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a7m3에 18-105물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짐벌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완전 강추입니다. 4k촬영시 화질저하가 단점이긴한데 50인치 이상 화면에서 번갈아가며 비교하지 않는 이상 구분하기 쉽지 않은 화질 저하입니다
@slickrbox5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종종 저 조합으로 사용하고 있네요^^
@ParrotUtopia4 жыл бұрын
크롭렌즈가 많은 상황에서 풀프레임 바디 선택하는게 고민이었는데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구독했습니다
@BLACKSTAR000012 жыл бұрын
a7r4를 사시면 크롭렌즈 의외로 다 활용 가능합니다.
@Cinsw06125 жыл бұрын
소니 유저는 아니지만 매우 유용한 정보네요.
@윤영근의착한나물3 жыл бұрын
18105렌즈쓰다가 a7c구입후 기다리고있었는데 너무 도움이됐네요^^ 목소리도 좋으시고 내용도 너무좋아 미리 열혈팬해야겠어요^^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요즘에 영상을 꽤 안올렸는데 감사합니다. 저도 요즘엔 a7c를 주력으로 쓰고 있네요^^
@thezztv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에 a7c 주문했는데 브이로그를 주로 찍어서 저렴한 18105 주문했는데 화각이 안나오려나요? ㅜㅜ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화각이 안나오진 않을거같은데요? 호환성이 문제가 없다면 a7iii처럼 문제 없을거같습니다. 테스트는 못해봤습니다
@thezztv3 жыл бұрын
@@slickrbox 아 그러면 18mm의 화각이 나오는거죠? 휴.. 다행이네요 현재 캐논 m50 1545 번들렌즈로 쓰는데 손으로 들고 찍는데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겠죠?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aps c 모드로 작동되면서 센서를 덜 쓰고 화각은 다 쓰는식으로 될겁니다. m50 1545는 풀프레임 환산 24mm에 가까울테니까 18-105가 더 광각으로 넓게 나올거같습니다
@에코맨11 ай бұрын
크롭렌즈로 나왔는데 다른 크롭렌즈처럼 센서로 빛이 들어가는 부분이 작은 사각으로 가려져있지 않고 렌즈가 완전히 오픈된 경우에도 그렇게 검은 테두리가 보이나요?
@hasllamovie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현재 a6400에서 기변 고민중인데 a7c와 a7m3 고민이되네요...바디 살돈은 있는데 풀프레임 레즈가 부담이되네요 18-105와 1.8 35mm 두개의 렌즈 6400에 운용중입니다. 유투브 영상을 많이 보는데 혼돈이 더 증가하고 있네요 ㅋㅋㅋ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a7c 너무 좋습니다. 저도 이거 저거 방황하다 a7c로 완전히 정착했습니다.
@hasllamovie3 жыл бұрын
@@slickrbox 혹시 렌즈는 그냥 크롭 쓰시나요?
@hasllamovie3 жыл бұрын
짐벌 사용이 많아 무게도 그렇고 a7c로 ㅋㅋㅋ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24.4랑 35.8을 주로 씁니다. 지금은 크롭렌즈는 안쓰고 있습니다.
@sonmalin2 жыл бұрын
비녜팅 용도로 사용하는게 아니라 성능을 위해 쓰는 것은 생각도 못했네요
@어른왕자-i4i3 жыл бұрын
소니만 해당되는거죠? 니콘과 캐논도 가능할련지 궁금하네요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풀프레임과 크롭간 마운트 차이가 없는건 소니만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건 컨버터가 필요할텐데 캐논 니콘 모두 써본지 오래되서 확실하진 않네요^^
@이승호-d9v9b2 жыл бұрын
4K철도 촬영한 장소가 어딘지 일수있을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lickrbox2 жыл бұрын
dmc역 부근이요
@stainway4 жыл бұрын
영상촬영때 얘기죠?
@DAVID-VIVIDOPE4 жыл бұрын
9독 꾹눌렀씁니다.~ 제가 A7c를 사려하는데 18-105는 어떨까요? 렌즈의 oss와 카메라의 IBS가 된다면 궂이 짐벌이 필요없지 않을까 해서요. 여러가지 고민이 되는데 혹시 좋은 의견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
@slickrbox4 жыл бұрын
사용해보시면 느끼실텐데 IBIS는 잔떨림을 잡아주는 정도이고요. 영상 전체의 스무스함을 위해서는 짐벌이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도 짐벌 없이 잘 씁니다. 어느정도 거친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보이기도 하니까요. 일단 저 조합으로 사용해보시고 다른 렌즈로 사용을 넓혀가시면 감 잡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사용하다보면 풀프레임 전용렌즈도 왜 필요한지 알게됩니다. 결국 많이 경험해 봐야 많이 알 수 있는 부분 같습니다
@DAVID-VIVIDOPE4 жыл бұрын
@@slickrbox감사합니다.~~
@wonguwoo4 жыл бұрын
풀프레임전용렌즈를 크롭바디에 끼울경우, 크롭전용렌즈에 표기된 초점거리랑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풀프레임전용렌즈랑 크롭전용렌즈에 표기된 초점거리는 모두 풀프레임 기준으로 표기된건가요? 즉, 소니 FE 렌즈랑 E렌즈랑 둘다 100-300mm 라고 할때 크롭바디에서는 둘다 150-450mm 가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FE렌즈를 크롭바디에 끼웠을때 풀프레임바디보다 가까이 보이는지)
@slickrbox4 жыл бұрын
FE렌즈 100-300 은 풀프에 꽂으면 100-300, 크롭바디에 꽂으면 150-450가 됩니다. e마운트 100-300은 크롭바디에서 100-300 이고 풀프에서도 100-300 (그런데 이 경우는 풀프바디의 모든 센세를 다 쓰진 못하죠). 끝~ 입니다
@wonguwoo4 жыл бұрын
잡스런TV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푸른하늘-w6u5 жыл бұрын
꼭 필요한 내용이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googleriam4 жыл бұрын
구독이 참신합니다
@dululgun4 жыл бұрын
a7m3 쓰다가 6400으로 와서 가장 실망스러웠던게 롤링셔터가 너무 심하다는거였습니다 ㅋ 그냥 풀프에서 크롭렌즈 쓰는게 답인거 같네요
@log48604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a7s3에 18105나 1018, 35등을 끼워서 4k를 설정하니 aps-c변환이 안되고 비네팅만 겁나게 생깁니다. 1080은 제대로 되는데요. 그냥 4k 촬영이 불가능 한 걸까요?
@slickrbox4 жыл бұрын
좋은 카메라 쓰시네요. kzbin.info/www/bejne/lXaoqKx-e5ypmK8 여기 영상에 보면 s3에서는 apsc모드가 fhd에서만 작동된다고 나오네요
@log48604 жыл бұрын
@@slickrbox 아 감사합니다 ㅠ 렌즈를 사야겠네요 ㅠㅠ
@봉뚜라미3 жыл бұрын
혹시 18105사용시 풀프레임과 크롭 센서 크기에 따라 노출도 차이가 있을까요?? a6400보다 a7m3쪽이 약간 더 밝아보여서요
@sonmalin2 жыл бұрын
노출도가 아니라 측광차이죠
@LEEkyouho3 жыл бұрын
가볍고 싼데 화질 떨어짐. 그러면 그냥 크롭바디에 크롭렌즈를 구비하는게 저렴한데요....??
@slickrbox3 жыл бұрын
그게 맞습니다. 그런데 저런 조합도 장점이 있다 이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우체국택5 жыл бұрын
크롭바디에 풀프레임렌즈를 사용 할 경우에도 렌즈 성능을 다 사용못하는거라서 손해가 아닌가요?
@slickrbox5 жыл бұрын
렌즈입장에서는 손해죠. 크롭바디 입장에서는 크롭바디 성능은 다 쓸 수 있으니까 크롭용 렌즈가 부족한 경우는 활용할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지않을까합니다.
@kenadian02185 жыл бұрын
들은 바로는 보통 렌즈는 주변부 화질이 떨이지기 마련인데, 풀프레임 렌즈를 크롭바디에 물리면 중앙부만 사용하기 때문에 (크롭바디 기준)주변부 화질이 더 좋아지는 측면도 있습니다.
@HeraChe14 жыл бұрын
주변부 화질은 좋아질 지 몰라도 풀프레임으로 찍은 걸 중앙부 크롭해서 쓰는거니까 결과적으로 화질은 안좋아지는 쪽이었던 것 같네요. 완전 고화소 대응 렌즈가 아니라면요. 50mm 1.8 크롭 렌즈보다 55mm 1.8자이스가 크롭에서 더 별로라고 한 글도 본거같습니다
@sonmalin2 жыл бұрын
성능의 차이가 있을까요 화질의 차이가 있겠죠
@나호영-q5s5 жыл бұрын
A6000에 fe 렌즈를 끼워도 괜찮나요??
@slickrbox5 жыл бұрын
Na Hoyoung 네 문제없습니다.
@김희윤-z9v4 жыл бұрын
4k 영상에서만 저러한 이점들이 나타나고 사진에선 전혀 관계 없는 내용이죠. 저도 영상 촬영용으로 6400 추가를 고민하다가 18-105를 장착하고 테스트 해본결과 4k 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굳이 추가 구매가 필요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베터리, 손떨방, 롤링셔터, 조작성 등등에서 6400은 모두 않좋더군요. 사진을 위해서도 굳이 6400을 전혀 구입할 필요가 없구요. 사진은 풀프레임으로 그냥 찍으면 되거든요.
@StrongAI Жыл бұрын
풀플레임 대비 가격 때문에 보조로 많이 쓰죠. 6400부터 30분 제한도 없구요. 배터리도 4k시 90분은 가니까 쓸만하구요. 저는 서브로 잘 쓰고 있습니다 삼각대에 고정해서 공연이나 인터뷰에소 한두사람 고정으로 쓸 때는 딱입니다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고 출연자도 심하게 움직이지 않으니 롤링도 안 생기구요. 그런 용도로 쓰기엔 가성비가 아주 좋습니다 😊
@kyunghwanhan46834 жыл бұрын
풀프레임에 크롭 번들 조합도 화질이 별로 지만 가볍게 쓸만합니다.
@chadndog5 жыл бұрын
9독 ^^ + 좋아요
@slickrbox5 жыл бұрын
정말 고맙습니다. 호응해주셔서 ^^
@홍태성-c6m Жыл бұрын
풀프레임바디에 크롭렌즈끼우면 화질이 반토막납니다. 이거는 현명한게 아니라 바보나 돈이없는 사람이 하는행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