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더 이상 배울게 없다던 "일본의 그 시절"

  Рет қаралды 738,701

교양의 시대

교양의 시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542
@SteppenwolfPark
@SteppenwolfPark 2 ай бұрын
영상 퀄 되게 좋네요 잘 봤습니다
@decentd4255
@decentd4255 2 ай бұрын
같은 주제 같은 썸네일로 수많은 컨텐츠를 봤지만 가장 폭넓고 혜안있는 영상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할께요~
@강상훈-y5d
@강상훈-y5d 2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의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금의 대한민국의 부동산 정책의 처한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군요. 국민들이 똑똑해야 하겠습니다.
@sjwon
@sjwon 2 ай бұрын
한국도 일본 따라 간다
@해충박멸-u8r
@해충박멸-u8r 2 ай бұрын
일본이 한반도 평화를 방해하고 오히려 이간질하는 이유들 알겠지
@공미네이터
@공미네이터 Ай бұрын
@@sjwon일본은 무슨 필리핀이나 자원없는 배네수엘라가 개조선의 운명이다
@사탄들렸어-w1l
@사탄들렸어-w1l 13 күн бұрын
​@@sjwon우린 저만큼 번적이없는데 뭘따라감ㅋㅋ
@lilhalilha1
@lilhalilha1 28 күн бұрын
버블경제 관련된 영상 중에 가장 자세하고 가장 이해 잘되는 듯
@illiio-oaII
@illiio-oaII 2 ай бұрын
버블 관련된 영상 여러개 봤었는데 이 영상이 제일 최고네요 정말 잘 만드셨습니다❤
@바쿠맨
@바쿠맨 2 ай бұрын
내용 좋네유
@moohaseyo
@moohaseyo 2 ай бұрын
목소리 좋기만 한데.. 문장 구성도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하시고! 귀에 쏙쏙 들어와요! 재밌어요!!
@jongwoo313
@jongwoo313 Ай бұрын
얼굴도 잘생겼을 가능성 100%
@감전김-h8u
@감전김-h8u 23 күн бұрын
@@jongwoo313ㅇㅇ잘생김
@aAAa-t5e
@aAAa-t5e 14 күн бұрын
@@jongwoo313엠피스 검색 ㄱㄱㄱ
@SH-vc4bc
@SH-vc4bc Ай бұрын
경제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정확한 내용을 담은 동영상이네요. 모처럼 훌륭한 영상보고갑니다. 앞으로의 영상도 응원하겠습니다
@ScienceJook
@ScienceJook 2 ай бұрын
영상 퀄도 높고 설명도 훌륭했습니다. 아주 유익하고 재미있게 시청했어요!!! 정진하시면 분명히 잘되실겁니다.
@justpiano-mu7zt
@justpiano-mu7zt 2 ай бұрын
진짜 필요한 기억잘나는 알짜배기 정보만 쏙쏙 골라서 영상에넣었네요 노력이 보여요 멍청한 제가 전부이해가가다니😢
@리꼴라떼
@리꼴라떼 2 ай бұрын
항상 일본의 버블경제 단순히 단어로만 알고있었는데 이런 배경이 있는 줄은 몰랐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큰 공부가 되었네요
@행동-t3n
@행동-t3n 2 ай бұрын
잘 짜여진 영상과 해설 귀에 쏙쏙 들어왔어요. 감사합니다. 승승장구 하시고 구독 처박고갑니다♡♡
@forcebewithyou-w5i
@forcebewithyou-w5i 2 ай бұрын
유익한 채널로 발전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슌카
@슌카 Ай бұрын
poe 잘하실것 같은 목소리 히야히야 좋습니다!!
@만지호야
@만지호야 7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쿨사-h7g
@쿨사-h7g 2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채널 입니다. 지식채널 수십만 구독 채널들에 전혀 꿀리지 않는 퀄리티와 알기쉽고 재미난 영상 이었습니다. 구독 박고 갑니다.
@realbiny9083
@realbiny9083 2 ай бұрын
굉장히 정확하고 이해가 쉽게 잘만드셧네요 아직 알고리즘 선택을 못받을 뿐 반드시 떡상할 채널입니다
@담원-l5t
@담원-l5t Ай бұрын
설명 찰지게 잘하십니다~~ ㅎㅎ
@설렁탕-l8d
@설렁탕-l8d 4 күн бұрын
쏙쏙 들어오는 강의네요 구독 쿡 박고갑니다
@Dianaa-u3h
@Dianaa-u3h 6 күн бұрын
설명이 간결해서 이해하기가 쉬워요👍
@wulfdy9108
@wulfdy9108 2 ай бұрын
와우랑 POE 엄청 잘 하실 것 같은 목소리신데요..?!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하루는종일맑음
@오늘하루는종일맑음 Күн бұрын
설명 이해잘되고 영상 잘만드셨네요. 좋댓구알하고 갑니다.
@fwanyy0708
@fwanyy0708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게임 좋아할 목소리네요 듣기 좋아요
@CucuReo
@CucuReo 4 күн бұрын
정리가 너무 깔끔해서 잘 봤습니다.
@user-KIM1973
@user-KIM1973 Ай бұрын
미국이 얼마나 절대적 힘을 가지고 있는지 알수 있는거죠. 일본을 패망시키고 농업국가로 만들려다가 공산주의 세력이 커지자 다시 일본을 살려 경제호황으로 잘 살게 만들어줬더니 그 일본이 다시 미국경제의 숨통을 조여오자 바로 밥그릇 걷어차고 다시는 기어오르지 못하게 만드는 절대적인 힘. 미국의 그 힘이 무서우면서도 부럽기도 하고 참.. 우리도 미국 눈치 잘보면서 살아남는게 현실인거 같습니다
@강현준-m5q
@강현준-m5q 28 күн бұрын
실력으론 안되니 승전해서 패권국이 된 지위를 이용해 그지위를 계속 누리기위해 졸렬한 악수 두는게 대단해요? 플라자합의 는 누가봐도 미국의 억지 발악 그이상 그이하도아님
@보노리-e3y
@보노리-e3y 24 күн бұрын
​@@강현준-m5q 그억지조차 강자였기에 가능한 억지고 실력임
@기록용-v8g
@기록용-v8g 21 күн бұрын
​@@강현준-m5q그 억지를 부릴수 있는게 실력인데?
@Siurang2
@Siurang2 21 күн бұрын
@@강현준-m5q ㅋㅋㅋ 순진하노
@Ccheechmal12
@Ccheechmal12 20 күн бұрын
@@강현준-m5q그걸우린 실력이라부르기로했어요
@Sultan38-j8h
@Sultan38-j8h 2 ай бұрын
주인장 똑똑하네 바로 구독합니다!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왜그른데
@왜그른데 7 күн бұрын
이해가 겁나 잘됨..굿 구독하고 갑니다.
@김준용-h7q
@김준용-h7q 2 ай бұрын
꽤 알차고 내용있는 잘 만든 작품입니다.
@kimgoogle169
@kimgoogle169 Ай бұрын
우와 진짜 일본 버블에 대해 이해가 쏙쏙됐어요!! 설명 너무 꼼꼼하게 잘 해 주시고 내용이 정말 좋네요. 잘 보고 갑니다. 구독도 했어요!
@김상백-e8w
@김상백-e8w 2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으로 알기쉽게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난누난누-p5g
@난누난누-p5g 2 ай бұрын
듣기 편한 목소리. 업로드 꾸준히 하시면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실꺼같네요. 여러 좋은 얘기 부탁드리면서 구독박고갑니다. 최소 수독자 5만이상은 올라갈꺼라 예상합니다.
@snowboy586
@snowboy586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일찍이 일본 버블 경제 몰락을 교훈삼아서 과열 조짐 보이자마자 대출 규제를 엄청 했는데, 그래서 땅값이 미칠듯이 폭등은 안하고 천천히 오르지만 이게 사회 초년생의 집 구입 진입장벽을 만들어버리고 한국의 1가정 집 1채 결혼 문화랑 맞물려서 역대 최악의 출산율로 나락가는중.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이 이제 슬슬 회복 조짐이 보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이 정도의 출산율 나락은 세계 역사적으로도 기록적인 수치라서 도저히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지금도 전혀 나아지지 않고 현재 진행형이라는것...
@vlxmsldl-u5n
@vlxmsldl-u5n 5 күн бұрын
안산은 gtx 호재가 터질거라 생각했는지 2-30대 신혼부부가 초지역에 대출로 아파트 매매를 많이 한다고 하던데
@Zinzibug
@Zinzibug 4 күн бұрын
절망적으로 생각하니까 절망적인거임. 지금은 말도 안되는 경제, 기술, 과학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시대의 시작임
@prayerone1689
@prayerone1689 3 күн бұрын
천천히? 5년사이에 3배 4배가 천천히?
@user-so5uz7wc8s
@user-so5uz7wc8s 3 күн бұрын
미래 뻔히 보이는데 김정은 후계자 김주애가 남침통일하겠지 ㅋㅋㅋ
@tnl107
@tnl107 3 күн бұрын
뭔소리야 천천히가 아니고 몇배가 오르니까 망한거지
@스튜디오홍시
@스튜디오홍시 Ай бұрын
엠피스님 채널 또 파셨네~ 잘하셨어요
@감전김-h8u
@감전김-h8u 23 күн бұрын
엠피스임 이거? 와 어쩐지 목소리 똑같다 했더니 와우 공략 목소리가 왜 나오나 했네
@호영-k2c
@호영-k2c 12 күн бұрын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도 그렇고 무분별한 대출이 경제에 얼마나 큰 위기가 될 수 있는지 알 수 있네요 감사합니다
@짱보-k1h
@짱보-k1h Ай бұрын
엠황목소리가 왜 여기서 들리누 ㅋㅋㅋㅋ 구독박아요
@kang33333
@kang33333 11 күн бұрын
너무재밌네요.. 설명을 아쥬 잘해주시네요
@옥히독히
@옥히독히 Ай бұрын
영상 요약 디지게 좋다 와 감사합니다
@hn4490
@hn4490 2 ай бұрын
와~ 20여 분 남짓 시청했는데 경제학 서적 몇 권을 읽은 것 같아요.
@새장골-d1in
@새장골-d1in 2 ай бұрын
딱딱한 경제 이야기를 참 쉽고 재미있게 잘 설명 해주시네요 관련 영상도 좋습니다 당연히 구독합니다 감사합니다
@트랭크스
@트랭크스 15 күн бұрын
말로만 버블시절만을 들어왔고 머리로는 대충 이해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 됐어요!!!
@just192447
@just192447 28 күн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Stockland-r8b
@Stockland-r8b 29 күн бұрын
영상 좋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다른 영상도 다 봐야겠어요
@권재형-i2w
@권재형-i2w 4 күн бұрын
11:10 감사합니다 스마트하고 명쾌한 설명 일본! 버블 신박한 설명
@tellsky111
@tellsky111 4 күн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구독했어요^^
@레오뉴냐
@레오뉴냐 25 күн бұрын
최고입니다 구독해요😊
@최선이야-y7p
@최선이야-y7p 20 күн бұрын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임관용-r8t
@임관용-r8t 2 ай бұрын
영상퀄이 아주좋네요! 이상태로가면 구독자빡빡늘어날듯 ㅋㅋ
@i_joara
@i_joara 8 күн бұрын
오 재밌었다 구독!!
@쿠가-c5u
@쿠가-c5u 2 ай бұрын
내용 좋습니다
@u-ur9og
@u-ur9og 2 ай бұрын
재밋네요
@heeguenp
@heeguenp 2 ай бұрын
일본에 80년대 금리인하 유동성은 부동산버블 잃어버린30년은 실패만 한게 아님 그당시 투자한돈이 문화 컨텐츠 기술사업으로도 투입 되었고 애니 영화 드라마 식문화 전자오락기기 등등 세계 문화를 선도 했음 그부가 적인 ip수입 만으로도 지금도 매년 수십조를 벌어들이고 있고 우리나라 처럼 진자 말그대로 부동산으로만 유입 되는게 아니였음.
@무제-c8f
@무제-c8f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sinclaire5845
@sinclaire5845 Ай бұрын
그 논리면 한국도 똑같죠 ㅋㅋ 한국도 브동산 뿐만 아니라 문화 컨텐츠 기술사업에 투입되어 요새 k-컬쳐 붐이 인 거 아니겠어요? 너무 단순한 표피적인 해석 같네요
@onil9209
@onil9209 16 күн бұрын
퐁라기마인드
@심탕이shimtang2
@심탕이shimtang2 4 күн бұрын
​@@sinclaire5845일본 문화랑 한국 문화랑은 못비비죠 k컬쳐 잘나간다 해도 도라에몽 하나 못 이길거 같은데
@리리-w9d
@리리-w9d Ай бұрын
버블로 하늘과 땅을 맛봤지만 대처가 진짜 잘됬음 한국은 버블이 온적도 없는데 벌써 터짐
@lovesony33
@lovesony33 2 ай бұрын
일본에 30년 살면서 일본에 대해서 거의 몰랐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공부 많이 되네요.👍좋아요
@davidpark3602
@davidpark3602 2 ай бұрын
진짜 무서운게 내용을 보면서 왜 우리나라 현 상황이랑 비슷한 점이 많다고 느꼈는지 … 등골이 서늘해졌음
@늑달-j4q
@늑달-j4q Ай бұрын
전국민 각자 아파트2채 가지고 외제차타고 은행대출을 120프로 나오고 삼성시총이 세계10위 안에 들면 비슷해 집니다. 주택담보대출 이자도 부담스러운 한국이랑 하나도 안 비슷합니다.
@KIM010-dq8bb
@KIM010-dq8bb Ай бұрын
어느부분이 비슷하다는건지 ㅋ 대출 저리 펑펑 내주는 은행 있으면 소개좀시켜주시죠 내가가서 대출받게
@리클라우스
@리클라우스 Ай бұрын
쟤들은 찐으로 월드클래스 까지라도 갔지 우린 그 언저리도 못 가고 나락 입구
@peterhan4173
@peterhan4173 29 күн бұрын
댓글들 보면 정신들 못차렸네...
@anonymityp1008
@anonymityp1008 27 күн бұрын
하나도 안 비슷해ㅋㅋ 오히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랑 비슷하지 일본 기업들이 대출로 땅을 사고 그 땅을 담보로 대출 받아서 땅을 사고 또 그 땅을 담보로 대출 받아서 땅을 사는걸 반복하다가 거품이 형성되다가 터진 것처럼 서브프라임 모기지도 모기지 론 파생 상품을 만들고 그 파생 상품에 대한 파생 상품을 만들고 또 그 파생 상품에 대한 파생 상품을 만드는걸 반복하다가 터져버린건데 일본의 버블 경제와 매우 비슷하지 다만 미국은 깡패 국가라 지들이 피해본걸 강제로 다른 나라에 일부 떠넘기는게 가능하지만 일본은 그게 불가능
@baehongkim952
@baehongkim952 Ай бұрын
와~! 재밌고 유익!!!!
@KoreanBigMan
@KoreanBigMan 2 ай бұрын
구독자 최소 5~10만 봅니다. 구독박습니다.
@하늘이-h7g9q
@하늘이-h7g9q 2 ай бұрын
어.. 내용이 참 좋네요. 정리 잘하셨고 영상도 좋고. 좋아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자주 보겠습니다 ~
@개털남-q8h
@개털남-q8h 2 ай бұрын
저 버블을 버틴 일본이 대단한거야~ 우린 집에 불이 번지는데도 문제해결의 중심에 있는 정치권이 서로 개싸움 하고 사회갈등이 증폭되고있는 형국~
@강병준-g1n
@강병준-g1n 2 ай бұрын
최근에 본 지식영상 중에서 최고다
@곽군-u9q
@곽군-u9q 21 күн бұрын
엠피스님이랑 같은분인가요 목소리가 너무 똑같아요 너무 듣기좋은 목소리에요~
@AMAGASOO
@AMAGASOO 2 ай бұрын
좋은 채널 구독해봅니다.
@난수달
@난수달 Ай бұрын
옛부터 경제학에서 유럽-미국-일본-한국-중국의 순으로 서로의 경제사를 답습한다는 관점이 있었는데..정말 그대로 진행이 되네요. 무섭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 벌어질 일들이
@YangGangroy
@YangGangroy 2 ай бұрын
잘하신다. 구독 박고 갑니다
@와이프사랑
@와이프사랑 2 ай бұрын
이 영상의 내용을 우리 정부는 알고 있는가? 머지않은 우리 미래른 보여주는 정확하고 의미있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sdj5153
@sdj5153 2 ай бұрын
이미 문재인때 시작됨
@BB-it1qc
@BB-it1qc 14 күн бұрын
문 정부 때 강제로 입법 한 임대차 3법은 고의적으로 버블을 일으켜 중산층을 가난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user-ms4sr7dm5o
@user-ms4sr7dm5o 26 күн бұрын
와 대박 알고리즘 타고 진짜 아무것도 모르고 왔는대 POE하는 기분이네
@yaguda1
@yaguda1 2 ай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 경기가 똑같이 따라가는거 같습니다....오로지 부동산 만을 떠받치다가 무너진거 처럼요. 현지 강남에 10억 하락한 매물이 나오고 있죠, 너무 똑같은 길을 가고 있네요 .
@역삼역센터필드
@역삼역센터필드 Ай бұрын
아직은 전혀 아니죠. 한국정도 나라의 수도 집값은 다 그 정도 합니다
@turkeymanyoyo3988
@turkeymanyoyo3988 Ай бұрын
맞벌이 부부가 100년모아야 집살수있음 일본하고 비슷해짐
@minji9508
@minji9508 Ай бұрын
모두가 일본처럼 될거라고 걱정해서 그런지 전혀 일본스럽지가 않아.....
@DowonLee-hb7mw
@DowonLee-hb7mw Ай бұрын
똑같이? 일본이니까 잘 벼텼지 조선은 그냥 망했고 개조선이 일본처럼 아메리카 다음 가는 세계 2위 경제를 찍어보기나 했나?
@Hanson0687
@Hanson0687 29 күн бұрын
​​​@@역삼역센터필드너무 비싸게 주택 대출을 하는 바람에 월소득에 이자/원금이 많이 빠져나가서 소비할 돈이 줄어들어서 대출 신용도가 떨어지고 내수 경기가 위축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그런거니까 주택은 투기 대상이 아니라 거주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임...
@ShingShingHyeo
@ShingShingHyeo 23 күн бұрын
영상 자체는 정말 좋은데 오른쪽 로고가 너무 커서 집중에 방해된다는 아주아주 작은 의견 내봅니다
@김록김
@김록김 8 күн бұрын
불펌하는 애들 넘쳐나서 어쩔수 없음
@yter4172
@yter4172 21 күн бұрын
나도 종종 쓰는표현인데 전산상의 돈, 은행서류에만 있는 돈. 이렇게 다른 사람도 쓰는걸 보니 반갑네요
@leedooyoung1
@leedooyoung1 16 күн бұрын
일본의 버블경제 덕분에 시대를 앞서간 초명작 애니, 게임 등이 저 시절에 엄청나게 많이 나왔죠
@검은불사조
@검은불사조 2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와는 다르지 우리나라는 대출 풀로 땡겨서 집사서 전세내주니깐 전세 사는 애들만 돈떼먹히고 끝남 대부분 ㅋㅋㅋ 뉴스에 괜히 전세사기 엄청 많다고 얘기하는게 아님. 전세사는 애들도 다 은행대출인데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냐 대출 갚는 인생이 늘어날거고 신불자도 늘어날거고 더이상 집값 오를일 없다 이거야. 은행도 이제 대출안해줌
@김대섭-f2r
@김대섭-f2r 2 ай бұрын
그래서 나라가 빚탕감 시켜주잖아 너도나도 대출후 코인 한방 노리고 성공하면 룸빵 실패하면 탕감~
@onil9209
@onil9209 16 күн бұрын
어디 풀로 땡겨주는 은행좀 알려줘봐 퐁락아 수입없이 대출해주는곳으로 ㅉㅉ
@모코야
@모코야 Ай бұрын
그런데 고도 성장기부터 버블 터지기 전까지 남아도는 돈으로 이것저것 해외 투자 어마하게 해놔서 진짜 잃어버린 10년,20년 동안 매해 엄청 벌어들이고 있는 국민은 가난하지만 부유한 일본
@냥냥펀치-r6j
@냥냥펀치-r6j 2 ай бұрын
와 영상 잘보고 갑니당.
@sjw6729
@sjw6729 2 ай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 내용이고 80년,90년 일본의 상황을 이야기하지만 현재 시점(2024년). 한국도 같은 상황이라고 봐야겠죠..ㅠ 좋든 싫든 간에 개발도산국에서 선진국이 되었고(단 시간 안에), 실물 가치보다 부동산,코인 등등 자본 팽창의 가치가 너무나 커져 버리고 기업들은 투자하기 보다는 부동산으로 돈을 넣어버리고 투자가 없으니 그 안에서 청년들은 가고 싶던 취업 기회 없지고, 부동산으로 주거가 해결하기 힘드니 결혼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내몰리고.. 출산률은 더더욱 박살 나서 미래는 더욱 어둡진 상태에서 결국 버블은 터지는데.... 한국은 그럴 준비가 안되어있다는 사실이 너무 나도 아프지만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니.....이럴 때 사람은 기준점은 잃게 되어 우울증과 ㅈ살률은 지금보다 더욱 올라가는 상황인데 국가+기업(단체,조직)+(각)개인들이 이걸 극복하고자 인식이 개선되고 마음+지혜를 모아야할 때 인 것 같아요..... 3중 하나라도 모이지 않으면 극복할 수도 잘 살아갈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jnjn704
@jnjn704 Ай бұрын
목소리랑 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ㅎㅎ
@푸르른지구
@푸르른지구 23 сағат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 만약에 건물이 있어서 그걸로 10만원을 대출받고 또다시 10만원으로 건물을 사고 그걸로 20만원을 대출받고 이런식으로 가면 돈이 불어나는게 아니라 오히려 이자만 늘어나서 손해만 막심해지는 것 아닌가요?
@juhou0412
@juhou0412 21 сағат бұрын
이자만 낼 여력이 있다면 손해가 아니었지요. 건물가격이 오르니깐요
@OoOddd-sd8ry
@OoOddd-sd8ry 2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일본 버블경제 시대때 그 시기때 일본에서 만든 애니메이션 작화들이 엄청 퀄리티가 좋더라구요 사람들이 버블경제때 산유물이라고 할만큼 작화가 좋던데 근데 궁금한게 버블경제때 경제 호황시기라 다들 투기나 주식을 많이 했던거로 알고 있는데 일본이 금리를 낮추고 너도,나도, 기업도,대출을 많이 받아서 투기나 주식을 많이 한거로 알고 있고 보면 경제호황으로 다들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버는 게 훨씬 많아, 노동으로는 일을 잘 안하려고 했던거 같은데...아닌가요?? (투기를 많이 한거 같더라구요, 집값도 폭등하고) 부동산으로 버는 돈이 더 많으니 기업들도 부동산으로 돈을벌지 산업확장도 잘 안하는거 같고 지금까지 일본을 성장시킨 동력 장인정신, 근면성실 저축문화가 약해지고 일본을 노동의가치가 경시되고 실물경제 성장없이 거품만커지는 상황이 발생하죠 ㅠ 기업이든 개인이든 주식이나 부동산투자를 하고 일(노동)을 다 안하려고 했던거 같은데 왜 애니메이션 작화 퀄리티는 좋은걸까요?? 그 만큼 애니 작화 인력을 더 많이쓰고 노동도 많이한거 같은데...맞는건지 ㅠㅠ (제가 잘 모르는부분도 많으니 양해부탁드려요)
@용하재
@용하재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베이버 부머세대즘인 일본인들은 좋은 젊은시절을 보냈네 ..
@j-ci3729
@j-ci3729 26 күн бұрын
지금 한국에서 봐야될 중요한요점 은 실업률증가-소비감소-매출감소-노동자해고-다시 실업률증가.. 지금 한국 내수경제 상황 입니다..
@박승-v8j
@박승-v8j 2 ай бұрын
88년도 일본 시총 1위 가 NTT도코모 지금의 한국으로 말하면 KT라고 비교하지만 당시에 NTT는 지금의 구글, 애플, MS 이런 회사였습니다. 이들 세기업이 태어나기도 전에 엄청난 통신회사였던거지요. 한국의 한국전화가 KT전신이였고 국가가 운영하는 한국최대 기업이고 이것 또한 엄청나게 큰 기업이였습니다. 이당시 한국의 민간이업중에 한국전력만큼 큰 기업이 없었죠. 그러니 일본도 전화통신서비스는 국영기업이였고 막대한 자산을 가진 독점적이고 전국에 부동산땅값만 장난이 아니였죠. 거이에 우체국이라는 우정사업부가 또 있습니다. 이 회사의 규모가 얼마나 엄청난규모였냐 하면 2011년에 일본정부에서 우정사업부를 따로 민간기업으로 전환할려고 애를 썼지만 못해 왔습니다. 엄청난 자산규모에 워낙에 많은 사업군을 가지고 있은 터라 매출400조원의 초대형 사업을 조기에 매각과 한꺼번에 정리할수 있는 회사가 아니였던 겁니다. 지금은 모두 매각하고 정리될 사업부는 다 정리된 상태지만 20년간 민간사업전환이 필요할 만큼 큰 회사였다. 그래서 당시 일본의 시총 1위가 왜 1위했는지 아시겠죠. 당시 한국의 시총1위가 포항제철(포스코) 1조 2천억. 삼성전자가 8천억이였습니다. 한국전력이 4천억. 당시 한국의 GDP가 214억불/환율 120조원 이였으니깐NTT하나가 시총276조(당시환율 1불/ 600원) 180조원. 한국GDP보다 더 많았던 셈이죠.
@박지승-h5q
@박지승-h5q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NTT도코모는 과거 유선 일색 시절부터 이동통신 초창기까지 작을래야 작을수 없었던 거대기업이었죠
@무명인-o8y
@무명인-o8y 2 ай бұрын
여기서 미국의 힘...미국의 무서움,두려움이 있지요. 미국은 플라자합의로 일본을 한방에 나락 보내버리지요. 미국은 자국 GDP의 60%가 넘어가는 나라는 수단과 방법 안가리고 밟아버려 싹을 자르지요. 그게 지금의 중국입니다. 미국은 "달러"라는 가장 핵심적인 최고의 무기로 지구가 멸망 할 때까지 원탑의 초강대국으로 남을겁니다.
@싸스트
@싸스트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하네
@Zfb2sj
@Zfb2sj Ай бұрын
일본에 위협을 느낀 미국은 플라자 합의 뿐만 아니라 반도체 협정으로 미래 산업까지 빼앗아 새로운 하청으로 옮겨버렸죠, 그것을 낙찰받은 곳이 바로 한국이고 얻어걸린 30년입니다.
@폴라김
@폴라김 2 ай бұрын
참 지금 한국과 비슷합니다.. 한은총에서 내세우는 정책이 옳은 선택이라고생각합니다.
@user-시나강
@user-시나강 2 ай бұрын
한국이 참고할만한 두나라가 있습니다 1.독일 독일처럼 국어사전에 빚과죄의 정의를 *빚=(1)빌리다,부채(2)죄 *죄=(1)무언가에게 피해를주는 행위(2)빚 (죄의경우 순수한국어로 별도기재) 빚=죄라고 바꾸어 어린세대부터 제대로 교육을해야} 빚=죄라는 의미로쓰이며 독일은 가계,기업,정부부채를 GDP 대비약50%내외로 안정적으로관리. 헌법에 부채한도명시해 한해 국가의 재정적자 3%초과금지및 헌법에 부채상한을 GDP 대비0.35%로제한하며 주정부는 적자재정금지라고 명시함. (단, 국가부도위기나기타 비상상황발생시에는 예외라는 예외조항을 명시함) 독일은 화폐가치하락대비해 금보유량이 약3500톤VS한국은 100톤에불과해.. 2.일본 일본은 전체부채가 전체예금을 초과하지 않도록관리하며 이는 전시상황에서도 예외없이 적용됩니다. 일본은 1차대전 전후시기 화폐를 마구발행해 국채와 맞바꾸다 화폐가 휴지조각된 경험을 한후 2차대전시기나 그이후 현재까지 일본의 통계를 보면 알수있듯이 단1차례도 전체부채가 전체예금을 초과한적이 없습니다. 일본은 국가부도 위기시등에 예금봉쇄해 세금으로 징수가능한 법안이 존재해 2차대전후 증가된 부채해결위해서 실제로 예금봉쇄해 재산세로 환수해 부채를 해결했습니다. 일본이 한계에 달한다면 과게에그랬듯이 예금봉쇄해 재산세로환수해서 부채문제를 해결하면됩니다. 예적금을 정부담보로 인정하기위해서는 국가부도위기시등에 예금봉쇄해 세금으로 징수가능한법안이 필요합니다. 그이후 가계,기업,정부부채와 공공기관 보증업무와 자금조달등은 모두 예적금담보범위내 이루어져야합니다. (일반은행등이 중앙은행에 1년이상 정기예적금을 예탁하게하고 그돈을 담보로활용) 일반은행에 국채매입할당량을 주고 설사 실재국채발행않더라도 그할당량만큼은 가계나기업대출이 금지되며 국채를 일반은행이 예금담보로 사들여 정부에화폐내주고 그국채를 중앙은행이 재구매해 일반은행에 화폐발행해 내어주는식으로 개혁해야. 즉 중앙은행의 모든채권직매입 금지시켜야.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하기 위해선 일본처럼 전체부채가 전체예적금을 초과하지 않게 관리하는등의 부채의 한계를 명확히해야합니다. 부채의 한계를 명확히하지 않는다면 저금리시 당연히 지렛대효과로 부채가 폭증하게되고 대출등으로 증가된 통화량으로인해 물가가폭동하게되고 화폐가치가 녹아내리게되며 이로인해 얼마못가 금리를 올리게되고 경기침체가오고 다시금리내리고 다시부채폭증하게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게됩니다. 초장기간 저금리시 장단점이 있겠지만 일단 기업에게는 큰도움이되며 이로인해 고용시장이 안정을 찾을수있어 출산율회복에도 도움이되며 투기심리를 잠재울수있습니다. 독일은 빚=죄라는 단어의 의미로 쓰며 선진국중의 선진국이다보니 독일에 유학한 일본 경제학자들이 예적금을 정부담보로 활용하며 이를 근거로 정부가 금융시스템에 일정부분 개입하는걸보고 금융방임조치의 무서움을 깨닫고 따라한 케이스입니다 한국 가장 좋은방법은 독일과 일본의 정책을 혼용해 한국에적용시켜야. 독일의 정책을 베이스로삼고 일본의 정책을 첨가해야 독일처럼 국어사전에 빚과죄의 정의를 *빚=(1)빌리다,부채(2)죄 *죄=(1)무언가에게 피해를주는 행위(2)빚 (죄의경우 순수한국어로 별도기재) 빚=죄라고 바꾸어 어린세대부터 제대로 교육을해야} 빚=죄라는 의미로 교육하고 독일처럼 가계,기업,정부부채를 GDP 대비약50%내외로 안정적으로관리하며 헌법에 부채한도명시해 한해 국가의 재정적자 3%초과금지및 헌법에 부채상한을 GDP 대비0.35%로제한하며 주정부는 적자재정금지라고 명시해야. (단, 일부 비상사태발생시 예외라는 예외조항을 명시) 여기에 일본의 정책을더해 일본처럼 설사 전시라도 전체부채가 전체예금을 초과하지않게 관리하도록 개혁해야 즉 국가부도위기시등에 예금봉쇄해 세금으로 징수가능한법안도 만들고 그이후 가계,기업,정부부채와 공공기관 보증업무와 자금조달등은 모두 예적금담보범위내 이루어지도록 개혁해야합니다 (일반은행등이 중앙은행에 1년이상 정기예적금을 예탁하게하고 그돈을 담보로활용) 한국의 부채현실은 정부 보증기관에서 보증서고 한국은행에서 그만큼 돈찍어내고 은행에서 그돈빌려다 대출하는 정부 정책대출로인해 한국의 5대은행기준 예적금은 천조도 안되는데 부채는8천조에달해. (전세금포함시 가계부채약3000조, 기업부채약3000조,공기업부채약700조포함시 정부부채2000조해서 약8000조부채) 일본과 비교하자면 한국은 현재1경의 저축액이 부족한셈입니다 얼마나 대한민국이 거지꼴인지 와닿지 않으십니까? 즉 체질개선부터해 기초체력부터 차근차근히 길러야합니다. 저축의날을 기념일로 부활시키거나 국경일로삼아 전국민을 저축많이하도록 유도해야합니다. 저축의역설문제는 예적금담보로 정부에서 국채발행해 일정기간내 소비하지않으면 소멸되는 상품권등을 발행해 민간에 뿌려되 해결하면됩니다 연금정책도 일본을 참고해야 보험료율 약18.5%로 더내고 덜받는 방식으로 개혁해 모든연금통합해운영해 미래세대 배려해야하며 기초노령연금도 40대이후부터 평균5만원씩 적립해운영해 정부재정압박 완화시켜 지속가능토록 개혁해야합니다.. 출산장려금도 선별지급하고 모병제국가에서나 볼수있는 모든군인에 최저임금적용은 징병제국가인 한국에서는 제고되어야합니다. 이런 작은 하나하나의 표플리즘정책들이 국가재정을 파탄내고 국가부채를 더욱 심화시키고있으며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위해 무리하게 투기부추기는 악순환을 계속하게 되는것입니다.. PS. 플라자합의시 방위상을 지낸 나카소네가 경제양보대가로 핵재처리외 더불어 플루토늄보유를 얻어냈고 그게 올10월에 핵재처리공장4곳이 완공예정이었으며 여기에서 핵무기 약1500개 만들수있는 분량인 플루토늄약8톤이 매년 쏟아져나오게될 예정입니다. 영국과 프랑스에 핵재처리위탁해 보유중인 플루토늄도 핵무기 만여개 만들수있는 분량인 약50톤에 달합니다 일본 버블붕괴는 투기로 전체부채가 전체예적금에 근접하자 대출총량제로 대출차단하고 금리올리고 대출만기시 만기연장거부하고 못갚을시 바로차압해 경매로넘겨 붕괴된것입니다, 물론 아베가 아베노믹스로 부채를 쌓아올려 미국처럼 양적완화로 경제부양하려 실헙을한게 큰화근이긴하지만 전체부채가 전체예적금을 초과하지않는선은 지키며 진행해 감당가능한 수준입니다. 한계에달할시 일본 가계나 기업부채는 양호하니 정부부채만 GDP50%수준으로 예금봉쇄해 세금으로 환수하면 바로해결할수있는 옵션이 있기때문입니다. 손자병법에 적을알고 자신을 알면 백전백승이라고 했습니다 속은 텅비어있고 겉멋만 잔뜩든 한국이 일본의눈엔 한심한 조롱거리로 보일겁니다.
@성님-r9w
@성님-r9w Ай бұрын
기초노령연금 5만원 적립 좋은생각
@김퍼디난드
@김퍼디난드 28 күн бұрын
이후에 어떻게 회복했는지 영상도 궁금하네요~^^ 구독하고갑니다
@j-ci3729
@j-ci3729 26 күн бұрын
이후에 일본의원들 기득권은 반성하고 그 버블부채를 받아 들였습니다.. 우리나라와 는 시작점이 여기서 달라집니다.. 그래서 지금 현 일본상황이 된거고.
@user-fr2kr8yj9fu
@user-fr2kr8yj9fu Ай бұрын
댓글 평이 좋아서 봤는데 정말 유익해서 구독도 눌렀습니다😊
@김광종-t4s
@김광종-t4s 2 ай бұрын
어린시절 일본의 황금기를 보며 자랐고 중년이 되어서는 일본의 몰락을 보며 늙어 가는구나
@ypj5275
@ypj5275 2 ай бұрын
냉정하게 판단해서.... 2차 세계대전 후 우리나라, 일본, 유럽을 성장시킨 건 미국임. 그래서 아직도 미국을 형님 국가로 모시고 있는거고...
@악동카사노
@악동카사노 2 ай бұрын
아니죠 미국을 조정하는 유태인 카르텔 글로벌리스트 들이겠죠
@강현준-m5q
@강현준-m5q 28 күн бұрын
미국을 형님국가로모시고 백인 똥꼬나빨면서 흑형거리는 국가는 한국밖에없으니 제발 착각좀 작작...
@밥나물-s9q
@밥나물-s9q 2 ай бұрын
생각난다. 아르헨티나가~~~
@ymc5105
@ymc5105 Ай бұрын
지금 한국상황과 상당히 비슷하네요 ㄷㄷ
@cat4299
@cat4299 17 күн бұрын
절대 안비슷한데 요 ㅎ
@키킥-y3v
@키킥-y3v 12 күн бұрын
뭐가 비슷함? 말을해봐
@황형석-p2k
@황형석-p2k 19 күн бұрын
재밋다 👍👍👍👍👍👍
@GOCGCC
@GOCGCC Ай бұрын
매우 훌륭하네요!!!
@라더-m6b
@라더-m6b 2 ай бұрын
다시한번 미국의 대단함이 느껴지네요.
@봄.여름또다시봄
@봄.여름또다시봄 Ай бұрын
뭐야 엠피스님 이잖아?!
@jyp4447
@jyp4447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똑같이 가고있다....진짜..........
@hunny0811
@hunny0811 4 күн бұрын
지금 이거 우리나라 이야기하고있는거죠?
@DoramFu
@DoramFu 2 ай бұрын
이분 그 부부가 영화인물 소개해주는 그채널남자분과 목소리가똑같은거같음 ㅋㅋㅋ 말하는투나 이런게 이번엔 역사인가요 !!
@dogmoonga
@dogmoonga 2 ай бұрын
Bis 비율 만들어 일본 버블 붕괴를 촉진시키고 put선물 만들어 유럽애들과 같이 대량으로 포지션 잡아놓아 크게 터뜨치고 해먹은 게 미국의 치밀한 계획이었죠.
@아팔트
@아팔트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하고 상황이 완벽하게 일치하네요 가계부채도 역대급이고, 서울아파트 값도 버블입니다. 지금 즉시 금리를 8프로까지 올리고 대출규제를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 일본처럼 한번 쓸고 지나가야 정상화됩니다.
@아팔트
@아팔트 Ай бұрын
강남 아파트 34평이 평당 가격이 1.5~2억입니다. 경기도처럼 지방 아파트들은 아직도 매매 가격이 5억 이하가 수두룩합니다.
@HBRT-u8e
@HBRT-u8e 21 сағат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 상황과 비슷하네요
@들판-f9e
@들판-f9e 2 ай бұрын
아주 깔끔한 설명입니다. 다른 채널들의 어중이 떠중이들이 중언부언하는 잡소리에 비하면 이 채널은 그야말로 최고의 전문가가 100% 귀에 쏙쏙 들어오게 하는 명쾌한 채널입니다. 수시로 듣고 배우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방송 부탁합니다.
@노랑이망고-i2e
@노랑이망고-i2e 2 ай бұрын
일본 버블을 제대로 파악했네요 유익한영상 감사합니다
@immaculate86
@immaculate86 2 ай бұрын
곧 한국과 중국의 미래가 될지도..일본은 기술력과 자금이 있어서 버텼지 한국은 부동산 버블 붕괴되면 버틸수 있을까??
How Strong Is Tape?
00:24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人是不能做到吗?#火影忍者 #家人  #佐助
00:20
火影忍者一家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She made herself an ear of corn from his marmalade candies🌽🌽🌽
00:38
Valja & Maxim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The period in Japan that even the US feared?! | Future Class
19:21
일본 80년대 코카콜라 CF가 레전드인 이유
12:16
기묘한 케이지
Рет қаралды 390 М.
The Densest City on Earth
17:49
neo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How Strong Is Tape?
00:24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