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빠지직님 덕에 정기2차 15일 전기기사 필기 합격했습니다. 회로이론 인강 수강 아예 안하고도 12개나 맞았어요. 기기는 인강들으면서 이해안가고 암기안되던거 시험 전 이틀동안 기출 계산문제 다 버리고 지문 선택 문제랑 빠지직님 영상만 보고 15개 맞았어요. 기기랑 회로가 가장 큰 걸림돌 이었는 데 너무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진짜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비상구님 반갑습니다! 제가 도움이 되어드린 것같아서 정말 뿌듯하고 감사하네요! 앞으로도 하시는 공부 응원하겠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합격하신 거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ㅎㅎ
중첩의 정리는 전류원 기준일땐 전압원을 '단락' 시키고 전압원 기준일땐 전류원을 '개방' 시킨다 위 2문장이 핵심이군요 쉽게 가르쳐 주셔서 감4합니다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생각하는놈님 안녕하세요! 영상이 도움이 되어서 다행입니다! ㅎㅎ
@하남욱-y9r3 жыл бұрын
가채점결과 합격 입니다 소방기계 2차 응시후 20일동안 빡세게해서 합격했습니다(소방기계 준비하면서 틈틈히 준비) 빠지직 도움 많이되었네요 감사드립니다 즐건 주말 보내세요^^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남욱님 반갑습니다! 이야!! 좋은 결실을 맺으셨네요 ㅎㅎ 축하드립니다! 주말 푹 쉬시면서 실기까지 가봅시당!! ㅎㅎ
@hsk75723 жыл бұрын
알림 올 때마다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방문 해주실 때마다 제가 더 감사드리죠 ㅎㅎ sk님 파이팅!!
@ParkWanYung3 жыл бұрын
마침 회로이론 공부중이였는데. 정리가 따~악 되네요..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완용님 반갑습니다! 늘 찾아봐주셔서 고맙습니다 ㅎㅎ
@정민룡-s9d3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만 축하드립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민룡님! 정말 고맙습니다 ㅠㅠ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하는 빠직이가 될게요!!
@bokskim153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빠직은 정리의 달인이십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우앗 ㅎㅎ 과찬이십니다 ㅎㅎ 더 열심히 할게요bk님!
@100sseung Жыл бұрын
와놔 1도 이해못했었는데 이제 좀 됩니다 감사합니다 빠센세ㅜㅜ❤
@전기는빠지직 Жыл бұрын
백스승님 안녕하세요! 영상 봐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리죠 ㅎㅎ 조금이나마 도움되어 다행입니다!!! ㅎㅎ
@real_sangyoung_official3 жыл бұрын
1만 축하드립니다 빠지직 형님♡♡♡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상영님 반갑습니다! 언제나 고마워요 ㅠㅠ 힘이 많이 됩니다!
@SoondaePark11 ай бұрын
정말 가장쉽게 풀어주시는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11 ай бұрын
영상이 도움되어 정말 다행입니다! ㅎㅎ
@홍홍-e6j3 жыл бұрын
빠직님 저번에 빠직님 덕분에 전기자기학 공부하는 방법을 알겠다고 댓글 달았었는데 이번시험은 붙은 거 같아요 다 빠직님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실기도 화이팅하겠습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흥흥님! 붙으셨군요!! 정말 축하드립니다 ㅠㅠ 제가 도움이 됐다니 다행입니다! 실기도 한번 달려보자구요!
@eunsukim36243 жыл бұрын
산업기사필기 합격했습니다.!!도움많이 됬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Kim님 안녕하세요! 필기합격 축하드립니다! 더욱 좋은 콘텐츠로 찾아뵐게요 ㅎㅎ 실기 가즈앗!
@갱민-t7w3 жыл бұрын
모든 영상 다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당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갱민님 반갑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ㅎㅎ
@이장의아들3 жыл бұрын
빠지직님 덕에 전기기사 필기 2회차 붙고 왔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이 강의는 보지 못했지만 다른 강의 들으면서 도움을 너무 많이 받아서 글 남깁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실기까지 힘내보겠습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이장님 정말 축하드립니다!! 준비한대로 결실 맺으셨네요 ㅎㅎ 실기까지 부셔봅시다!!
@김성원-n2m3 жыл бұрын
아 3문제 차이로 불합격이네요.. 다음시험 찢어버리겠습니다 ㅋㅋㅋ 다른과목도 부탁드릴게요~~ 올려주신 영상 공부에 많은 도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성원님 반갑습니다! 우리 조금 긍정적으로 생각을 해봐요! 전기를 공부할 시간이 더 주어졌잖아요 ^^ ㅎㅎ 고생 많으셨습니다! 합격하시는 그날까지 함께하겠습니다!
@하이에이치아이-s8d3 жыл бұрын
빠직님 언제나 감사합니당ㅜ!!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제가 늘 감사하죠 ㅎㅎ 하시는 공부 응원하겠습니다!! 😖
@깔곰-x9s3 жыл бұрын
행님 이틀남았는데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깔곰님 고맙습니다! ㅎㅎ 늘 응원합니다 ㅎㅎ
@시고르자르브조룽3 жыл бұрын
선생님때문에 전알못 구원받는중입니다..진짜 너무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크크키키키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영상 좋게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ㅠㅠ 앞으로도 하시는 공부 도움되도록 힘쓰겠습니다!
@iiiIiIiiilllllIiiiii3 жыл бұрын
고생많으십니다 잘보고갑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효직님 반갑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진짜 고마워요 ㅠㅠ
@등가교환의법칙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완료되시면 회로이론 후속편 및 이후 가르침도 부탁드리겠습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여훈님 반갑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제가 가르침을 드린다기 보단, 단지 누군가보다 먼저 공부해서 알고있는 내용을 공유하는 마음으로 나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힘이 많이 돼요! ㅎㅎ
@bokskim1533 жыл бұрын
9번 문제가 이제야 이해가 됩니다~ 빠직님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Kim님 반갑습니다! 제가 도움이 되었다니 정말 감사하네요 ㅠㅠ 고맙습니다!
@bokskim1533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제가 더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됩니다~~
@준원서-c8l3 жыл бұрын
진심 너무 친절하심..ㅜㅜ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원서님 반갑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려요 ㅠㅠ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ponghyunkin68753 жыл бұрын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Kim님 반갑습니다! 제가 더 감사드리죠 ㅎㅎ 하시는 공부 응원합니다!
@hehehehehe595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2차 필기 합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제가 뭘 했나요 ㅎㅎ 우흣님께서 잘 하신거죠 준비를!! 감사드려요 ㅎㅎ
@김재광-f8k3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재광님 감사합니다! 하시는 공부 응원합니다!
@JJ-hv3eg3 жыл бұрын
2편 시청 완료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JJ님! 회로이론 완강까지 갑시닷!! ㅎㅎ 감사합니다! 하신는 공부 응원합니다!
@KIM_Handle2 жыл бұрын
6번문제 질문 3:25 1. 설정한 Vab랑 실제 a단자 b단자 사이에 걸린 전압이랑 왜 같나요? 2. 노드기준에서 I1 I2둘다 유출되는 전류 아닌가요? 왜 유입+유출=0인지 모르겠네요 이미지상 보면 Vab 밖으로 파란색 화살표로 I1 I2 둘다 유출되고 있잖아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김머시기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질문1. a지점에서 어떠한 저항없이 병렬회로의 윗 부분하고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때문에 같은 전위로 놓을 수 있습니다. 질문2. 네 맞습니다. 모두 유출 전류입니다. 유출되는 전류의 합 = 유입되는 전류의 합 입니다. 이때 유입되는 전류는 없으므로 0입니다. 때문에 유출전류 합 = 0 이라는 식이 성립됩니다. 감사합니다.
@KIM_Handle2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질문2번에서 단자 ab가 서로 개방회로이기에 전류가 0으로 흐른다 이 개념이 맞는건가요? 유입이 0이라는 개념이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KIM_Handle 네 맞습니다!
@KIM_Handle2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제법 지난 영상인데도 친절히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KIM_Handle 기준을 잡는 것입니다! 하나의 노드를 기준으로 들어오는 것은 없고 나가는 것만 잡는 것이죠. 개방회로이기에라는 의미도 틀린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아일-l2l2 жыл бұрын
아.. 링크타고 들어갈 수 있는줄... ㅋㅋㅋㅋㅋ 중첩의 원리 보러갑니닼ㅋㅋㅋㅋㅋㅋ 사랑해요♡ 결혼한 남자 올림
민욱님 안녕하세요! ㅎㅎ 영상 좋게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하시는 공부 응원할게여!!ㅎㅎ
@김도현-x7t2h3 жыл бұрын
조회수는 2만인데 이런 명강의에 좋아요가 389~!?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도현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영상 좋게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ㅎㅎ 하시는 공부 도움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닷!!
@충무충뮤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빠지직님 덕분에 전기공부에 흥미를 붙이는 취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6번 문제에서 전압의 i1을 구할 때 전압의 차를 왜 활용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부연설명 가능하실까요 ? i1은 그냥 3/6을 해야하는게 아닌가요 ?? 항상 고생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사이이이3 жыл бұрын
오늘 전기 산업기사 시험보고 80점 받아왔어요 감사합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사이이이님 반갑습니다! 엄청난 득점을 하셨군요!! 진심으로축하드립니다 >
@stonehoon2 жыл бұрын
하루에 몇편씩 보는게 좋을까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석훈님 안녕하세요! 해당 시리즈는 복습용 콘텐츠 이므로 여유 되실 때 계속해서 꾸준하게 보시면 좋습니다!
@갸아악-e2z Жыл бұрын
혹시 빠직 과년도는 내리신건가요?? 찾아봐도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배배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유입전류와 유출전류의 합은 같은 것 맞습니다. 노드를 기준으로 들어오는 전류는 없는데 나가는 전류만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들어오는전류 0 나가는전류 I1, I2이기 때문에 KC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876snow3 жыл бұрын
혹시 전기기사 필기와 실기의 연관성이 얼마나 있을까요? 필기 이론 1회독하고 시간없어서 전기기기나 전력공학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과년도 기출 돌려서 필기 합격했는데 실기 이론 들어가기전에 필기때 들었던 전기기기와 전력공학 다시 한번 복습하고 들어가도 괜찮을까요? 강의는 다산에듀입니다. 아니면 그냥 실기이론강의로 들어갈까요?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snow님! 안녕하세요! 필기랑 실기의 연관성은 30퍼센트 정도라고 여겨집니다.(뇌피셜입니다 ㅎㅎ) 특히 전력공학 및 전기기기 파트가 많이 유사점을 보이고 있어요! 바로 실기 이론을 들어가시구 부족할 때마다 기기나 전력 과목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876snow3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여기 영상들 보고 실기 들어가려고요. 정리가 쉽고 핵심만 잘 갖춰져있네요. 감사합니다.
@jjj0000-e4s20 күн бұрын
전기산업기사 필기 공부 중인데 기사랑 내용이 같나요 이 영상 참고 가능하겠죠?
@skwqw499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전기는빠지직 Жыл бұрын
정주행 중이시군요!
@ghdkcg2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ㅎㅎ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가끔하늘을봐님! 하시는 공부 응원합니닸!
@karmajason9559 Жыл бұрын
빠지직님 비전공자 노베이스 기준에서 빠지직님 재생목록 필기정리와 같이 봐야할 게 어떤걸까요?
@전기는빠지직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ㅎㅎ 유튜브에 "송건웅 회로이론" 검색해 보시고. 그 영상을 함께 봐주세요! 이후 과목들은 다른 강사님들도 유튜브에 모두 업로드 해두셨습니다!
@karmajason9559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감사합니다!!
@방구대장-g4g Жыл бұрын
강사님 속전속결 다듣고 기출풀려니 ㄹㅇ 하나도 기억안나는데 지금 이거다듣고 기출7개년 계속풀면 합격할수있겠죠 ? 눈물 ㅠ
@전기는빠지직11 ай бұрын
일단 해당 시리즈를 보면 기출문제 풀이하시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송원재-u5xАй бұрын
혹시 무슨교재 사용하는지 알 수 있나요
@또연-i9n3 жыл бұрын
여깄는 문제 다 맞혔어요 예 😆‼️‼️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ㅎㅎ 가즈아!
@ih35273 жыл бұрын
전자공 학생인데 개념공부를 하고 기출 들어가는 것이 실기에 도움이 된다 하여서 그럴려고 합니다! 그런데 회로이론도 개념을 한번 더 봐야할지 고민이됩니다 올려주신 내용들을 다 알고있다면 굳이 정규반개념을 한번 더 들을필요는 없을까요?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IH님 안녕하세요! 회로이론 뿐만아니라 기사에는 회로이론,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있기 때문에 위의 5과목에 대한 베이스가 있으시고, 전공자시면 바로 기출을 들어가도 무방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하지만 위의 내용에 베이스가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시면 정규반 이론을 한 번 꼭 듣고 기출문제를 들어가시는 것이 효율적으로 좋습니다!
@still3782 жыл бұрын
04:00에서 Vab-Va/R1에서 Vab를 안빼주고 Va/R1한 값이랑 Vab-Va/R1한 값이랑 어떤 차이가 있나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메카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말씀해 주신 Vab-Va/R1의 내용을 이해 못했습니다 ㅠㅠ Vab-V1/R1의 식이 성립 되어야 합니다. Vab는 a와b의 전위 차이이고, 이에 맞서는 전원 V1 그리고 V2를 이용하여 KCL적용한 것입니다! ㅎㅎ
@still3782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Vab-V1/R1에서 Vab를 안빼주고 V1/R1한 값이랑 Vab-V1/R1한 값이랑 어떤 차이가 있나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still378 차이가 있습니다. 단순 V1/R1을 한다면 그 지점에 흐르는 전류입니다. (R1에요!) 하지만 절대전위 Vab를 잡았기에 전류는 Vab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Vab를 반드시 넣어주셔야 합니다
@Blackmute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10번문제 풀다가 저항 5에 흐르는 전류 구해보고싶어서 구해봤는데 4.8A가 나왓어요 전체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가 5A이고 20옴에.흐르는 전류가 1.8이면 5옴에 흐르는 전류는 5-1.8= 3.2옴이 나와야하는건가요??? 제가 뭘 잘못하고있는걸까요??? ㅠㅠ
@Blackmute2 жыл бұрын
전압원 기준은 같으니 0.8옴이고 5옴에 흐르는 전류는 (20)/(20+5)×5=4 그래서 전류원 4A 전압원 0.8A해서 4.8A나왔는데 맞는걸까요ㅏ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Blackmute 님 안녕하세요! ㅎㅎ 전압원에 의해서 5옴에 흐르는 전류는 0.8A가 됩니다. 전류원에 의해서 5옴에 흐르는 전류는 4A가 됩니다. 이때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4-0.8이 됩니다. 즉 3.2A가 됩니다. 전류의 방향을 어디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3.2A 혹은 -3.2A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Blackmute2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선생님 감사합니다ㅎㅎ 다시 풀어보겠습니다!!!
@이이규열-z9r4 ай бұрын
10번문제에서 전류원개방시 직렬이 되어도 전압 20V 안곱해줍니까?
@hype-man2 жыл бұрын
회로이론은 다산에듀의 유능한 송땡땡쌤 강의를 한번 훑어서 빠직이꺼는 안볼라구했는데 과년도에서 회로이론만 자꾸 과락나와서 봅니당 ㅋㅋ 다른과목은 계산문제 버려도 과락안나오는데 회로이론은 계산문제가 많네용 ㅎㅎ..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지원님!! ㅎㅎ 송땡땡님 좋게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맙습니다 지원님 ㅎㅎ 회로이론 이론을 들으셨고 기출문제 하시는 단계면 해당 시리즈가 많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ㅎㅎ 지원님 응원하게씁니당!! 파이팅!! 응원합니다 >
@북조선최고존엄2 жыл бұрын
형님 7번문제 굳이 켤레복소수 취해도 어차피 약분되서 없어지는데 굳이 켤레복소수를 취해야하는 이유가 뭐에요??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케빈님 안녕하세요! 켤레를 취해주는 이유는 분모를 유리화 하기 위함입니다! 유리화를 하여 약분으로 계산하고 그때의 값으로 크기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말티푸벨라2 жыл бұрын
너무 쉽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시험 일주일 남았는데 회로제어에서 60점 간당간당 해서 어려웠는데 조금씩 더 이론이 잡혀가는것 같습니다.!! 질문 하나 있는데요.. 10번 문제 KCL?? 이번 영상 앞쪽에서 배웠던거로 응용해서 풀었더니 답이 똑같이 1.8이 나오는데 상관 없는건가요??
@찬스-i5m2 жыл бұрын
1:16 시작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이름님 타임라인 체크 감사합니다!
@seungddak3 жыл бұрын
내일 꼭 붙고오겠습니다...ㅠㅠ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승혁님! 내일 결전의 날..! 응원하겠습니다!
@fodegi-hd2vf1cl2q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구독 및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이번 2021년 전기기사 3회 준비중입니다.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전기기사 3회 한번 뿌셔봅시다!! 정현님 응원할게요! 고맙습니다!!
@라플라스-z4z Жыл бұрын
강사님 죄송한데 문제집 추천 가능할까요? 써보면서 외우는 편이라 ㅠㅠ 부탁드립니다!!
@전기는빠지직 Жыл бұрын
사삭아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다산에듀 기출문제집을 추천드려요!!
@whoami5903 жыл бұрын
앜 마지막 문제 중첩의 원리 써야하는데 무의식적으로 슈퍼메쉬로 풀었네요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Who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한 문제를 푸는 데 여러 방법이 있으니까요! ㅎㅎ 오히려 또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시는 것도 공부하실 때 확장성을 가질 수 있어서 좋은 것같아요! 좋습니다!! ㅎㅎ 응원합니다!!
@꾸-p4o3 жыл бұрын
6번 kcl이 들어가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가 같다인데 왜 합이 0이 되나요?ㅠㅠ 제 눈에는 전류의 방향이 둘다 같아보여서요 둘 다 나가는 전류라고 말씀하셔서 ㅠㅠ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Rrrr님 반갑습니다! 노드를 기준으로 빠져나가는 전류가 있다고 상상을 해보는 거예요! 그랬을 때 KCL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기준을 뭘로 잡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어요! 너무 헷갈리시다면, 영상대로 풀이를 하는 것을 권해드려요!
@마파두부덮밥-v3r3 жыл бұрын
아, 저도 이 부분이 궁금했는데 병렬이면 전류가 같을텐데 , 기준점에 따라 그리되는군요 사실 기준점을 노드 라고해도 모르겠네요ㅋ 진행하다보면 알게되겠죠 아무튼 전기공부가 즐겁네요 이해가 되니까요
Oh님 안녕하세요. 과년도 기출 문제를 베이스로 만든 것입니다 ㅠㅠ 그럴리가 없는데요 ㅠㅠ 흐헝 ㅠㅠ
@a_magpie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7번 질문있어요! Z=E/I에 대입할 때, E와 I의 각각 크기를 구하지 않고 그냥 주어진 값 그대로 넣어서 유리화 한 후 마지막에 Z의 크기를 구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떨때에는 크기 를 구하고 어떨땐 주어진 복소수 형태 값 써서 계산하곤 하던데 구별을 못하겠어요ㅠㅠ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각각 크기로 구해도 관계 없습니다 ㅎㅎ 다만, 해당 문제 같은 경우 보기에서 복소수 형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복소수를 구하기 위해서 유리화를 시켜준 것입니다. 실제로 첫 식에서 크기값을 바로 구한 것과 마지막 식에서 크기를 구한 것은 서로 같은 값을 갖습니다. 보기의 형태를 따르기 위해서 복소수 형식으로 끝낸 것입니다! ㅎㅎ
@a_magpie2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감사합니다!다시 풀어볼게요.....❤️
@백봉수-u1g3 жыл бұрын
잘지내냐
@전기는빠지직3 жыл бұрын
헐 걸렸다...😅
@백봉수-u1g3 жыл бұрын
@@전기는빠지직 ㅋ ㅋㅋㅋ반갑ㄴㅔ
@godud24682 жыл бұрын
그냥 한번 봤는데 다른 선생님들 것 좀 보시고 노력하셔야할듯.....
@전기는빠지직2 жыл бұрын
해영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아직 부족한 게 많기에.. 계속해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혹시 어떤 부분을 고쳤으면 좋겠다 싶으셨나요? 말씀해 주시면 참고해서 더 좋은 영상 제작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hy3383 Жыл бұрын
서적은 어떻게 구입하나요?
@전기는빠지직 Жыл бұрын
hy님 안녕하세요! ㅎㅎ 아직 준비되어있는 자료가 없습니다
@하이-e9h9i2 жыл бұрын
6번문제 Vab로 들어가는 전류의 합이 0이기 때문에 I1과 I2의 합도 0이 돼야 해서 I1+I2가 0이 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