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발상의 전환이네요.. 한국 농촌진흥청 과수원예 박사들도 이런 현장 이야기는 참고도 많이 해서 책을 썼으면 합니다.
@김재원-o8e3 жыл бұрын
다른 과수나무의 수형잡기에서는 이미 적용되고 있더군요. 전문적으로 임하는 분들은 이미 말씀들을 하고 있는 내용입 니다.
@풍경-p1e2 жыл бұрын
비 전문가인 저도 이해가 쏙쏙되네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85부부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1988WH Жыл бұрын
접목 삼목에 관한강의도 있나요?😅
@sunnay34272 жыл бұрын
저는 그냥 포도 샤인머스켓 애기가 좋아해서 들어와 가지고 아무런 용어도 모르는데도 열정적인 강의 잘 들었습니다 구독할게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V-oy6me2 жыл бұрын
금년에 처음 포도 시작했는데,기본적인 이론 설명으로 큰도움이 됐습니다.
@-CUBE_CHANNEL-2 жыл бұрын
몬산토 한번 알아보세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제일 나쁜 기업이지요! 인류를 파괴시키는 주범, 먹거리를 유전자 조작으로 망가트리는 그리고 서울대 엘리트들에게 장학금을 지불해서 자기 편으로 만들어서 꼼짝 못하게 하는 기업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가공식품에 GMO표기(유전자조작식품표시)를 못하게 하고 있지요
@최형근-w2b Жыл бұрын
강포도 농법으로 5워부터 하고있읖이다. 1차관문은 이해하고 실행하고 있는데요 2차관문은 무었인지 알고 싶씀이다. 경북 상주에서 샤인 500평 3년차 임이다.
@grapekang176 Жыл бұрын
네 한번 오세요!
@최형근-w2b Жыл бұрын
네~~감사합이다.
@starlight.lovely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샤인이 요즘 맛이 .....
@JKIM-bw2zp Жыл бұрын
이 분 배우 이경영과 비슷한 모습이네요~
@kimkyungpil13 жыл бұрын
웨이크만식 1년이네요 ㅜㅜ 첨부터 배우고 키울껄 .. 웨이크만식으로 최대로 잘키울수있는 방법을 배우고 싶네요.감사합니다.
@김재원-o8e3 жыл бұрын
저는 호두농사 할까 포도농사 할까 고민하는 사람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최근의 선구적 호두농사를 이끄는 분들에게서도 들었던 내용 입니다.문외한인 저도 100% 동의하였던 것이 라 반드시 그렇게 하리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포도농사 하시는 분도 그리 말씀하시니 조금은 놀랍기도 하고 반갑기도 하네요.. 호두나무는 일반적인 나무의 형상을 하고 있 어 나무 수형잡기 강의를 들을 때 쉽게 이해 가 갔었는데, 포도 나무는 일반 나무가 아니라 덩굴 식의 나무라 이해를 해 주시는 분들이 아직은 조금 적지 않나 싶네요. 저는 호두나무의 수형잡기 강의에서 100% 이해를 했었기에, 포도농사 강의를 난생 처음 들는데도 이해가 가네요. 혹시 또 이번 강의 를 하실 경우엔 칠판에 일반적인 과수나무의 경우를 그림 그리며 설명해 주시고 다시 포도나무로 와서 다시 설명해 주시면 더 잘 이해를들의 하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그런 식물생리를 강의하시는분이 계시다니 놀랍군요 또 그런것을 이해하시고 계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저희 강포도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행쟁이-f9r2 жыл бұрын
ㅋ 잘보고갑니다. 단 성장촉진제 약도 과일맛 떨어짐
@kimhaesung111112 жыл бұрын
대박~~~~~❤❤❤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Fbbaa272 жыл бұрын
첨에는 위로 크지만 나중엔 옆으로ㅋㅋㅋㅋ... 사람이잖아욬ㅋㅋㅋㅋㅋ 힘이 세지면 종족보존을 안 한다고요.. ? 사람이랑 다르네요. 매력적일수록 다양하게 열매(?)를 맺는데..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비만상태를 말한 것입니다. 적당히 세면 좋지요!
@dsbeebee8 ай бұрын
지인의 마눌이 비만인데 평생 임신하지 못해 애가 없습니다. 옛날 개가 너무 비만이어서 며칠 밥을 굶겼더니 살이 빠지고 얼마 지나서 새끼를 못낳던 개가 새끼를 낳았다고 좋아하던 이웃집이 생각나네요~
@김철-d3j1b2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존경합니다. 다른분들도 알았으면.
@수영-d2d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좋은 평덕식을 왜들 안하실까요
@grapekang176 Жыл бұрын
틀을 바꾸어야하니까요!
@youngkim23622 жыл бұрын
샤인머스켓 독한 농약에 포도을 담그는 절차가 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잘못 알고 계신 것입니다. 저는 해보지 않았지만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식물성 호르몬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 .일본이나 미국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기재배에서는 인정을 하지 않기는 합니다 .
@ha1958-f8c2 жыл бұрын
독한 농약이 아니고 지베렐린이라는 호르몬제입니다. 키다리병에 걸린 벼에서 추출 해서 증식했다 합니다. 예전에 벼논에 보면 유달리 키큰 벼가 간혹 있었죠.참고로 식물 성장 호르몬에는 지베렐린.오옥신.사이토카인이 있습니다.
@퐝퐝-j2u3 жыл бұрын
샤인2년차 초보농인데 주간거리를 너무 좁게해서 올가을에 한주 건너 한주씩 옮길까 하는데 평덕식으로 바꿔 키울수 있을까요? 2년찬데 나무는 엄청 많이 큰것같고 포도는 3분의1도 달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그러시면 이번 겨울 전정이 아주 중요합니다 내년에 열매를 많이 수확하는것이 목표라면 어쩔수 없지만 꾸준히 좋은 열매를 위해서는 간벌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정을 잘 배우셔야 합니다 전정은 농사의 시작입니다
@이보석-d1v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영광백골농부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올해키우는 나무의 주지끝과 측지의 끝을 잘라주지 않았다면 그것은 해야지요!
@싸인-x5h3 жыл бұрын
아주잘배윘읍니딘 감하합니다
@이주일-s5p3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웨이크만식의 단점을 이해하고 질문 드립니다. 러시아쪽의 수형을 보면 헤드케인을 하고 열매가지를 수직으로 길게 올려서 재배하는걸 봅니다. 한국 기후에서 가능할까요.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네 유럽의 여러나라들이 웨이크만식의 여러 변형된 수형으로 재배하고 있는데 그 기반에는 기후조건이 있습니다 여름에 비한방울 오지 않는 나라에서 가능한 수형들입니다 우리나라는 내가 안주어도 하늘이 물을 주기 때문에 수세가 대단해집니다 제가 카베르네쇼비뇽(와인포도)을 재배하고 있는데 유럽의 나무모양과는 완전히 다른 나무가 됩니다 여름에 비가 많기 때문이지요! 어렵습니다
@이주일-s5p3 жыл бұрын
@@grapekang176 네.감사합니다.
@반조-u1l2 жыл бұрын
사과농사 초짜인데... 나무의 성질을 좀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사과에서 배운 이론입니다
@전덕근-g2j2 жыл бұрын
이래서일본에서포기한걸까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그래도 괜찮은 품종이기는 한데 더 좋은 품종들이 많습니다 좋은 품종일수록 당도 향 빛깔이 좋은데 재배는 그만큼 더 어렵습니다 샤인은 비교적 재배가 쉬운 품종에 속합니다 그래서 일본은 많이 재배하지는 않습니다
@공주아빠-u9f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는 올해 2년차 접어듭니다. 처음 시설할때 반 평득 식으로 설치를 했습니다.2번유인선 부터 평득으로 눕혔습니다. 결과가 올해에 나옵니다.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포도는 2번째 3번째 수확까지는 좋은 품질이 거의 나옵니다 그래서 포도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지요 그런데 그 다음부터가 문제입니다 절대 예전같은 좋은 품질이 나오기 어렵지요 그때부터가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지요....
@영광백골농부2 жыл бұрын
보고다시보고 영상 끝까지 잘봤습니다 그럼 결과지를V형이아니고 ^ㅣ^이렇게키우면 어떨까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유럽처럼 가지를 일자로 세운다는 것인가요? 그것도 역시 V자와 같습니다
@영광백골농부2 жыл бұрын
@@grapekang176 아뇨V자형에서 자라는 결과지를 위쪽이아닌 아래로 늘어뜨리면 어찌될까해서요
@영광백골농부2 жыл бұрын
갈매기 모양정도입니다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영광백골농부 네 알겠습니다 아닙니다 주지와 측지의 높이가 같아야 된다는 말입니다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영광백골농부 그렇게하는 것 별의미 없습니다
@Miles_Link2 жыл бұрын
아무 생각 없이 봤다가 너무 어려워서 그냥 다른데로 갑니다
@dsbeebee3 жыл бұрын
저도 늦기전에 평덕식으로 바꿔야겠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를 바꾸셨는지 소리가 커지고 맑아져서 듣기 편하네요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핀마이크를 구입했습니다
@오얏나무-n2b2 жыл бұрын
저는 제가 잘못 사와서 맛없는줄 알았는데 감사합니다
@yekim42052 жыл бұрын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네요! 좀 자세히 풀어서 쉽게 설명해 주세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나무에 열매를 더 붙여서 나무의 세력을 조절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한송이 덜 달기 운동이 아니고 곱빼기로 더 달아아 맛있어진다는 말이지요! 짐이 무거워야 종족보존의 의지가 강해지니까요.
@정병수-q1u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연결이희망열차2 жыл бұрын
이 분 무슨 기분 나쁜 일이 있으셨나요?.......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정말 진심으로 길을 가르쳐주어도 안들어요! 19년째 외쳐도 들은척도 안하네요!
@오석민-c5c3 жыл бұрын
수세 관리를 위해서라도 어린 나무를 너무 가깝게 심으면 안되겠어요!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멀리심는다고 되는것은 아니고요 웨이크만식을 탈피해야합니다 주지연장이 극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grapekang1763 жыл бұрын
홈페이지에 교육모집 올렸습니다 참고하세요
@최형근-w2b Жыл бұрын
올해 교육이 마감됐는데요. 내년에 교육 받아야 되나요?
@호-v3x2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인지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된다는 말은 듣고 싶지 않다는 것이겠지요!
@꽃길만걷자-i8r2 жыл бұрын
반은 알아듣고 반은 이해가 안가는 용어.
@grapekang1762 жыл бұрын
네 농업전문용어가 생소함일까요?
@냠써니냠냠2 жыл бұрын
처음 샤인머스켓은 사탕맛이 나는 과일같다고 생각했을정도로 달았는데 요즘 샤인머스켓은 그맛이 안나더라구요 가격이 조금 저렴해진것도 그 이유때문인지도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