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향 대박 9운터 남측 고산이 있어야 함 도로는 동서가 유리함 東出西流 혹은 西出東流 5가구 이상 각종규제가 다르니 미만으로 년면적에 주의 년차벌 아니면 분할하여 멍의가 다른 사람으로 하면 규제를 피할수 있으나 가도면 갖고 분양하면 분할이 되니까 개발에 투자해봐야 큰부가가치가 없을것으로 사료 됭 대박나세요
@고봉기-x4e4 жыл бұрын
항상 값진 영상 감사합니다 ^^
@방학훈남3 жыл бұрын
근데 영상 찍은지 10개월이 지났는데도 삼각형으로 짓겠다는 모델하우스는 어찌된건지 아직도 무성한 풀밭입니다...글구 맨위쪽에 지어진 전원주택들 다 남향으로 지어져 있던데요..그들은 왜 뷰를 포기하고 향을 택했을까요?
@gfauction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굿프렌드입니다. 다시봐도 잘 낙찰 받은 땅입니다 이 땅에는 숨겨진 호재가 많은데요 여러분은 어떤점을 보셨나요? 앞으로의 미래가 정말 궁금합니다. 원장님이 말씀하신 수익률과 그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응원 부탁드립니다. 남은 연휴 잘 마무리 하세요 감사합니다.
@안기홍-t1x4 жыл бұрын
저산에무슨호재가있나요
@안기홍-t1x4 жыл бұрын
저런땅은20년지나도가격변동이없는땅이죠
@반짝인아4 жыл бұрын
토지를 매입해서 개발하는 과정까지 보여주시니 감사합니다, 새로운 세계네요~~
@sungkwon80152 жыл бұрын
문방구에서 파는 썬그라스 대박 동심이 싸라있네요
@ggomaceo4 жыл бұрын
고수의 투자 내공이 느껴지는 영상입니다~!
@c.l63104 жыл бұрын
영상잘보고 갑니다~
@김대-j6t2 жыл бұрын
부동산 한지 얼마 안되서 태양바람선생님같은분이 오셔서 물으시면 어떻게 말을 해야될지...난감
@leegolftv35774 жыл бұрын
뷰가 보통이네요
@Michaelcoffee4 жыл бұрын
깊이가보입니다
@catcat_school3 жыл бұрын
양도세 절세하는방법있나요.?
@김사과-o2g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도로는 몇미터 폭인지 궁금합니다 수고하세요
@이런-x6n4 жыл бұрын
막힌 도로는6미터 이상. 위회로 있는 경우는 4미터 이상 입니다 도면은 6미터 넘어보입니다
@뱅고구마3 жыл бұрын
@@이런-x6n 250평정도가 도로로 빠지는데 도로는 누구땅이되는건가요? 1필지씩 분양할때 조금씩 끼워파는건가요? 아님 총 1780평중에 도로 250평은 개발한 땅주인이 손해보는건가요? 만약 도로로 지정된다면 1780평중에 실질적으로 분양할수있는땅은 1500평정도되는간가요? 몹시궁금..,글보시면 꼭 답좀요.
@hihellohowareyouiam3 жыл бұрын
내가 120평산다 그러면 도로지분 20평 포함 사는거에요~ 실제로 내땅은 100평 ~~
@방학훈남3 жыл бұрын
큰 도로에서 올라가는 길이 급경사이고 교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꽤 있으며 겨울에 눈이 많이 오면 위험하고 특히 내려올때 목숨걸어야하는 ...올라오는 길이 너무 좁은 구간이 길고 급경사길에다 공장들이 많이 있고 그좁은 길을 어케 공사차량들이 다닐지도 의문...밤에는 전부 깜깜..밤길 극히 위험. 인근에 편의점이라도 갈려면 도보불가 차로 가야됨...
@김도케4 жыл бұрын
땅을 분양하면, 전기.수도는 어떻게 설치 되는건가요? 토목할때 기본적으로 해놓아야 될것 같은데...
@金鷄抱卵4 жыл бұрын
개발에 대한 내용 잘 봤습니다. 항상 진지하신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낮또4 жыл бұрын
와우~
@illicitq6472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계획일 뿐이니 최종결과 나오면 또 올려주세요^^ 계획이 현실이 되기까지의 과정도 궁금합니다.
@gfauction3 жыл бұрын
네~ 꼭 올려드리겠습니다. 지켜봐주세요~
@안기홍-t1x4 жыл бұрын
저땅을 사는사람들은 무슨생각으러사지요 저외지에
@tybolt773 жыл бұрын
역시 많은 아이디어를 아낌없이 주시는 고마운 선생님입니다
@heather03014 жыл бұрын
역쉬 고수님이 짠 판은 다르네요^^ 해피추석 보내십시요♥
@김츈삼3 жыл бұрын
세컨하우스 개념이라면 1가구 2주택 중과세를 물고 갈 정도의 소득군에게 팔아야 하는데.. 100평을 다닥다닥 지은 집을 좋아할리도 없고.. 어느 정도 꽤 럭슈리하게 지어야 구매자의 수준과 맞을텐데... 나중에 어떻게 지어질지 관심 많이 가네요!
@안기홍-t1x4 жыл бұрын
저땅을150사는사람제정신
@프론티어-t2s4 жыл бұрын
오 경치 좋아요
@박길신-v1b4 жыл бұрын
학원이 서울에있음 원장님 강의 듣고싶은데 너무멀어서 동영상 잘보고있읍니다
@더킹치킨제국-q6w4 жыл бұрын
1표
@포아-r6l4 жыл бұрын
학원이 어디예요?
@김현희-w3c4y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사가고 싶어요. 학원 옆으로요~
@해해와달사이4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린 알바생들 용산에 토지지분 없는거 궁금
@leegolftv35774 жыл бұрын
세금 많이 내시면 되요 ..
@삐삐-g7w3 жыл бұрын
오우!! 네이버 지도 검색하니깐. 분양 잘되네요.. 역시 시골에 돈부자들이.. 대단하네요..
@김규-q3s3 жыл бұрын
네이버 지도 보면는 분양 댔다고 나오나요 대단한 내공입니다
@user-kl8gj7wf6f4 жыл бұрын
시골 땅 개발해서 성공한 사레가 극히 드물지만 성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더킹치킨제국-q6w4 жыл бұрын
회장님 디벨로퍼까지^^
@germanwatcheskorea4 жыл бұрын
이런 전원 주택 작업은 20년전에 하셨어야.. 누가 요즈음 산 속에 들어가서 벌레들과 살 려는지.. 참~ 용감한건지?
@레이더-e9o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저뷰에 바다까지보이는땅 40만원에봣어요 인천에서 거기가 더 기막힐뜻 거긴 주변이 평지 논밭도있고 더 신선할뜻 저곳은 도로도없고... 건물하나이쁘게짓고옆에땅분양한다는건 무리데스
@germanwatcheskorea4 жыл бұрын
@@레이더-e9o 경매 전문가와 부동산 디벨로퍼는 분명히 다른 분야인데.. 예전부터 수차례 전문가를 영입하라고 말씀드렸으나.. 말도 안되는 땅 낙찰 받고, 등기치고 갖고 있어보니 안팔리고, 그래서 마지못해 토목해서 집 한채 짓겠다는 순진한 생각에.. 세상 천지가 남향집인데, 심지어 한강 남쪽변의 집도 한강변을 등지고 남향 집으로 짓고 사는데, 그 산 속에서 북향으로 집을 짖겠다?? 그저 기가찰 노릇입니다. 세상 사람들이 그렇게 어리숙할지? 그 산 속의 북향집을 사줄지?? 잘하는 것만, 특화된 것만 집중하고 시장에 예민한 부분은 날고 기는 전문가와 협업을 해야 하는데.. 여전히 20년전의 고루한 생각으로 ..
@germanwatcheskorea3 жыл бұрын
@@chuckberry7749 낙찰받은자, 개발에 자금 추가로 투자해야만 하는자, 이런 댓글 다는자 적어도 그들 스스로 저 안에 들어가서 살고 싶어 죽을 정도의 북향집을 지어야.. 자기들은 거기 들어가서 하루도 살지 않을거면서 남은 그 집을 사준다? 세상이 그렇게 설렁설렁할지? 사줄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그렇게 집 짖고 팔고 할 시간에 아파트 수 십채느느 사고 팔고 하겠다.. 꼭 뭘 해도 될 사람들만 그런걸 하시길..
@jbnine67633 жыл бұрын
@@germanwatcheskorea 바로 앞에 주택들 많이 짓고 있네요~ 그리고 최근 몇 년간 실거래가 찾아 보니까 평당 150만원은 받고도 남을 것 같은데요? 별로 알아보지도 않고 본인 주장은 엄청 강하시네요 ㅋㅋ
@fact-hunter33963 жыл бұрын
그대는 방한구석에 앉아 쉽게 부동산을 얘기하려한다!!~~예!! ㅡ환상속의 그대ㅡ
@우공이산-p8x4 жыл бұрын
산속 시골 동떨어진 집, 뷰도 별로인데 서북향??컥 묘자리도 그린 안씁니다.ㅎㅎ
@김시베리아-y1w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게 돈 벌 수 있다면 왜 낙찰가가 저렴할까요.
@단이맘-p6q4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쪼개서 팔 것인지(활용해서 돈으로 만들것인지)에 대한 구상이 부족한거죠. 땅이 북서향인 것도 좀 문제일꺼 같구요. 큰 돈을 투자해서 오래 묵혀 놓는다고 생각하면 답이 없죠. 그래서 원장님이 훌륭하시다고 생각해요. 경매라는게 저렴하게 토지를 구매할 수 있는 기회이지만.. 그걸 어떻게 활용해서 수익을 낼 것인지에 대한 구상, 자본력, 인적네트워크가 없다면 힘든거니까요. 그래서 아무도 입찰을 안했기때문에 가능한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