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프로를 보고 현재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에 살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느꼈어요
@신호훈-y3j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사 잘배워 갑니다
@Justdoit.89 Жыл бұрын
이걸 보면서 한국이란 나라는 정말 빠르게 발전했지만, 또 그만큼 발전에 더뎠다는걸 느낀다. 1800년대에 영국은 이미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던 시대였다니 너무 놀랍다..
@발락-u3h2 жыл бұрын
연두색 핑크색 있는 분들 리액션이 10분동안 같은게 킬포임ㅋㄹㅋㄹㄹㅋㄹㅋㄹㅋ
@김서연-t7r4n2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벌거벗은 세계사 많이 해주시길 바라고 제가 고2때 세계사 수업을 했었어요^^
@Exclamationmarkss Жыл бұрын
혁명 당시 혁명을 겪는 대부분의 인간은 가장 불행합니다. 그 이유는 기존의 믿음을 다 저버려야 하는데요. 추후 자손들은 이게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종백한2 жыл бұрын
특허개념이 없을때 영국은 유럽전체 에 특허를 국가에서 책임을 져주니까 인재들이 몰리지
@Dinogreen72 жыл бұрын
제 2채 산업에는 제조업,건설업,광업 등이 포함된다
@jmh14672 жыл бұрын
울나라도 박통이 집권후 산업국가로 변화를 꾀할때 방직공장을 많이 햇엇음 이게 일단 사람을 많이 고용할수잇기때문에 우리고향에서 가까운곳에도 엄청큰 방직공장이 잇엇는데 여자애들 초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취직들 많이 햇어음 공장에 중고등학교가 같이 잇어서 말그대로 배우면서 일한거지 그러다 산업이 고도와되면서 다없어졋지 그때 공장자리엔 백화점하고 초고층아파트들이 들어섯고 그때 거기 다니던 아가씨들 오십대 육십대됏구만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우리누님들 제가 잘해 드릴게요 세상에서 모두 너그러운 나눔만 있기를 여자때리지 말기 1818
@Dinogreen72 жыл бұрын
제 1차 산업은 자연을 사용하느는것
@Dinogreen72 жыл бұрын
제 2차 산업은 공업이라고 볼수있다
@ehs46172 жыл бұрын
저는 은지원 좋은데요. 질문이나 대답이 기발하달까! 엉뚱한 질문이나 대답이 재미있기도 하구요. 역사에 지식이 많은 사람만 이런 프로에 출연하면 저는 학교 수업시간 느낌이 들어서 지루하고 오히려 재미 없을 것같아요.
@jppj18646 ай бұрын
과학혁명 얘기도 나와야 될텐데 설명이 1차원적이구만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착취와ㅜ학대는 나쁘지만 공장에서 아이스크림 만드는 영상을 보면 마냥행복하다 공장에서 컴퓨터로 그후에는
@이재문-p6r2 ай бұрын
강사님 성함이 뭐예요
@Dinogreen72 жыл бұрын
영국이 산업혁명을 먼저 이루었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우리나라 재벌들 자손중 골때리는 새끼들 여럿있을텐데
@kko44372 жыл бұрын
00:18:09
@o대영제국o갓본o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산전 수전 다격은 영국은 현재 금융국가루 발전 하게됩니다 영국이 진짜 똑똑한거임 세계에서 제일 똑똑한 인재들과 0.01%부자들이 영국에 계속해서 모여들고있다는건 다 이유가 있겠죠
@베르너는놔두라고2 жыл бұрын
ㅋㅋㅋ프로필 뭔 영국 대변인임? 영국이 금융국가로 성장한 건 북미와 영연방의 산업 발달 성향이 유럽과 아시아랑 다른 것도 있고 제조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중화학 발달에 빨리 옮겨가지 못한 이유가 있음. 그렇게 잘난 국가였으면 미국, 중국, 일본 바로 뒤에 있어야지
@joywest Жыл бұрын
아이고 남의나라에 빨대꽂아 이룬 나라 뭘 똑똑해 공부 하고 오세요~
@Fuck194-o9v Жыл бұрын
유럽은 독일이지 ㅋㅋㅋㅋ
@smlee51329 ай бұрын
빨대 꽂은것도 그당시에 선점을 잘한거죠...대영제국은 달리 나온말은 아님@@joywest
@b2loved834 ай бұрын
지금 영국 개박살나는 중인데... 물론 한국도 윤석열 같은 머저리 뽑아놔서 비슷한 처지이긴 하지만.
@Dinogreen72 жыл бұрын
미래에는 기계(로봇)들이 사람의 일자리를 차지한다
@joo74542 жыл бұрын
저런 환경에서 자식을 셋이나 잃었으니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비판할 만도 했네...
@나는나다-d7j2 жыл бұрын
아 모짜르트는 진짜ㅋㅋㅋ 최고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잭리퍼의 심리를 보자면 저런 하층민을 학대하는 심리인데 분명 가지고배부른 기업의 손자로금수저 저런 질병이나 환경을 보고하층민을 혐오하는 마치 일본에서 우리민족을 몰아가는심리네
@답글달아도안읽음6 ай бұрын
썸네일 장성규 닮았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나쁜기록물들은 1초 이내로 제한하라
@파주스텝스윙2 жыл бұрын
지금 북한이 슬럼가임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1700년대라 우리나라가 망한 이유는 장영실을 무시한대가다
@hewonlee52326 ай бұрын
그리고 그 기계들은 제1차 세계대전에 쓰이면서 천만을 죽였다.
@DiamondBlue-e4y3 ай бұрын
@@hewonlee5232 1차대전에서 일본이 떼돈을 벌었지.... 멀리 있으면서 중요 산업기계니 머니 다 팔아먹었으니.... 이때 이미 일본이 5대 강국으로 떠올랐고...... 일본 밑의 조선도 호경기로 돈 좀 벌었었다는군........ㅎㅎㅎㅎ
@hewonlee52323 ай бұрын
@@DiamondBlue-e4y 다이쇼 데모크라시, 저도 잘 압니다.
@teddybear-g4k2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이야 말로 인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벤트였습니다. 강의에서는 산업혁명의 어두운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이쥬인시게오-t7g2 жыл бұрын
프라이 남매가 생각나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현실과 환상 중강에는 환장이 있구만
@yyhj51372 жыл бұрын
유럽에서만 만악의 근원이였던 영국이 범지구적 만악의 근원이 된 사건.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다른인간을 학대하려고 하면 패버려라 다 ㅃ9ㅅ어와 세상 어느누구도 착하냐 모두가 모두를 학대하라 모두가 모두를 공평등 착취하라 서로가 서로를 착취하라
@TV-cc1sb2 жыл бұрын
나방이 진화된 것이 아닙니다. 진화는 그렇게 단시일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기존의 나방이 다른 곳으로 가고 검은나방이 날아든 거죠!
@을지이도2 жыл бұрын
진화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습니다. 어떤 개체의 기능이 변화되는 것이 진화가 아니고, 자연선택과 돌연변이가 섞여서 자연에 더 잘 적응하는 종이 살아남는 것을 진화라고 합니다. 런던 자작나무의 검은 나방은 자연선택의 전형적인 진화입니다.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대에도 덩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포유류도 존재했습니다. 지구 환경의 대변화로 덩치 큰 공룡은 모두 없어졌지만, 덩치가 작은 포유류는 살아남아 지배종이 된 것입니다. 21세기 지구환경에 살아 남아있는 현재의 모든 종은 이런 진화의 결과물입니다.
@TV-cc1sb2 жыл бұрын
@@을지이도 그것은 생태계의 변화이지 진화가 아닙니다. 진화는 종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을지이도2 жыл бұрын
@@TV-cc1sb 종은 원래 변하지 않지만, 가끔 돌연변이에 의해 조금 변하기도 합니다.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의 상호작용으로 종이 변화가 생긴 것처럼 보이는 것이 진화의 개념입니다. 최소한 학자들이 합의한 진화의 개념 자체를 왜곡하면 안 됩니다.
@TV-cc1sb2 жыл бұрын
@@을지이도 종의 돌연변이는 퇴보한 것이고 얼마 안있어서 소멸됩니다. 세대를 잊지 못하는 거죠! 돌연변이를 진화의 개념속에 넣는 학자들은 거의없습니다. 돌연변이는 세대를 잊지 못하므로 진화로 볼 수 없다는 학자들이 더 많습니다.
@jungrylls74952 жыл бұрын
호모 사피엔스가 현생 인류들의 마지막 돌연변이인데요?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옷도 좋은거만 골라서 가지고 지금 옷때문에 자연재해다 영국에서 여러가지.수출하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면은 수입한 후에 제직한거니까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인간이.대단한거는 저런 먼지도적응한다는거 결핵이 연탄이랑 연관있는거겠지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1818년도에 카메라로 화재를 녹화할리 있나 감독관아 먼저타야하는데 완전 세월호네
@금강이조은2 жыл бұрын
증기로가는 버스인가 프랑스영화 house of tolerance 2016인가 보면 가진것들이 하는잔혹한 행동에대한 복수가
@Arthur-i1k4n Жыл бұрын
아서 모건 때문에 결핵 검색 하다가 여기까지 왔네
@오한남-k2c2 жыл бұрын
수력 방적기는 영국이 아닌 중국에서 먼저 만든거 같아요. 다만 중국이 수력 방적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거고요. 인구가 하도 많다 보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