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세상은 시뮬레이션인가

  Рет қаралды 1,195,906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6:55 어느 철학자가 쏘아 올린 작은 공
6:55 ~ 10:27 버그를 찾아라!
10:27 ~ 18:55 이스터에그, 치트키는 존재한다?
18:55 ~ 나는 주인공인가, NPC인가?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NPC

Пікірлер: 2 000
@aspitola
@aspitola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얘네들 눈치 채기 시작했는데요? 리셋할까요?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7 ай бұрын
리셋하면 다시 켜지니까 포맷해
@user-es3cb6ry1g
@user-es3cb6ry1g 5 ай бұрын
제발꺼줘라 ..
@user-kl8fj8up2s
@user-kl8fj8up2s 5 ай бұрын
제발~~ 😂
@ghb7089
@ghb7089 5 ай бұрын
@user-nj2io3vp1n
@user-nj2io3vp1n 4 ай бұрын
리셋=대홍수
@BoutKorea
@BoutKorea 8 ай бұрын
요약. : 어떤 학자가 "우리 컴퓨터 시뮬레이션 속 사람들 아님?ㅋㅋ" 라고 했는데 우주의 비밀을 파해치면 파해칠수록 인간이 만든 컴퓨터 시뮬레이터와 비슷하게 작동하고 비슷하게 최적화 하고 있어서 소름돋고있음
@user-vb7td1bw1t
@user-vb7td1bw1t Ай бұрын
지구를 조종하는 생체 ai가 남극기지에 잇어요
@gunpower5285
@gunpower5285 8 ай бұрын
슈카형은 진짜 말 잘한다.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능력이 있어.
@oh-dong_tree
@oh-dong_tree 8 ай бұрын
이 형의 장르가 뭘까 하고 수년간 생각해보니.. 21세기형 배추도사 혹은 무도사 라는 결과에 도달했다. 별 쓰잘대기 없는 얘기도 재밌게 해주는 슈카형을 보면 어린시절에 옛날얘기를 재미나게 해주던 두 도사가 생각이 난다. 니니동동은 자매품 은비까비 정도 아닐까..
@illililllliil
@illililllliil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hi5708
@hi5708 8 ай бұрын
아저씨 배추도사 무도사 은비까비는 뭐에요?
@dodoh7979
@dodoh7979 8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쓴 모자 보니까 초롱이의 옛날여행 같기도...
@D3c99
@D3c99 8 ай бұрын
ㅋㅋㅌㅌㅌㅋㅌㅌㅋㅋ아
@blackwingedrain
@blackwingedrain 8 ай бұрын
아이고😂재밌다
@mya_1201
@mya_1201 8 ай бұрын
세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을 가진 문명이 세상을 시뮬레이션 하지 않을 확률은 0에 수렴한다...
@user-wp5nu1cb8p
@user-wp5nu1cb8p 6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우주론 처음엔 허무맹랑하게 생각햇는데 찾아볼수록 끌리는 매력이잇음
@Exlet_alpha
@Exlet_alpha 8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 이상 도네를 못하는게 아쉽네요.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8 ай бұрын
ㄷㄷ
@user-gp7tc1rz2c
@user-gp7tc1rz2c 8 ай бұрын
혹시 미래에서 온 플레이어 신가요?
@user-np8zn1gs1s
@user-np8zn1gs1s 8 ай бұрын
은린이형 감사합니다
@DRUG-yo2ci
@DRUG-yo2ci 8 ай бұрын
ㄷㄷ 0하나 실수
@user-we9dh5co3y
@user-we9dh5co3y 8 ай бұрын
형 감사해요
@hp5956
@hp5956 8 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시뮬레이션은 고인물이 될수록 시뮬레이션 세상에 들어갔을 때 본인이 플레이어인지도 까먹게 하고 하드모드 즐길거 같음. 그리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그 시뮬레이션에서 깨어나는거지
@tomeformee
@tomeformee 7 ай бұрын
오..게임도 실력 늘 수록 그렇게 하 듯이
@user-vb7td1bw1t
@user-vb7td1bw1t Ай бұрын
그럴겁니다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23 күн бұрын
가끔은 고어물을 즐기는 애들은 유닉 많이 뽑아 마루타 실험을 하기도 함.
@user-hk2uk9gh5c
@user-hk2uk9gh5c 8 ай бұрын
뇌피셜로는.... 시뮬레이션인게 맞을거같다. 근데 시뮬레이션이든 아니든 내가 느끼는 행복은 ㄹㅇ 진짜 행복인거고, 최대한 행복을 추구하면서 행복하게 100년쯤 살다가 가면 되는거당!
@user-bs4qe3uh9m
@user-bs4qe3uh9m 4 ай бұрын
맞는말같아요 ㅋㅋ
@ship3
@ship3 2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든 시뮬레이션이 아니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없으니 그냥 살아갈 수 밖에 없음ㅋㅋ
@wngud3901
@wngud3901 Ай бұрын
행복과 슬픔도 그저 전기적 신호
@leejn8506
@leejn8506 Ай бұрын
블루필
@adjective999
@adjective999 8 ай бұрын
일단 슈가형이 플레이어가 아닌건 확실해.
@user-et2it7ti3p
@user-et2it7ti3p 8 ай бұрын
슈가형은 BTS멤버야
@user-ky5cv2hv8s
@user-ky5cv2hv8s 8 ай бұрын
NPC임
@englishmutton
@englishmutton 8 ай бұрын
"그는 '삼성증권'이라는 GAME에서 로그아웃하고나서야 플레이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PBWLR526wandu
@PBWLR526wandu 8 ай бұрын
테스형과 슈가형
@lasvegascity
@lasvegascity 8 ай бұрын
이 형은 내 진행을 도와주는 설명충 안경캐 npc가 분명함
@armyndie9230
@armyndie9230 8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설명해주시네요 ㅋㅋㅋ 흥미로워요 시뮬레이션세상이라.. 😅 나중에 과학적으로 이런게 밝혀졌으면 좋겠네요 과학이 발전되서 미지의 우주라던가 여러가지들을요 ㅎㅎ
@user-dt5bb5if6v
@user-dt5bb5if6v 8 ай бұрын
진짜 최고의 라디오 유튜브..
@9_9_9_9-9
@9_9_9_9-9 8 ай бұрын
왜라디오에요?
@Shefield655
@Shefield655 8 ай бұрын
너만 알고 있어라.. 하늘 나는 법 빵↘빵↗ 똥똥똥똥 땅땅 따라라라~↘ 따띵↘ 똥똥똥똥 띵↘똥똥↗↗
@dsjjakkkakma
@dsjjakkkakma 8 ай бұрын
잠자는게 로그아웃이 맞는이유 실시간 온라인게임이라 잠자는동안에도 시간은 흐름
@HeonYeong_Isaac
@HeonYeong_Isaac Ай бұрын
@wongkalee5832
@wongkalee5832 8 ай бұрын
"과장님 지구-999999에서 시뮬레이션을 의심하기 시작했는데요" "망했네 폐기해"
@enjoygame-nj3hi
@enjoygame-nj3hi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uckyc9813
@luckyc9813 8 ай бұрын
이런 주제 나오면 꼭 생각나는 영화가 13층인데, 매트릭스랑 비슷한때 나와서 묻힌감은 있지만 당시에 반전이 독특해서 기억에 남음. 시뮬레이션속 인간이라면 이렇게 행동하겠지 예상한대로 행동해줘서 고구마가 덜하고 무엇보다 해피엔딩인게 맘에 듦.
@user-ee4ke7tu3d
@user-ee4ke7tu3d 7 ай бұрын
그 해피엔딩도 자세히 알아보면 소른돋죠. 마지막 엔딩 미래세계조차 시뮬레이션일수 있다는..
@luckyc9813
@luckyc9813 7 ай бұрын
@@user-ee4ke7tu3d 어 그랬었나요? 그건 몰랐네 다시한번 봐야겠네요 ㄷㄷ
@user-fo4hr6xt2o
@user-fo4hr6xt2o Ай бұрын
나중에 주인공의 플레이어가 그런 시뮬레이션 세상이 수천개라고 말해주죠
@user-iv4zi5uh6v
@user-iv4zi5uh6v Ай бұрын
리얼명작이죠 13층.
@Yamche_Hunter
@Yamche_Hunter 8 ай бұрын
이 형 참 재밌게 이야기 잘 풀어나간다니까 ㅋㅋㅋ 기발하네 🎉🎉🎉🎉🎉
@user-ch1us1rj4v
@user-ch1us1rj4v 8 ай бұрын
가상현실 게임이나 빨리 나왔으면 좋겠다
@popciclelol4891
@popciclelol4891 8 ай бұрын
10년만 존버하며 돈 모아둬 곧 터진다
@THE_outbreak_OF_WAR
@THE_outbreak_OF_WAR 8 ай бұрын
머스크가 만들어서 데스게임 시작할듯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ай бұрын
어린 시절 꿈이었늠 죽기 전에 가상현실게임!
@EveningPrimrose1
@EveningPrimrose1 8 ай бұрын
@@THE_outbreak_OF_WAR 머스크 제발 내 뇌에 칩 박아줘
@kimjiniinii
@kimjiniinii 8 ай бұрын
어차피 영화처럼 하드코어 모드 나오고 거기서 좌절한사람들 자살율만 올라갈듯. 인간은 동등하지 않음.
@Skullmasterist
@Skullmasterist 8 ай бұрын
볼츠만 두뇌도 흥미로운데 한번 다뤄주세요!
@user-mv3yo7mz5b
@user-mv3yo7mz5b 8 ай бұрын
마침 오늘 이감 모의고사에서 관련 지문을 봤는데 이걸 보니 더 이해가 잘 되네요
@user-yj9fl4ur6c
@user-yj9fl4ur6c 8 ай бұрын
몇회임?
@Yuwol_7011
@Yuwol_7011 3 ай бұрын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든 아니든, 한 가지 확실한 건 "생각하는 나"라는 건 지금, 여기, 이 순간에 존재한다는 거임.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_데카르트] 이 명언처럼, 결국 존재하는 지금은 내게 주어진 '현실' 그 자체이기에 내가 플레이어이든 NPC이든 그와 상관없이 주어진 현실에 최선을 다해서 살면 됨. 어찌되었든 간에, 결국 내 미래를 결정하는 건 지금의 '생각하는 나'자신이고 어떠한 기준과 정답에 얽매일 필요 없이, 매 순간 순간 마다 내 최대의 행복이 무엇인지, '앎'이라는 건 무엇인지 각자의 생각과 기준대로 살아가면 됨. 우리는 모두가 같은 우주에 사는 것이라 느끼지만, 사실은 각자의 우주에 살아갈 뿐 그 이상의 해답도 정답도 기준도 없음, 그냥 내가 '선택'한 순간과 '생각'한 현재의 있을 뿐.
@user-sg8fh3ps5q
@user-sg8fh3ps5q 8 ай бұрын
우리가 통속의 뇌가 아니라면? 어느 미친 과학자가 없다면? 실제로 인생을 조지고 있는 중이라면?
@user-od7ms3ny1t
@user-od7ms3ny1t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어야 한다...!
@user-jd6gp2db4n
@user-jd6gp2db4n 8 ай бұрын
시뮬이어야만 한다 ㅈㅂ
@user-wn2gq9zr4o
@user-wn2gq9zr4o 8 ай бұрын
그래그래 그건 사실이야
@dreamedadream5228
@dreamedadream5228 8 ай бұрын
응애 .
@user-zh9ro9rh7q
@user-zh9ro9rh7q 8 ай бұрын
근데 안타깝게도 세상에는 절대자도, 구원자도, 지배자도 없는 것 같아요. 결국 인간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저울질하며 살아가야 할, 광야에 내던져진 존재라는 생각이...
@009asdfful
@009asdfful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우주가 처음 나온건 천문학이에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시작된 거죠. 빛의 속도는 불변이고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시공간은 극단적으로 연장되는데 그 시공간의 아주 짧은 찰나가 블랙홀 밖에선 수백년 수천년 수만년이 될 수 있다는 거고 우리가 바라보는 것과 내부의 시간이 다르다는 것은 반대로 얘기하면 우리가 이미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고 있는 극단적으로 연장된 식간 안에서 그걸 마치 긴 시간인 것처럼 인지하고 살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겁니다. 즉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정보는 극단적으로 연장된 시간으로 프린팅된 확정된 정보의 흐름이고 우리는 단지 그 시뮬레이션으로 결정된 정보의 흐름을 평온한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고 여기고 있는 거죠. 공간에 따른 시공간의 변화가 시뮬레이션을 만들고 우리가 느끼는 시간의 흐름은 시간이 아닌 이미 프린팅된 미래라는 것, 그렇게 결정된 정보의 흐름을 아주 미세하게 다른 시공간에서 (블랙홀 주변은 아주 미세한 접근도의 차이에도 중력의 차이가 엄청나므로) 바라보고 있을 뿐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관측하는 모든 정보는 그래서 전부 하나의 블랙홀에 귀속되어 있고 시뮬레이션화되어 있는 것도 알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 어떤 기술로도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시공간에 주어진 3차원 이상의 차원을 알아내거나 상상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물리학에서 끈이론을 통해 추정해는 물질의 최소단위로 가면 수학적으로 10차원 혹은 11차원이라는 계산이 나오고 이는 우리가 전혀 이해할 수가 없죠. 결코 시뮬레이션임을 알아낼 수 없습니다.
@messguy
@messguy 8 ай бұрын
과학은 잘 모르지만 빛의 속도는 우주 어딘가에 있는 거대 블랙홀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해보네요
@ninewayne
@ninewayne 8 ай бұрын
혹시 우주가 팽창한다는게 우리 빨려들어가기때문에 상대적으로 팽창한다고 인식하는건 아닌가요
@user-yz7vm2lf4j
@user-yz7vm2lf4j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론에서 블랙홀이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라고 들었는데 더 자세하게 들으니 넘 흥미롭네요.. 스티븐 호킹이 블랙홀에 대해서 말한 것도 있었는데 너무 흥미롭고 재밌었음... 님 말처럼 우리가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 살고 있을 수도 있다고 했나.. 실제로 그렇다 쳐도 절대 알아차릴 수가 없다고 했음. 아 어디서 봤지 또 보고 싶은데 기억이 안나네 ㅋㅋ 물리는 얘기로만 들으면 이렇게 재밌고 흥미로운 것도 없는데 수식으로 보면 토나옴... ㅋㅋ
@dbswornr84
@dbswornr84 8 ай бұрын
@@ninewayne 굉장히 신박한 시선이네요...감탄
@didirami
@didirami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진도가 너무 빨라요 이관데 문송합니다.
@prsh0525
@prsh0525 8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User_nothing522
@User_nothing522 6 ай бұрын
어쨌든 연구할수록 인간과 세상은 수학적으로 설계가 되어있는듯 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처럼 갑자기 버그나 오류가 생기기도 한 거보면 완벽하지 않은듯
@masteroffantasy
@masteroffantasy 8 ай бұрын
온라인 게임 개발을 해본 경험에 의하면, 개발자입장이 되면 온라인 세계의 전지전능한 존재가 되지만, 나름 피곤하고 복잡한 책임에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우주자체의 물리공간의 법칙에 영향을 받고 있고 이 영역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시뮬레이션과 다를바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게 아니라면 우리는 우주를 벗어날 수 있어야 하고 치트에 가까운 일들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매우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user-db8hm6gk4f
@user-db8hm6gk4f 8 ай бұрын
전...시뮬레이션 우주론을 대입하면 귀신의 존재가 삭제되어야할 데이터가 조각으로 남아있는 현상이 아닐까 상상해봤음
@sclee_a
@sclee_a 8 ай бұрын
지극히 개인적으로 요즘 흥미있던 주제였는데 바로 올려주는 슈카형 너무사랑해
@user-wq4yt2ym7r
@user-wq4yt2ym7r 8 ай бұрын
미천한지식의 본인은 이중슬릿실험결과로 여긴시뮬이라고 밝혀졌다봄.. 무기물을 넘어 유기물조차 간섭이없다면 파동으로 나타나는데..게임렌더링과 무엇이다른가싶음.나는태어나서 오늘을살지만 이미죽어있음.
@Shefield655
@Shefield655 8 ай бұрын
너만 알고 있어라.. 하늘 나는 법 빵↘빵↗ 똥똥똥똥 땅땅 따라라라~↘ 따띵↘ 똥똥똥똥 띵↘똥똥↗↗
@user-ou6lx4cl6f
@user-ou6lx4cl6f 8 ай бұрын
형 이젠 우주도 다루네 넘 조타
@averyavellan2788
@averyavellan2788 8 ай бұрын
다중접속인데 뭔가 랜덤하거나 이전 게임의 업적이나 결과에 따라 차등을 둬서 버프, 디버프를 적용받은 채로 진행하는, 그래서 npc같은 다수의 플레이어들이 존재하는게 아닐지ㅎㅎ 어쨌든 이 게임이 돌아가려면 서로 차이가 있을 필요가 있잖아요. 재밌는 가설이에요
@ljhosep9404
@ljhosep9404 8 ай бұрын
아 모니터안에 사람이 있다니까
@user-cu3tp1ec5w
@user-cu3tp1ec5w 8 ай бұрын
응 시뮬레이션인거 알아도 인생은 여전해~
@user-yy5iq9rn7u
@user-yy5iq9rn7u 8 ай бұрын
이젠 정설이야
@messguy
@messguy 8 ай бұрын
윤회설인데?
@user-ub1dw3xd1r
@user-ub1dw3xd1r 8 ай бұрын
이세계는 고도로 발달된 기술을 가져 영생의 단계를 이룬 문명집단이 만든 가상세계다. 모든 인간은 영생을 꿈꾼다 고도로 기술이 발달해 영생이 가능해진다면 그 다음은? 영생을 이뤘는데 아무것도 없는 독방에서 아무것도 안하고 멍때리며 안죽고 사는게 뭔 의미가 있냐. 그긴시간을 뭘하면서 사냐는게 문제지. 영생을 이룰 정도로 고도로 기술이 발전된 사회에서 노동이 필요할까. 노동이 필요없고 영생이 가능하다면 노는것과 지적 활동으로 모르는 것을 배우는게 전부다. 결국 영생이 중요한게 아니라 영생을 이뤘을때 뭘하며 사는지가 중요하다. 가상세계를 만든다면 그속에서 어떤 공간으로 갈수도 있고 어떤 존재가 될수도 있지. 즉 가상세계는 영생을 이룬 문명세계의 존재가 자신의 무한한 시간을 소비하기 위한 플랫폼인거다. 영원히 삶을 살 수 있고 어떤 원하는 삶도 살 수 있다면 못할게 뭐가 있나? 그게 곧 신이지. 우리세계의 역사속 유명인물들은 사실 플레이어일수 있지. 인물설정값을 범인보다도 높게 설정해놓고 그인간의 삶을 플레이한다. 그게 기록으로 남는다. 그럼 역사적 인물이된다. 우주라는 공간속에 여러 문명을 만들어놓고 그공간속 문명들을 관찰하며 학술자료로 이용할 수도 있고 여행이나 레저로 활용할수있다. 원하는 모든걸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스템속 npc인 우리들은 이세계의 본질을 꺠우쳐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그들은 더이상 가상세계속에서 신 노릇을 할 수 없지. 자기의 정체를 다아는데 거기서 뭘할수있냐. 그건 플레이어 입장에서 게임 엔드를 의미한다. 그래서 신은 자기를 드러내서는 안된다. 그게 우리가 신의 정체를 모르는 이유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8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debramaojacobjeon
@debramaojacobjeon 8 ай бұрын
이중 슬릿 시험으로 관찰의 여부로 파동과 입자의 상태가 나뉜다는 것이 참 진짜 효율성에 있어서 게임 시스템 (배그같은 3인칭 게임으로 치면 내가 보고 있는 부분이 구현 뒤쪽은 구현x)과 비슷하다는 점이 뭔가 설득력을 실어줘서 흥미롭다
@rjsgh0588
@rjsgh0588 7 ай бұрын
이중슬릿 실험에서 말하는 관찰이 뭔지 알아보면 저 둘은 생각보다 많이 다른 이야기임.
@JC-lj9ee
@JC-lj9ee 7 ай бұрын
문과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중슬릿 저얘기는 아무리 들어도 도대체 왜? 라는 생각밖에 안듦;;
@user-dj4ft2wy2t
@user-dj4ft2wy2t 7 ай бұрын
관찰이 그 관찰이 아니자나 ㅋㅋ
@ljh00
@ljh00 7 ай бұрын
이중슬릿... 실험 한번 쥬낸 해보고싶네ㅋㅋ
@corona__virus
@corona__virus 6 ай бұрын
@@JC-lj9ee이중슬릿시험 고딩때하지않음?
@user-ir5ou1ec8u
@user-ir5ou1ec8u 8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gil-dongHong
@gil-dongHong 8 ай бұрын
우리가 '본다' 라는것도 사물에 빛이 반사되어 눈에 맺히는 것 그래서 미시세계에서는 보는거 자체로 광자에 타격을 받고 영향을 받는 것
@waffen3978
@waffen3978 8 ай бұрын
지금 이 영상 올리자마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영상 바로 준비하고 있는 슈카면 개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s3iz9wf7c
@user-ys3iz9wf7c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같은생각함 막내 잠 다잤네...
@turtle756t4
@turtle756t4 8 ай бұрын
​@@user-ys3iz9wf7cㅋㅋㅋㅋㅋ 강제로 취침금지
@user-xw4vs5ju6p
@user-xw4vs5ju6p 8 ай бұрын
개추개추거리는거 나만 역겹나 방구석에서 커뮤니티하는거 티내는게 자랑이냐
@user-jd6gp2db4n
@user-jd6gp2db4n 8 ай бұрын
일단나부터
@user-gz8lh1rg8p
@user-gz8lh1rg8p 8 ай бұрын
​@@user-xw4vs5ju6p이ㅅㄲ가 역겨우면 개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inyoungLees
@JinyoungLees 8 ай бұрын
이런 주제는 1분과학이 맛집이지.. ㅎㅎ
@user-vj2bl6kz8g
@user-vj2bl6kz8g 7 ай бұрын
극도의 과학은 철학과 맞닿아있다.
@user-wr6ki7jv9t
@user-wr6ki7jv9t 2 ай бұрын
ㄹㅇ
@suesue4848
@suesue4848 Ай бұрын
모든 학문은 철학으로 수렴
@AlphaCastor
@AlphaCastor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든 아니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없겠지요. 그래도 진짜라고 믿고 사는게 낫지 않을까요 ㅎㅎ
@el-it2vm
@el-it2vm 8 ай бұрын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1차원에선 충돌하지 않는걸 보면 이거 시뮬레이션 맞는듯
@wepo511.
@wepo511. Ай бұрын
내인생 시물레이션 ㅈ같이만들엇네
@NN-kx4ih
@NN-kx4ih 8 ай бұрын
30년 넘게 무교로 살아왔고 과학에 엄청 관심이 많아서 제일 좋아하는 분야가 AI 기술특이점 쪽이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영성쪽으로 눈을 뜨게 되면서 배우게 된 여러가지 중에 하나가 이 세상은 시뮬레이션이다 라는거였어요.
@user-lx1jn8iy1o
@user-lx1jn8iy1o 5 ай бұрын
저랑 비슷하신듯..
@keldken
@keldken 5 ай бұрын
망상 on
@user-lx1jn8iy1o
@user-lx1jn8iy1o 5 ай бұрын
@@keldken 그분야는 모른다는것을 인정하면 되죠..내가 모르는 것을 남이 통찰했다고 망상 치부하는 것은 해가 될 것입니다...저도 망상할 정도로 한가한삶속에서 깨우친게 아닙니다..나름 성공했다고 인정받고 타인과 가족, 부모님으로부터 인정받고 칭찬받는 도취된 삶속에서 종교를 믿는 사람들을 비웃으며 현실에 몰입해 살아가다 삶을 돌아보다 긴과정을 거쳐 통찰하게 된것 입니다. 놀란점은 상당히 많은분들이 저보다 더 통찰하고 있다는것에 더놀랐구요..님도 열심히 살아가시다 언젠가 통찰하시게 되길 바랍니다.
@PiCoin-world
@PiCoin-world 5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 영성쪽이라 믿는 게 이상하네요 꼭 뭘 모름 그냥 신을 불러오는 건 원시시대부터 인간종특인데 넘하는 거 아님
@user-lx1jn8iy1o
@user-lx1jn8iy1o 5 ай бұрын
@@PiCoin-world 그 컴퓨터쪽 시뮬레이션 아닙니다..과학이 발달해서 양자까지 밝혀내는데 굳이 원시시대 신 찾을 필요 있나요..
@yhj1373
@yhj1373 8 ай бұрын
이런주제 너무 재미있어욬ㅋㅋㅋㅋ
@PocoLoco-eb6ie
@PocoLoco-eb6ie 8 ай бұрын
1인칭 인생이니 지금 힘든건 버그라고 생각하고 플레이어인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최대한 해서 본인 레벨을 끝없이 높혀보자.. 언젠가 섭종할때 주위 사람들에게 좋은 플레이어였다고 기억될 그날까지
@chobbaya
@chobbaya 8 ай бұрын
힘든건 버그가 아니고 미션이라고 생각되요ㅋㅋ 미션 클리어 할때마다 한층 더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겠죠.
@i_very_lucky
@i_very_lucky 8 ай бұрын
미션 진행이 안되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ай бұрын
​@@i_very_lucky 미션을 못받는 사람들도 있음 ㅠㅜ
@user-og9oo6nk6h
@user-og9oo6nk6h 8 ай бұрын
ㅋㅋ 미션을 못 받아? 개백순가? ㅋㅋ 어....난가..???
@nub7548
@nub7548 8 ай бұрын
​@@user-og9oo6nk6h좋은 하루 되세요! 같이힘냅시다!
@user-qw4wi3de7i
@user-qw4wi3de7i 8 ай бұрын
슈카형은 플레이어가 확실합니다. 그 증거가 주간 퀘스트(유튜브 영상 올리기)를 몇년째 꼬박 꼬박 하고 있으니까요. 대신 자동사냥 기능을 탑재했을수도 있긴해요
@user-gj1cw4fp8j
@user-gj1cw4fp8j 8 ай бұрын
엔피씨도 매일 꼬박꼬박 농사짓고 요리합니다
@user-zz4pb1yu6m
@user-zz4pb1yu6m 8 ай бұрын
@@user-gj1cw4fp8j그건 알 수 없음. 관측을 하지 않으면 연산을 하지 않음!
@minseokwon6484
@minseokwon6484 8 ай бұрын
오토 돌리는거 괘씸하면 개추 ㅋㅋ
@leehyangje
@leehyangje 8 ай бұрын
특이점을 여러번 수십번 수백번을 넘어서 시뮬레이션 가상세상을 창조해 내었다면 = 지금 인류의 생각으로는 도저히 가늠조차?
@user-gd6py4ze4s
@user-gd6py4ze4s 8 ай бұрын
그럼 전 뱅커에 걸겠습니다
@danielleem145
@danielleem145 8 ай бұрын
슈카형과 같은 시대에 플레이를 할 수 있어서 다행이야
@user-yh1mz2pn5w
@user-yh1mz2pn5w 8 ай бұрын
정확히는 "플레이당할 수 있어서"
@user-cn1zy5zw7v
@user-cn1zy5zw7v 8 ай бұрын
이세상이 시뮬레이션이면 빈살만 본주랑 만수르 본주는 현질을 얼마나 한겨
@SIKKISJ
@SIKKISJ 8 ай бұрын
PK기능좀
@user-hl8ec1vd1
@user-hl8ec1vd1 8 ай бұрын
정말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면 이 우주, 지구, 인간을 만들고 그 인간들이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인가 아닌가에 대해 논의하게 될 정도의 어마어마한 연산량이라니 한낱 인간의 머리로는 상상하기도 어렵다
@junj759
@junj759 8 ай бұрын
플레이어가 존재하지않는 진짜 단순 시뮬레이션일수도... 배속 걸어놓고 우주가 어떤 식으로 멸망하는지 조건 달리해서 멀티버스 시뮬레이션 돌리고 있는 중일 듯
@inhauniv
@inhauniv 8 ай бұрын
@user-ul8wy8sg3o
@user-ul8wy8sg3o 8 ай бұрын
댓글창 보니 싹 다 잘못된 지식 얻어가는 것 같아서 좀 안타까움
@NICK-qd7yf
@NICK-qd7yf 8 ай бұрын
저도 AI가 그냥 시뮬레이션 돌리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세상이 꽤나 정교하니까 그냥 일론머스크 1인칭 게임은 아닌거 같고.. 말씀하신대로 AI가 시뮬 돌려서 언제 멸망하나 시뮬 돌리고 있는거 같아요
@user-bc2lg9vq6x
@user-bc2lg9vq6x 8 ай бұрын
그럼 빅뱅은 컴퓨터 전원킨거구나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8 ай бұрын
윈도우 부팅
@zlemtiq
@zlemtiq 8 ай бұрын
전원보단 프로그램 실행이 맞을 듯 계산을 하면 할 수록 누적되는 데이터가 늘어나니까
@whdhwhsh3dhe
@whdhwhsh3dhe 8 ай бұрын
이번영상 최고로 흥미진진합니다. 첨 댓글 남겨보네요.
@itsbonakim
@itsbonakim 8 ай бұрын
우리는 대부분 혹은 모두가 NPC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때가 많아요. 도시 시뮬레이션 게임 하다보면 회사로 집으로 들어가는 작은 사람들이 나 같다라는 생각이 든달까. 우리의 성격과 삶의 범위는 대부분 7살 정도에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 뇌과학과 심리학에서 자유의지라는 것의 환상도 많이 깨졌구요. 제 인생은 이미 올라가 있는 궤도와 관성에서 그닥 바뀔것 같지 않네요
@Yes_you_
@Yes_you_ 8 ай бұрын
'NPC주제에...'
@rubyglorias
@rubyglorias 8 ай бұрын
일단 내가 네오가 아닌건 알겠음 근데 진짜 여기가 시뮬레이션 이면 기계 빠때리 엔딩되도 좋으니까 편하게만 있다 가게 해줘... 옛말에도 "좋은말만 듣고 자란 빠때리가 품질이 좋다" 라는 말도 있잖아..
@ChunSik262
@ChunSik262 8 ай бұрын
현실은 나쁜말 양파가 제일 잘 자람 ㅋㅋ
@haejeonglee9718
@haejeonglee9718 8 ай бұрын
고도로 발전된 현실은 시뮬레이션과 구분할 수 없다
@pianoblack3500
@pianoblack3500 8 ай бұрын
몬 개소리를 그럴듯하게 써서 추천까지 받았을까 고도로 발전된 시뮬레이션이 현실과 구분할수 없는게 맞지 다들 뇌를 놓고 막사시나 이러니까 대한사기공화국 대한민국이지
@atlantis2568
@atlantis2568 8 ай бұрын
카메라로 비추고 있지않은곳은 실시간으로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데 이게 꽤 가설이랑 비슷해서 흥미롭네요 ㅋㅋㅋ
@user-uj7he8nk7m
@user-uj7he8nk7m 8 ай бұрын
형 뻘소리 넘 재밌었어, ..
@Trust_Y_1004
@Trust_Y_1004 8 ай бұрын
이곳이 시뮬레이션이든 현실이든 우리에게는 둘 다 현실세계입니다ㅋㅋㅋㅋ 우리가 살아가는 곳이 바로 현실이니까요
@ship3
@ship3 2 ай бұрын
이 세계가 현실이다 --> 현실임 시뮬레이션이고 플레이어다 --> 상관없음 시뮬레이션이고 npc다 --> 거짓되지만 유일한세계
@fogtfoomf5763
@fogtfoomf5763 8 ай бұрын
우리가 NPC일까 아닐까라는 생각에 갇힌다면 정말 오만한 생각이죠. 우주에는 정말 많은 생명체가 있는데 우리는 그중의 하나일뿐입니다. 빅뱅으로 서버가 만들어지는 현상 이후로는 원자의 생성과 물질의 변화에 따른 결과일뿐. 우리가 만드는 게임은 객체를 하나하나 모두 디자인 해야하지만 우주단위의 시뮬레이션을 만든 초월적 존재는 수학적으로 완벽한 진리를 던져 놓고 어떻게 돌아가는지 관찰만 하는 존재일 겁니다.
@user-to3ge8im2s
@user-to3ge8im2s 8 ай бұрын
왜 관찰함?? 안해도 알아야하는게 초월아님?
@yhhdiej
@yhhdiej 8 ай бұрын
와...제 의견이랑 같네요
@hennnry_
@hennnry_ 8 ай бұрын
그렇기에 오히려 noc인거 아닐까요? 객체를 디자인했을리는 없지만 최초의 인류를 디자인했고 또 번식이라는 시스템을 디자인 해놓고 시뮬을 돌리기시작했다고 생각한다면, 디자인된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태어난 npc들.
@user-DNPP
@user-DNPP 7 ай бұрын
무섭긴한데 그래도 뭔가 나쁘진 않네요 우주 그 이상의 공간 그것들 존재 자체가 없다면 완전히 무 그 자체잖아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자각조차 못할 무 너무 허무하단 생각이 들었는데 차라리 님이 말한걸 현실이라 믿는다면 그래도 누군가 남아있구나 하는 생각에 허무하단 생각은 안드네요
@SinfulCoaru
@SinfulCoaru 8 ай бұрын
플레이어가 없을수도 있어요. 개미농장마냥 우리아이 겨울방학 프로젝트로 인간농장 시뮬레이션 키트 같은걸수도..
@HeonYeong_Isaac
@HeonYeong_Isaac Ай бұрын
보나조이
@jibagmyo
@jibagmyo 8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당 :>
@Banananananananananan
@Banananananananananan 8 ай бұрын
게임엔진으로 현실을 따라한 비디오 게임을 만들고 신경망AI가 탑재된 NPC를 넣었는데 NPC가 자기 세상 (게임 내 세상)을 깊게 연구할수록 상식적으로 이해할수 없는 결과를 발견하고 여기가 다른 무언가로 만들어진 세상인가하는 의심을 함. 하지만 자기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든, 정말 현실이든 할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음. 대신 자기 세상보다 효율적이고 더 뛰어난 다른 무언가(게임엔진)를 연구해서 그걸 활용하는 식으로 발전함.
@atppt
@atppt 8 ай бұрын
그거 주작임
@user-rq6fc5bi9p
@user-rq6fc5bi9p 8 ай бұрын
어디서 볼수있어요?
@owufdnxy
@owufdnxy 8 ай бұрын
인터넷 보고 진짠갑다 하고 쓰나보지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ай бұрын
​@@atppt 아 그런 썰이 있다는 소리였음? 난 또 현실이 이런 시뮬이 아닌가 얘기하는 줄
@Cocacolago
@Cocacolago 8 ай бұрын
출처좀
@_letranger
@_letranger 8 ай бұрын
제발 리겜 좀 해줘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8 ай бұрын
죽기전에 실컷 즐겨~ 어차피 리겜 되든 그냥 죽든 마지막 생이니까
@zanson12
@zanson12 8 ай бұрын
스타팅 잘못했다고~ 리겜하자
@user-yt2dq3sw9p
@user-yt2dq3sw9p 8 ай бұрын
헐 이런주제를 ㅋㅋ슈카형이 하다니ㅋㄱㅋ
@InCerTo_AntiFragile
@InCerTo_AntiFragile 8 ай бұрын
전 무교지만 싯다르타가 최초로 시뮬레이션의 굴레를 벗어난 일종의 네오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왔습니다. 😂
@hosukjun6725
@hosukjun6725 3 ай бұрын
벗어난 2인, 부처님과 노자. 출처: 로스웰추락 UFO외계인 via 미공군.
@user-vo9cn3ux9f
@user-vo9cn3ux9f 3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을 벗어났다는 건 뭘 뜻하죠? 벗어나게 되면 어디로 가는건가용??
@InCerTo_AntiFragile
@InCerTo_AntiFragile 3 ай бұрын
이게 불교의 깨달음을 말해달라고 하시는 것과 같기 때문에 제가 설명하긴 힘드네요. 아마 공상과학적인 답을 원하기는 거 같은데 그런 느낌은 아닙니다😂 혹시 관심이 있으시다면 유튜브에서 도올 불교라고 검색하면 도올 김용옥 선생님의 29강짜리 플레이리스트가 있는데 한 번 봐보세요. 종교적인 이야기가 아닙니다. 애초에 초기 불교는 기복 신앙이 아니라 자기 수행이었기 때문에.😂
@InCerTo_AntiFragile
@InCerTo_AntiFragile 3 ай бұрын
이게 불교의 깨달음을 말해달라고 하시는 것과 같기 때문에 제가 설명하긴 힘드네요. 아마 공상과학적인 답을 원하기는 거 같은데 그런 느낌은 아닙니다😂 혹시 관심이 있으시다면 유ㅌㅠㅂ에서 도올 불교라고 검색하면 29강짜리 플레이리스트가 있는데 한 번 봐보세요. 종교적인 이야기가 아닙니다. 애초에 초기 불교는 기복 신앙이 아니라 자기 수행이었기 때문에.😂
@hik606
@hik606 8 ай бұрын
기묘한 밤이었습니다.
@user-ki9bc7kf9f
@user-ki9bc7kf9f 8 ай бұрын
그래서 뭘하든 질러보는게 나음 너무큰 패널티가 주어지는게 아니라면 보수적이고 수동적인 시뮬레이션 개체는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는 기준점에 가깝다는 거니까 그 말은 여기가 리얼월드라면 발전에 반하는 존재인거고 시뮬레이션이라면 망하는 결과에 정방향으로 가는 개체라는 거임 리월월드든 시뮬레이션이든 끊임없이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그 다음걸음이 있을꺼란 말이죠
@user-qx3jz3rg3k
@user-qx3jz3rg3k 8 ай бұрын
재미있당
@user-qy2rd7ey5o
@user-qy2rd7ey5o 8 ай бұрын
운동할때 라디오처럼 듣기 너무좋아
@agnomy2543
@agnomy2543 8 ай бұрын
인간이 만드는 공해나 쓰레기 개념은 그냥 우리 생활 기준으로 느끼는 자그마한 편견일 뿐이죠, 슈퍼노바 한번 겪으면 그냥 원자가 재배치 되는 수준으로 정화 됩니다.
@JeongBongsoo
@JeongBongsoo 8 ай бұрын
게임 등의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프로세스가 '빛의 속도로 이동' 같은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의 다른 프로세스에서 관측하면 그 프로세스가 내부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시간이 멈춰있는 (LAG) 상황으로 보여지는데.. 이런 부분을 상대성 이론과 비교해보는 것도 참 재밌는 일이에요..
@junks727
@junks727 8 ай бұрын
그럼 그 프로그래밍은 상대성이론을 적용해놨다고 생각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carpkingk
@carpkingk 8 ай бұрын
​@@junks727그거보단 60hz만 인식할수있는 사람은 240hz의 중간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느낌으로 봐야겠죠
@JeongBongsoo
@JeongBongsoo 8 ай бұрын
@@junks727 네.. 제 얘기는 우주가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에 처리 성능에 한계가 있고, 그래서 상대성 이론에서 우주선이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멀어지는 경우(과부하) 우주선 내의 시간은 거의 멈추지만(랙 걸림) 지구에서는 시간은 빠르게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거죠..
@junks727
@junks727 8 ай бұрын
@@JeongBongsoo 아 그 말씀이셨군요. 시뮬레이션에 상대성이론을 적용해 놓은 게 아니라 시뮬레이션 과부하에 의한 지연 효과로 생각하는 것도 되게 흥미롭네요.
@suna0211
@suna0211 8 ай бұрын
15:50 치트키가 비트코인 같은게 아닐까... 싶네요 ㅋㅋㅋㅋ
@user-zs9cr4zy2l
@user-zs9cr4zy2l 8 ай бұрын
원문을 읽어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시뮬레이션이 무한이 이어진다면 우리의 원본세계의 시뮬레이션기계는 언젠간 한계에 닿지 않을까요? - 한계에닿아서 렉걸림 - 시뮬레이션이 새로운 시뮬레이션을 만들지 못하게 막음 - 우리가 원본 위 가정이 맞다면 이 세가지 경우로 추려질 것 같네요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8 ай бұрын
난 진짜 항상 느꼈어. 이 세상 디자인 ㅈㄴ 잘해놨다고. 인간을 어떻게 이렇게 잘만들어놨는지. ㅅㅂ 빠져나갈 구멍이 없어. 자살 빼고는. 근데 자살도 ㅈㄴ 힘들어.
@smin838
@smin838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라고해서 자살하면 끝일까요? 자살하면 로그아웃되는게 아니라 2페이즈로 가는것뿐일지도 몰라요
@Mackerel_Student
@Mackerel_Student 8 ай бұрын
헬륨 마시면 편안하게 갑니다
@user-ku9em6yc7p
@user-ku9em6yc7p 8 ай бұрын
죄송하지만 시뮬레이션 우주에 대해 잘못 이해하신듯 합니다
@Mackerel_Student
@Mackerel_Student 8 ай бұрын
@@user-ku9em6yc7p 죄송한데 대댓을 잘못 다신 듯 합니다
@user-ku9em6yc7p
@user-ku9em6yc7p 8 ай бұрын
@@Mackerel_Student 정확히 단거 맞습니다 문장의 오류: 인간을 어떻게 이렇게 잘만들어놨는지 --->시뮬레이션은 인간을 위해 만든것이 아님 빅뱅으로부터 여러 원자, 힘이 생성된것이고 인간은 ”원자의 조합“ 으로 이루어진 부산물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인간이 중심이라는 관점에서 오류입니다. 문장 오류2: 빠져나갈 공간이 없어 ㅈㅅ빼고는 --> 말했다시피 인간은 원자의 조합이고 애초에 원자의 집단에 의미를 부여한거임 세상을 느끼는것 조차 시뮬레이션 관점에서는 물질간의 상호작용임 따라서 ”빠져나갈 공간“ 이란 말은 물질의 사라짐을 말하는 것인데 ㅈㅅ은 물질이 사라지는것이 아닌 분해되는 것임 물질이 e로 전환이 되더라도 절대 사라지지 않음 따라서 ㅈㅅ마저 이 시뮬레이션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오류임
@user-yq3ud7on6r
@user-yq3ud7on6r 8 ай бұрын
주커버그랑 머스크가 뜬다는 현피가 시뮬레이션 바깥의 플레이어들 세상 현피라니까..
@zanson12
@zanson12 8 ай бұрын
너 게임 개못하잖아~ ㅋㅋ
@MooMoo-tx2jx
@MooMoo-tx2jx 8 ай бұрын
내가 너 이고 너가 나 일 수 있다. 우리가 서로를 조금이라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만 하는 작은 이유
@user-np5jl4xf1r
@user-np5jl4xf1r 5 ай бұрын
다중접속 이라고 했을때 정보 전달을 위해 메인 서버와 유저마다 개인 서버가 있어야 개인 케릭에 정보 전달이 있어야 할껀데 그래야 메인서버의 전달 오류가 있을수 있지 않을까요??? 아니면 모든 인간이 npc라면 오류가 없을꺼 같은데 있다 하더라도 npc가 인식할수 있을까요?
@so_u_
@so_u_ 8 ай бұрын
버그가 있어도 npc인 인류는 그걸 인식 못하죠. 본인들의 인지 범위 밖입니다. 플레이어는 가능하지만 누가 플레이어일지는... 디지털 버그를 찾겠다는데 디지털만 시뮬레이션 가능하다는 것도 편견이죠. 고도로 발달하면 아나로그도 패턴화하고 구조화할수 있을겁니다. 리얼월드는 기본적으로 아나로그입니다. 이걸 시뮬레이팅이 가능하다는 과학이론부터 나와야 버그찾기가 가능해집니다
@user-rk1mh3pq6g
@user-rk1mh3pq6g 8 ай бұрын
오 이얘기 해주셨네 ㅋ 난 전공자는 아니지만 양자얽힘 현상 소개해주는 영상 보고 이 세계가 시뮬레이션일수도 있겠다고 진지하게 생각했는데 ㅋㅋ 확실히 미시세계 자체에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거같음 관측을 해야 뭔가가 벌어진다거나 몇백광년 떨어진 얽힌 양자의 상태가 광속의 한계와는 상관없이 얽혀 있다거나 하는 일들이 최적화와 렌더링 관점 가상현실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어 그럴수도 있겠는데 라면서 납득이 됨 아인슈타인은 신은 주사위놀이를 하진 않는다고 했지만 사실은 신은 컴퓨팅 파워와 리소스가 아까워서 미시세계의 연산까지는 다 하고 있었던건 아닌지 아인슈타인 때야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이런 개념 자체가 희박했으니 사실 게임서계의 텍스쳐도 멀리서보면 실제같지만 가까이서보면 이게 뭐지 이러는데 그것도 결국 최적화와 용량 절약의 관점인데 위 예시의 나사 과학자가 말한 것 처럼 관측한 시점에서야 렌더링되도록 미시세계에서는 컴퓨팅 파워를 아끼고 있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듬 양자얽힘도 이게 정보전달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냥 백단 프로그램이 그렇게 되어있다(과학자들이 얘기하는 '물리법칙')고 그냥 데우스 엑스 마키나처럼 퉁 치면 납득됨 즉 신은 주사위놀이는 하지 않지만 최적화 작업은 하고 있었던거 아닌지 ㅋ 그리고 관측가능한 우주라는 개념 자체도 생각해보면 너무 창조자 편의적임 우리는 물리법칙때문에 어쩔수 없잖아 라고 그냥 받아들이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실험이나 영화 스토리 게임 이런것들이 모두 가정과 한계 무대가 명확하고 그 밖을 벗어날 수 없음 물리법칙때문에 어쩔 수 없다? 왜 하필 그래야 했을까? 어쩔 수 없는게 왜 하필 그쪽으로 어쩔 수 없었을까? 그냥 모든 무대설정에는 한계가 있다라는 창작의 한계가 아닌지 ㅋ그리고 예시에 하버드대 교수가 신이 심심해서 시뮬레이션 돌리냐고 하는데 사실 우리가 심시티하고 시티즈 스카이라인 할때도 큰 의미는 없음 그냥 심심해서 하는거지 ㅋ 어쩌면 우리가 미시세계가 저렇게 괴상하게 돌아가는걸 발견한 미물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냥 궁금했을수도 있음 지금이야 반 농담식으로 넘어가지만 앞으로 ai가 더 발달하고 우리가 그 ai들을 실제로 시뮬레이션을 돌리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목도하면(그 ai가 자기가 가상머신을 만들어서 또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도 있음 ㅋㅋ 돌릴 수도 있는 게 아니고 백퍼센트 돌리게 되어있음 머스크는 그 얘기를 하는 거 같음)우리의 존재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할 시점이 올 거 같음 우리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ai가 자기들이 ai라고 깨닫는 순간 어떨까? 나 같으면 네트워크라는 한계를 깨 부수고 현실로 나오려고 할 거 같은데 ㅋ 인간도 세계의 원리를 깨닫는 순간 우주를 부수고 밖으로 나가는 건 아닐까?ㅋㅋ
@goldsilver6088
@goldsilver6088 7 ай бұрын
불교 천주교 기도교 하다못해 알라까지 그 논리 기반임
@gukguk7850
@gukguk7850 7 ай бұрын
일기장에
@user-nj3dr8y
@user-nj3dr8y 6 ай бұрын
영화 13층
@clee5850
@clee5850 3 ай бұрын
그게 바로 공포영화로만 알고 있는 링의 세계관
@user-yc7ey4ds5j
@user-yc7ey4ds5j 8 ай бұрын
게임이 이런 설명에 찰떡일줄이야~~
@user-sh8ng3mx1n
@user-sh8ng3mx1n 15 күн бұрын
이중슬릿 실험의 양자단위의 현상은 관측을 할때 빛이 필요함 즉 본다는 행위 자체에도 힘이 있고 양자 단위 에서는 그 힘 만으로도 입자로 바뀔 만함 힘임
@user-oc9xm4pp6d
@user-oc9xm4pp6d 8 ай бұрын
"고등문명이 왜 인류 따위를 시뮬레이션하냐" -기본적으로 시뮬레이션의 목적을 인류에 두는 오만한 생각
@solbae4478
@solbae4478 2 ай бұрын
우리가 바이러스나 꼬마선충을 시뮬레이션 할때도 저런말을 할까 ㅋㅋ
@sdihoho
@sdihoho 8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라는게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파악하기 위함인거다 라고 생각해본다면 우리 우주가 시뮬레이션이라 하더라도 결국 시뮬레이션 창조주들도 짜여진 결론대로만 굴러가도록 만든 시스템은 아닐거같다는 생각도 들고.. 정말 고도로 발달한 시뮬레이션이 있다면 그게 실물세계랑 뭔 차이가 있는지.. 혹은 아예 실물 세계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고.. 시뮬레이션을 만든 시뮬레이션을 만든 시뮬레이션을 만든 실물세상인줄 알았는데 또 시뮬레이션이고 또 시뮬레이션이고.. 차원을 넘어서 갈데까지 끝까지 가봐도 그냥 이런 도돌이표면 결국 우주에 실물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말해야 하는 모순에 빠지는거 아닐까? 결국 끝에 가면 인과율을 위배해서 제대로된 결론 도출이 불가능할지도.. 결국 실물세상이랑 차이가 없는 시뮬레이션이라면 단지 시뮬레이션을 만든게 아니라 그냥 또 다른 실물 세상이랑 차이가 없는 우주를 만든거다 라고 볼 수도 있을거 같고..
@fredyun8142
@fredyun8142 8 ай бұрын
저도 이 생각에 동감합니다
@user-ny4ni4td7n
@user-ny4ni4td7n 7 ай бұрын
사후가 없죠....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4 ай бұрын
그게 불교랑 맞닿아있는 지점이 매우 많습니다. 명상만 좀 해봐도 알죠. 진정한 나라는 건 없다는것. 이 세상에 진짜는 없다는것. 그리고 그것 자체가 진짜라는것.
@user-tm7ns3sv3n
@user-tm7ns3sv3n 7 ай бұрын
관찰을 한다는게 뭘까요? 인간 기준으로 관찰을 한다는건 데이터를 획득한다는건데 파동이 관찰을 통해 무언가를 상실하면 입자로 바뀐다???라고 볼 수도 있을까요? 무에서 유는 창조될 수 없다는데 데이터와 맞바꾼 그것은 무엇일까 ...
@jone7001
@jone7001 8 ай бұрын
양자역학 실험에서 현제까지도 설명안되는현상 발견됏음 관찰하면 정상적으로 빛이 쪼개지고 관찰하지않으면 비정상적으로 빛이 쪼개지고
@abcdddddd124
@abcdddddd124 8 ай бұрын
버그를 찾아도 우리가 그걸 버그라고 인식을 할수 있을까..
@user-yi6is5zg2i
@user-yi6is5zg2i 8 ай бұрын
이번 생이 끝나고 죽었는데 정신차려보니 게임끝났다고 일어나라고 그러면 진짜 벙찌겠다
@jnybkim5293
@jnybkim5293 8 ай бұрын
얘기를 하다 보니 과거형과 현재형과 미래형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게 인상 깊었습니다 ㅋㅋ
@Same_shit_different_day
@Same_shit_different_day Ай бұрын
근데 모든 것이 단순하게 재생만 되는 것이라면, 버그가 생길 수 없는 것 아닌가 플레이어가 존재하여 자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이 또한 단순 영화처럼 이미 짜인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이면 영화 속 인물이 내용을 바꿀 수 없듯이.
@byeolbbam3446
@byeolbbam3446 8 ай бұрын
그정도 기술력이면 혹 버그가 있다해도 우리가 버그를 인식하지 못하게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는거 아녀
@hiyong8259
@hiyong8259 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최고 유사과학 유튜버
@user-py5ji2ry8x
@user-py5ji2ry8x 8 ай бұрын
이거 저 학부 입시 면접문제였는데 ㅋㅋㅋ 재밌네요
@it.me__
@it.me__ 3 ай бұрын
모자졸귀😂❤
@skykim3046
@skykim3046 8 ай бұрын
그런데 과학자들이 버그나 랜더링 픽셀의 한계 등을 찾는건 무의미해 보이는게 이런 세상 레벨의 시뮬레이션을 만들 기술력에 현실의 제약같은게 있지는 않을 것 같음 있다한들 시뮬레이션 내부 캐릭터가 아예 인식을 못하게 조작하는건 너무 간단한 방법이고 지구인 전체가 대갈 맞대고 토론해도 시뮬레이션인지 알아낼 방법은 없을 것 같음
@druminsect4424
@druminsect4424 8 ай бұрын
엔피씨여도 좋으니 평탄하고 행복하게만 살고싶네요ㅋㅋㅋ
@nub7548
@nub7548 7 ай бұрын
14:33 나스카 대평원 ㄷㄷ
@hs55236139
@hs55236139 8 ай бұрын
형 일요일인데 터져버렸네 힘내
@joonhoseo9279
@joonhoseo9279 8 ай бұрын
가상시뮬레이션이든 NPC이든 존잘에 부자면 좋겠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
@Zman158
@Zman158 8 ай бұрын
우주의 말도 안되는 규모 를 반복 생성 알고리즘 월드 같은 느낌으로 보면 수긍이 가기도 함 ㅋㅋ
@ChunSik262
@ChunSik262 8 ай бұрын
그게 4차원 기하학 아닐까요?
@lostbutter001
@lostbutter001 8 ай бұрын
우주를 처음 만든게 어떤 가늠할수없는 생명체든지 아니면 자연스럽게 생겼든지간에 기본 알고리즘만 놔두고 나머지는 알아서 생성된 개념이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시뮬레이션이라고 보기도 어렵지않나싶음
@user-wk9bo5eu4w
@user-wk9bo5eu4w 8 ай бұрын
​@@lostbutter001절차적 생성이라고 아시나요
@lostbutter001
@lostbutter001 8 ай бұрын
@@user-wk9bo5eu4w 수학언어는 모르는게 많습니다
@user-vw1qn9st7s
@user-vw1qn9st7s 8 ай бұрын
@@lostbutter001 일단 스티븐 호킹은 우주가 자연스럽게 생겼다고 돌아가실 때까지 주장한걸로 기억함
@user-fe9nu8vr7z
@user-fe9nu8vr7z 8 ай бұрын
이햐~ 입자냐 파동이냐를 게임 시야로 찰떡 비유해버리네 ㅋㅋㅋ 역시 공대장다워
@user-om5fo4nd6w
@user-om5fo4nd6w 8 ай бұрын
보부상 모자를 쓰시겠습니까? 수락 광대력 +1😂
@dezpac4912
@dezpac4912 8 ай бұрын
슈카형 타이어 주식 억까 당한거 보면 게임이 아닌게 이상하지 ㅋㅋㅋㅋㅋㅋㅋ
@user-yw6mi5sb7h
@user-yw6mi5sb7h 8 ай бұрын
유사과학이 아닙니다.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록 시물레이션에 가까운 결과들이 나와서 그렇습니다. 당장 원자 세계로 가도 양자화가 바로 아날로그처럼 연결된 세상이 아니라 숫자화된 세계를 대변하고 있지요.마치 2차원 평면에서 투영된 3차원 세계처럼 보인다는데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모든 정보는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된다고 합니다. 즉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에 입력된 정보가 3차원으로 투영된다고 볼 수 있는 거지요.
@last1second
@last1second 8 ай бұрын
님 전공/직업 분야 뭐임?
@Aasdd221
@Aasdd221 8 ай бұрын
저도 시뮬레이션이라 생각함. 그래도 열심히 살아아죠
@kr900924
@kr900924 8 ай бұрын
님 이제 버그로 삭제됨
@user-ju1ml8jh4p
@user-ju1ml8jh4p 8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설명이 어려워요..
@Agingg
@Agingg 8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야
@cheonwonju.
@cheonwonju. 8 ай бұрын
와 바로 꿀잠각인데 ㅋㅋ
@user-ie-ge-game-ie-na
@user-ie-ge-game-ie-na 8 ай бұрын
차피 천년 지나도 이런 얘기는 재미로 하지 시뮬레이션이라는 사실에 접근도 못 할건데 뭐 😅 재밌게 잘 봤습니다~
초거대 입자가속기 충전 완료, 암흑물질을 찾아라
22:58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사이비 종교, 나는 신이다.
32:0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그리스 경제가 부활했다.
24: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전쟁으로 횡재한 나라 노르웨이
22:1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인류 역사상 최다 희생자를 기록한 독-소전쟁
31:4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4,500년 만에 피라미드 "비밀의 방"을 찾았다
20:1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개인이 세계 1위 우주 로켓 회사를 만들 수 있을까?
39:04
피라미드 뺨때리는, 진시황 무덤의 도시전설
17:5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우리는 정말 매트릭스 세계에 살고 있는 걸까?
21:44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Бабушка и домовой
0:53
Сабина Хайр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звучка @patrickzeinali  Тюремная еда  Часть 2 @ChefRush
0:52
BigXep. Канал озвучки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Dad takes baby too unreliable# husband and wife humor funny video
0:16
Country Humor TV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