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한국어능력자가 말해준 놀라운 이야기, 한글이 훌륭한 이유(르완다)

  Рет қаралды 548,618

Teddy's Travelogue [테디여행기]

Teddy's Travelogue [테디여행기]

6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의 스위스라 불리는 르완다의 키갈리
그곳에서 만난 한국어 귀신 피스
피스와 앉아서 나눴던 짧지만 강렬했던 이야기들
한글의 위대함
그리고 한국의 저출산 문제
#세계여행 #아프리카여행 #여행유튜브
테디가 쓴 안경
smartstore.naver.com/teddytra...
인스타그램
/ tddylm

Пікірлер: 2 300
@jonghowoo7544
@jonghowoo7544 6 ай бұрын
피스라는 분이 하는 말 정말 의외네요. 마을이 없어졌다........한국에 대해 정말 정곡을 찌르는 말입니다.
@im_fake4789
@im_fake4789 6 ай бұрын
저도 이 말에 공감하여 댓글 달려고 들어왔다가, 이미 같은 생각을 하고 계신분이 있으시네요. 아이들은 마을이 키운다. 하....
@user-lw9xl9ji6d
@user-lw9xl9ji6d 6 ай бұрын
한국만 그러는건 아니고 세계적으로도 많이 발전한 국가들의 흐름임
@mathadmission1742
@mathadmission1742 6 ай бұрын
다른 형태의 마을을 만들기 위해 많은 분들이 노력 중인데..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churlkoh8053
@churlkoh8053 6 ай бұрын
마을 느끼고 싶으면 시골로
@user-td8hq3vo6v
@user-td8hq3vo6v 6 ай бұрын
우리 어릴적 내 아이 남의 아이 가리지 않고 훈육을 하고 위계질서 존중하고 단점도 있었지만 요즘 그랬다간 파출소 불려가기 쉽상...세계는 점점 지구촌화 되어가고 피스가 한국인이라면 교수가 되고도 남을분이네 한국어 구사능력이 소름돋음!
@bsdssb
@bsdssb 6 ай бұрын
피스 이분은 단순히 한국어를 잘하는 분이 아닌데요 ;;; 한국학 박사님인데요 ... 요즘MZ들도 모르는 과거의 한국문화 와 현대사회에서 배제된 문화까지 ... 이렇게 완벽하게 한국의 문제점까지 파악하시는 분이 있다니... 가볍게 여행영상 보다가 하도 외국분의 박식한 말에 헛웃음이 나왔네요. 대단합니다.
@sugarfree97
@sugarfree97 2 ай бұрын
미안하지만 저건 피스가 덜 배워서 그런 겁니다.
@jesselingard2116
@jesselingard2116 2 ай бұрын
​@@sugarfree97닥쳐라
@oesnue0217
@oesnue0217 25 күн бұрын
​@@sugarfree97 피스말이 틀린게 아닌데 님이 덜 배운게 맞는듯합니다만😂
@sugarfree97
@sugarfree97 25 күн бұрын
@@oesnue0217 한국과 아프리카는 국가적 전통이 아예 다릅니다. 이프리카는 국가를 성립한 역사가 불과 100년도 안 된 부족 사회의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족 사회에서 국가로 나아가고 있는 아프리카의 상황을 한국에 대입하는 자체가 틀린 겁니다. 왜 덜 배웠다고 지적하는지 이해가 되셨나요?
@oesnue0217
@oesnue0217 21 күн бұрын
@@sugarfree97 현 아프리카의 상황을 대입했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있는지;;; 솔직히 마을이 없어지는건 다른 발전된 국가들도 마찬가지인데 맞는말 한건 팩트잖습니까 ㅋㅋ
@changroh6906
@changroh6906 4 ай бұрын
통찰력이 깊은 사람이네요. 모국어로 모든 공부를 할 수 있는 것을 자랑스러워 해야한다. 처음 들었어요 이런 말. 정말 그렇네요.
@kampores
@kampores 3 ай бұрын
젊은사람들 한자공부 필요없다 하지만 깊이 공부하려면 한자는 필수이고 모국어로 모든 공부를 할 수 있는 근본이 되는것이 다 한자입니다. 한자 하나하나를 외울 필요는 없어요. 한자를 읽을줄만 알아도 충분합니다. 글 보다보면 한자가 아닌 한글을 볼때도 이건 무슨 한자를 써서 이 말이겠구나 바로 짐작해 알게 됩니다.
@user-es1hi5ns4b
@user-es1hi5ns4b 3 ай бұрын
@@kampores 우리말 대부분은 한자로 되어있어요.
@analyst-
@analyst- 2 ай бұрын
뜻도 한글로되어잇는데 영어처럼 만들어야됨 ​@@user-es1hi5ns4b
@analyst-
@analyst- 2 ай бұрын
​@@kampores한글도 영어처럼 단어로써 뜻도 한글로 만들면되고 지금도 뜻은 다 한글임
@analyst-
@analyst- 2 ай бұрын
한자 1도몰라도됨 영어처럼 사용하면됨 한글을
@_codingiscoffee
@_codingiscoffee 5 ай бұрын
피스 르완다에서 지내고있었군요...!! 피스가 학부생으로 왔을때 조교로 도와줬었는데 지금 잘지내고 있는것 같아서 보기 좋네요 :) 한국에서 살면서 많은 고생한것 같아서 뭔가 미안하면서도 잘 이겨낸것 같아서 뿌듯하기도 하고 멋지다고 생각이 듭니다!
@qaz42
@qaz42 6 ай бұрын
피스의 "한국은 마을이 없어졌다. 아이들을 마을이 키웠는데 이젠 개인이 책임을 져야 하는 시대로 변한게 안타깝다" 라는 말에 100퍼 공감 하네요. 마을에 살았던 한국인으로써 마을이 없는 요즘이 무지 안타까워요. 정말 살릴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피스는 정말 똑똑 하네요 8년 살았을 뿐인데 정확히 짚었어요.
@smoothkim1685
@smoothkim1685 6 ай бұрын
좁은땅에 높은지가 그래서 입체적 경제적 주거공간인 아파트를 지으면서 마을이 없어진거같네요 평면적인 공간에서 서로를 공유할수있는 주거환경과 입체적인 공간에서 개인적인 주거환경의 차이가 현제 출산율과 개인이 책임지는 힘든 육아환경을 야기 했는지 모르겠군요
@user-es3ct9lq7z
@user-es3ct9lq7z 6 ай бұрын
마을이 없어졌다를 이런식으로 해석하는 사람 있을줄 알았다 아파트가 짓어졌다고 마을이 사라지나 사람사이 왕래가 사라졌다고 보는게 맞지 사람사이 왕래가 사라지니까 정도 사라지 없지
@qaz42
@qaz42 6 ай бұрын
@@user-es3ct9lq7z 아이고 이사람아~ 내가 말한 마을의 표현이 그냥 집이 모여있는 마을을 이야기 한것 같나? 집이모인 마을, 아파트 이런게 아님을 내 글에서 당신이 못 얼아챈거야~
@TV-he9cn
@TV-he9cn 6 ай бұрын
그래서.. 옆집 아이가 잘못하면 서로가 서로의 아이들을 꾸짖으며 같이 키웠던건데...
@user-kf4nm2ee7g
@user-kf4nm2ee7g 6 ай бұрын
@@user-es3ct9lq7z오늘 엄마가 늦게들어오면 옆집 아줌마 집에서 밤늦게까지 놀고있으면 됐었고, 맛있는 음식하면 주변집들이랑 나눠먹었었고, 내가 못된짓하면 우리엄마처럼 옆집 아저씨 아줌마한테 혼났었고 그랬던 시절이었죠.....
@user-qn3gf5xn8q
@user-qn3gf5xn8q 6 ай бұрын
정말 똑똑하시고 통찰력과 지적능력이 대단하신분입니다.
@JungStockholm
@JungStockholm 6 ай бұрын
한국말 너무잘해요.
@ffkim6152
@ffkim6152 6 ай бұрын
인정 그냥 단순히 한국말을 잘하는 수준을 넘었음 그냥 엄청 똑똑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한국말을 하고 있는 느낌
@user-un2oj3lz9q
@user-un2oj3lz9q 6 ай бұрын
배울점도 많고 너무 매력 있네요😮
@kiam7874
@kiam7874 6 ай бұрын
이분 다시 모셔와야❤
@yulim4029
@yulim4029 6 ай бұрын
르완다 친구분 정말 멋있네요
@stevehwang2184
@stevehwang2184 5 ай бұрын
와...르완다 지식인이네...언어를 4개국어나 잘하는건 둘째고 문제점에 대한 파악을 아주 명확하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내는 능력을 보니 앞으로 어디서든 크게 될 인물같네
@Xdjensmfm
@Xdjensmfm 4 ай бұрын
케냐사람인데 르완다 거주중이에요 😊
@user-es1hi5ns4b
@user-es1hi5ns4b 3 ай бұрын
후진국일수록 지식인이 뜻(?)대로 할수 있는게 적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도 학교가 있어야하고, 기술자도 공장이나 설비가 필요하듯이....
@McLee
@McLee 5 ай бұрын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 그런데, 한국은 그 마을을 없애버렸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지? 피스라는 친구 대단하네요.
@user-zt1eu3si2f
@user-zt1eu3si2f 6 ай бұрын
피스분? 정말 똑똑하신 분이네~ 한국 8년살고 저렇게 한국의 문제를 깊게 파악하고 이해하고있다는게.. 한국말도 한국인보다 더 적절하게 구사하시고 대단합니다~^^ 👏👏👏
@user-pl1yn2jn3s
@user-pl1yn2jn3s 5 ай бұрын
이런 분께 이중국적을 부여해야 하디 않을까요? 조선족이라는 얼토당토 않은 허접스런 뒹귁인 보다 엄청나게 훌륭한 인재를 보니 답답했던 가슴이 트입니다. 우리나라와 르완다간의 상호발전에 크게 기여하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yubiinsight
@yubiinsight 2 ай бұрын
조선족이 지리적으로나 규모면에서 한국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많이 주니 일부 조건이 충족되는 조선족에 한해 이중국적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선족 뿐 아니라 외국인에 대한 차별주의는 버려야 할 때 입니다. 저출생 시국에 외국인과 일자리 경제적 우위를 두고 경쟁해야하는건 피할수 없는 일이죠 조선족에게 무슨 악감정이 있는진 잘 모르겠습니다만 현명하게 생각하시길 바래요
@guadik6100
@guadik6100 6 ай бұрын
피스분이 한국의 출산정책을 책상에만 앉아 세금쓰는 한국 국개원들 보다 더 잘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해 주셨네요. 피스님이 말하는 한국에 대한 얘기 더 듣고 싶어요~~
@quhdbrtuebx
@quhdbrtuebx 6 ай бұрын
🤣🤣진짜네요
@vita5272
@vita5272 5 ай бұрын
댓글 잘 안다는데 진짜 깊은 통찰력이네요 외국인인데... 마을, 그리고 한글에 대한 생각의 깊이도 놀랍지만 그걸 말로 표현해내는 것도 놀라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마음 깊이 새겼으면 좋겠네요 😊
@R2D2v
@R2D2v 5 ай бұрын
우와 피스씨는 단순히 언어와 문화만을 습득한게 아니라 사회현상을 통찰하는 수준이라는게 놀랍고, 그 통찰력의 수준 또한 높다는게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짧은 영상이지만 르완다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바꾸기에는 부족하지 않은 영상이었습니다 피스씨 정말 감동입니다 당신이 만들어 갈 르완다가 기대되고, 꼭 가보고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rs7vx2io9d
@user-rs7vx2io9d 6 ай бұрын
한국어를 모국어처럼 하는 외국인에게 듣는 한글의 자부심.. 많은 나라들이 자국 언어로 모든 공부를 다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말이 굉장히 신선한 충격이네요. 너무 당연하게 누린 한글의 위대함 그리고 한국의 빠른 현대화에 대한 딜레마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서 정말 똑똑한 청년인 것 같아요. 미래에 아주 큰 일을 하시리라 믿습니다.
@user-ry5yr7uc3j
@user-ry5yr7uc3j 6 ай бұрын
딜레마가 우리말로 뭐죠? 알아도 문제 몰라도 문제네요 우리말로 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이러니 점점 우리말이 하나둘 설 자리를 잃죠 우리말로 길면 얼마나 길다고요 말로만 위대하다 하지 말고 우리말 좀 올바르게 애용 합시다 남의 거를 쓰는 게 당연시 되는 사회 분위기~ 반성해야 해요
@user-mo7bf3pl3g
@user-mo7bf3pl3g 6 ай бұрын
딜레마 = 진퇴양난 앞으로도 뒤로도 갈 수없는 곤란한 상황이죠
@user-rv6ck5cs4x
@user-rv6ck5cs4x 6 ай бұрын
​​@@user-ry5yr7uc3j그냥 한국의 빠른 현대화에 따른 혼란을(또는 부작용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서 라고 표현을 하던지, 한국의 빠른 현대화로 인해 놓치고 살았던 게 무엇인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고 표현하면 될 것 같아요.
@user-rs7vx2io9d
@user-rs7vx2io9d 6 ай бұрын
@@user-ry5yr7uc3j 네 우리말 쓰는 습관 있으면 좋지요 ^^ 근데 님이 쓰신 글에도 한자가 많이 보이네요 그건 순수 우리말인가요? ㅋㅋㅋ 애용(愛用) = 아이용 =즐겨 쓰다 , 습관(習慣) =시관 =익혀진 행동 방식, 위대(偉大)=위이다=업적이 뛰어나고 훌륭하다. 당연(當然)=당런=마땅히 그러하다 사회(社會)=쓰훼이=같은 무리끼리 이루는 집단, 반성(反省)=판쓰=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봄 남의 거를 쓰는 게 당연시 되는 사회 분위기~ 반성해야 해요
@lamb5683
@lamb5683 6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와 교류없이 사는 나라였으면 모를까 역사적으로 좋든 싫든 중국 일본 그 외 여러나라와 교류해왔고 점점 세계화 흐름 속에서 언어들이 섞이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과정입니다. 한자어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를 거처 일본어가 한국말에 섞여서 보편화된 단어도 많고요...한자어 안쓰고 순우리말로 대화한다면 사장된 단어들이 너무 많아 대화가 안될겁니다. 어쨌든 그렇게 언어가 요리조리 섞이면서 계속 신조어들이 형성되고 있는데 이제와서 영어를 쓰면 우리말 아니니 잘못된거고 한자어는 계속 써왔으니 사실상 우리말이고 괜찮은거다~란 생각은 편협한 시각이라고 봅니다. 콩글리쉬도 안쓰면 좋겠지만 우리네 일상 속에서 너무 보편화되어 쓰고 이해하니까 어쩔수 없죠. (예. 리모콘 알바 핸드폰 잠바 등등)
@aufrhd899
@aufrhd899 6 ай бұрын
피스... 한국말 정말 잘한다.. 완전 한국인 수준이다. 어휘력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부분까지도 완벽하다.
@hyoungwoopark1123
@hyoungwoopark1123 4 ай бұрын
피스님 뛰어난 통찰력에 놀랐습니다. 한수 배우고 갑니다. 예전 대학시절에 르완다 내전을 언론을 통해 접했던 기억이 있는데 끔찍했던 사건을 잘 극복하신 르완다 국민들도 대단하십니다. 아픈 과거가 있었던 만큼 앞으로는 번영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user-lw3xg4wt2x
@user-lw3xg4wt2x 5 ай бұрын
와... 피스씨 대단하십니다. 구사하는 한국어나 사고의 수준이 저 따위는 범접을 할 수 없을 정도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큰일 하시기 바랍니다.
@khd2010
@khd2010 5 ай бұрын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 잊고있던 말인대 외국인이 저런말을 하다니 돋보이네요.
@user-jv9qz1ev3f
@user-jv9qz1ev3f 3 ай бұрын
​@@khd2010옛날엔 밭일갈때 시어머니나 옆집 아주머니할머니 맡길데가 많았어요. 저어렸을때만 해도 시골이었는데 엄마 밭일가실땐 옆집에 많이 맡겨졌었지요 그런의미로말하는것같습니다
@dogma6
@dogma6 6 ай бұрын
와 진짜... 단순히 언어를 잘 하는 수준을 넘어서, 어떠한 사안에 대해 굉장히 깊은 본질을 읽을 줄 아는 분이네요... 진짜 대단하다..
@NEWEJEL
@NEWEJEL 6 ай бұрын
단순히 한국말만 잘하시는게 아니라 생각의 깊이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시는 모습에 감탄을 금치 못했습니다. 더군다나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만이 느끼거나 생각할 수 있을법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정말 멋진 분이시네요.
@Speedgun222
@Speedgun222 5 ай бұрын
너무 똑똑하다
@DSb-vn8qm
@DSb-vn8qm 4 ай бұрын
영어는 기본으로 해야 죠
@totohana07
@totohana07 4 ай бұрын
마을이야기 정말 인상깊네요. 정말 똑똑하시네요
@user-kg2pu1bu6k
@user-kg2pu1bu6k 5 ай бұрын
이분이야 말로 한국에 필요한 분인것 같아요 신세대을 따라만 가고있는데 옛정 건너마을 수저가 몇벌인것까지 알수있엇는데 지금은 누구도 믿을수 없는시대로 돌아가고 뒤돌아보니 옛날을 잊져버린고 ㅠ 결혼 아이 문제가 딱맞는 말이네요 더듣고싶습니다
@Mir7788
@Mir7788 5 ай бұрын
뭐.. 사람마다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저는 어르신들이 다 망쳤다고 생각합니다 잘못된 행동하는 하람 처벌하고 인간대우 안해줘야하는데 내새끼들은 피해라 아는척마라 나서지마라 하면서 망해갔어요 우리는 나서서 이야기하는 사람들 변화주려는사람들 이상하고 튀는 사람으로 사회분위기 조성한건 기성세대입니다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동네 사람이 당신 수저가 몇개인지까지 아는 세상에 살고 싶은거에요?
@Mir7788
@Mir7788 3 ай бұрын
@@sugarfree97 관심하고 사찰의 차이를 모르고 이따위로 댓글다는뽄세하며 프사 태극기??? 화이팅!!!!!!
@hotchoco3823
@hotchoco3823 5 ай бұрын
피스님 얘기를 듣다보니 머리를 망치로 2번 맞은 듯 하게 깨닫는게 있네요.. 내가 이래서 새로운 식견을 접하기 위해 외국사람들이랑 교류하는걸 좋아해요. 한국어에 대한 자부심과 저출산의 원인 중 하나를 또 알게 되었네요.
@user-gq1og1qu5m
@user-gq1og1qu5m 6 ай бұрын
이분이 지금 외국인들 나오는 프로그램에 나와야될것같은데
@dexterdog4976
@dexterdog4976 4 ай бұрын
그럼 그냥 재미만 있을듯~
@cayennepeppar9887
@cayennepeppar9887 6 ай бұрын
어떻게 한국인보다 한국의 문제점을 더 잘 알수가 있지 이런 청년이 정치를 해야합니다
@user-lo8pc9st1r
@user-lo8pc9st1r 4 ай бұрын
5분47초 "초보자라는 느낌..." 7분2초 "너만이 할 수 있는,,," 이런 내용의 전개,,, 정말 품격있는 인터뷰였습니다. 세상의 여행컨텐츠가 가야 할 방향입니다.
@user-wm1wl3zl9n
@user-wm1wl3zl9n 5 ай бұрын
감사 합니다 사라져버린 아름다운 우리 문화를 이야기 해주시니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깨끗한 거리를보며 질서를 잘 지키며 살아가는 이 나라에 박수를 보냅니다
@forcerecon812
@forcerecon812 6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분에게 한국을 배윘네요. 통찰력이 정말 대단하네요.한국인들이 잊고 살고있던 정, 마을, 한글의 위대함 잘 배우고갑니다.
@user-cc2tr6et2r
@user-cc2tr6et2r 6 ай бұрын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 . 76년생 아재입니다. 전적으로 피스님이 하신 말씀이 맞습니다. 동네 아이가 엇나가려 하면 동네 주민분들이 잡아주시고, 아이의 부모님에게 얘기해서 부모들도 아이의 엇나감을 질책하고 얘기해주신 분에게 고마워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반대인 상황이 되었지요. 편해진 물질 만능의 시대가 되었지만, 마음 한편으론 옛날에 삐삐를 쓰던 시대에서 멈춰졌으면 하는 바램도 있네요.
@user-uz6tg2md2e
@user-uz6tg2md2e 5 ай бұрын
76년 아재 투~~~ 공감합니다...^^7
@matthewkim1855
@matthewkim1855 5 ай бұрын
ㅇㅈ입니다 요즘은 얘가 그럴 수도 있지 얘 기죽게 왜그래욧! 심지어 학교 찾아가서 선생 폭행하고 전화 문자로 협박하고 난리죠
@honshin23
@honshin23 5 ай бұрын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여자 선생들이 많아 지면서 약간 개판됨. 매너 없는 애들을 제대로 잡아주질 못함. 거기다 개념 없는 학부모들도 많아졌고......
@user-ws7bm2je9y
@user-ws7bm2je9y 5 ай бұрын
죄송한데 엇나감이요..
@user-cc2tr6et2r
@user-cc2tr6et2r 5 ай бұрын
@@user-ws7bm2je9y 고쳤습니다. ㅎㅎ
@user-bq4pu8mj5v
@user-bq4pu8mj5v 5 ай бұрын
피스라는 분이 정말 똑똑해 보이네요..한국어도 정말 유창하게 하시고 통찰력까지 겸비한분이신 것 같네요.. 공동체의 역할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개인의 부담이 너무 커졌고 결혼, 육아가 너무 힘들어졌다... 공감됩니다..
@user-oy6kn6ff5y
@user-oy6kn6ff5y 5 ай бұрын
르완다가 저리 변했다니. 너무나 다행스럽네요. 과거 그 고통을 슬기롭게 넘긴듯 하네요. 부디 이러한 평화가 지속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길 바랍니다.
@MlWlM
@MlWlM 6 ай бұрын
단순히 언어만 잘 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의 문화와 민족의 정서까지 통찰하는 피스씨 너무 대단합니다. 고맙습니다.
@shs-wi1ws
@shs-wi1ws 6 ай бұрын
영어를 배우는 이유가 자기나라 언어로 다 표현을 못해서인데 한글은 모든 표현이 된다는 말 한번도 생각 안해 봤는데 이분 대단하네요
@yanggungg
@yanggungg 6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 사정을 모르니 한국인은 절대 못할 생각이긴 하죠
@cooleri800
@cooleri800 5 ай бұрын
어떤 여행유튜브분이 한말이 기억나네요 여러 많은 나라를 여행해보고 나니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걸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 근데 우물안에 개구리들은 헬조선이라고 하지요.
@abulpayeon
@abulpayeon 5 ай бұрын
와 정말 훌륭한 통찰력이네요.. 배운 사람이란게 티가 나요. 이런 타자의 시각을 접할 수 있게 해줘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user-lm2tt3kw2k
@user-lm2tt3kw2k 4 ай бұрын
대단하단 말박에 안나오네요... 이영상이 널리퍼졌으면하며 특히 고위층들이 볼수있음합니다.
@zeranimo68
@zeranimo68 6 ай бұрын
진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덤덤하게 들려주시는 르완다 친구분. 대단 합니다.
@user-fv8xm1sx1k
@user-fv8xm1sx1k 6 ай бұрын
피스님 굉장한 통찰력이시네요. 우린 개인주의와 도시화가 되면서 그런 장점들이 사라지긴 했죠 근데 한번 시작되면 돌아가긴 어려운거 같아요. 매우 어려운 문제인듯
@resssa
@resssa 5 ай бұрын
르완다를 위해 계속 기도해왔던 사람입니다 이나라가 아프리카땅의 희망으로 설수있는 현장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VintageXO79
@VintageXO79 5 ай бұрын
진짜 날카롭네요. 주어 목적어 없이 말이 되는게 한국어 같아요 ㅋ 근데 진짜 한국어 정말 잘하시네요. 완전 글로벌 인재! 말 한마디 한마디에 생각의 깊이가 느껴집니다.
@user-px3po8zk8p
@user-px3po8zk8p 6 ай бұрын
한국인보다 객관적으로 인구문제의 해답을 알고 계시네요. 한국에 대한 애정이 있으신 분이시네요. 감사합니다.
@SongGarham
@SongGarham 6 ай бұрын
단순하게 한국말만 잘하는게 아니라 사회를 통찰하고 있어서 놀랬습니다.. 너무 지극히 개인에게 모든걸 다 맡기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어요..
@user-xs1ku8lv1e
@user-xs1ku8lv1e 6 ай бұрын
비정상회담이 있다면 추천하고 싶은 사람이네요
@dustfromtheuniv
@dustfromtheuniv 6 ай бұрын
엄청나게 야무지고 똑똑하신 분이네요. 그완다에서 인재로 성장하실 분이라 생각됩니다.
@seanpark9970
@seanpark9970 4 ай бұрын
피스씨의 한국사회에 대한 통찰이 너무 놀랍습니다. 한국에 온 외국인들이 한국에는 이제 정이 없다고 말하는데 마을이 없어진 점이 큰 영향을 끼쳤네요.
@ljm8901
@ljm8901 5 ай бұрын
4개국어에다가 생각의 깊이에 나름의 통찰력. 저 르완다친구는 큰일을 할 수 있는 많은 잠재력을 가진 친구같다.
@user-xz9pd7gp5p
@user-xz9pd7gp5p 6 ай бұрын
깜짝 놀랐네요 우리나라 문제점을 정확히 말해주는 부분 뼈를 때림니다 좋은 영상 고마워요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6 ай бұрын
ㄱ그렇죠.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들 중 백인들만 조우할게ㅡ아니라ㅡ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을 편견없이ㅡ대해야 하는 이유.. 겉모습으로만 다가가면 안됨.
@user-bv9bx6mn4j
@user-bv9bx6mn4j 6 ай бұрын
피스군 정말 한국말 잘 하시고 한국의 속내까지도 정확히 알고있는 똑똑한 친구네요 저는 70여년을 한국에서 살아온 노인 임에도 미처 깨닫지 못했던 우리 한글의 편리함과 우수함을 일깨워주고,특히 급속한 현대화로 인해 우리가 잃어버린 가문과 마을이라는 공동체의역활에 대해 뼈저린 반성하고 꼭 다시금 살려 내야만 하는 책임의식을 일깨워 줘서 정말 감사 드립니다
@freeze8490
@freeze8490 5 ай бұрын
와.. 깊이생각하게 만드네요.. 피스님같은 이런 재능들을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환경을 우리 모두가 만들어야 합니다.
@user-cu2ue8kw8o
@user-cu2ue8kw8o 5 ай бұрын
피스 정말 멋져요. 생각이 깊은 청년입니다. 르완다에 대해서 첨 알아요.
@SNIPER-XYZ
@SNIPER-XYZ 6 ай бұрын
이분 완전 엘리트네요. 발음도 좋고. 마을 얘기도 공감이 됩니다. 외국인이라서 한국인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더 예리하게 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gmoc33
@gmoc33 6 ай бұрын
통찰력이 대단하네요. 한국어로 전문공부를 할 수 있는 것이 감사하고 애들을 동네사람이 함께 키우는 전통을 유지하라는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sfc7434
@sfc7434 4 ай бұрын
모든 학문을 모국어로 할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다는것을 또 이렇게 테디님과 피스님을 통해 간접적으로 깨닫고 갑니다. 이래서 견문이 중요한거네요.
@user-vc3ej8px7m
@user-vc3ej8px7m 5 ай бұрын
마을이 빠졌다는 말 너무 공감합니다..우리나라 사람도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피스님이 아시다니~!.대단하십니다..
@ch-pe6gp
@ch-pe6gp 6 ай бұрын
맞는말이에요 개인화되고 이기적으로 변했고 경쟁에 지쳐가고 있어요 같이 해야하는데 혼자 떠안고 가려니 힘이 들고 고달픕니다 한국은 과거의 어디쯤인가로 다시 돌아가야할듯 합니다 잃어버린게 많아요
@user-ds9nv3pj5t
@user-ds9nv3pj5t 6 ай бұрын
우와 똑똑한 데다 인간미도 있고 배울 점이 많은 르완다 청년이네요. 피스의 삶을 응원하겠습니다.~
@user-nf9it4jl6x
@user-nf9it4jl6x 5 ай бұрын
'피스'라는 친구... 아주 통찰력이 있는 친구이군요. 한국인도 잘 인식을 하지 못 하는 부분을 외국인인 피스가 정확하게 알고 있다니... 멋진 친구입니다.
@jinnypark9855
@jinnypark9855 5 ай бұрын
우리가 관심갖지 않고 알려지지 않아 몰랐던 나라인 르완다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것도 흥미롭지만 피스의 말이 요즘 제가 느끼는 부분과 일맥상통해서 영상을 몰입해서 봤어요 우리나라의 정서를 너무 잘 이해하고 계셔서 한국어 실력만큼 감정적인 센스도 남다르신 것 같아 놀랐어요 기술과 미디어가 발달하고 급격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우리의 고유한 정서들이 많이 퇴색한 건 사실이죠 ㅜㅜ 마을 공동체는 꼭 회복 되어서 아이들과 어른들 사이의 유대감과 신뢰감이 회복되었으면 좋겠어요 르완다도 도시화가 되어가지만 지킬 건 지킨다고 말씀하셨는데 공동체 안에서 끈끈함을 느끼며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자란 세대들이 그 문화를 유지하려고 하는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 것 같아요..우리는 왜 그런 유대감을 잃어가고 있는지 같이 얘기나눠보고 싶은 주제예요..
@muinarbiv2892
@muinarbiv2892 6 ай бұрын
마을이 없어졌다는 표현에서 감탄했습니다. 저도 동네 친구들과 지내고, 부모님 늦으면 친구 집에서 신세지는 식으로 보냈던 게 이 영상을 보면서 떠올랐네요.
@anava5726
@anava5726 6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자란거같아요.. 그러고보니 요즘은..
@user-nb7tc1ng4w
@user-nb7tc1ng4w 5 ай бұрын
​@@anava5726요즘은 맘커뮤에서 욕하느라 난리에요. 내애친구면 같이챙겨줄법한데 피해라고생각하는 사람이 반이더군요 깜짝놀램😅
@user-vd1tg3jb3o
@user-vd1tg3jb3o 5 ай бұрын
맞아요 어릴때 부모님 맞벌이셨고 라이딩 이런거 없이 알아서 학원가고 동네 친구네 집가서 놀고 놀이터에서 놀고 엄마가 차려두신 밥 먹고 가끔 친구네 집에서 밥 먹고 간식먹고 다들 그렇게 컸었네요.
@user-qe8sw9xj7o
@user-qe8sw9xj7o 5 ай бұрын
@@user-nb7tc1ng4w 특정 집단을 까내리는것도 좋지 않는 습관입니다... 어디든지 나쁜 사람은 존재하는데 , 맘뮤를 콕찝어 얘기하는건 아닌듯요.
@timekim7194
@timekim7194 6 ай бұрын
진짜 100% 공감 가는 이야기네요.^^ 한국말 진짜 잘하세요.^^
@TeddyTravelog
@TeddyTravelog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노력하고 있어요 :)
@KKK112k
@KKK112k 5 ай бұрын
피스 정말 대단하신분 같네요 생각자체가 우리랑 다른,,
@user-id4ts3nz3z
@user-id4ts3nz3z 5 ай бұрын
피스의 마을 이야기를 들으니, 잊고 있던 풍습이 기억나네요, 우리나라도 대가족 시대에 결혼, 돌잔치, 환갑등 마을잔치여서 이웃사촌들이 준비도 도와주고 음식도 같이 하면서 나눴는데 핵가족되면서 그런 풍습이 자연스레 없어지고 부부 가족들만의 부담으로 바뀌긴했네요 잊고 있었네요. 좋은 말입니다. 아이들도 늘 마을에서 흙을 밣고 땀흘리고 뛰어다니며, 자연스런 질병에 대한 면역성도 생겼고 체력도 좋았으며, 어린이는 어린이 다웠는데 요즘 아이들은 방과 후, 사교육으로 공부와 지내며. 뛰어노는건 의미없는 시간으로 인식되었네요. 인생의 공부가 전부가 아니라는 말이 이제는 무색해졌네요. 이웃사촌끼리 아이가 혼자 남게되면 맡아주고 그랬는데... 지금은 개인주의가 강해졌네요.
@user-fy3jf7je9k
@user-fy3jf7je9k 6 ай бұрын
지구반대편 어디에 붙어있는지도 모르는곳의 청년이 우리나라를 정확히 진단하는 사유의 깊이가 정말 대단하다
@shkang8058
@shkang8058 6 ай бұрын
한번도 생각 해 본 적도 없는 말이네요. 자기나라 언어로 공부할 수 있는게 축복이다. 당연히 공부는 자기 나라 모국어로 한다고 생각 했는데.
@user-vx7ie2mr1o
@user-vx7ie2mr1o 5 ай бұрын
와... 한국말 진심으로 잘한다. 감정까지 전달할줄 아네...ㄷㄷ 그리고 아이를 키울때 마을의 역할까지...ㄷㄷ 우리도 예전엔 그랬지...마을사람들 동네사람들이 다 키워주고...
@hohokim8306
@hohokim8306 5 ай бұрын
한글의 놀라운 이야기라고 해서 영상보다가 한국어와 한글의 차이를 착각하나 생각했다가 학문적으로 한글이 없었다면 정말 우리나라가 이렇게 빠르게 선진국이 되었을까란 생각을 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조선왕조 500년 역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한글이 만들어진것만으로도 높게 평가 하고 싶어진다. 영상 잘봤습니다. 르완다라는 나라는 정말 관심밖이었는데 의외로 참 좋은점이 많은 나라네요!!
@jalnaoneunbolpen
@jalnaoneunbolpen 6 ай бұрын
7:20 이분 천재인가요??? 결혼, 출산율이 저조한 이유중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 하는 이유를 바로 짚으시네... 그러게요..마을이 키워야 되는데 개인에게 가정에게 넘기니까 가정이 감당 못하니 출산율이 저조할수 밖에... 가정이 보호 하지 못하더라도 양육해 줄수 있는 복지시스템이 되어 있어야 되는데 정부 정책은 가정보호위주로 하니..... 암튼 한국어의 위대함도 알려주시고 저출산 문제도 콕 짚어주는 대단한 분이네요....
@user-dd1xj3ku9l
@user-dd1xj3ku9l 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 이 개념중의 하나가 같은 마을 내 동네아이들의 놀이에도 포함됩니다. 놀이를 통해서 여러 인간관계를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협력과 양보, 헌신과 건전한 경쟁등등...우리가 쓸데없다고 여기는 것들에 참 많은 의미가 담겨있었지요 이런 인간관계의 원리들을 놀이를 통해 배워나가야 하는데...어릴적부터 학원에 끌려가 지식만 흡수당하니 나만 아는 이기적인 고등생물로 키워지는 겁니다.
@QjzldwjstprPtlqkffjaemfdk
@QjzldwjstprPtlqkffjaemfdk 3 ай бұрын
와 피스님, 식견도 넓고 엄청 똑똑하신분... 마음을 울리는 조언이네요
@user-iu1ky2ee8e
@user-iu1ky2ee8e 5 ай бұрын
의외로 깨끗해서 놀람..선입견이 무섭다는걸 다시한번 깨닫게됨
@zzauzzau51
@zzauzzau51 5 ай бұрын
와 인물이다...사고수준이 어마어마하네요,,,르완다를 이끌어갈 사람이네요...
@user-th2cr2rs4r
@user-th2cr2rs4r 6 ай бұрын
르완다 분으로부터 많이 배웠습니다.
@user-ed9si2iz7v
@user-ed9si2iz7v 5 ай бұрын
눈물나네요 엄청난 깨달음 한글과 마을 대박 존경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건강하시고 또 건강하십쇼!
@user-be1il1hr1y
@user-be1il1hr1y 5 ай бұрын
진짜 자부심을 주는 좋은 말을 들려주네요. 한국인인게 자랑스럽네요. 좋은친구를 두셨네요.
@clauselan
@clauselan 6 ай бұрын
와.. 저 친구의 말은 어록으로 삼아도 될 듯.. 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해서 한국인보다 뛰어난 통찰력을 가진 가진 청년입니다.
@assff311
@assff311 6 ай бұрын
단순히 언어만 잘하는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된 문화까지 이해를 한다는게 참 대단합니다. 앞으로 르완다를 이끌어나갈 멋진분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qk8px3ou5h
@user-qk8px3ou5h 5 ай бұрын
생각지 못한 부분들을 들었네요. 르완다친구분의 솔직하고 좋은 얘기들 고맙습니다 ^^
@e-ditor
@e-ditor 5 ай бұрын
한국을 문제를 적확히 짚어주네요 굉장히 스마트한 사람❤️
@user-ll1ck7et2j
@user-ll1ck7et2j 6 ай бұрын
아 정말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던 거네요 한글로 박사과정까지 마칠 수 있다는 게 장점인줄은 몰랐네요!! 그리고 이런 저런 한국에 대한 이야기들은 정말 흘려들을 수 없는 말들이네요~ 피스님 멋지네요~~👍👍👍
@bastianse5754
@bastianse5754 6 ай бұрын
그런 측면은 일본이 진짜 완벽하죠ㅎㅎ
@user-ts2os9id4d
@user-ts2os9id4d 6 ай бұрын
언젠가부터 한글보다 영어를 중시하게 된 우리나라 상황이 늘 안타까웠는데 좀더 한글에 대한 자부심과 소중함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giftu2625
@giftu2625 5 ай бұрын
피스라는 분 똑똑하기도 한데 참 철학적 사고가 깊네요. 마을이 없어졌다는 한국의 문화도 잘알고... 대단 하네요.
@asomine
@asomine 4 ай бұрын
우와 피스님 통찰력 감탄스럽습니다. 이런분들이 세상에 많아져야 하는데
@user-tz3lh9bn5v
@user-tz3lh9bn5v 6 ай бұрын
정말 똑똑하고 배울점이 많은 친구네요. 인재입니다
@leedo6856
@leedo6856 6 ай бұрын
피스와의 대화를 많이 해 보시고 올려 보세요. 우리가 간과하고 사는 부분들을 많이 느낀 친구네요, 객관성이 있어, 우리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아요.
@user-hv5gn1tj6k
@user-hv5gn1tj6k 6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피스가 느끼는 더 장려해야 할 한국문화 이런 주제 등등
@user-ci7lm4vo9g
@user-ci7lm4vo9g 5 ай бұрын
피스라는 저 분 정말 똑똑한 사람이네요. 언어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국민성까지 파악해서 말해주는게 보통이 아니네요
@user-tf5jb3dl6o
@user-tf5jb3dl6o 5 ай бұрын
한국인으로써 아프리카 분에게 한국의 없어진, 부족한 부분을 들었습니다. 이런 진실된 이야기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e6kw8vs9q
@user-ie6kw8vs9q 6 ай бұрын
와 그친구 엄청 똑똑하네...우리문롸의 문제점을 아주 정확하게 말씀해 주시네. ..아주 의외 입니다.
@kimchiman5
@kimchiman5 6 ай бұрын
정말 똑똑하신 분이네요 한국이 가족이라는게 삭제된 나라예요 그러니 개인이 아이를 키우려니 힘들어서 안낳으려 하죠 요즘 동네에서 인사하고 다니는 아이가 없어요 저는 어릴때 어른보면 무조건 인사하라 배웠는데.. 너무 개인주의로 변하면서 그런 인사 문화가 사라져서 안타까워요 제가 어릴때 맛있는 음식 하면 엄마심부름으로 옆집 주고 옆집 아주머니는 접시 주시면서 또 맛있는거 우리집에 주시고 지나가다 이웃한테 인사하면 맛난거 사먹으라고 용돈 천원씩 주시고 다같이 함께 살던 어린시절이 그립네요
@oneday_question
@oneday_question 5 ай бұрын
영상을 라디오처럼 들었는데 현지인 수준의 한국어 능력이 대단해 보입니다. 한국의 문제점을 지적해준 부분도 깊이 생각해볼만한 생각이네요.
@lalala6298
@lalala6298 2 ай бұрын
피스.. 너무 멋진 사람입니다.. 어느곳에서나 충실하게 열심히 살아가는 당신 👍.. 나도 저런 친구 만나고 싶다 ^^*.. 세상엔 참 훌륭한 인성을 가진 사람이 많아요.. 오늘도 한수 배우고 갑니다.. 르완다에서 성공하고 행복하세요❣️
@nupttics
@nupttics 6 ай бұрын
와, 이 친구 통찰력 대단하네요. 언어 습득 능력도 대단하지만 현상에 대한 이해력이 상당하네요. 맞아요. 온마을이 아이를 키웠는데 이제는 개인이 그걸 다 해내야 하니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 수밖에요. 거기다 비교 하면서 욕심만 그득하게 가지고 있으니 더 갈등이 생기는 거죠. 형제들과 같이 자라면서 싸우면서 갈등을 해결하는, 상대를 인정하고 포기할 건 포기하는 걸 배우고 친구들과 몸으로 부딪히며 밖에서 놀고 싸우며 인간관계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사라져 버렸죠. 그러다보니 온라인상에서 온갖 욕설이나 비아냥대는 말투로 싸우자 식으로 글을 쓰면서 어울림에 대해 깨닫고 익힐 기회도 없어져 버렸죠.
@user-ql6bt9ol7v
@user-ql6bt9ol7v 6 ай бұрын
피스의 마을론~ 정말 맞는말이고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피스라는 저사람 아프리카의 인재네요
@NOBLE_FOREST
@NOBLE_FOREST 5 ай бұрын
피스님, 정말 좋은 말씀 해주셨네요~~ 느끼고 있지만 깨닫지 못했던 부분들을 잘 짚어주셨어요~
@eastland215
@eastland215 5 ай бұрын
유익한 방송입니다❤❤❤
@user-uc4of3nf3d
@user-uc4of3nf3d 6 ай бұрын
와,, 이분이 한국사회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핵심에 대한 엄청나게 중요한 얘기했습니다. 마을이 키운다. 한국인은 다 개인이 부담하고 잇다. 그게 대한민국의 초저결혼, 출산에 대한 핵심 문제입니다.
@anava5726
@anava5726 6 ай бұрын
유일한 해결책일수도 있겠다 싶어요
@user-ii1ql7dt9k
@user-ii1ql7dt9k 6 ай бұрын
와.... 정말, 처음 보는 외국인에게 이렇게 호감가는건 처음 입니다. 피스는 한국인 보다 더 한국을 아끼는 사람이다. 우리가 잊고 살던 기억을 일깨워 줘서 고맙습니다.
@hunterjoe6062
@hunterjoe6062 3 ай бұрын
자국어로 공부할수있다는건 복이다라는 말을 듣는 순간, 나의 좁은 사고가 확 열린 느낌...정말로.. 땡큐! 피스씨!
@user-pq9yi5hg6k
@user-pq9yi5hg6k 4 ай бұрын
와. 정말 한국어를 잘 하네요. 꼭 성공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user-fb6nx4hw3c
@user-fb6nx4hw3c 5 ай бұрын
와.. 육아중인데. 마을이 하던일을 부부나 개인에게 맡긴다는 말 듣고. 소름.. 진짜 외국인인 저런분석을 할 수 있다니. 대단하네요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내 아이의 육아가 내 가정의 일이 아니라 마을이 하던 일이라고요? 끔찍한 소리를 하네요.
@malfunction4117
@malfunction4117 3 ай бұрын
직접적으로 마을이 키운다기 보다 중의적으로 표현을 한거죠 공동체가 사라졌다는 얘기
@core9307
@core9307 Ай бұрын
@@sugarfree97 가정일이 아니라는 말은 영상에서도 윗댓글에서도 그어디에도 없는데 어떻게 지어내서 해석을 하시는지 이해력이 조금 끔찍한것 같아요
@sugarfree97
@sugarfree97 Ай бұрын
@@core9307 육아 중인데 마을이 하던 일을 부부나 개인에게 맡긴다는 말 듣고 소름이 끼쳤다고 했죠. 육아는 원래 가족의 일입니다. 마을이 육아를 한 역사는 한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프리카와는 역사적 전통이 다릅니다. 아프리카는 근대까지도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부족 단위의 체제였기 때문에 마을 공동체가 국가의 기능을 해왔지만. 한국사는 전통적으로 부족이 아닌 가족 친족이 모여서 국가를 이루는 체제입니다. 근본적으로 우리와는 전통이 달라요. 한국사에서 언제 마을 단위로 육아를 했습니까? 그런 적 자체가 없습니다. 아이를 낳으면 친족이 함께 보살폈지 마을이 대신 보살피는 전통은 존재한 적이 없습니다.
@core9307
@core9307 Ай бұрын
@@sugarfree97 영상을 제대로 보신것 맞죠? 아직도 주제에대해서 이해를 제대로 못하신것 같아서 답변을 못드리겠네요 스스로 생각하시는대로 살아가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dundi7
@dundi7 6 ай бұрын
친구분의 한국 사회를 보는 통찰력이 대단하십니다. 발전이라는 슬로건 아래, 소중한 우리 것을 너무 많이 던져버린 시간이 아쉽기도 하지만, 천천히 과거를 뒤 돌아보며, 역사.철학적 성찰의 시대를 보내고 나면, 우리 것에 소중함과 더욱 나은 사회가 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eugenejung7067
@eugenejung7067 5 ай бұрын
와..르완다 영상 처음 보는데 너무 깨끗하네요. 왠지 아프리카는 무서운 느낌이 강한데 너무 좋은 느낌이네요 그리고 새로운 견해 고맙습니다. 한국어로 공부를 할 수 있다는게 대단하다는 걸 깨닫게되네요
@ishejaharrxbrave0196
@ishejaharrxbrave0196 4 ай бұрын
You should right Rwanda in KZbin so many vloggers come to Rwanda there's alot of it I am watching this video from another vlogger who met him but I don't understand Korean so you should watch other videos about Rwanda in English or French
@user-zx6xc9dx5n
@user-zx6xc9dx5n 3 ай бұрын
우리도 옛날에는 마을이 있어 모든 일을 상부상조하며 마을에서 관장했습니다. 정확한 지적 감사합니다.
@fullspace887
@fullspace887 6 ай бұрын
여행기 중에서 가장 현명하고 가슴에 닿은 지혜로운 통찰(INSIGHT)를 느꼈다.. 외국인이 한국에 대하여 정곡을 찌르는 말을 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한국에서 사시면 좋겠네요...
@lifebon
@lifebon 6 ай бұрын
와.... 마을이 아이를 키운다는 말이 참 와닿네요. 어렸을적 시골에서 살때는 동네 아이들 집에도 자주 놀러가고 밥도 먹고 놀기도하고 자유로웠는데. 아파트는 모든걸 다 외주로하게 만들었네요. 언어도 뛰어나신데 통찰력이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totohana07
@totohana07 4 ай бұрын
80년대까지만해도 단독주택에 많이 살아서 동네애들하고 놀러다니고 그랬는데 아파트가 모든걸 바꿔버리긴했죠
@indiank6
@indiank6 5 ай бұрын
테디형.오래간만이네요. 못본영상 빨리 따라잡을께요. 화이팅.
@namenick2469
@namenick2469 4 ай бұрын
언어를 정말 색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리고 한국의 저출산에 관한 분석이 정말 탁월하다고 생각해요. 더 많은 한국사람들이 이 영상을 본다면 좋겠네요.
통역할때 한국어가 찐 레전드라는 러시아 동시통역사
9:18
크리스 이슈 Kris Issue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17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Osman Kalyoncu Sonu Üzücü Saddest Videos Dream Engine 170 #shorts
00:27
제일 잘 사는 게 이 정도라고?
11:20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639 М.
고구려의 후예? 라후족 마을에 한국인이 가면 생기는 일
27:22
아프리카인이 한국에서 받은 문화 충격들
19:22
파비앙 Fabien Yoon
Рет қаралды 295 М.
Do you know that there are many crooks in Turkey? Be careful
11:10
테디여행기 TeddyTravelogue
Рет қаралды 327 М.
(ENG) 193cm 한국인 네덜란드에 가면 생기는 일 🇳🇱
6:09
청춘이다 One’s Youth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