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워져있는 것이 채워져있는 것이라는 상반된 모순을 보며 자아가 없음이 곧 세상과 하나가 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네요.
@Jenny-zs2tg2 жыл бұрын
아..♡
@jmi87082 жыл бұрын
저는 오늘 문득 '충분해 충분히 경험했어'라는 생각이 올라왔어요 충분하기 때문에 내려놓을 수 있는거구나 싶었고, 충분히 아팠고 충분히 힘들어했으니 이 경험들에 감사하고 내려놓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예전에 어떤 분과 좋은 대화를 나눴는데 대화끝에 그분의 문제가 해결되었고 평온을 찾게 되었어요 근데 저는 불안하더라구요 이걸로 우리 관계가 끝나는게 아닌가 싶었거든요 관계는 이어졌지만 뚜렷한 대화의 목적이 없어서 대화내용이 변질되고 결국엔 다툼으로 끝났어요 평온을 찾았을 때 이미 충분했던건데 놓지 못했던거예요 반응에 반응하는 식으로 소모전만 했던거예요 이미 충분했던건데... 반응에 반응하지만 않으면 저절로 사그라드는건데.. 억지로 붙들고 있었던거예요 반응에 반응하는 것 그러니까 현상에 반응하는 것은 놓으면 정화되는거 같아요 반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에서 어떤 걸 생각하면 창조되는거 같구요 그래서 시크릿이 성공하려면 정화해야한다 하고.. 예수님이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라고 말씀하신게 아닌가 싶기도.. (그냥 제 생각이예요) 빚이 있어서 돈을 벌고 싶다면 빚에 대한 생각은 제껴두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생각을 해야하는거 같아요
@suyounkim35072 жыл бұрын
종이가 삼라만상과 함께 하고 있다니 종이가 그냥 종이로 보이지않고 홀로 된 것이 없고 상호작용하는 우주 만물이 경이롭습니다 내가 움직이면 온 우주가 움직인다는게 어렴풋이 알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갈매기튜브2 жыл бұрын
언어에 속아서 인간이 착각을 이루고 있네요 석가의 철학의 이해는 자연의 이해와 우주의 이해같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언어로 그것을 이해하려면 기존의 의식를 깨고 다른각도로 세상을 바라봐야 하고 계속 공부하면 깨달음의 세계를 느끼면서 열반과 해탈의 세계로 갈 수 있을거 같습니다. 좋은 동영상으로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감사합니다.
@liberty-korea Жыл бұрын
탓낫한 스님 비유가 참 아름답군요. 오온개공에서 공을 진리라고 바꾸어보세요. (오온은 모두 진리의 작용이다.) 진리는 무엇인가? 무아이다. 내가 나라고 생각하는 나가 아닌 것 즉 열반입니다. 열반은 무엇인가? 열반은 절대적 인식작용입니다. 열반은 실재합니다. 열반의식이 없다면 우리는 오온을 통한 인식작용이 사라지므로 시체와 같은 것이 됩니다.
@무한한참나2 жыл бұрын
오늘 진짜 역대급이네요 전체이고 비이원이고 동시성이네요
@산타벨라-s3e Жыл бұрын
세상 모든 일이 내 뜻대로가 아님을, 세상 모든 일이 내 뜻대로인 것을 수용과 감사한 마음으로 끄덕끄덕하게 됩니다. 고맙습니다. ♥
@이형주-k5c8 ай бұрын
텅 빈 충만함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
@신용식-o4k2 жыл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이고 아는만큼 들린다고 하는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있다와 없다에 익숙해 있지만, 보인다와 안보인다로 생각해 보아야 하는것 같습니다. 보이지 않는다고 없는것이 아닌데 우리는 보이지 않으면 없다고 믿습니다. 비우는것은 버리는것이 아니라 잠시 내려 놓는것이 아닐까요? 지식이 지혜를 위해 필요없는것이 아니라 지식을 품어야 그 속에서 지혜가 나오지, 지식이 없이 바로 지혜가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태어나야 나이가 들고 결혼을 하듯이 태어나지않고 다른것을 이룰 수 없듯이, 우리가 가진 모순도 결핍도 어려움도 잘못알고 있는 지식도 지혜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에는 필요없는 것이 없다고 합니다. 병, 어려움도 필요해서 있고 그것을 어떻게 바르게 쓸 수 있을지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불행은 슬프고 아프고 어려운것이 아니라 행하지않고 나아가 바르게 행하지 않는것이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저의 생각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ㅡ열반에 이르는 길ㅡ 몸이 내가 아니다, 생각, 감정, 오감, 자아의식, 잠재의식, 무의식이 내가 아니다. 생각으로 닿는 모든 것이 제거된 뒤 현상의 나가 사라진 뒤에 체험되는 것이 열반이다.
@정관-j9p2 жыл бұрын
글, 내용 좋습니다.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정관-j9p 네, 감사합니다. 제 지식과 안목은 공유이고, 비판, 지적은 환영입니다.^^
@연꽃-하리2 жыл бұрын
열반에 이르는길 잘 읽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곽영율-h2p Жыл бұрын
존재가 비존재 비존재가 존재 보는자의 능력치 무유가 무아요 무상이다 영원한 무는 존재하지않음 무가유로변하고 유가무로변한다 씨앗과 나무의 비유 아뢰야식
@파니핑크-k1y2 жыл бұрын
종이 한 장을 바라보며 들었습니다. 저 종이에 온 우주가 담겨있다는 말씀에 세상은 얼마나 신비롭고 아름답고 감사한 지..... 고맙습니다~써니즈님♥
@이온-f7i2 жыл бұрын
몇일전 계속되는 스트레스에 본연을 찾고자 이것저것까지 찾아보다 불교의 사상에서 무아에 대한것으로 편안해졌다가 그럼나는 무엇이지? 계속 한켠에 풀리지않은 것을 안고 살다가 영상을 보고 계속 생각한 끝에 오늘 뭔가 한꺼풀 벗겨보니.. 문득 느껴지는 것 같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ㅡ생각으로 파악할 수있는 범위ㅡ 생각으로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생각자체, 몸, 오감, 감정, 자아의식, 잠재의식, 무의식 정도까지 이고, 그 너머는 파악 불가라 하겠습니다. 그래서 그 밖은 유도 아나고 무도 아닌 것이고, 작용은 하지만 실체는 없다 하겠습니다.
@여철환-z8f5 ай бұрын
공과 연기 이치와 현상은 하나도 아니고 다르지로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즌아키2 жыл бұрын
모든게 아름다운 일이였네요. 지나고 곱씹어야 느껴지는 감사함도 있네요. 연결된 진동.꿈속에서도 지인들의 난무.등등 감사합니다~^^!!
@victory2164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모든것은 공하나 모든것은 가득 채워져있는 것 같습니다
@HealingYourHeart12 жыл бұрын
"기대어 함께 존재" 이것이 진리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축복받은여신2 жыл бұрын
5:55《가장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니라 알아차림 입니다 》
@돌토끼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비어 있으되 모두가 연결된 하나이군요
@이영하-q5b Жыл бұрын
감사 합니다 깨달아 영원한 행복을 누리세요
@쭈잉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황경희-r9b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여철환-z8f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사미바행복한창지니 Жыл бұрын
써니즈님과 모든 것에 감사합니다. 참나는 평화이다. 열반은 평화이다. 중요한 것은 알아차림이다. 상호존재이다. 나는 모든 경험을 허용하는 텅빈 알아차림입니다..모든 세상은 오로지 마음이다. 상호존재합니다. 상호존재입니다. 하나가 전체를 담고 있습니다. 만법은 유심이다. 우리는 지혜이다. 색 수 상 행 식 ...오온은 마음이다.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비아.열반적정, 지속불이. 무주열반, 자타불이. 홍익중생..홍익인간.상호존재입니다. 우리는 전체입니다. 그리고 하나입니다. 개성진리체입니다 .감사합니다. 명상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명상합니다 .사랑합니다.
@pollychoi358111 ай бұрын
Thanks!
@sunneeds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smj8944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살면서 마주하는 모든것들에게 가슴을 열고 감사와 사랑을 발견하겠습니다" 써니즈님의 인사말과 느~~무 잘어울리는 내용이네요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오늘도 덕분에 "공"을 깨우치는 시간였습니다♥
@반야-g2q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
@해바라기-t6k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오늘도덕분에 행복합니다 🍀 🌻 🙏 ❤️
@하보남-w2e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이제시작이다-j1p Жыл бұрын
이 뜻이었군요! 감사합니다~
@이인자-b8k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juingong0072 жыл бұрын
무아 참나 참 의미없는 논쟁이라고 봅니다 무아고 참나고 둘다 바늘로 찌르면 똑같이 아픕니다 그건 됐고 난 기본적으로 힌두교와 불교는 같다고 봅니다 이유는 둘다 불이법을 기본 사상으로 삼고있기때문이죠 불이법의 핵심의미는 나와 모든 대상은 보이지않는 에너지로 통으로 엮여있다는 뜻이죠 그래서 거울이라고도 많이 얘기하죠 중생과 깨달은자의 차이는 딱하나입니다 중생은 나와 세상은 분리돼있다고 믿어서 내가 살기위해서는 나만 생각한다는거고 깨달은자는 나와 남은 보이지않는 에너지로 엮여있다는걸 알고 상대의 눈치를 보며 조심해서 산다는거죠 그리고 우리나라 불교 제발 몇천년전 어려운 한자용어 폐기하고 쉬운 한글로 용어 만듭시다 내가 불교도 쉬운말로 쓰져있었으면 진작에 라마나형 책 보지도 않았죠 누가 의사에게 물었는데 진료처방전 용어는 왜그리 어렵게 쓰져있냐고 물으니까 의사가 씩 웃으며 우리끼리만 알려고요 라고 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 오늘도 다들 행복하세요
@naraone7143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해빙투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오로시-j9q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옴샨티2 жыл бұрын
🙏🙏🙏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ㅡ열반은 생각 밖에 있다ㅡ 열반은 생각으로 파악할수 있는 범위 밖에 있어서 적극적인 설명용어로 설명할 수 없다. 비열반을 제거함으로서 그것에 닿을 수가있다. 파도가 생각이고 개아의식이고, 열반이 바다라면, 열반은 진여심, 여래장과 같은 것으로, 열반묘심이라는 말을 쓴다.
@blayer5029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장덕이-x3r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나는 태어날때도 없었고 지금도 없고 죽을때도 없고 죽은후에도 없다라고 갑자기 생각이 들었어요 참나는 생각과 하나일때 존재한다를 알수 있지 않나 모든것이 참나라고 하는 이유는 모든것(생각)과 참나가 하나이니깐 생각이 참나를 필요해하고 참나는 생각이 있어 존재감을 느끼는게 아닐까 본성이 사랑인 이유도 모든 생각을 분별없이 알고 (비추고)있으니깐 그렇치 않을까 🤔 생각해봅니다 ㅎㅎ
아이가 우는것은 불만족 때문이고 인간이 구하는것은 불안하기 때문이고 농부가 씨를 뿌리는 이유는 수확이라는 믿음 때문입니다 만약 수확을 믿지 못하면 씨를 뿌릴수 없듯이 믿음은 인간의 행위에 중요한 동기가 됩니다 이 시대 인간들이 땅에 씨를 뿌리지 못하고 인간에게 씨를 뿌리는 까닭에 그 수확을 담보 못함을 인간들은 스스로 경험하고 있음에 마음이 병들고 괴로와 합니다 도는 자연의 섭리와 믿을수 있는것과 함께 할때 도를 도라 할수 있습니다 인간이 만든 이세상과 저세상 모두가 허망한것이라 그것에 의지하고 믿는다는것을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가 부처도 그래서 자등명 법등명을 홀로 나아가라고 하셨고 믿을수 없는 이세상에 의지하여 감각하는것이 고통이라고 하신것 타인을 의지하지 말며 만들어진 이념 사상에 의지하지 말며 세상의 섭리를 청정한 지혜로 관조하며 감각을 멀리하며 평온함을 유지하라 배고프지 아이는 울지 않음을 내가 구하고 있다면 내안의 무엇이 불안해 하는지를 살피고 보살피시기를
@questiondoneit2717 Жыл бұрын
빵이 아니고 밥이죠. 즉, 밀이 아닌 쌀인거죠.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ㅡ참나냐 무아냐?ㅡ 힌두교 성자들은 참나를 찾으라고 했고, 부처님은 무아라고 했는데, 그니나 요즘 한국의 많은 불교인들은 참나를 찾고 있습니다. 무아설은 "현상적으로 보이는 '나'를 자세히 따져보면 없다. '나'라는 고정된 실체는 없다는 것이다" 라고 하겠습니다.
@정관-j9p2 жыл бұрын
자아가 없다는 뜻, 낙처는 내가, 즉 ㅡ참나ㅡ가 모양이나 형상이 없는 ㅡ법신부처ㅡ라는 뜻입니다. ♥ 진여자성, 즉 법신부처님의 본체, 본바탕은 텅 비어있으므로 ㅡ공ㅡ하다고 하고, 그 ㅡ공ㅡ한 가운데서 모든 현상계를 하나도 놓치지 않고 작용하기 때문에 ㅡ공ㅡ하지 아니하다 합니다. ㅡ돈오요문론.p,170~ 180ㅡ.
@바람의검객-b5f2 жыл бұрын
ㅡ무아인데 누가 윤회하나?ㅡ 부처님은 무아라 했고, 불경에는 윤회 이야기가 나오니, 일반적으로 식(8식)이 윤회한다는데, 정확히는 "8식=생멸심+진여심"으로, 생멸심이 윤회한다고 하겠습니다. 진여심은 영화의 스크린 같은 것이고, 생멸심은 영상 속의 주인공 같은 거라하겠습니다. 중생은 그렇게 윤회하고, 아라한, 부처는 윤회 않는다 하겠습니다.
@SWLove2015 Жыл бұрын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불교는 기독교(서양?)를 본받아라 ! (진리를 너무 어렵게 설명한다.)
@복슝아D2 жыл бұрын
써니님~왓칭 저자 김상운 선생님 인터뷰 좀 해주실순 없나용~?
@sunneeds2 жыл бұрын
몇번 연락드렸었는데 지금은 사정상 인터뷰 하지 않고 다음에 다시 외부활동 시작하면 가능하지 싶어요.
@복슝아D2 жыл бұрын
@@sunneeds 넵~ 감사합니다😊
@박창두-r2g12 күн бұрын
먹어본사라은 말하지 않습니다
@100mansongyi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실제 깨달음을 얻는 명상도 참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kzbin.info/www/bejne/lXWwqKuap6iEfJo
@용민김-w8g2 жыл бұрын
^^ 정신세계가 발전한 동양보다 이제 서양에서 요가를 배우고 참선을 배운 서양인들의 입에서 우리가 신이라는 말을하는게 좀 낮설어요. 10년전까지도 그들의 책은 읽지도 않았습니다.. 불교권 국가들은 경계하는 사고방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