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에서 무한 이라는 다큐를보고 과학을 보다에서 다뤄달라고 댓글도 달았었는데 이렇게 별도코너에서 볼수있어서 좋네요 그리고 영상보면서생각해보면 한자표기에도 0은 없네요 ”하나 일“은 있어도 영은 한자로없고 있다면 무 겟죠. 십 10을 표기하는법도 엄청다른것같네요
@rok011658 ай бұрын
零 영입니다
@rok011658 ай бұрын
空 공자도 역시 0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변의용-e2h8 ай бұрын
공일공 ....
@호크히든8 ай бұрын
@@rok01165 있던한자에 껴놓은건가요 아니면 0이라는 개념이 생기고 만들어진건가요?
@드키무티8 ай бұрын
@@호크히든 원래 있던 한자로 훈차한 거죠. 없다, 비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한자는 있었지만 수로서 없음을 나타내는 문자는 아니었습니다.
@맑고순수한아이8 ай бұрын
숙제를 주시다니ㅠㅠ 잠들다가 깨버렸어요 교수님ㅠㅠ
@박상현-w6r7 ай бұрын
5:34 셀 수 있는 무한과 셀 수 있는 무한의 곱은 셀 수 있는 무한이 되기 때문에 모든 유리수의 분모를 통분하여 통분된 아주 큰 자연수를 모든 유리수에 곱해주면 모든 유리수가 자연수가 되기 때문에 셀 수 있는 무한이 되는게 아닐까 생극합니다
@열국지팩트체크8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습니다.
@hyojinhwang85708 ай бұрын
수학을 보다 정말 재밌습니다
@alcohol-no-mat8 ай бұрын
행에는 분모를, 열에는 분자를 1부터 무한히 나가게되면 대각선으로 하나씩하나씩 셀수있을거같은데요!
@꿀벌-k5c8 ай бұрын
혹시 천재신가요?
@tearmyselfdown41787 ай бұрын
개천재네
@soonampark33953 күн бұрын
ㅋㅋㅋ😅@@tearmyselfdown4178
@hyj78628 ай бұрын
고대 그리스 철학의 초기부터 '없다는 것에 대해서 사유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라는 사조가 있었다는 말을 들었는데 이런 그리스 철학 사조의 영향으로 0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도 있었으려나요??
@heybro40678 ай бұрын
어릴때 왜 1더하기1은 2인지 이해를 못했어요 사람이 정해놓은 룰이니까 상상력이 풍부했던거 같네요. 물체들을 다 어떠한구도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사과를 하나들고 사과속에 씨도 있고 반으로 가르면 두개가 되고 또 반을 나누면 네개가 되고 끝도 없는데 라는 생각을 했던거 같네요 ㅎㅎ
@초코-t1u7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2:06 소수(素數, 1과 그 수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는 나눌 수 없는 자연수)는 [소쑤]로 발음한답니다.
@공능뛰8 ай бұрын
유리수의 정의가 정수로서 분수꼴로 표현할 수 있는 수인데, 분모 분자에 들어가는 들어가는 '정수'가 셀수 있는 무한이니 유리수도 셀 수 있는 무한인게 아닐까요? 단순하게 생각해봤슴다.
@tearmyselfdown41787 ай бұрын
유리수를 세는 방법이 정확하게 그것인 건 아니지만, 셀 수 있는 근본적 원리는 말씀하신 것 때문인게 맞습니다.
@june_joy8 ай бұрын
악ㅋㅋㅋ 숙제 ㅎㅎㅎㅎㅎ
@jongtaekim1096048 ай бұрын
칸토어는 러시아수학자가 아닌 독일수학자입니다~
@박진영-i4t9c8 ай бұрын
0 그것은 완전무결하고 가장한 순수한 수이며 세상 모든 사물과 생명체들이 갖고 있는 가장 간단한 수치이죠.
@melotoha5 ай бұрын
와..너무 재밌어요! 이 나이까지 살면서 생각해보지 않은 부분까지 뇌를 열어주는 느낌...!!감사합니다 👍
@bukdao8 ай бұрын
어렵지만 이해하고 싶네용 ㄷㄷ
@user-Wintersman7 ай бұрын
동양권에서 숫자 0의 개념이 탄생하고, 서양권에서 '무한대'의 개념이 탄생하기까지의 문화적 이야기가 굉장히 흥미롭더라고요.
@강대조남8 ай бұрын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인도에서 기원했습니다 인도가 수학은 고대에는 엄청나게 앞선 문명이였습니다
@남하지만5 ай бұрын
0과1사이 유리수는 1/1은1과 2/1은 2와 일대일 대응이 가능해서 셀수 있습니다.
@돼지오빠-e2q8 ай бұрын
It 를 인도가 씹어 먹는 이유가 있네요
@ssom46888 ай бұрын
수학은 역시 너무 어려워....자자..
@공능뛰8 ай бұрын
5:08 숙제!
@공능뛰8 ай бұрын
숙제라는건 다음편도 있다는! 기대가 됩니다.
@런던츄8 ай бұрын
5:34 숙제 풀어주실 분 구합니다
@지금놀이8 ай бұрын
생각이라는 프레임에 갖혀 사고가 제한된 결과 0을 늦게 발견한 것...
@iduectoe7 ай бұрын
이과로서 이 썸네일을 어떻게 참아
@autofixup7 ай бұрын
수학과 철학 종교가....이리 만날수있다니 개념은 알겠는데.....용어는 알수가 없는 수포자 오늘도 움니다
@AACANE7 ай бұрын
재미있는게 불교에서 미륵신앙 이라는게 있는데, 먼 미래에 사바세계에 강림해서 중생들을 구한다는 부처 미륵을 믿는 신앙임. 근데 이 미륵이 강심하는 시기가 56억 7천만년 후임.(이미 지구가 태양에 먹혀서 사라졌을때) ㅋㅋ 이때는 인간의 문명도 극도로 발달해서 평균수명이 8만살이 넘고 이미 인간 스스로 모든 우주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설정...불교는 애초부터 숫자단위가 넘사벽임.
@SpicyFrenchFries8 ай бұрын
0이라는 수가 사라져야 문제가 되야 하는거 아닌가요 숫자0이야 없어져도 어떻게든 대체해서 쓰면되지만
@hgpkkw8 ай бұрын
ㅇㅇ 기초 수학은 어떤 수학도 베다 수학은 못 따라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eichina768 ай бұрын
결핍과 욕망이 지금의 서양을 만들었군요.
@에라이-t9r8 ай бұрын
담엔 어떻게 하면 미국이 미터법을 사용할까에 대해 논의해봅시다
@공능뛰8 ай бұрын
그건 국제정치를 보다에...
@jeanger87338 ай бұрын
과학에서는 미국도 미터법을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네요. 🙂
@ABCDE-i9e8 ай бұрын
로켓 몇 번 떨구고 나니까 과학분야에선 미터법 써주던데 SI-임페리얼 오차로 미국이 멸망할 뻔해야 미터법으로 갈아타지 않을까 싶음
@janghannae8 ай бұрын
제목부터 1도 이해 안된지 30년이 넘었는데 그래서 더 신기한가봐요
@youarehandsome8 ай бұрын
1이 사라지면 좀 괜찮나요? 맨날 0만 사라진다는 가정만 봐서요
@물리학-m1y8 ай бұрын
0이 없었다면 현대 문명을 피우지 못했겠지만 1이 없었다면 문명 자체를 피우지 못했을 겁니다.
@날짜-x9r8 ай бұрын
유리수가 셀 수 있는 무한인 이유... 칸토어... 독서 수특 지문...
@JHS-gu4lw8 ай бұрын
개꿀잼
@Haha-xv5ky8 ай бұрын
오늘은 이걸로 잔닷!
@박동현-u8w8 ай бұрын
수학과인데 숙제라는 말에서 울뻔
@민흘림8 ай бұрын
0 과 무한 空과 無我 무량대수 怯
@skk06138 ай бұрын
배우 감우성이 닮으신것같아요
@Tohsaka_Gwangjuautocraft7 ай бұрын
소신발언)살면서 단한번도 숙제를 해간적이 없다. 잠깐의 고통을 인내하며 얻는 메리트가 너무 크기 때문
@yewonlee65237 ай бұрын
특정수를 곱하면 정수로 떨어지기 때문에 셀 수 있는 무한이지 않을까요?
@seongsoohuh33858 ай бұрын
수의 신비는 정말
@한글개혁단8 ай бұрын
전 언어에 관심이 많은데 언어에도 ㅇ 은 한글에만 있습니다
@pupwannabe56648 ай бұрын
유리수가 셀 수 있다고 일대일 대응 방법까지 다 얘기했으면서 왜 숙제로 내지....
@pupwannabe56648 ай бұрын
@@센쥬하시라마-g8m 자연수를 이용해서 일대일대응을 한다는 말이잖아요. 그래서 정수도 셀 수 있는 무한이 되고요. 자연수를 이용해서 유리수도 1/2에서 시작해서 짝수순번은 분자에 1더하기, 홀수순번은 분모에 1 더하기같은거 이용하면 유리수도 전부 일대일대응이 가능하죠. 대응만 하면 되지 크기순서는 하나도 안 중요하니까요
@김정우-c5z8 ай бұрын
독서 수특 무한의 개념 생각한 고3이면 개추
@서기장동지8 ай бұрын
개추
@meow111197 ай бұрын
0에서 어떤 연산을 해야 1이되는지는 언제쯤 밝혀낼 수 있을까요. 인류 최대의 난제라고 생각되네요.
@이승환-w2r5 ай бұрын
세상 모든 사물은 에너지가 0이므로 수라는 건 사실 존재하는 게 아니다
@meow111195 ай бұрын
@@이승환-w2r 에너지가 0이라는 전제는 어떤 논문에서 나온건가요
@Elpie_____8 ай бұрын
교수님 수능이나 임용 들어가시는 분 같다 ㅋㅋㅋ
@하늘과바람과별-u9i8 ай бұрын
0은 싯타르타에 의해서 창조된가보네요 ㄷㄷ
@burnfish80997 ай бұрын
석가모니도 그시대 공부하고 깨달아서 자연과학을 인문학에 적용시킨거임.이미 0개념존재함.불교가 우주의 진리임.
@뚜룹-j3r7 ай бұрын
측정이 정확하다면 가능하지않을까요...??ㅎㅎ
@buffalolee17276 ай бұрын
사람의 양손 손가락이 10개가 아니어서도 0~9까지 10진수로의 수가 탄생 했을까. 한손에 손가락이 8개씩 양손 합이 16개 이면 0~15 16진수로 수가 만들어 졌을까? 만약 그랬다면 지금 쯤 우주의 신비도 알아 낼 수 있었지 않을까?. 혼자 상상해봄.
@안기용-v2q8 ай бұрын
분모와 분자를 기준으로 행렬로 줄세워서 자연수와 일대일 대응시켜면 얼추 가능할 것 같기도 하고
@실프리아8 ай бұрын
옛날엔 빚지고 이런 게 없었나? 빚 다 갚으면 0인데 왜 그게 어려웠을까... 신기하네 ㅋㅋㅋ
@raymondchoi96638 ай бұрын
빚이 없어진다는 개념은 알지. 근데 없어지니까 그걸 세는 수를 찾지 않았다는거잖아. 영상에 나오는구만.
@실프리아8 ай бұрын
@@raymondchoi9663 아니 그러니까 거기서 0을 생각할 수 있지 않냐 그 얘기잖아. 없어진다는 개념을 알았으면 그걸 표기할 방법을 생각해야 하고 그걸 표기하는 게 바로 0이라는 개념 아냐? 난 이렇게 순서가 될 것 같은데 그 순서로 가지 않는다고 하니까 그게 왜 그랬는지 궁금한 거지.
@ickkkdbavqg8 ай бұрын
지금 0을 아니까 그렇게 생각하는 것뿐임. 숫자는 뭔가 있는 걸 셀 때 쓰는 건데 없는 걸 숫자로 표현한다는 것부터가 천재적인 발상임.
@raymondchoi96638 ай бұрын
@@실프리아 0을 알고있는 우리도 먹을거 다 먹으면 먹을게 없네, 라고 생각하지. 먹을게 0개네? 라고 자연스럽게 나오지 않잖아.
@실프리아8 ай бұрын
@@ickkkdbavqg 하.. 그게 그렇게 되나요 ㅠㅠ 뭔가 더 빠르게 발전 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아쉽네요...
@choiharlym97238 ай бұрын
가격 뒤에 0 계속 붙여봐 무서워하지않고 배기나
@raymondchoi96638 ай бұрын
그건 영상 초반에 나오는 자릿수에서의 0으로 좀 다른 0
@cry_st.46048 ай бұрын
어우씨 유리수가 뭐였더라 학생때 들어보긴 한것 같긴한데 ㅋㅋ
@호야호야-o7h8 ай бұрын
BODA님 우주어디에서부터 달의중력의 영향을 받아요?
@nyaangi7 ай бұрын
달의 중력장, 지구의 중력장, 태양의 중력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중력도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작용한다고 해야겠네요.
@sapereaude44828 ай бұрын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론..
@명작-z9h7 ай бұрын
숙제 멈춰!
@dajowa79594 ай бұрын
인도는 불교의 영향으로~ 불교는 숫자 표시가 많아요 억겁, 항하수 , 없다는 무 ~~ 아주 많습니다
@budapesthungary8 ай бұрын
틀요 요새도 어깨 으쓱 어쓱 합네까 토론하고 싶습니다 2년의 장이 느껴집니다
@긋긋긋-s6y8 ай бұрын
나 문관데 나 이해했다
@별빛나그네-c3u8 ай бұрын
0만든건 인도가 아니라 중국이란 주장도있음 도교 무극 0이죠 나침판 도자기 화약 0 중국이 출발지
@dschai02208 ай бұрын
도덕경 1장의 其所噭에서 所가 0의 값을 갖습니다. 其所噭는 3+0+4 =7
@amondbongbong9998 ай бұрын
0은 철학적, 논리적 개넘으로 NaN 또는 Null이 맞다고 보며 +0,-0이 보다 명확한 수학적 개념이라고 봅니다 편리상 null이나 false를 0으로 치환해서 쓰듯이 그렇게 임의치환해 쓰고 있는거라고 봅니다 마찬가지로 편리상 방향-벡터에 대한것도 임의로 적용되고 있다고 봅니다 모든 숫자의 연산은 1차원이든 n차원이든 평면좌표계든 구면좌표계든 방향이 있지만 0도와 그반대방향 두가지 중심으로 적용해서 +-를 붙이고 있는데 연산의 중간과 결과인 0에 적어도 +-는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에 따라 n/0는 계산불가가 타당한거고 (숫자가 아니니) n/+0, n/-0은 다른 값으로 정의되야 한다고 봅니다
@이나겸-s1f8 ай бұрын
(n>0일 때) lim (x->0-) n/x, lim (x->0+) n/x 이렇게 두가지가 음의 무한대, 양의 무한대로 다르게 발산하는 점에서 그러한 정의는 다른 형태로 이미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벡터를 다루는 경우에는 방향을 생각하지만, 영벡터의 경우에는 굳이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 처럼 저는 0에 + 혹은 -가 붙어야 할 필요성은 잘 모르겠네요..
@초지일관-h9f4 ай бұрын
그래서?? 0이 사라지면 어떤일이 벌어진다는 거야? 무슨 컨텐트가 결론이 없어? 하나마나한 소리겠지만
@funcompany90128 ай бұрын
0
@pony21888 ай бұрын
셀수 있는 무한 :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반복하고 있는것?(등차, 등비, 일정 자리의 숫자가 반복 등) 셀수 없는 무한 : 원주율 처럼 규칙 없이 계속 이어지는 수? 숙제 60점은 받겠죠?
@tearmyselfdown41787 ай бұрын
대략 맞습니다. 유리수는 N번째 유리수가 무엇인지 특정할 수 있도록 나열할 수 있는 방식이 있습니다. 자연수의 집합도 무한하지만 N번째 자연수가 무엇인지 특정할 수 있듯이, 유리수도 그와 같이 나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죠. 그래서 유리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은 같은 크기의 무한집합이라고 하는데, 무리수를 포함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은 그러한 방식이 없기 때문에 자연수, 또는 유리수 집합의 무한보다 더 큰 무한집합이라고 표현하죠. 다만 여기서 말하는 무한은 집합의 크기로서의 무한이기 때문에, 셀수 없는 무한에서 말씀하신 '규칙 없는'이라는 표현은 맞고, 하나의 수로서 원주율을 찝은 부분은 정확하지 않다고 볼 수 있겠네요. 무한대는 집합의 원소들의 갯수에 관한 표현이니까요.
그럼 넌 저 수학과 교수님보다 수학 못하니까 영상에 댓글달지마라. 어디서 ㅈ같은 우월주의로 사람들 생각하는거까지 막을려고하냐.
@갓도라희8 ай бұрын
학교다닐때 수학을 못했던 이유가 무조건 암기하라고 해서 그런듯. 산수 까지는 그래도 우등이였는데 방정식 부터 나락 이해를 먼저 했었어야 됐는데 미분,적분등 그와중에 설계 시간은 공학 수학이라 더 이해 못해. 반에서 한두명 겨우 따라감.
@leego227 ай бұрын
그냥 님머리가 산수수준까지여서 그런거임. 외우라고만 했다? 수학교과서에 이유가 다 적혀있는데 왜 그러셨을까요?가르치는 사람이 뭐라하든 모든 수학 교과서, 문제집에 증명, 이유가 다 적혀있는데 왜 암기만 하셨을까요?그냥 핑계에요. 본인 머리가 거기까지인 걸 인정하는 게 어렵다는 건 이해해요.
@burnfish80997 ай бұрын
결론 기독교는 0이없다.무한도없다.그끝은 하나님의 창조가있으니.불교는 시작도없고 끝도없다. 0이 허망함도아니고 작용이다.나무아미타불. 진리인 불교에귀의하세요.가짜 신믿지말고 ㅎㅎ본인이 부처임을깨닫고.
@byoroo8 ай бұрын
그리스 문명이란게 그냥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아나톨리아 레반트 지역에서 영향을 받은 후발주자에 불과한거 아닌가요 그리스에서 뭘 처음 했다고 하면 보통 사실이 아니더라구요
@semilife28 ай бұрын
0의 개념이 없다는 건 무슨 뜻인가요? 100, 1000 같은 수도 없었다는 건 아닐텐데... 뭘 모르고 뭘 할 수 없었다는 건가요?
@ABCDE-i9e8 ай бұрын
10, 100, 1000을 로마 숫자로 표현하면 X,C,M입니다. 자릿수의 개념이 없었다는 게 아닙니다. 숫자의 근원은 무언가를 세는 것에서 출발하는데, 무언가가 '없다'는 것을 숫자로 표현한다는 생각을 못 했다는 겁니다.
@jupiterj29698 ай бұрын
설명이 이해가 안됨. 김상욱 교수불러주삼. 설명의 천재!
@헤르메스-q1n8 ай бұрын
역사적으로 아쉬운점은 10진법의 고착인듯 1,2,3,4,6,12를 약수로둔 12진법은 효율성으로 여러분야나 측량단위 많이쓰이는데 왜 수는 계산빡치는 10진수만쓰게됐는지
@권석환-s6p8 ай бұрын
프랑스는 60진법으로 숫자를 읽습니다.
@123carth8 ай бұрын
저기서 나오는 소수는 글자만 소수지 발음이 소수가 아니라 소쑤인데요 소수는 0.1 소수점 할 때나 소수지
@WalterPak8 ай бұрын
1등
@honolululu8 ай бұрын
13빠
@lyg99478 ай бұрын
수특 독서지문 때문에 이해되는 고3이면 개추
@sfk10318 ай бұрын
로마는 모든것을 12로 나눴지. 그래서 시간도 24시가 된거고 당시에는 그게 효율이라고 착각했겠지. 나중에 십진수가 나오면서 멍청하다는거 알게된거고 아무리 큰수로 올려도 딱 맞으니 12진수를 쓴것을 좌절하게 되고 멸망했겠지.
@stpamun8 ай бұрын
뭔 소리야 로마도 기본적으로는 10진법을 주로 썼고 10진법은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걍 대부분의 문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어. 시간을 24로 나눈 것도 고대 이집트고. 애초에 진법이라는 게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는 게 아닌데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척은. 바빌로니아에서도 60진법을 기본으로 했지만 10진법이 적용되는 것들도 있었어. 우리가 어디는 몇 진법 어디는 몇 진법 하는 건 대부분 수에 한정된 경우야.
@ABCDE-i9e8 ай бұрын
십진은 사람 손가락 수랑 맞아서 발달한거임 ㅋㅋ 계산하기에는 10진법보다 효율적인 진법이 쎄고 쎘음. 오히려 여러 진법들 중에서 10진법은 계산하기 굉장히 더러운 편임.
@dschai02208 ай бұрын
0의 개념은 인도가 아니라 동양에서 처음 정립하였습니다.^^
@monoclo-l6u8 ай бұрын
인도가 동양이죠
@goatmegakmc8 ай бұрын
왜 설레냐? 동양뽕이 차오르냐? 0이 어디서 나온지 알고? 동양에서 먼저 발견한게 좋아? 수학이 뭔지는 알아?
@dschai02208 ай бұрын
도덕경 1장의 其所噭에서 所가 0의 값을 갖습니다. 其所噭는 3+0+4 =7
@RyanKang10918 ай бұрын
공산당 ㅉㄲ 왔냐?
@hamheejun39788 ай бұрын
중국은 역사나 문화가없는데...? 다 태워먹었잖아
@임희택-s5m8 ай бұрын
이교수는 천부경 첫구절을 모르네 일시무시 오천년 전부터 있을수 있지 언어로 이어져 왔으니 소수지만 한자로 보지말구 한글로도 보지말고 언어로 듣고 해석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