4 жыл бұрын
@지성김 맞아요.저 나름 전교1등해봤는데.선생님께 배운게 없어요.선생님은 진도만 어디인지 알려줌.문제집풀고 저 혼자 연습했지.특별히 알려주는게 없어요.시험문제는 푸는방법을 알려주고 문제를 내야지.가르쳐주지 않은걸 왜 내는지.학원다니는애들이 문제가 쉬우면 학원필요없으니 그만두겠죠. 학원다니는애들이 많다고 문제만 어렵게 내서 변별력을 가지겠다니 .학원에 학교가 맞 추는 시스템
@snowdrop-764 жыл бұрын
학교는 더이상 학교가 아님 서열화 작업하는 시험고사장일뿐
@핑퐁팡-j2g3 жыл бұрын
문제가 쉬워진다고 사교육이 없어지진 않음. 결국 경쟁시스템이기 때문에 누군가는 아무리 문제가 쉬워도 그 쉬운문제를 100점 맞기위해 사교육을 들을것이고 그런애들이 많아지면 결국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는 올라갈수밖에없음. 상대평가라는 시스템이 남아있는한 사교육은 없앨수없다.
@studiossss4 жыл бұрын
📌 구독자들을 위한 카카오 오픈 채팅방 개설! 영상업로드 일정 및 입시에 대한 고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오픈 채팅방 들어가기↓↓↓↓↓ pf.kakao.com/_GExaKxb
@기아없이는못살아4 жыл бұрын
컨텐츠가 알차서 구독 누르고 갑니다~
@woo_xoo89264 жыл бұрын
이어령 선생님께서 내 삶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 그걸 너무 늦게 깨달알아서는 안된다. 라는 말이 순간 떠올랐네요. 저도 강남 개포동에서 거주하고 있는데 학원에 많이 의지할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늦은 것 같지만 잘 배우고 갑니다.
@SKYHCN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코리아-m6r4 жыл бұрын
인강 ㄱ 현강만의 메리트더 있긴 한데 인강 효울 ㅅㅌㅊ임
@crowndia974 жыл бұрын
Amor Fati
@seekfaith354 жыл бұрын
서울대 프리미엄은 평생 갑니다 여러분 ^ ^ 아직 다 안살아보셔서 모르시는 것 같아요. 유투브도 서울대 들어가셨으니 우리가 이렇게 집중해서 보고 있잖아요 ㅎㅎ
@새벽-j4y4 жыл бұрын
참 생각도 깊고 말도 잘하고 훈훈한 학생 입니다. 일반화 할순 없지만 공부 많이 한 학생들이 말에서 부터 다르다고 느껴지네요
@HK-cp1vn4 жыл бұрын
ㅎ설대나온 학원 수학강사에요. 지금 저는 학원강사하고있지만.. 저 본인은 지방에서 혼자 공부했었는데, 진심 교육모순이 항상 느껴져서 걍 두서없이 글남겨요. 솔직히 전 수시가 오히려 사교육 조장한다고 생각해요. 정시문제는 학원이 감히 찍을수도 없을 뿐더러, 문제 원리가 개념자체에 아주 충실하기 때문에, 저처럼 방학때 수학단과나 한번씩 다니면서 혼자 열심히 꾸준히 풀고 연마하는 학생에게 역전의 기회가 있었어요. 영어 언어 과학은 학교에서 배운걸로도 충분했던 이유가, 정보력에 너와나의 차이가 크지않았기 때문이죠. 근데 수시는 너무 짧은시간 (배운지 2개월만에) 넘 높은 수준의 수학적 완성도를 요구해요. ㅠ 강남 목동은 거의 시험범위 해당단원의 블랙라벨급을 빠르게 쓱쓱 풀줄알아야 적어도 3등급 위로 올라가거든요. 이러니 학원샘들이 애들을 마치 파블로프의개 반응 훈련시키듯 막 잔가지 손기술이라도 연마시킬수 밖에 없어요. 2개월 단위로 평가니까, 개념의 깊은 연계성을 본인이 깨달을 시간이 부족해요. 솔직히 내신은... 학원 다녀야 정보력도 있고 잘나와요ㅠ 내신..누구대가리에서 나온 생각인지 전과목 학원을 더 흥하게 만들었죠.ㅎ 학원입장서도 그학교 그선생이 좋아하는 느낌의 문제, 넘나 찍기 쉽거든요.ㅎ 우리땐 고3 1년만 독하게 공부하면 역전도 가능했는데, 요즘 애들은 3년 내내 쉼없이 챙기려니 얼마나 숨막힐까... 불쌈하기까지 해요. 에효, 근데 개인적인 하소연도 남기자면ㅋㅋ 그러면서도 딜레마가 있는데요, 강남 잠실 목동들어가 가르칠땐 엄마들이 너무나 대우해주시고 잘해주셔서 편안한데, 서울 변두리나 수도권은ㅋ자식이 한문제 틀려오면 학원선생을 돈받은값 하라며 쥐잡듯 잡아요.ㅋㅋ 학원보내놓고 과외급 퀄리티를 원하죠.ㅠ 서울대가는게 쉬운건줄 알고 설대설대 하는데ㅠ 제 속은 미쳐요. 아줌마ㅠ 그 정도 공부해서 갈수있는 설대가 아녜요... 애가 공부안하는걸 나보고 어쩌라고 이러나요..싶죠ㅠ 이런말하면 안되지만.. 부모들이 자격지심이 크고 넘 무식해요ㅠ 결국 이러니 저도 , 압구정 강남만 수업 들어가고싶고. 수고 알아주는 거기서나 힘쏟자 싶고... 글네요... 에휴ㅠ 내가쓰고도 먼말인지 몰겠담스ㅜ
@siboyul4 жыл бұрын
H K 요새 현역들 공부량이 적은건 반박 불가 팩트.. 가까운 학원쌤들이랑만 비교해도, 좋게 말하면 효율적인 공부하는 거고 나쁘게 말하면 공부를 안 하는 중
@유아네르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 백퍼 공감합니다..ㅠㅠ
@key81074 жыл бұрын
백퍼공감요..괜히 학원가..그곳이 사회적 열등의식 사로잡히게 만드는곳 같아요..ㅠ돈없는 아이들은 근처도 못가볼곳
@superblinewaist4 жыл бұрын
내신이라 하면은... 학교 수업 정상화라는 명분 하에 그리 된 거죠?
@HK-cp1vn4 жыл бұрын
@@joo87413 진심으로 저는 애들에게 애정을 갖고 가르칩니다ㅎ 2년간 60명을 전담 담임하여 가르쳤는데, 저를 떠난 애가 단 2명밖에 없을정도면 얼마나 애정을 쏟는줄 아시겠지요? 가르쳐보면, 애들과 저의 문제가 아니더라구요ㅎ 그중간에 현실모르는 학부모가 우기기 시작할때 사람 미치겠는거죠ㅎ 예를들어, 오늘도, 정말 공부못하기로 소문난 하위권 학교의 내신 1.8인 이과친구... 성실한친구죠., 학부모는, 교과전형으로 고려대를 갈수있다며 우기시네요... 에휴ㅠㅠ 근데 보면;; 그 말이 안통하는 현상이 못사는 동네에서 넘넘 심해요ㅠ 편견을 갖고자 함이 아니라, 저 본인도 못사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니까 뭔가 사회 계층이 느껴져서 씁쓸한겁니다...
@김민서-r3q4 жыл бұрын
저는 시골에 사는 학생인데 대치동 소문으로만 듣고 근처도 가보지 못했어요 항상 부러웠고 한편으론 궁금했는데 이런 진솔한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어떤 교육정책이 모두 공평한 경쟁을 갖게 해줄 수 있을지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없어요 ㅠㅠ 수험생 여러분 모두 힘내요 응원합니다!!!!!!!!!!!
@09182ji4 жыл бұрын
좋은 가치관을 가진 학생의 말을 듣고 소름도 돋았네요 공부 성적만 보지 말고 머리와 가슴으로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정말 중요한 잣대가 될거라 생각해요. 좋은 방송이네요
@haileyv-log23264 жыл бұрын
교육열이 센 곳이 공교육의 질도 더 좋은 것은 일반적으로는 맞는 것 같습니다. 출발점은 임용고사 합격한 비슷한 수준의 교사들이었겠지만 그 분들도 환경이 달라지면 다른 교사가 되는거죠.
@ygK-u2k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부분을 기대했는데요. 그래서 강남 이사왔는데, 학교에 실망감 많이 들어요. 공립이라 그런가, 특별히 더 신경쓰는건 아닌듯요.학원 거의다 다닐거라 생각하시는지, 수업 퀄리티가 그닥. . 특히,특목고, 자사고 준비하려면 별로인곳입니다. 내신셤. .어렵게만 냅니다. 가르친거에비해 무지 까다롭게내서 더 학원가게만드는 곳인것같아요. 아이들 짠합니다.
@yukihyde1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공교육 자체가 곱창 나서 걍 ‘너네 다 선행으로 배웠지?’ 이러고 선생은 노는 시스템이 된 지 오래임…
@vols-tz2nx3 жыл бұрын
교육열이 센곳의 학교에서 수업을 받아보셨으면 그런생각은 하기 힘들거에요 그냥 다 비슷하다 생각합니다
@surger72674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들었던 의대교수님 말씀이 생각나네. 우리나라 학생들은 좋은 의사가 되는 꿈이 아니라 의대를 꿈으로 생각하고 공부하기때문에 꿈이던 의대에 오고나면 더 이상 열심히 할 의지 없는 아이들이 많다고
@happy247forever4 жыл бұрын
그런 아이들이 의대 들어온 뒤 목표나 동기를 되돌아보아야 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조계남-k9v4 жыл бұрын
근데 또 화나는거는 진짜 의사가 꿈인 친구들도 자신이 의대 공부를 버틸수 있는지 확신할수 없지만 의대 공부를 해볼 자격조차 주어지지 않는거도...ㅠㅠ
@넉넉-c9j4 жыл бұрын
내용 너무 도움됐어요. 자녀 교육이 항상 고민이었는데 덕분에 스스로하는 학습이 훨씬 본인스스로에게 더 건강하고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게 도움되네요.그리고 님들 또한 방송 과 같은 깨달음을 통해 그 만큼더 성장 하신 듯하고 커보입니다. 20년간의 노력이 결코 헛되보이지만은 않네요 ^^
@smartsupporter1534 жыл бұрын
솔직한 이야기 들어볼 수 있어서 좋네요. 저도 중학교때는 학원 다니다가 고등학교때는 말씀하신 것 처럼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혼자공부하고 수학과외만 받았었네요. 나머지는 인강으로ㅎㅎ 말씀하신 것처럼 학원에 안 다니면 뒤쳐질거라는 두려움때문에 학생들이 학원을 계속 다니고 있는거라면 너무 안타깝네요ㅠ
@smartsupporter1534 жыл бұрын
@승흔 오 기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제가 만드는 영상들 중 공부에 관련한 영상도 있어서 교육이나 입시에 관련된 채널들 구독 신청하고 열심히 보고 있어요 혼자 공부하는 친구들이 뭘 힘들어하는지 더 자세히 알게 되면 더욱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컨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서요 : )!!
@성은하이름은주안4 жыл бұрын
스터디 코드 좋죠 저만 알았으면 좋을것 같았는데 요즘 친구들도 많이 아네요 ㅠ
@oijayang93213 жыл бұрын
ĺ⁰
@IQ-xl1ku4 жыл бұрын
공부에 대한 강한 동기 + 예습, 수업집중, 복습 및 정리를 꾸준히 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학원은 시험 정보측면에서만 이용하면 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강한 동기, 공부 습관이 떨어지고.. 게임이나 나태함 등의 유혹에 금방 무너진다는 점임.. ( 이런 면에서 공부 환경, 공부 동기 측면에서 학원은 존재이유가 생기는 듯함 ) 검증되고, 확인된 공부 방법은 ( 보통은 시험을 위한 공부임 ) 1.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알고, 그것에 집중하고, 2. 자신에게 최적화된 공부 방법으로, 3. 적절한 feedback을 받으면서, 4. 진도를 많이 나가는 것보다 안까먹고 자기 것으로 만드는 복습에 집중한다면 되지만... 방법도 중요하지만, 환경과 동기도 중요함.
@TV-rb7vg4 жыл бұрын
공부도 자기 자신을 잘 알아야 방향과 방법이 보이네요
@김봉림-f3x4 жыл бұрын
훌륭한 학생들입니다. 얼굴도 선해보이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zoo-g3z4 жыл бұрын
내가 바로 그 대치동 학생인데요.. 이렇게 폰하고 있내요..
@kkmee0484 жыл бұрын
사바사 케바케인듯 학원이 맞는애들도 있고 안맞는애들도 있고 나도 대치동다니는데 난 집중력이 좀 떨어져서 잡아줄 사람이 필요해서 내가 자진해서 학원다님 선생님 잘 만나면 진짜 최고
@판교포동이2 жыл бұрын
이 방송 참 유익하네요 지금 공부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송 감사합니다
@user-uw8ir2io5g4 жыл бұрын
학교를 대치동에서 다니고 있어서 그런지 공감가는 말들이 엄청 많네요.. 대치동 학원을 저도 엄청 다니다가 다 끊고, 현재는 인강과 동네 수학 학원을 통해서 자습 위주의 공부를 하고 있는데 저한테는 훨씬 맞는 방법이였더라고요. 예전에는 공부는 대치동에서 하고 집은 멀고 하니까, 학원은 10시 넘게 끝나고 엄청 붐비는 버스를 30분 동안 타고 집 가는게 엄청나게 피곤하고 지치더라고요.. 그뿐만 아니라 영상에 나왔다시피 대치동 학원에는 한 반에 사람이 많아서 한명 한명 봐주기 어려운 시스템이라, 내는 돈에 비해 얻어가는 건 많이 없어서 항상 아쉬웠습니다. 심지어 뭐만하면 학원 퇴출 시키겠다는 억압 때문에 스트레스도 장난 아니고요.. 사람에 따라 맞는 공부 방법이 다 다르겠지만, 다들 입소문만 듣고 학원에 무작정 신청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네요.ㅜㅜㅜ
@user-uw8ir2io5g4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실룩샐룩 저도 아직 학생인지라 모르는게 많아서 그렇게 하시면 백프로 수능 잘 보실거라고 확답을 드릴 순 없지만 모고 등급이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다면 잘하고 계신거 아닐까요?? 남은 기간 동안 공부 열심히 하시고 수능 잘 보세요 응원할게요ㅜㅜ
@지니-b2j4 жыл бұрын
@@김솔-w1x 저렴한 인강으로 강남인강도 들을만 합니다. 가격도 연5만원일거에요
@dpi55694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이 나라 학력의 양극화를 더 심화시키고 있네.. 서울 학원밀집지역 몇몇 빼고 다들 스맛폰 보면서 푹 쉬고 있는데... 복받은 인생들이네...
@user-ec7oo8cv5o4 жыл бұрын
@Grace Choi의지도 환경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우리은하cwo3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 보면서 푹쉬는 애들 있는 집 추가요 ㅋ
@yrshim523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cwo 😂
@anshei-d6n4 жыл бұрын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감사와인내4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대치동 가고싶다고 하는데, 도움 되는 이야기 감사합니다. 역시 자기 하기 나름, 학원에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공부했다니 좋은 귀감이 되네요~ 훌륭합니다~^^
@조금영-e8z2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으로 영상 접하게 되었는데 ㅎㅎ말씀을 참 재미나고 귀에 쏙쏙 들어오게 잘 하셔서 구독과 좋아요.카톡 오픈채팅바에도 가입을 했네요. 중2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을것 같아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알파카-l6z4 жыл бұрын
ㄹㅇ 대치동이고 자시고 결론적으로 순공이 중요한게 걍 인강만 보고 정시로 인설의 정문 박치기하는 친구들 많이 봄. 재능 + 집중
@SKYHCN4 жыл бұрын
👍
@gosarah71924 жыл бұрын
항상 소중한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예찬, 장현우선생님 화이팅~
@LODD-wq6bl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발언이 정말 좋네요. 거쳐가는 종착역. 나자신을 찾으면서 입시에만 매몰되지 않으면 좋겠어요
@SoonHongPark4 жыл бұрын
3편 다 보고 느낀점이 많네요... 잘보고갑니다
@SKYHCN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steptike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학원다니는 사람들도 본인이 이게 시간낭비아닌가??? 생각이 들텐데 주변 분위기에 휩쓸려서 다니고 학원다니는게 공부하는거라고 위안삼으며 다니는것..
@조계남-k9v4 жыл бұрын
근데 또 케이스마다 달라요 저는 학원을 되게 많이 다니는 편인데 하도 오래 다녀서 그런가 진짜 마음먹고 학원을 최소한으로 줄여보기도 했지만 그럴때마다 공부가 너무 안되더라구요ㅠㅠ
@우기-j4x4 жыл бұрын
@@조계남-k9v 니의지부족임
@하랑-c1h4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나도 저런 곳에서 태어나서 내 공부법 찾아가는 기간 가져보고 싶다
@자유인-k5d4 жыл бұрын
하랑Harang 어디서든 공부는 할수 있어요. 막상. 그곳에 가보면 그냥 사람사는곳입니다. 안가본길은 늘 미련이 남는거구요 열심히 해 보세요! 미련없이 ㅋ
@너파울4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유명한대여도 공부안하고 노는애 공부하는척 하는애 다양하게 존재
@jinyea-j6f2 жыл бұрын
8:23 듣고싶은 말들이었어요..고등학교 선택..감사합니다
@여함지연4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내용 좋네요~
@앗츄-y4l4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강남구청역 5분 거리에서 학교를 다니고 대치동에서 공부하고있는 중학생입니다 저는 충청북도 청주에서 올라와서 아무것도 모르는상태 였습니다 막 대치동 뭐 공부 잘하겠지라고만 생각했는데 진짜 너무너무 빡세요.. 지금 쓰고있는시간이 새벽2시인데 이 시간아니면 핸드폰을 못합니다.. 그래도 저는 수학을 좋아하고 청주 즉 저희동네에서 수학 잘하기로 유명했는데대치동 오니깐 빡세도 따라갈만 하거라구요 제 친구들 보면 다 대학교 학과 정해놓고 입시하구요 국수사과는당연히 고3과정 끝냈구요 중1에 수능 대비 합니다..진짜 처음 서울 갔을때 딱 느끼는게 여기는 열심히 안살면 바로 사회에서 못 살아남구나 였습니다.. 학원에서는 쉬는시간5분 그 시간은 숙제 풀거나 죽고싶다며 얘기하는 시간 입니다 진짜 너무 힘들어요...
@신성엽-i8t4 жыл бұрын
저도 다 끊고 하는 중인데 다행이네요
@라랄랄-y7p4 жыл бұрын
멋있어요!
@Jeong-eun4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는 윗 세대가 만들어 놓은 룰을 따라 살았다면 이제는 니들이 살고 싶은 세상을 만들어가 그 첫발이 입시 없애는 것 같다. 제발 고등학교때까지는 공부 조금하고 많이 놀았으면 좋겠고 대학가서 빡세게 공부해 내가 살아보니 그게 정상 같거든. 나이 먹으면 정서적 황폐화로 공황장애를 앓는 젊은이들이 많을 거 같더라. 어릴때 추억을 많이 만들어 놔야 늙어서 버틸 수 있어 잘 생각들 해봐 서울대 가서 졸업하면 장미빛 인생이 기다리지는 않으니까? 괴물을 만들어내지 서울대가, 서울대 간다는 이런 콘텐츠 자체가 대한민국 교육이 건강하지 않다는 증거지
@rohrichbeau10044 жыл бұрын
나도 나이는 적지 않아서 한마디하는데 그래서 당신은 젊을때 열심히 살아서 뭘 이뤄놨나요? 애들 걱정해주는척 접근해서 이상한 선동 하지마요. 서울대 같은 존재가 없는 나라 없고요. 서울대가 왜 괴물을 만들어내. 진짜 현실이 아무리 힘들어도 젊은 사람들은 이런 노인네들 하는말 들으면 안되는것임. 윗세대가 만들어 놓은 룰은 거지같이 굶던 나라 잘살게 만들었고, 돈벌어서 자기를 위해 쓰지도 못하고 자식들위해 헌신한것 밖에 없어. 삐닥한 놈들이나 공부를 강요하네 마네 배부른 소리하는거지. 고등학교때까지 왜 놀아야 하는지 그 근거 제시할수 있음? 고교때는 놀고 대학때는 공부하는 룰은 당신이 만든거야? 딱봐도 아는것도 없이 외국에서 그란다카더라 이런거나 주워들어 아는척 하는것 정말 티나네.
@크로버유니3 жыл бұрын
훈훈하네요 두분 제 아들이 형아들 얘기가 마음으로 들려지면 좋겠네요
@perm01134 жыл бұрын
개포동 여고를 졸업했는데요. 그때도 그렇긴 했지만.., (확실히 인서울 학생 수자체가 차이가 났죠..), 요사인 정말 '대치동'자체가 브랜딩되있는것 같아요. 초1자녀 때문에.., 이사고민하다 보게됬습니다.
@3306유주원4 жыл бұрын
근데 중학과학은 학원을 다니지 않고서는 제대로 배울 수가 없음 학생들이 어렵다고 하니까 난이도를 계속 낮추고 그러다보니 오개념들도 막 섞여 있고 그리고 나중에 고등학교가서 제대로된 내용을 배우면 어던 혼란을 겪을까 대부분의 유튜브 영상에서 서울대 학생들에게 설문할 때 학원 안다니고 학교교육에 충실했다라는 답변만 집중해놓으니 진짜 그런줄 아는데 실제로 서울대 학생들 대부분 아니 거의 다는 학원에서 배움 영재고나 과학고, 적어도 자사고를 가지 않는다면 일반고에서는 정상적인 수학, 과학 수업이 불가능함 물론 학원에 의지하는 것은 좋지는 않지만 현실적으로 하향 평준화 시스템을 고치지 않으면 학생들(특히 이과생)들은 학교교육에 의지하는 것이 힘든게 현실임 우선 이 시스템을 고쳐야 학원에 "안가도 된다" 라는 말을 할 수 있을 듯
@taeyeonge4 жыл бұрын
일반고에서 물리 들어보니까 한숨밖에 안 나옴
@윤아린-q7y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인게 중학교 과학은 수업만 들어도 바로 이해가고 내신도 98-100 나오니까 엄청 잘하는 축은 아니어도 못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했죠... 절대평가라 내신은 잘 받고 자사고 갔는데 애초에 공부법 자체가 달라요.. 개념을 이해하는게 주가 아니라 그건 기본으로 깔고 문제를 와장창 풀어야되니까... 그리고 이게 단순히 과학에서만 국한되는게 아니라 전과목에서 다그래요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중학교때 학교에서 시키는대로만 하다가는 절대 고등학교가서 적응 못해요 학원 안다니더라도 혼자 인강듣고 문제집 다 풀어야 좀 따라가지
@sarangkim63734 жыл бұрын
네이버에 언노운공부법이라고 치면 책 하나 나올거에요. 몇주만 따라해도 몰입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달라지더라구요
@sangsang15554 жыл бұрын
학생들 솔직하고 순수하게 얘기하는 모습이 귀여워요~
@p.p.71353 жыл бұрын
인터뷰받는 분은 어휘도 풍부하고 정확하게 쓰시는데 편집하는 분 왜 이래요 조사"의" "에"구별도 못하는 사람이 자막 만들고 있으면 어떡합니까.
@junghunlee99414 жыл бұрын
서열화된 대입 경쟁 구조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없음. 수능으로만 대학을 가게 하면 학교는 학원식 문제 풀이 교육만 해야 하고 그건 소수화, 실력별 차등화된 수업을 하는 학원을 이길 수 없으니 결국 공교육 붕괴로 이어짐. 수시, 즉 내신이 주가 되는 경우도 마찬가지. 결국 1에서 9등급을 내야 하니 학교는 가르치지도 않은 수준의 문제를 내서 변별력을 만듦. 결국 애들은 학원에 의존할 수 밖에....(그래봤자 선행을 빡세게 하지 않은 애들은 극복을 못함. 내신은 역전이 안됨. 두 달 간격으로 시험이 닥치는데.... 어떤 레벨의 문제를 내도 풀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려면 2,3년이 지나야 하는데....그렇게 후달리다가 고교 생활 끝나버림) 문제는, 이 구조에서, 엘리트급 능력을 가진 아이들은 그저 정답이 정해진 문제 빨리 푸는 기술만 '실력' 심지어 그것을 '인간의 등급' 으로 알고 그 외의 사고나 품성, 진정한 엘리트로서의 자질 (사회 구조를 통찰하고 그것을 개혁할 포부를 갖는) 을 기를 기회를 통째로 날려 버림. 오직 내가 이렇게 죽도록 고생했으니, 이를 보상 받아야 한다는 보상심리만 남은, 표독한 쫌생이 이기주의자 집단이 됨. 왜 이상한 의사들, 검사들이 떼로 출현할까? 이 구조에서는 당연한 것임. 왜 이른바 요즘 명문대생들이라는 애들의 사고력이 겨우 그 수준 밖에 안되는 걸까? 솔직히 7,80년대 서울대생들의 포부와 지금 서울대생들의 포부는......거인과 난장이 수준의 차이임. 국가의 미래를 위해 돈이나 버는 의대말고 물리학과를 가겠다....는 학생이 요즘 어디 있음? 서연고 학생들 중 개혁적, 혁명적 사고를 하는 애들이 있음? 그저 기득권 안에서 어떻게 하면 안주할 수 있을까 전전긍긍하는 레벨.... 명문대생들의 포부와 사고력이 왜소해진 건 빼박 팩트 맞음. 저 구조에서 성적을 못 내는 아이들은 평생 열패감이 시달리고, 저 웃기지도 않는 시스템 (암기력, 문제풀이 능력 측정)으로 결정되는 서열이 모든 걸 결정하다는 걸 스스로 받아들이고 내면화 함 (나는 지잡대생이야!!). 그게 잘못된 기준이라는 생각도 못하고,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생각도 못하고, 자존감을 높이는 법도 잘 모름. 결국, 능력이 뛰어난 애들도 피해자. 각기 나름의 잠재력이 있으며 훌륭한 시민, 행복한 사회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애들도 피해자. 둘 다 행복한 청소년기를 놓치고 있으며 현재 자기 능력에서 더 뛰어난 사람, 더 성숙한 사람이 될 기반을 못만듦. 결론.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독일식으로 바꿔야 함. 대학은 진짜 돈 안되는 학문 하는 사람들이 가는 곳으로.....나머지는 다 직업학교화..... 쓸데없는 경쟁 말고 진짜 의미있는 경쟁이 다각화 되도록. 쓸데없는 시간과 돈과 노력을 청소년기의 과도한 경쟁에 갈아 넣지 말고, 경쟁은 성인이 돼서 할 수 있도록.... 절대 안될거라고? 핀란드나 독일도 현재 우리나라랑 똑같았음. 그런데 그렇게 바뀐 것. 전쟁 후 잿더미에서 이런 부국을 만든 게 한국인데, 교육 개혁은 왜 못할거라고 생각? 가능함. 그리고 꼭 그렇게 해야 우리가 다음 레벨로 갈 수 있음. 어디선가 들었던 멋진 말. '행복의 기준이 하나일 때 보다 그것이 백개로 늘어나면, 행복한 사람이 백 배로 늘어난다'
@keumnimlim24214 жыл бұрын
대치동 토박이입니다. 울엄마가 여기서 말하는 돼지엄마였나 싶네요😅 2003년도 일인데 별로 유명하지도 않은 선생님이 8회 2백 맞춰주면 학생 수는 크게 상관 없다고 하셔서 엄마가 4명 팀 짜서 과외했던 기억 나요. 엄마가 돈 이렇게 쓰신거에 비해 전 그냥 중앙대 가서 실망이 크셨는데 동생이 서울대 가서 너무 다행이었어요 😂
@뮤뮹-f8o4 жыл бұрын
왘ㅋㅋ 8회 200 레전드네요
@김승준-z8h4 жыл бұрын
@@뮤뮹-f8o ... 다 그러지 않음?
@뮤뮹-f8o4 жыл бұрын
@@김승준-z8h 보통 한 달에 30만원 아닌가요??
@김승준-z8h4 жыл бұрын
@@뮤뮹-f8o 지금 250쓰는데..
@뮤뮹-f8o4 жыл бұрын
@@김승준-z8h 헐 화이팅하세요!!
@황어진-s6j4 жыл бұрын
솔직하고 알찬 정보 잘 보고갑니다 😇😁
@hyk812474 жыл бұрын
꾀고가 아니라 꿰고 입니다^^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5:19)
@SKYHC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imwan64464 жыл бұрын
서울대가도 새 삶이 시작되고 프라이드는 사라지고 현타가 온다..... 어디 대학을 가든 내가 내 삶에 최선을 다한다면 행복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며 오늘도 카이스트를 꿈꾼다.
@SKYHCN4 жыл бұрын
👍👍👍👍가능!
@uknowuloveme17034 жыл бұрын
그 주변의 영향이 정시 입장에서는 엄청 큰듯.. 우물안개구리가 아니라 학교자체에서의 경쟁이 전국적인 경쟁인 셈이니까
@최영숙-m7d4 жыл бұрын
두분 정말 멋지십니다~~~~ 고3 부모님과의 관계는 어떠셨는지 궁금해요
@장현우-y9e4 жыл бұрын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영상 출연자인 언론정보학과 장현우입니다. 저는 외동아들이기도 하고, 공부도 집에서 했어서 부모님과 같이 있는 시간이 꽤 많았어요! 제 성격 상 누구든지 제게 간섭하는 걸 좋아하지 않았어서 부모님도 제게 많은 터치를 하지 않으셨던 기억이 있네요😁 자녀분과 많은 대화 나눠보시고, 스타일을 맞춰가시면 좋을 것 같아요!
@JJ-pj7ni4 жыл бұрын
언급하신 유명강사 한 분이랑 근무 해 본 적 있어요 ㅎㅎㅎ 정말 저 분 말이 정확해요... 그냥 돈이고 손톱만한 거 버퍼 심하고.. ㅋㅋ 정말 그 경계가 아슬아슬 하답니다..
@정의-e7u3 жыл бұрын
전 96학번인데 그 당시 강남 8학군에서 초중고 다 나왔고 그당시 그곳도 사교육 많이 받았었음. 저도 학원 과외 팀과외 다 받았지만 정작 내 공부하는 시간은 없었던듯.. 결국 수능 폭망.. 지금 내 아이 고1이지만 공부는 스스로 해야한다는 생각듦.
@notthings644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용우-h9c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으신 말씀이신데 이래야 자신이 있어 보이는지 ㅎ
@ajiyaaa14 жыл бұрын
따져보면 학생때가 하고 싶은걸 찾고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은데 한국은 입시지옥임,,
@medic99774 жыл бұрын
2년전, 강남에 거주하는 쌤이 강북 학교에서 '공부안하고 마냥 행복한 애들이 어찌 대학교 가냐'고 악담으로 엄마들 속 뒤집어 놨었지... 하지만 그애들이 지금 대학교가서 장학금받고 여전히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팩트체크
@김민정-s6p1u4 жыл бұрын
어느 대학인지도 중요할 것 같아요. 알 수 있을까요? 이사를 갈까 심히 고민중입니다.
@hellocosmetics2 жыл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해야 좋은 대학간다는 뜻인데 악담으로 듣을 필요는 없었을 것 같네요
@정냥냥-h4b4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이 많이 됐어요~ 초2 딸이 있어서 광장동이나 대치동으로 가야하나 했는데... 생각을 좀 해봐야겠어요~^^;;
@Youtube_premium__4 жыл бұрын
저도 대치동 사는데여 진짜 열심히 살아야게ㅛ네요...
@유아네르4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어디까지 선행하고 고등학교 가셨는지 궁금합니다..답 주실수 있으면 좋겠어요
@yuna84344 жыл бұрын
유아네르 ㅇㅈ궁금해요ㅜㅠㅜㅜㅜ
@장현우-y9e4 жыл бұрын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영상 출연자인 언론정보학과 장현우입니다. 저는 대치동 출신은 아니고 성남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는데, 수학같은 경우는 1년 정도 선행하고 고등학교에 입학했습니다! 다만 1년 선행이 완벽했던 것은 아니었고, 2학기 것은 개념만 한 번 본 정도였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아요!
@유아네르4 жыл бұрын
@@장현우-y9e 아..감사합니다..주위에 선행한 아이들이 너무 많고 저희 아이는 그렇지 못해서 걱정도 되고..고등학교때 학원을 안다녔다고 말하는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중학교때 이미 준비를 다하고 간 경우가 많더라구요..뭐 이미 고등학교 올라갔으니 선행하지도 못하지만, 준비를 많이 못했어도 가고자하는 곳에 갈수 있을거란 희망을 주고 싶어 여쭤봤습니다..답 너무 감사드려요^^
@yuna84344 жыл бұрын
유아네르 와 저도 진심 똑같아요......
@ekmom994 жыл бұрын
중고등 입시 수학 15년째 하고 있는 강사입니다. 이과계열을 가고 싶을 경우엔 중2 정도에 고1수학을 병행하고 중3땐 고1 수학 복습하며 고2 수학 진행해야 고등학교 가서 조금 덜 힘들게 공부할 수 있을꺼구요, 문과 계열일 땐 중3때 고1 마치고 가서 고1때 2학년 과정 진행하면 적당할 꺼예요 물론 학생이 중등 과정은 이미 다 이해하고 잘 한 후에 예습 과정을 80%이상 소화한다고 가정했을 때 도움되는 거지 그냥 진도만 나가는 건 아무 의미 없습니다. 그리고 수학 기초는 아이와 잘 맞는 좋은 선생님 찾으셔서 1:1 많아도 1:3 이상 수업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1:3 수업이더라도 아이들 마다 진도가 다른 수준별 수업을 하는 수업이 아이한테 좋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본인 의지가 있어야 하구요^^
@김재선-f6d4 жыл бұрын
불안을 마켓팅 삼는거죠 혼자하기 모르는것은 물어 볼사람이 있어야해서 학원가는 거임
@채민-n5r4 жыл бұрын
휘문, 경기 등은 4년제 고등학교라고 불리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렇게 잘하는 친구들이 3년동안 치열하게 살다가 재수해 정시로 갈바에는 지방고에서 넉넉한 시간을 가지며 공부하는게 훨씬 나은 것 같네요
@jy74 жыл бұрын
지방고에서 넉넉하게 하면 원하는 학교를 못가지 않을까요?
@황동먹태4 жыл бұрын
물론 정시라면 지방고에서 해도 전혀 상관이 없지만 주변 분위기라는 게 무시 못하는 거라서
@성이름-r5l8v4 жыл бұрын
@@황동먹태 닉 개악질이네..
@김주원-u5n4 жыл бұрын
분위기때매 그럼 지방고에서는 주변에 아무도 공부안하는데 나만 공부하면 개찐따 범생이 되는거고 휘문에서는 다 ㅈㄴ 열심히 공부하는데 나만 공부안하면 인생포기한애, 미친놈 취급받아서 저절로 열심히 하게됨
@jy74 жыл бұрын
@@김주원-u5n 그건 아닌데 휘문에도 노는애들은 있지 근데 강남에서는 공부를 열심히 해도 개찐따범생이되는거는 맞ㅈㅣ
@soda__soda4 жыл бұрын
학원이 마냥 나쁘지만은 않다는거... 너무 반대편으로만 치우쳐도 안될거 같네요.. 제가 아는 연세대생은 과외3개 학원 4개 한 과목당 문제집 7권이상을 풀고 연대갔어요 좀더 과외를 더 했다면 서울대 갔을거 갔다고 하네요 -.- 본인한테 맞는걸 선택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학원과 과외가 맞는 사람도 꽤 많아요
@카랑코에74 жыл бұрын
두분케미 너무 좋습니다.
@vusn68714 жыл бұрын
사실은 언어에 대한 센스~가 중요한것 같아요 #초성퀴즈 #사자성어퀴즈 #역사퀴즈 많이 풀면,국어,국사에 대한 센스가 향상됩니다.
@소으니-x7v4 жыл бұрын
난 왜 이 영상을 입학하고 1학년이 거의 다 지나간 후에 보는걸까..교육열이 좀 낮은 곳 갈까 고민했었는데..너무 후회되네...
@c0zyr00m4 жыл бұрын
나름 공부(이걸 공부라고 불러야 되나 싶지만) 관련된 영상인데 자막 철자 틀린 게 너무 많아서 마음이 아플 지경이네요...
@kjkim84494 жыл бұрын
맞춤법이것쥬..철자는 영어..
@주먹짱고양이-f8q4 жыл бұрын
대치동은 아니지만 학원가를 다니는 입장으로서...10시에 학원 끝내고 나오면 학원가 건물에서 건물이 토하듯이 아이들이 우르르 나오는거 보고 아...우리가 왜 뭐 때문에 이렇게 늦게까지...심지어 고3들은 학원 밖에서 안보이는 방에 불끄고 10시 넘어서까지 수업해요(10시 넘으면 불법이라서) 그거 보고 학원 끊기로 결심했고 혼자서 열심히 해보려구요..혹시 학원 안다니고 혼자 공부하시는 분들 혼자서 하면 뭐가 좋고 안좋고 알려주시면 좋을것같아요
@jy74 жыл бұрын
일단 혼자 하시려면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죠 혼자 하셔도 10시까지는 아니어도 그에 걸맞는 시간을 공부하셔야죠
모든 애들이 다 서울 강남에 사는것 처럼 다 서울 이야기만하고.다 과외하는것처럼.... 내 주변엔 과외 안받고 스카이와 서울 탑 10에 들어간 애들 수두룩 빽빽인데..희안하네
@건초4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을 하고싶은건지 모르겠다
@옐-l8u4 жыл бұрын
강인한 의지만 있으면 학원없이 충분히 가능하죠~! 제 채널에 수학 개념과 문제풀이 영상을 찍고 있어요~! 여러분들 수학공부에 도움받으셨음 좋겠어요^^*
@루오오루4 жыл бұрын
왼쪽 분 인기 많으셨을거같아요😃 지금도 있나요?
@cat70954 жыл бұрын
성실해보이네
@집-p5f4 жыл бұрын
교육열 쎈 곳은 엄마들 영향도 있고 학교 선생들이 생기부 적는 게 다름... 쌤바쌤이긴 해도 대부분 ㄹㅇ 잘 적어 줌 프로그램도 잘 돼 있고 그게 지방 일반고랑 다른 부분임 ㅋㅋㅋㅋ 얼마나 서러움지 아냐...
@황동먹태4 жыл бұрын
왜 서러움 지방은 못하는 애들끼리 경쟁해서 내신따기 상대적으로 쉽잖아 그리고 농어촌 되는 지역도 많고
@집-p5f4 жыл бұрын
내신 잘 받으면 뭐 해 ㅠ 쌤들이 관심이 없어서 학종을 못 쓰는데 ㅠㅠ 글고 지방 일반고라 해도 잘하는 애들은 어딜 가나 많음 농어촌 지역에 해당하진 않아서 모르겠고
@황동먹태4 жыл бұрын
@@집-p5f 저 내신 3후 4초인데 님학교가면 모고는 1등할듯
@집-p5f4 жыл бұрын
임산부배꼽지건장인엄준식 내신 3후 4초면서 뭔 자신감이에요
@황동먹태4 жыл бұрын
@@집-p5f 학교 애들이 잘해서 내신을 못따는거라 뭐 단순암기같은거 싫어하는 것도 있고
@변유빈-r1y4 жыл бұрын
이 형들 진또배기네
@이기자-v1n4 жыл бұрын
에이 그래도 아무리 학원의 열기가 들 끓고 학생의 성적을 위한 것이 아닌 학원의 수입을 위한다고 하더라도 서울의 대치나 목동방면은 비록 입시이기는 하지만 정말 실력있는 강사들과 유능한 학원시스템이 있는 것은 사실인것 같다. 지방에 있기는 하지만 추후에 자녀교육에서는 서울쪽으로 이사가서 교육시키고 싶다. 두분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너무 열기가 과해서 부작용을 느낄정도인것 같다.
@jackchris82654 жыл бұрын
고3때는 수능 학원 다녔고, 고2 때까지는 내신학원도 다녔다.결국 학원 다녔다는 애기..
@qhdud03793 жыл бұрын
저도 서울대 가고싶다ㅠㅠㅠㅠㅠ
@손나무-o3v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결국 학원을 다녔고 도움받았네요 마지막 정리는 본인의 시간으로 채웠겠지만~
@SKYHCN4 жыл бұрын
출연자분의 학원도움 없이 공부하는 영상도 제작중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ventilator3554 жыл бұрын
대치동에서 커 온 사람으로서 대치동은 최상위권이 아니라 중상위권이 많은 동네
@Kate-zu4ms3 жыл бұрын
대치동학원들 나라에서 규제필요하다 생각함. 학부모 등골빼먹는..여기규제가 교육개혁의시작이라 생각함.
@kyungjomin42814 жыл бұрын
수시로 인서울 가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루핀-l2j4 жыл бұрын
학원 15개 그렇게 많이 다닌 친구 의대나 서울대 입학 했나요?
@yuna84344 жыл бұрын
김루핀 그러게요
@루핀-l2j4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데 진실을 알려주세요 플리즈 !
@kyr58054 жыл бұрын
자사고나 외고는 방학 때 그 자체의 윈터스쿨이 흔하긴 한데 그것도 팀수업인가?
@TV-rb7vg4 жыл бұрын
열살 아들이 있어요 그 아이에게 한마디^^내가 열살로 돌아간다면 이건 꼭 했으면 하는것 부탁해요
@장현우-y9e4 жыл бұрын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영상 출연자인 언론정보학과 장현우입니다. 댓글을 보고 열 살의 저를 오랜만에 떠올려봤는데, 집에서 나오자마자 하늘을 보며 밝게 하루를 살아냈던 기억이 나네요! 학교에서 열심히 배우고 놀면서 지냈고, 학원도 영어만 다녔던 것 같네요. 아드님이 꿈을 잃지 않고, 하루하루를 재밌게 지냈으면 좋겠네요! 열 살이면 그 정도로 충분해요😁
@꺾이지않는마음-f4q2 жыл бұрын
@@장현우-y9e 정말 인성 바르고 꽉 찬 말씀이네요 초1 엄마로 큰 위안과 용기 얻고 가요. 이런 좋은 아들 둔 엄마가 될 수 있도록 저도 노력해야겠어요
@sung35104 жыл бұрын
완전 내 이상형이시네... 인스타 하시면 아이디 알고싶다
@dna47894 жыл бұрын
학원만 15개 다니고있으면 진짜 십허수임ㅋㅋㅋㅋ 수능은 수업듣는다고 실력 늘어나는게 아닌데
@sswrwbreemew85064 жыл бұрын
ㄹㅇ 공스타 학원 많이다니는놈 ㅈㄴ 이쁘개필기
@iGodTier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ㅇㄱㄹㅇ 이동시간에 에너지 시간 다 씀
@이림-x8x4 жыл бұрын
무조건 내 힘으로 분석하는게 짱이지
@onetime_go4 жыл бұрын
이게 뭔가요. 결국 수능 내신 학원 다 다녔다는 거잖아요. 상위권은 거의 몇개만 다니는건 알려진거고 요세 내신준비때매 안가던 아이도 가요 ㅠㅠ 내신이 범위가 넓어서 학원대비안되면 시간내 못준비한다더라구요. 안다니는건 아니고 포인트로 과하지않게 하라는 말입니다
@표물음-q5o2 жыл бұрын
대치동 교육열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지만, 사치스러운 교육열로 멋부리는 세상 망치는 사람들이 줄어들길..
@je72974 жыл бұрын
저는 주말에 영어수학과외만 한타임씩 했어요. 평일에 궁금한 걸 모아서 주말에 다 해결한다고 해야할까요? 개인적으로 야자에 많이 의존했어요. 학원이나 과외는 선택사항이지 필수사항은 아니예요. 자신이 이용하고 싶은 만큼만 해도 됩니다. 저는 연세대 이공계에 진학했는데 사교육 심하게 받은 아이들을 보면 스스로 문제해결능력이 떨어지고 대학생임에도 과외를 받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솔직히 대학교 1학년 땐 그 친구들이랑 격차가 났어요. 제가 늘 밀리는 느낌이었는데 2학년부터는 큰 차이 안나더라구요. 자신을 냉정히 관철하고 꼭 맞는 스타일을 찾아가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 휩쓸리지 않기!! 소신잃지 말기!! 수험생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빡진4 жыл бұрын
의대 들어가기 위해서 최소 공부량 3배 이상임.
@bca163 жыл бұрын
학원 안다닐 수 있었던 이유는 문과이기 때문이다....(문과인데 휘문 신기)
@medilightac4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초등학교 자녀를 둔 부모입니다 검정고시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를 나온 뒤 스카이 대학을 진학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user-gl1vs9gi7t4 жыл бұрын
나는 학원은 별로.... 이과 전교권인데 수학 과외, 독서실 과탐은 인강으로 함 이래도 전교3등안에 들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