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관광의 천국' 홍콩의 몰락 / YTN

  Рет қаралды 1,143,452

 YTN

YTN

26 күн бұрын

[앵커]
한때 아시아에서 가장 활기찬 거리를 자랑하며 볼거리 가득한 도시였던 홍콩이 위기에 빠졌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문화를 선도하던 관광과 쇼핑 천국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옛 야우마테이 경찰서 앞이 사진을 찍으려는 관광객들로 북적입니다.
1990년대 홍콩 느와르 영화에 자주 등장했던 곳으로 홍콩을 찾는 이들의 사진 명소입니다.
빅토리아 항구에서는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한 사업가 리카싱을 흉내 내는 사진을 찍습니다.
우리 돈 3천 원이면 전망대에서 홍콩 스카이라인을 즐길 수 있습니다.
한때 명품 쇼핑을 위해 인산인해를 이루던 침사추이 유명 쇼핑 거리는 한산합니다.
요즘 홍콩을 찾는 관광객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시내를 다니고 숙소는 국경 도시 선전에 잡습니다.
[로라 리 / 중국 관광객 : 같은 가격이면 선전 같은 인근 지역 더 좋은 호텔에서 묵을 수 있어요. 선전에서 홍콩까지 한 시간이면 올 수 있어요.]
지난 노동절 연휴에 중국 본토 관광객 76만6천 명이 홍콩을 찾았습니다.
1인당 사용 금액은 팬데믹 전보다 20% 넘게 줄었습니다.
당일치기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다니엘 렁 / 홍콩 폴리테크닉대 교수 : 요즘 세대는 홍콩에 오면 쇼핑 대신 인스타그램에서 유명한 곳에서 사진을 찍습니다.]
홍콩은 이미 아시아 최고의 금융 허브에서 밀려났습니다.
1970년 세계 경제 자유지수가 시작된 이후 53년 만에 처음으로 싱가포르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이제 '쇼핑 천국'의 위상도 잃으며 관광 수요도 크게 줄었습니다.
더이상 국제적인 도시가 아니라 중국의 한 도시로 변하면서 자유로움을 기반으로 한 홍콩다움을 잃은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홍콩은 올해 관광 부흥을 위해 예산 2천억 원을 배정했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4_202405...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Пікірлер: 1 800
@Berserker195
@Berserker195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끼면 잘나가는 데도 망한다는 걸 그대로 알려주는 듯
@barbiekim6192
@barbiekim6192 2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위험함
@user-tv4qe3jn1e
@user-tv4qe3jn1e 2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마카오 잘만나감
@user-bn4ud8ch9l
@user-bn4ud8ch9l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싱가포르는 중국하고 멀어져어 잘되는거고 마카오는 중국애들 수준에 맞는 도박으로 크는중이지
@user-tv4qe3jn1e
@user-tv4qe3jn1e 24 күн бұрын
@@user-my9oe4wi1p 이게팩트인데 진짜 우물안의개구리들 한국언론만보면 사람바보된다니까 ㅋ
@Berserker195
@Berserker195 24 күн бұрын
@@numidian9207 홍콩 사람들이 영국 총독이 지배할 때를 더 그리워하는데 뭔 말도 안되는 소리인지..중국의 관문? 중국인들이 대거 이주하지만 않았어도 홍콩 집값이 그렇게 살인적으로 오르지도 않았을 걸. 그리고 중국이 끼어서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가 뭐가 있지? 지금 전세계에서 대중국 제재 들어가고 있고 홍콩도 포함되는 건 알고 얘기하는 거냐?
@user-cl5qr5ys4o
@user-cl5qr5ys4o 24 күн бұрын
이젠 홍콩여행이 아니라 그냥 중국여행이 맞지
@jbmax2567
@jbmax2567 24 күн бұрын
16년때 갔던 홍콩야경과 분위기에 츼했는데 이젠 갈 일 없을듯
@hero68mark98
@hero68mark98 24 күн бұрын
너는 그리 중국이 좋으면 스케이트선수놈처럼 아예 귀화해서 중국으로 가서살아라. 그리고 오지마라.
@hero68mark98
@hero68mark98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을 그리선전하는것놈이니말이다.
@user-ii6ue4ry5v
@user-ii6ue4ry5v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이라 쓰고 중공이라 읽는다
@boxerking9647
@boxerking9647 23 күн бұрын
매년 여러번 가는데 크게 달라진건 못 느낌. 다만 백인들이 예전보다 좀 줄었음
@Takingchances99
@Takingchances99 22 күн бұрын
우리가 홍콩걱정할 때가 아님
@hokim9588
@hokim9588 20 күн бұрын
ㅇㅈ
@user-du4cj1hb8u
@user-du4cj1hb8u 20 күн бұрын
정신나간 언론~
@user-nh4wl7yg5g
@user-nh4wl7yg5g 20 күн бұрын
맞아 남꺽정 이나고 임꺽정 이다
@user-ch5up2ye1h
@user-ch5up2ye1h 20 күн бұрын
@Takingchances99 무지성 국까 댓은 지겹지도 않냐.. 그렇게 대한민국이 싫으면 이민가면 됩니다요~
@user-se9ow4wb1q
@user-se9ow4wb1q 19 күн бұрын
쎼쎼당 교주님과 개딸들이 댓글을 싫어합니다
@user-xj8wg7yx8s
@user-xj8wg7yx8s 23 күн бұрын
옛날에 홍콩갔을때 좋은기억이 많아서 올해 다시한번 가봤는데, 편의점이나 관광지에서 점원들이랑 의사소통하는데 영어하니까 중국어로 쏼라대면서 너한테 물건 안판다는식으로 손사레치고...음식도 코로나 이후로 맛있던 맛집들도 많이 사라져서 실망만하고왔어요..다신안갈듯
@user-dt3vq7ku1j
@user-dt3vq7ku1j 14 күн бұрын
하.. 10년 전에 와이프랑 홍콩여행 갔던 추억이 좋아서, 돈모으고 있는데 차라리 동남아 가는게 낫겠네요. 이제 홍콩은 추억속으로만...
@user-io5pf9os6i
@user-io5pf9os6i 2 күн бұрын
​@@user-dt3vq7ku1j지금 홍콩인데 저 댓글에 동감
@zsdaxc4567
@zsdaxc4567 24 күн бұрын
마지막멘트 뼈저리네 자유로움을 잃은. 홍콩영화가 과거 몰락해버린 이유와 같다..
@rock-ue1kg
@rock-ue1kg 23 күн бұрын
팩트 체크 - 중국령이어서 잘 된 곳이 단 하나도 없을 뿐.
@shinseon
@shinseon 24 күн бұрын
이젠 그냥 중국의 도시중에 하나일뿐....
@GAENODAP
@GAENODAP 24 күн бұрын
홍콩에서 샹강이 되어버렸지...
@user-jn3xk1cf1q
@user-jn3xk1cf1q 22 күн бұрын
돈들여 놀러갈 매력이 없어 졌어요.
@user-ge5mb8rh3b
@user-ge5mb8rh3b 20 күн бұрын
어..그럼 비자필요한가요??한번도안가봐서
@user-he5lk6lh5g
@user-he5lk6lh5g 20 күн бұрын
​@@user-ge5mb8rh3b 필요없음
@jsuukim9051
@jsuukim9051 19 күн бұрын
중국 손길이 닿으면 최고로 성공해도 오히려 평범해지고 마는 마법
@bjkim3443
@bjkim3443 23 күн бұрын
홍콩이라는 이름안에, 자유,민주,인권, 시장 이라는 의미가 있었는데, 지금은. 억압,탄압,공산,통제,라는 의미로 바뀌어버렸으니, 누가 저곳을 가려 하겠는가..!?
@nabilera
@nabilera 22 күн бұрын
모두가 예상했던 바지만 뭔가 마음? 아프네.. 추억이 사라진 느낌..
@TyoungG
@TyoungG 24 күн бұрын
일단 중국 묻으면 사람들이 꺼려한다는게 맞는말임.. 우리도 제주도가 그렇게 됐지...대학도 중국인 유학생 많이 받는순간 그대학은 이미지 추락과 국내학생들이 기피함.... 대림 구로도 마찬가지고...
@user-Griezman
@user-Griezman 24 күн бұрын
지방사는데 중국어 하는 사람들만 보면 피하게 됩니다. 언어만 들어도 짜증남
@52683
@52683 24 күн бұрын
ㅎㅎ 입으론 중국산 김치 꾸역꾸역 처넣으면서 이러겠지?
@TyoungG
@TyoungG 24 күн бұрын
@@52683 중국산 안먹는다 ㅉㅈ아...그래서 식당에서 김치 안먹은지 한참됐다.. 핑핑핑이 쫄개들아...한국에서 제발 나가주면 안되겠니?..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24 күн бұрын
@@52683 싸구려 식당에 안가
@Sane--Dule
@Sane--Dule 24 күн бұрын
말로만 ㅎㅎ 알리 테무 지금 우리나라에서 급성장하는거 보면서 느끼는거 없나봄?
@user-yi9us7bq6s
@user-yi9us7bq6s 24 күн бұрын
중국에 넘어갈때 이미 예상된 거다
@koreanentertainer3765
@koreanentertainer3765 24 күн бұрын
홍콩이라 쓰고 중국 공산당 소속국가라 읽습니다. 곧 북한처럼 변하겠죠.
@user-zv5yo9vt5t
@user-zv5yo9vt5t 24 күн бұрын
올 봄에갔었는데 옛날의 내가알던 홍콩이 아니더라 일반식당에 갔는데 영어 이해못함 ㅋㅋㅋ 중국어로 말하래
@user-md8kw6pk1v
@user-md8kw6pk1v 24 күн бұрын
​@@user-zv5yo9vt5t미친 ㅋㅋㅋ
@cjkim2147
@cjkim2147 24 күн бұрын
@@user-zv5yo9vt5t 개공감...영어 못 알아먹는 것도 그렇지만 좀 배워먹은 광둥어로 써도, 끝까지 중국 푸통화 쓰는 사람들도 있고.. ㅋㅋ
@Superpremium_parkway
@Superpremium_parkway 24 күн бұрын
홍콩은 그냥 중국의 제주도 아님?
@user-jz5uv3vx1r
@user-jz5uv3vx1r 23 күн бұрын
7년전에 갔는데 중국인들 윗통 벗고 돌아다니고 지저분하고 영어 안통하고ㅠㅠ 그 다음 갔을땐 1박2일로 디즈니만 딱 가고 바로 돌아왔어요
@user-vu6xs4zs8o
@user-vu6xs4zs8o 23 күн бұрын
그만큼 자유가 중요하다
@user-hx4vv3mw4b
@user-hx4vv3mw4b 24 күн бұрын
자유를 잃는순간 모든것을 잃는구나...중국묻은 홍콩은 더이상 홍콩이 아니네...
@user-lb2jt8xk5r
@user-lb2jt8xk5r 21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 배울거 없수다
@user-gh5yv5cb6s
@user-gh5yv5cb6s 21 күн бұрын
뭔소리여ㅋㅋㅋㅋ쇼핑을 안한다잖아 중국이랑 뭔상관인데 코로나 전엔 중국땅 아니었냐?
@themoonintheclouds7199
@themoonintheclouds7199 21 күн бұрын
​@@user-gh5yv5cb6s중국이 홍콩 집어삼키자마자 외국인 투자 자본 다 빠져나감
@tianlezheng6829
@tianlezheng6829 20 күн бұрын
把西方间谍殖民当自由😅
@user-gq3zx5cl2c
@user-gq3zx5cl2c 20 күн бұрын
@@user-gh5yv5cb6s귓구녕이막혔나 매력이없으니까 돈을안쓰지!!
@redsky7100
@redsky7100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면 이미 끝나는 거다. 중국의 도시에서 자유와 낭만을 느낄 순 없다
@user-hm2uu9my9z
@user-hm2uu9my9z 24 күн бұрын
홍콩이 영국식민지시절 자유와 느와르에 메카였던 시절이 그립네요. 이제 홍콩은 그냥 중국...무슨 다른말이 필요할까요?
@redsky7100
@redsky7100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진핑이 독재국가에서는 감히 할 수도 없는 유투브를 보고 댓글 마음데로 달 수 있는게 자유지..중국놈아 ㅋㅋ 유튜브도 차단 하는 북한 시리아와같은 급인 쓰레기 쯍궈.
@pedric09
@pedric09 23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뭐 니네는 엘베안이든 집안이든 담배를 여기저기서 펴대는게 일상이라서 그게 뭐가 문제인지 이해를 못하나보네 ㅋ 흡연구역도 아닌곳에서 다른사람들의 동의를 구하지도않고 그것도 실내에서 담배피는건 우리나라에서 불법이거든 ^^ 자기 사적인 공간도 아니고 촬영장에서 카메라 찍고있는데 담배피는 정신나간 짓을 한 남자연예인의 잘못이지 ㅎ 그리고 자유라고 찡찡거리는데 니네나라 앞으로 공안들이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할거없이 핸드폰 카메라로 뭐 찍었는지 불시검문까지 할 수 있다는데 그게 자유니?ㅎㅎㅎ 자유의 뜻은 알고 자유 찡찡거리는거니? ㅋ
@cloudykim5603
@cloudykim5603 22 күн бұрын
@@user-hm2uu9my9z그래서 넌 홍콜가서 무슨 자유 무렷는데? 가보기나하구 개소리냐
@user-hy6pb7mn6m
@user-hy6pb7mn6m 22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니네 엄마가 중국인인건 눈에 보이는데 ㅋ
@kevinkim1
@kevinkim1 23 күн бұрын
홍콩에서도 살았고 현재 싱가폴에 사는데 무지막지하게 재미없는 이도시가 너무 싫지만 이제 홍콩으로 갈 일이 없네요.. 예전에 활기찼던 홍콩이 너무 그립네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20 күн бұрын
싱가폴 엄청 재미없나봐요? 관광갔다 실망하긴했는데 사는 분은 더 노잼인가보네요. 그래도 돈벌긴좋죠?
@user-he5lk6lh5g
@user-he5lk6lh5g 20 күн бұрын
​@@user-if1bk9sg3v 개노잼임 2박3일이면 차고넘침
@crezl1004
@crezl1004 17 күн бұрын
싱가폴 노잼에 급공감합니다😂
@user-bd5ks2xe8d
@user-bd5ks2xe8d 22 күн бұрын
어릴때 홍콩영화진짜많이보고컸는데 지금은홍콩영화가없다
@user-gl6zk6nn5j
@user-gl6zk6nn5j 24 күн бұрын
홍콩에서 살았었는데, 이젠 더 이상 홍콩이 아니라 중국 지방 도시가 되었습니다. 중국 애들 때문에 질서도 엉망이고, 불쾌하기만 합니다. 거기다 코로나 지나면서 물가가 미친 듯이 올랐습니다. 침사추이 뒷 골목에 저렴하게 먹을 수 있던 식당들 까지도 가격이 말도 안되게 비싸서, 중국인데 물가만 비싼 곳이 되었죠.
@user-fi1tw8pj8f
@user-fi1tw8pj8f 20 күн бұрын
영국령 시절 진정한 동방의 진주 같은 도시이자 국가가 홍콩이였는데.. 중국에 넘어가고 나라 끝난듯.. 한때 홍콩을 정말 좋아하고 사랑했던 한사람으로써 안타깝고 너무 슬프다..
@eunyoungbaek5849
@eunyoungbaek5849 19 күн бұрын
물가 비싸서 놀랐오요.ㅜㅜ
@leejs3418
@leejs3418 24 күн бұрын
중국에게 넘어가서지 코로나때문은 아님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23 күн бұрын
출산율 0.6 소멸위기 한국이 더 불쌍함 ㅋㅋㅋㅋ
@seanlee-rx4vx
@seanlee-rx4vx 23 күн бұрын
​@@user-ip1ny5dy7q 중국도 출산율1%다 ㅋㅋㅋ 인구수 인도 한테 빼끼고 중국이 더심각한 수준이다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2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땅이 좁아서 인구 줄어도 됨
@sharkblack77
@sharkblack77 22 күн бұрын
​@@user-ip1ny5dy7q 중공은 후진국인데 왜 인구가 줄어들까? 노인들 어케 부양하냐 마오처럼 굶겨 죽일라나! 착해지면 우리는 땡큐지만!
@dnjstjr1162
@dnjstjr1162 22 күн бұрын
@@user-ip1ny5dy7q 우린 이민자 받으면 됨. 그것도 아니면 국제결혼 장려해서 인구수 1+1로 이득보면됨. 중국은 사상검증 필수라서 이민도 못받음. 평생 감시받으며 살아야함
@user-us4lq2in4s
@user-us4lq2in4s 22 күн бұрын
자유주권 잃으면 모두가 다 망한다.
@hikeryuno
@hikeryuno 22 күн бұрын
예상됐던것일텐데 .. 씁쓸하다 홍콩 ..
@LLooppyyDudu
@LLooppyyDudu 24 күн бұрын
예전 90년대 홍콩영화 감성 너무 사랑했는데.. 나도 이런데 홍콩 자국민들은 더 슬프겠네
@user-ht6lz9yd9m
@user-ht6lz9yd9m 24 күн бұрын
그렇죠. 공산국가의 말로는 암흑뿐이죠.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24 күн бұрын
기본이 잘못괸 이념이 공산주의. 열심히 일할 수록 손해 보는데 누가 일함.
@fgwgsujkjgfdjk7854
@fgwgsujkjgfdjk7854 24 күн бұрын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그래서 자본주의 나라 한국은 왜 저출산 소멸국으로 예상되는 나라1에 자살률 1위임?
@user-lb2jt8xk5r
@user-lb2jt8xk5r 21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 가면 큰일남
@user-lb2jt8xk5r
@user-lb2jt8xk5r 21 күн бұрын
갔다가 북한 공작원한테 잡혀 북송
@user-cj2rc7rn8t
@user-cj2rc7rn8t 20 күн бұрын
어차피 1000만개딸홍위병들이 그렇게 만들것임
@caponeenervit9582
@caponeenervit9582 23 күн бұрын
한국으로❤❤
@TSL12356
@TSL12356 21 күн бұрын
자유 민주주의의 중요성.😢 대한민국도 늦기전에 정신 차리길...
@brianyu1242
@brianyu1242 24 күн бұрын
중국으로 속하는 순간 당연한 결과지...
@KMK0522
@KMK0522 24 күн бұрын
홍콩걱정할때가 아니다...한국도 걱정
@user-in9pt7of8s
@user-in9pt7of8s 20 күн бұрын
설마 윤석열을 자유를 수호하는 정의의 사도라고 생각하는건 아니겠지
@forthekingdom288
@forthekingdom288 19 күн бұрын
​@@user-in9pt7of8s느그찟만하랴
@EnglishTime-302
@EnglishTime-302 23 күн бұрын
홍콩 정말 추억이 많은곳인데 ㅠㅠ 예전의 홍콩이 아니라니 슬프다 홍콩 정말 낭만적이고 최고였는데 ...
@ymchung3057
@ymchung3057 22 күн бұрын
예전처럼 영국도시도 아니고 그냥 중국의 한 도시인데,,,굳이 갈 이유가 없지,,
@coffeelove617
@coffeelove617 24 күн бұрын
2006년에 간 후 2011년에도 갔었는데 그 사이에도 많이 달라져 있었어요. 홍콩의 쇼핑지로서의 매력도 크게 반감되고 분위기도 더 중국스러워진게 느껴졌었어요. 회사 다니는 동안 영국계 회사였는데 아시아 헤드 오피스가 홍콩이었는데 차츰 싱가포르로 역할을 옮기다가 2004년엔 이미 완전히 이전했었어요. 경제적 역할이나 관광지로서의 매력도나 떨어지는 것 중국에 반환될 때 다들 예상했죠.
@hongyo122
@hongyo122 24 күн бұрын
중국스러워짐 은 어디에서 느껴지는건가요 보통!?!?
@bongbongfather
@bongbongfather 24 күн бұрын
@@hongyo122 다른 거보다 딱 하나만 봐도, 예전엔 영어가 주로 통용되었다면 지금은 중국어로만 거의 소통 됌. 그냥 중국이 되었죠.
@leehan1201
@leehan1201 23 күн бұрын
영어 못하는 점원들도 늘었고 점원들 태도 등등…저도 작성자와 같은 느낌을 받았네요…
@ari-tp8dz
@ari-tp8dz 23 күн бұрын
싱가폴 아시클로버 연고 2g에 원화로 약24,000원 하더군요. 울나라 5g에 3,000원 하는데 입술에 딱지 생길까봐 어쩔수 없이 사서 바름.
@endgame165
@endgame165 22 күн бұрын
@@ari-tp8dz 딱지가 생겨야 제대로 낫는건데 ㅋㅋ
@cjkim2147
@cjkim2147 24 күн бұрын
숙소는 선전에 잡습니다...라는 말 자체가 중국화 되었다는 한마디..
@najung.koreanslivinginchin406
@najung.koreanslivinginchin406 23 күн бұрын
그런건 두번째구요.. 선전에는 10만원에 4ㅡ5성급 가능 일반여관 2ㅡ3만원인데 홍콩은 15만원은 줘야 잘 만 해요.. 숙박비가 너무너무 비싸요 아주 오래전부터 그랬어요..
@cjkim2147
@cjkim2147 23 күн бұрын
@@najung.koreanslivinginchin406 홍콩이 비싸긴 하죠, 선전이랑 차이 많이 나네요
@EmpireProductions1
@EmpireProductions1 23 күн бұрын
이재명과 민주당이 만들 세상
@asdasdkfj201
@asdasdkfj201 22 күн бұрын
홍콩과 가까운 선전이라는 도시가 훨씬 인프라가 좋고 싼데 왜 좁고 비싼 홍콩에 숙박을 하겠어요? ㅋㅋㅋ 중국화와 상관없습니다. 근처 더 좋은 도시가 발달해있으니까
@user-on6bk8br4e
@user-on6bk8br4e 22 күн бұрын
지금이 아주 살기 좋은가 봅니다?​@@EmpireProductions1
@user-zd2fm4dt9o
@user-zd2fm4dt9o 22 күн бұрын
201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홍콩 사람들도 도시도 정말 활기차고 다채로웠는 데... 이젠 그 분위기가 없어 맛집도 많이 폐업하고
@GamJabbas
@GamJabbas 21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또 가보고는 싶네요.
@user-vu8se8th9o
@user-vu8se8th9o 24 күн бұрын
영국령일 때가 좋았지
@user-ol4gx2os6e
@user-ol4gx2os6e 24 күн бұрын
홍콩은 중국때문에 망했다. 10개의 중국을 원한다. 다들 독립해라!
@meksh2627
@meksh2627 23 күн бұрын
예전에 갔다오길 잘했네…
@user-qj7om8kp7w
@user-qj7om8kp7w 24 күн бұрын
공산당이 설쳐 대면 그곳의 경제 뿐만 아니라 자유,인권,평화,등에 부정적 영향으로 관광객이 줄고 자국인 들의 제한적 삶에 고통을 받게 되는 것은 필연적 이다!!! 정치 경제 사회가 불안하고 패거리 싸움에 넌 저리 난 국가들에게만 강압적 정치가 필요 하지만 한때 세계적 무역,중심가로 금융,허브와 관광지였던 홍콩은 최근 화폐가 오 르고 시장경제는 계속 내리 막으로 가고 있으며 인접,일본과는 정 반대로 가고있다. 중국인들 이면서도 영국의 지배 하에 수 백 년 간, 자유를 누려온 곳에 갑자기 공산 세력들이 들어차고 시민들을 탄압하며 불안한 사회로 만들었는데 저 정도면~그나 마,다행이며 홍콩의 미래는 더욱! 암울할 것이 다!!!
@user-qj7om8kp7w
@user-qj7om8kp7w 2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이도,저도 아닌 이기심과 배척 심이 팽배한 나라로써,정치간,지역간,세 대간,둘로갈라져 있는 괴상 한 나라이며 수천년전,삼국 시대로 돌아갈것 같다.나만 잘 살면 그만이다하는,한국 인들의 정서에 과연 어떤결 과로의 나라가될지 궁금 하 다~~~
@user-gv1jy3id8w
@user-gv1jy3id8w 21 күн бұрын
남괴 필망
@user-cj2rc7rn8t
@user-cj2rc7rn8t 20 күн бұрын
개딸홍위병들이 만들어갈 헬조선의 미래
@user-qj7om8kp7w
@user-qj7om8kp7w 20 күн бұрын
@@user-gv1jy3id8w 북,괴 필,망!!! ㅋㅋㅋ
@user-gv1jy3id8w
@user-gv1jy3id8w 20 күн бұрын
@@user-qj7om8kp7w 코리아 🇰🇵👍
@user-cu2hn3sf4d
@user-cu2hn3sf4d 24 күн бұрын
작년갔는데 너무 중국스러워졌음... 그리고 물가는 뉴욕물가.. 더이상은 안갈듯...
@sooren64
@sooren64 21 күн бұрын
뉴욕은 아니고, 한국에 주요서울 물가와 비슷하지 않나요? 홍콩 식사한끼에 8천원~2만원.. 며칠전에 다녀왔습니다. 뉴욕은 베이글이 3만원 이라던데요. 홍콩은 오히려 호텔은 다소 저렴했어요. 노스포인트 5성호텔이었는데 1박에 18만..한국에서 동급 시설이면 30만쯤 되니까요
@waterslide34
@waterslide34 20 күн бұрын
​@@sooren64뉴욕도 그 안에서 물가가 많이 다르긴 합니다. 그 베이글은 좀 더 비싼 곳인 것 같네요😅
@user-he5lk6lh5g
@user-he5lk6lh5g 20 күн бұрын
뉴욕도 맨해튼 쪽만 벗어나면 그래도 물가 숨쉴만함
@kimdr.5231
@kimdr.5231 18 күн бұрын
본토 대도시가 낫죠, 사실 한 15년 전에도 그리 좋지는 않았어요. 심천보다 좀 나은 정도?
@jj77p42
@jj77p42 17 күн бұрын
​@@kimdr.5231응아니야
@user-tz8wd6bm4i
@user-tz8wd6bm4i 23 күн бұрын
우리도 정신 차리자!!!!
@jyddow
@jyddow 23 күн бұрын
작년에 갔다오기도 했고 대충 1년정도 일때문에 머물기도 했는데 뭐랄까 그 홍콩특유의 색감을 잃어가는 느낌이었음 침사추이는 워낙 붐비니까 그런가보다하는데 좀 예전의 스타일이 그리운데 많이 바뀐 느낌 어쩔수 없겠지만
@user-pv7mw7kf7p
@user-pv7mw7kf7p 24 күн бұрын
반환되기 전 90년대까지가 낭만시대였지 7년전에 간 홍콩은 두번다시 가고싶지 않은 나라가 되어 있었다
@natalielee8981
@natalielee8981 21 күн бұрын
2008년에 갔을때만해도 너무 좋았음... 불과 5년후인 2013년에 갔을때 확 중국같아져서 이제 홍콩도 끝났구나 싶었음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 24 күн бұрын
홍콩만의 특색이 사라진 탓이지 국제 관광 도시는 모름지기 분위기 인데..그런 자유롭고 활기찬 분위기 가 사라졌다면 더 볼것도 없지 일개 중국의 도시로 평범해진..
@user-he5sn5hw5l
@user-he5sn5hw5l 22 күн бұрын
뭐든 중국 묻으면 개망.
@krossjunkie720
@krossjunkie720 22 күн бұрын
시드니교민인데 2019년 데모가 한창일때 나도 돕고싶어서 일주일정도 머물며 최전선에서 데모에 참가했었다 그때 본 홍콩은 이미 내가 어릴적 본 영화속으 그 홍콩이 아니었다 많은 홍콩분들이 감사해주었고 난 한국은 이미 80년대에 겪은 일로 너희 아픔을 잘 안다고 다독여줬다 어릴적 홍콩친구에겐 미안한 마음뿐이고 하지만 중국의 한 도시일 뿐인 홍콩에 다시 갈일은 없을듯 하다
@bururumuni
@bururumuni 24 күн бұрын
중국묻으면 좋을거 하나도 없음. 저 동네는 이젠 그냥 중국 지방도시일뿐.
@justiceuni
@justiceuni 24 күн бұрын
자유 민주주의가 중요한거지ㅠㅜ 본질을 좀 파악하자 댓글들아
@user-jr9ym8qv1q
@user-jr9ym8qv1q 20 күн бұрын
지지합니다 동의합니다 홍콩 민주화 어디갔나? 힘있는 맹수가 잘살고 있는 토끼를 먹었구나!.오호 통제라!
@yhjang2804
@yhjang2804 22 күн бұрын
사진 한번 잘못찍어도 바로 낚어채가는데 불안해서 어디 관광하겟어~?
@DASHKEN-uf9op
@DASHKEN-uf9op 23 күн бұрын
공산당이 끼면 저렇게 되지. 우리나라도 공산당 끼면 저렇게 됌
@suekim8673
@suekim8673 1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는 공산당 보다 더 막가파인 굥산당이 말아 처먹고 있는 중! 나라 돈 마구 퍼 쓰며...
@recuivxo7864
@recuivxo7864 24 күн бұрын
한국에도 중국때가 많이 뭍었다.
@user-rk3fe3ie1x
@user-rk3fe3ie1x 24 күн бұрын
홍콩위상이 왜이리됬나 진짜80~90년대 는 당시 버블경제로 엄청난 일본도 홍콩한테 명함도 못내밀었는데 딱 10년전만해도 이정도까지는 아니였는데 왜냐면 당시 내여친이 홍콩사람이라 잘알고있음 그때 홍콩방송에서 중국사람때문에 홍콩무너진다 하고 여친은 영국여권으로 바꾼다고 무슨 여권 바꾸는 기간같은게 있었는데 암튼 그때 여친이 막 중국애들 역겹다 열받는다라고 난리쳤던 기억이난다
@sdsd-md6uj
@sdsd-md6uj 24 күн бұрын
중국 묻어서 그런듯ㅠㅠ그 시절 낭만이였는데
@minpark3667
@minpark3667 24 күн бұрын
90년대에 무슨 일본이 홍콩에 명함도 못 내밀어요 90년 1인당 GDP가 90년 2.2만불 일본 3.5만불 도쿄 6만불인데..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24 күн бұрын
10년전에도 이랬음.. 그때도 홍ㅋ콩 자주 가서 잘 알고 있음.. 별거 없었음. 그때도.. 솔직히
@user-uc4ch7gc1r
@user-uc4ch7gc1r 24 күн бұрын
됬나(X) 됐나(ㅇ) 이건 중국애들도 안틀리는 기본 맞춤법 아니냐?
@sotong2024
@sotong2024 23 күн бұрын
일본이랑 홍콩이랑 체급자체가 다른데 뭔소리함ㅋ여친이 강시였음?
@munanashi2130
@munanashi2130 21 күн бұрын
이번에 펜데믹 이후 검도 대회 나가보니 중국홍콩이라고 대회 이름이 적혀 있더라고요. 대회 기념품도 중국홍콩. 아 옛날이여 덕화형 곽부성형 장학우형 국영이형 맹달이형 윤발이형 …. 고마웠어요 .
@hermit3990
@hermit3990 21 күн бұрын
반환 직후부터 자주 갔는데.. 진짜 예전엔 낭만이 가득하고 뭔가 다른 동양권에선 느낄 수 없는 특이한 여유로움이 있던 곳이였다면 지금은 그냥 좁고 시끄럽고 물가 비싼 중국이다. 반환되고 10년 후 정도부턴 정말 홍콩도 홍콩 사람들도 다 변했다..
@user-pr8sr7ng4v
@user-pr8sr7ng4v 24 күн бұрын
당연 합니다 옛날의 홍콩은 자유와 지성의 행복감이 넘첬지만 지금은 아니지요 황금알을 낳는 닭을 죽여버리는 바보같은 짓거리가 현재의 아무도 잘 찾지 않는 우범지대 처럼 되어 버렸네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1 күн бұрын
황금알 낳는 거위. 한국도 좌파들이 삼성을 공중분해 하려고 혈안 되어 있지.
@user-sx2gt6dt2b
@user-sx2gt6dt2b 24 күн бұрын
중국 대단하다 세계적인 국제도시를 한방에 지방 소도시로 만들어버리네ㅋㅋ
@Larentlarent
@Larentlarent 20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오랜시간 아시아의 허브였는데…이렇게 단시간안에 무너지는구나….참 슬프다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22 күн бұрын
여전히 관광객은 많은데... 물가가 너무 비싸고. 예전같은 낭만은 없어서 아쉬웠음.. 물가는 너무 많이 올랐음.
@one-gorae
@one-gorae 24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가 싱글벙글이겠네..금융허브1위 와..
@cp1611jun
@cp1611jun 22 күн бұрын
크랩 두마리 랍스타 한마리 도미 한마리 맥주 12병 볶음밥 한접시 싱가폴 점보 식당에서 80만원 합디다...... ㅜㅜ
@user-pr6im3zv6r
@user-pr6im3zv6r 22 күн бұрын
@@cp1611jun 한국도 그정도함
@user-pr6im3zv6r
@user-pr6im3zv6r 22 күн бұрын
랍스타 키로당 6 크랩 9 도미 4 맥주 7000
@cp1611jun
@cp1611jun 22 күн бұрын
@@user-pr6im3zv6r 제가 베트남에 있어서 그런지 엄청 비싸게 느껴지더라고요...
@user-pr6im3zv6r
@user-pr6im3zv6r 22 күн бұрын
@@cp1611jun 동남아면 10-20정도면 떡칠거같기도함
@sooyoungkim3047
@sooyoungkim3047 24 күн бұрын
장점을 찾아볼수 없는 도시가 되어버린 홍콩
@user-kq7xp5og1z
@user-kq7xp5og1z 22 күн бұрын
영광이 다시 오길....
@ddw6851
@ddw6851 19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우리의 미래를 ᆢ심각하게 걱정 해야 될때 ᆢ
@user-vd3kl2hy4t
@user-vd3kl2hy4t 24 күн бұрын
중국으로 넘어가기전에 갔었어야하는데...이젠 갈일이 없을듯
@user-tv4qe3jn1e
@user-tv4qe3jn1e 24 күн бұрын
한국인들 중국여행잘만가던데 ㅋ
@user-yt2ku9te9e
@user-yt2ku9te9e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미세먼지 유발 후진국 여행을 왜 감. 선진국들 가도 싸게 가는데 ㅋㅋㅋ
@user-ch3ny8vc5t
@user-ch3ny8vc5t 24 күн бұрын
나도 이미 무비자로 경유로 갔다옴 광저우 상하이 근데 중국어 모르면 여행이 안됨 ㅋㅋ 그리고 호텔 찾는데 2시간걸림 하 카카오톡 구글지도 다 막아놔서 ㅋㅋ 지나가는 꼬마 중국인 번역기 돌려서 호텔 찾아줌 ㅋㅋ 용돈 30위안주고 중국이 미국빼고 다른나라는 지내나라 아래로 보는듯 ㅋㅋ
@GAENODAP
@GAENODAP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중국은 중국을 보려고 가는거고 홍콩은 홍콩을 보러 가는거였는데 홍콩이 홍콩다움이 없어져서 매력을 잃고 중국이 된 이상 굳이 갈필요가 없어졌다는 뜻인데 말귀를 못알아 먹는걸보니 우리나라사람이 아닌가?
@tonythaiger93
@tonythaiger93 24 күн бұрын
온라인에 판다 🐼 욕 너무해서 갔다가 사라질거 같아서 경유도 생각없음
@dankunson1
@dankunson1 24 күн бұрын
공산주의가 이렇게 무섭다
@chlee-fh7tf
@chlee-fh7tf 18 күн бұрын
작년 여름에 업무차 갔었는데 시위대도 볼수없고 중국화되어간다는 느낌이 확 오더라. 스스로 중국인이 아니고 홍콩인이라며 자부하던 글로벌한 국제도시 홍콩의 정체성이 사라진다는게 개인적으로 너무 아쉽더라.
@user-bs6xs7ed5h
@user-bs6xs7ed5h 22 күн бұрын
옛날에 홍콩 너무 좋았는데… 쇼핑도 잼있고 맛집도 많고…
@iknowisee721
@iknowisee721 24 күн бұрын
다음은 대만, 그 다음은 대한민국이다. 우리가 웃으며 낮잠 자는 동안 그 일이 다가온다
@user-jn9zu5ow1e
@user-jn9zu5ow1e 24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 정치인중 쎄쎄~하며 중국몽에 빠진 뇌없는 넘이 있거든요..~
@shinwoori84
@shinwoori84 24 күн бұрын
@@user-jn9zu5ow1e 중국몽 문가보다 더 쌍스럽게 중공군 열병식 사열하러 간 박가도 있져 1번당 2번당 다 똑같아요
@JH-gk7tw
@JH-gk7tw 24 күн бұрын
대만다음 북한이다.
@fiaaj9656
@fiaaj9656 24 күн бұрын
아니. 만약 트럼프가 대선에서 이겨서 북한과 손잡는다면 중국에 쎄쎄하는 우리가 팽 당할것 같은데?​ 우리도 중국화 속도가 만만치 않아. 홍콩의 미래가 우리가 될수도 있는데 일부 국민들이 자각하지 못하는 현실이 웃프다.@@JH-gk7tw
@user-jg4xh9lw1l
@user-jg4xh9lw1l 23 күн бұрын
동감! 우리나라도 중국몽에 빠진 얼치기들이있지
@PLUTONIUM1228
@PLUTONIUM1228 24 күн бұрын
홍콩 시위때 가봣는데 수상할정도로 북경어 잘하는 경찰들이 붉은별 그려진 권총차고 돌아다님 ㅇㅇ 잘못하면 신비해질수도 있는 동네가 되버렷는데 기피대상이 된게 당연함
@jasonlee5406
@jasonlee5406 22 күн бұрын
그래도 홍콩은 추억이 가득해서 늘 가면 행복합니다... 트램타고 아무데나 내려서 걷기....
@user-xm2kx8bh6t
@user-xm2kx8bh6t 22 күн бұрын
리.짜이.밍과 사케찬은 잘 보거라..중공이 집권하면 이리되느니라...
@putput42
@putput42 24 күн бұрын
명품도 구매대행 시설도 한국이 더 깨끗 발달..10년전이랑 달라진게 하나도없어 못가겠음 제니쿠키도 쿠팡서 구매가능하니 진짜 갈일없넹..
@user-hx4vv3mw4b
@user-hx4vv3mw4b 24 күн бұрын
안타깝다...이제 중국인들만 바글바글...
@user-db2cc1eb8n
@user-db2cc1eb8n 21 күн бұрын
처음에 나오는 저 경찰서 들어가면 한참 젊은 모습의 엘리자베스 여왕 존영(국가원수 사진)이 위에 떡하니 걸렷잇더랫죠, 영국 본토!?에서 온것같은 백인 경찰도 꽤 보이고 홍콩인 경찰들이 막 섞여서, 관광객 입장에선 경찰서만 가도 신기한 구경을
@user-yz2fw2eu6j
@user-yz2fw2eu6j 22 күн бұрын
한번 갈까 했는데 그냥 가지 말아야겠다😅
@changeunlee7957
@changeunlee7957 21 күн бұрын
홍콩에 있지만 뉴스에 나오는 거리 정도는 아닌데;;;; 몇 년전보다는 아니지만 지금도 관광객들 꽤 보이고, 중심가에 숙소 잡고, 사람 많이있습니다. 단, 환율이 크게 올라 비싸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ccycca5380
@ccycca5380 24 күн бұрын
저부분 중에 상당 부분을 한국이 가져왔지. 홍콩 야경이라는 말도 옛날이야기. 지금은 다른 나라들도 야경 화려한곳 많음. 패션이라는 분야도 과거에는 홍콩 이었지만 지금은 한국임.
@finder3449
@finder3449 24 күн бұрын
한때 찬란했던 영광의 몰락을 눈앞에서 보는구나 씁쓸하다..
@jinchoi6347
@jinchoi6347 21 күн бұрын
전에 홍콩 좋아해서 자주갔는데 19년도 이후 안감...핑핑이가 망쳐놔서 왠지 그 홍콩느낌 안 날거 같아서 가기가 시름...
@u_u_Zzzzz
@u_u_Zzzzz 20 күн бұрын
홍콩 영화...느와르 그립다.
@user-mr9mj1gl2i
@user-mr9mj1gl2i 24 күн бұрын
별들이 소곤대는 홍콩의 밤 거리~잘 가세요 잘 있어요 눈물의 기적이 운다~~
@user-fv6yb5ee5t
@user-fv6yb5ee5t 24 күн бұрын
사실 예전처럼 홍콩가서 명품 쇼핑하던 시대는 지났지. 명품은 어디서나 손쉽게 살 수 있고 명품이 아닌 상품들의 퀄리티도 높아졌는데 아무리 홍콩 쇼핑에 면세혜택 붙는다고 해도 굳이 저기서 명품사며 소비할 필요가 없는 것 같음.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24 күн бұрын
면세보다 환율 손실이 더커서 ㅇㅇㅇ
@blackout4565
@blackout4565 21 күн бұрын
홍콩 여행 가고 싶었는데 ㅠㅠ
@0070chh
@0070chh 22 күн бұрын
영원한건 절대 없어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24 күн бұрын
예전에 홍콩 샤틴에 살때 홍콩인들 자존감이 대단했죠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할 정도였습니다. 이제는 한물간 도시로 전락했습니다. 중국인들이나 선전에서 오는곳이 되었네요. 한가지 아쉬운것은 한국이 홍콩의 금융허브를 이어받기를 바랬는데 한국정부는 넋 넣고 그냥 가는 바람에 싱가폴이 다 가져간겁니다. 한국정부와 정치인들 보면 참 안타까워요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24 күн бұрын
오로지 이념만 가지고 싸움질이나 하는게 한국의 정치인들.
@jaydenjin6729
@jaydenjin6729 24 күн бұрын
사실은 정치인보다 님 지능이 좀 딸리는거임 (모욕하자는건 아님) 한국은 통일하지않는 한 금융허브 안됨. 홍콩은 중국관문으로 역할이있고 영국지배라 영어썼기때문임. 한국은 육군으로 중국 북한 전쟁 위험있어서 방위시에도 미국조차 중국 못이겨서 일본이 중시됨 해양에서 막으려고.. 근데 무슨 한국이냐 잘했다는게 아니라 어느 대통령이 와도 한국에서는 금융허브 안됨. 정치적 불안전성때문임. 싱가폴은 무역항에 영어 쓰이고 세금까지 좋음 전쟁위험도 없고
@jaydenjin6729
@jaydenjin6729 24 күн бұрын
님이 바라는건 마치 신데렐라 신드롬임 자기는 평범한 외모에 월 200도 못받는데 존잘 재벌왕자님이 자기랑 결혼해주길 바라는것... 세종대왕이 돌아와도 금융허브 못됨. 전쟁위험 극심. 북한의 전쟁위험뿐 아니라.. 중국과의 분쟁시에도 육군이 올수 있어서 엄청 불리함. 미국조차 중국저지선을 일본으로 봄. 해양에서 인구빨 전차수를 막을수 있어서.. 이렇듯 불안정한 곳에서 금융허브? 홍콩은 영국지배에 영어도 쓰이고 막대한 중국시장 접근권이있었음 싱가폴도 국제 무역항으로 안정된 치안 영어 조세감면이있음. 한국은 무역항이라기보다 중국가기전 한번 들리는곳이고 영어도 그닥. 전쟁가능성도 큼 여길 누가오냐 ㅋㅋㅋㅋ미군없으면 투자도 안함
@user-jc4vh3zi2d
@user-jc4vh3zi2d 24 күн бұрын
북한잇슈로 허브못해요
@jaejae-vr5un
@jaejae-vr5un 24 күн бұрын
사실 정치인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전쟁중이고 영어도 못하는 나라에 금융허브가 들어갈 일이없죠 싱가포르가 영어도 잘하고 치한도 안전하고 해서
@user-cz5vc6nn3j
@user-cz5vc6nn3j 24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화 되는 순간 모든것이 날라가는것... 우리나라도 사회주의 신봉자들로 인하여 서서히 기울어 가고 있는데...
@user-tv4qe3jn1e
@user-tv4qe3jn1e 24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가 뭐가 문제임? 자본주의가 완벽했으면 사회주의가 출현했겠음? 유럽국가들중에도 사회주의나라들 많은데 그럼 그나라들도 문제임?
@user-yt2ku9te9e
@user-yt2ku9te9e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사회주의가 제도적으로 보완적으로 사용되면 아무도 뭐라 안함. 문제는 신봉자들 말대로 나라를 사회주의로 움직이려고 이론으로나 완벽하지 현실은 소련붕괴만 봐도 사회주의는 실패한 사상인데 자꾸 완벽한 것마냥 호도하니 역겨워하는 거지. 사회주의가 아니라 사회민주주의임. 민주주의 안에 자본주의 안에 사회주의의 좋은 소수부분만 도입한 거지 ㅋㅋㅋ 공산주의를 도입한 사회주의는 소련붕괴와 같이 멸망했음.
@laraj865
@laraj865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넘어가세요 북조선으로.
@user-bn4ud8ch9l
@user-bn4ud8ch9l 24 күн бұрын
​@@laraj865북조선이 사회주의냐? 책도 좀 보고 생각이라는것도 좀 하고 살아라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24 күн бұрын
@@user-tv4qe3jn1e 요즘 유럽 망해간다는 뉴스는 안보나 봄.
@user-oq8jr
@user-oq8jr 22 күн бұрын
에궁 안타깝다 예전에는 좋았는데
@user-no4mj8hw5c
@user-no4mj8hw5c 22 күн бұрын
명품이라는 부질없이 미련한 유행은 결국 식게마련이다.. 할만큼 해보고 나니 아무짝에 쓸모없는 미련한 짓이었다. 한번가본후 구지비 다시가고싶지 않음..
@raverjinny
@raverjinny 24 күн бұрын
중국에 반환되고 천천히 하락하는 홍콩
@shiratori0317
@shiratori0317 24 күн бұрын
이젠 그냥 중국.
@kjr7801
@kjr7801 22 күн бұрын
홍콩경제규모 생각하면 관광투자 2천억원은 건물 두채값도 안될텐데 도움이 되려나...
@jhonnySonnny
@jhonnySonnny 22 күн бұрын
홍콩의 잔재가 아직 남은거지 내가 아는 홍콩 동료들 호주,싱가폴,캐나다,영국으로 다 떠난지 5-6년도 더 되었음 지금 남은 홍콩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남은거
@SonyStory
@SonyStory 24 күн бұрын
주윤발 홍금보때가 그립다. 🎶 음악 노래 그때 홍콩영화 그립다
@user-nu5pn5tj1l
@user-nu5pn5tj1l 24 күн бұрын
중국화가 되버리면 뭐든지 다 낙후된다
@unniehey7774
@unniehey7774 22 күн бұрын
홍콩 너무 비싸고 불친절하고 특히 숙박료 실인적이고 좁기까지한데…2000년대 초반이랑 비교하면 너무 많이 지저분해졌고 더 시끄러워져서… 안 가게 되는것 같아요 예전에는 가고싶은 도시였는데…
@user-ie5ld5fh5n
@user-ie5ld5fh5n 21 күн бұрын
이젠 홍콩의 시그니쳐같은 네온사인 간판들도 없어졌다 하더라구요
@jhlee2028
@jhlee2028 24 күн бұрын
2천억부어봤자 누가감 갔다가 핸드폰검열당하고 개인정보 다빼갈건데 ㅋㅋㅋㅋㅋ
@ksho5235
@ksho5235 2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의 미래이다.
@user-tv8td3kx5i
@user-tv8td3kx5i 22 күн бұрын
얼마전에 갔다왔는데 밥값이 너무 비싸짐 깜짝 놀랐음 옛날엔 면세지역이라 물건도 살만했는데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사는게 더 싸고 좋음 쇼핑은 우리나라 아울렛이 최고인듯
@user-oj2pb5wb2b
@user-oj2pb5wb2b 22 күн бұрын
한국기준에서 몰락. 뭘보고 몰락했다는건지. 길거리에 사람들 터지고, 한산한건 경제폭망한 한국백화점이 한산하지 홍콩은 쇼핑몰에 사람 미어터짐
@user-mq8cq8zu8f
@user-mq8cq8zu8f 24 күн бұрын
이젠 그냥 중국
@na_zarus8803
@na_zarus8803 24 күн бұрын
얼마나 무섭냐 중국이 손을대면 20년뒤로만드니
@carjhonny5219
@carjhonny5219 22 күн бұрын
굥떡렬땜시 한국도20년뒤로 후퇴됐다
@Gisele_Gisele
@Gisele_Gisele 23 күн бұрын
글쵸 홍콩 참 좋아했는데...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LA 장악한 한국 카페"...난리난 미국 현지 시장
3:38
MBC AMERICA NEW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sub] 성시경의 먹을텐데 l 연희동 이품
25:43
성시경 SUNG SI KYUNG
Рет қаралды 89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