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so many Kim’s? The secret is Korea’s uniquely stable history!

  Рет қаралды 307,827

The Frog Outside the Well

The Frog Outside the Well

Күн бұрын

In this video Professor Peterson talks about why so many Koreans share the same last name. Watch the video to find out why!

Пікірлер: 2 000
@hichad
@hichad 5 жыл бұрын
드디어 ㅎㅎ
@토론토노스욕
@토론토노스욕 5 жыл бұрын
the thing that i ve ever heard about is because those 3 last names are for royal family and people (especially for the lower ranked) usually dont have their own sirname so when its a transition period in korea, people decide their sirname themselves, they take one from those three or create a new one. I kinda agree that they would feel so cool when they had their last name same as royal family’s one.
@이민성-z9v
@이민성-z9v 5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김이박이 많은 이유는 일제시대 즈음해서 족보 팔아재껴서지... 수학적으로 따져도 왕조가 오래있다고 저렇게 성이 많아지나?
@dequeijopao6971
@dequeijopao6971 5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 족보만으로는 설명이 안됨 그렇게 따지면 이씨가 제일 많아야 되고 김해 김이 아닌 세도가문의 쌍두마차인 안동 김과 풍양 조가 그 뒤를 이어야함 하지만 현실은 김해 김, 전주 이, 밀양 박임
@이동열-q3j
@이동열-q3j 5 жыл бұрын
김씨는 하나가 아닙니다~ 음만 같은 다른성들입니다~ 신라는 김해 김입니다~ 김해김이 많긴하지만 전부 김해김이 아닙니다~ 고려는 왕씨입니다~ 왕씨 거의 없습니다~ 멸족당하기 싫어 성씨 바꾼사람도 많았겠지만 조선으로 바뀌면서 많이 죽임당하기도 했습니다.
@smw6535
@smw6535 5 жыл бұрын
It is very good pointing out the Korean surname in history~:-)
@cometfi2298
@cometfi2298 5 жыл бұрын
외국인 시선으로 보는 한국역사라 몬가 흥미롭네요
@kimchealwon
@kimchealwon 5 жыл бұрын
한국인으로 태어나 살면서 생각해보지 못한 관점이군요 ㅎ
@sinabro0357
@sinabro0357 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ㅎㅎ
@kookforyou5270
@kookforyou5270 5 жыл бұрын
저정도 한반도 역사를 파고든 사람이 본관개념을 모를리가 있는지 ㅎㅎ. 설명에 공백이 많다고해서 무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공본드-w9i
@오공본드-w9i 2 жыл бұрын
꼬올통 납셨쎄요.
@AA-bf9vk
@AA-bf9vk 4 жыл бұрын
박사님의 해박한 지식과 견해, 항상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에게 자극을 주시고 계셔서 감사합니다.
@수면등
@수면등 5 жыл бұрын
국사 보면 맨날 다른 나라하고 전쟁만 한 것 같지만 다른 곳들과 (특히 유럽) 비교하면 진짜 안정되고 평화로 역사인듯 하네요. 근현대사가 너무 혼란스러워서 그렇지.........
@wincup
@wincup 5 жыл бұрын
사실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까지는 전쟁 엄청 많았죠. 조선이 큰 전쟁 몇차례 빼면 그렇지 않았지..
@수면등
@수면등 5 жыл бұрын
@@wincup 고려때도 솔직히 많은 편은 아니었죠 큰전쟁은... 500년 역사에 거란 2차, 3차, 여진, 몽골~삼별초 내전에 여몽연합, 후반기 대규모 왜구. 이정도면 적은편에 속하지 않을까요
@BrendanYoo00
@BrendanYoo00 5 жыл бұрын
@@wincup 우리가 많다고 느끼는것 뿐이지 그당시 다른나라들에 비하면 그렇게 많은건 아니였어요. 유럽은 심심하면 일상이 전쟁. 중국도 심하고.
@석이출동
@석이출동 5 жыл бұрын
@@수면등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총931회의 칩입을 받아왔습니다만?
@석이출동
@석이출동 5 жыл бұрын
@@mrmask3942 나라 대 나라로 비교해주세요
@blackstone4616
@blackstone4616 5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 강의 유투브에 올라 와 있는거 거의 다 봤는데,정말 한국에 대한 이해가 대단하시고 애정이 넘치세요. 한국인으로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사랑합니다.🙆🙆🙆🙆🙆
@qoennmgdkfk6101
@qoennmgdkfk6101 5 жыл бұрын
저도 보고 싶은데 유투브에 어떻게 쳐야 나오나요?ㅜㅜ
@blackstone4616
@blackstone4616 5 жыл бұрын
@@qoennmgdkfk6101 mark peterson korea 만 쳐도 꽤 많이 나오네요.
@랑그하는아재
@랑그하는아재 5 жыл бұрын
오 이런 시각은 생각도 못해봤습니다. 확실히 다른 관점을 접하는 것은 자체로 세계관이 넓어지는 느낌이에요. 잘 봤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hbh815
@hbh815 3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를 새로운 시선에서 들을 수 있어서 좋네요~ 정주행 갑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정주행!!!!
@bookinstructor5301
@bookinstructor5301 5 жыл бұрын
와우~교수님의 분석이 매우 예리하시네요. 성씨의 역사가 왕조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는 말씀 공감이 가네요
@석가-e6c
@석가-e6c 5 жыл бұрын
오~ 교수님의 지식과 발음에 감탄하고 갑니다 ^^
@Holiiiii11
@Holiiiii11 5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외국인의 시선으로 제가 몰랏던 우리나라를 알 수 있을거 같아요! ㅎㅎㅎ앞으로 많은 영상 올려주세요
@Kelly-zz3mn
@Kelly-zz3mn 5 жыл бұрын
선댓글 , 후 정독... 저도 김씨라서 관심있게 시청하겠습니다.
@김현국-u4k
@김현국-u4k 5 жыл бұрын
제가 김씨인데 왜이리김씨가많은지 외국인교수님입을통해듣네요ㅎㅎ 잘듣고갑니다ㅎㅎ
@woomung
@woomung 5 жыл бұрын
ㅎㅎㅎ그러게요 정말 배움은 끝이없는것같아요 ^^
@ziiziil5702
@ziiziil570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열심히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arcturus812
@arcturus812 5 жыл бұрын
세상 꿀잼인 영상이네ㅋㅋㅋ 교수님 남산에서 돌 던진다고 하실 때 빵터짐ㅋㅋ
@matchmajor
@matchmajor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입에서 왜 한국말이 나와...?' ㅋㅋㅋ
@polytag523
@polytag523 5 жыл бұрын
한글 속담 대박 ㅎㅎ 외국인의 시각으로 본 한국 역사가 매우 흥미롭네요 자주자주 올려주세요~
@starrynightmp3
@starrynightmp3 5 жыл бұрын
As a foreigner who's very interested in Korea's culture I definitely think this was such an insightful video, always wondered this. Thanks professor!
@heejin9678
@heejin9678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한 적은 있었어도 시원한 답을 들은 적은 없었는데 설득력있는 해석인것 같아요. 재미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3 жыл бұрын
Thank you.
@melona8687
@melona8687 5 жыл бұрын
늘 한국말로 한국인의 설명으로 보고, 듣기만 했었는데요.. 정말 신선하네요. 진짜로요! 되게 쏙쏙 들어와요!! 😲😄
@노을이-y5p
@노을이-y5p 5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 알려주는 한국사가 이렇게 재밌을 줄 몰랐네요! 😁 다음 영상도 기대되네요! 😆
@DenHyung
@DenHyung 5 жыл бұрын
Great way to launch your new channel sir! Looking forward to more great educational vids! 화이팅 👍
@SYLee-pc7pb
@SYLee-pc7pb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멋지세요~
@발타니
@발타니 4 жыл бұрын
대단한 분. 수석보좌관에서 오늘 교수님 강의 듣고 검색해서 찾아왔습니다. 제일 오래된 것부터 볼랍니다. 구독! 알림!좋아요! 설정 완료. 종가집 막내딸내미로써 감동받고 갑니다. ^^♡
@ssjj-ex8zj
@ssjj-ex8zj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잼나서 밤새 교수님 영상보고있어요
@김미리-i2g
@김미리-i2g 5 жыл бұрын
전혀 생각 해 보지 않앗던 것에 대해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Romfxla
@Romfxla 5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우리나라 김이박이 많은 이유는 조선 말기 사회가 급변하고 계급사회가 흔들리면서, 족보조작으로 많은 천민과 평민계층에게 양반과 같은 성씨를 줬기 때문이죠. 그게 대부분 김이박최강 같은 당시 권력이 있는 성씨들이었구요. 그 전에는 양반계급 제외하고 지금같은 성씨를 쓰지도 않았습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뀔당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숙청당했는지 아시면 아마 놀라실 겁니다. 단순히 신라-고려-조선 1000년-500년-500년 하셨지만 신라는 삼국시대이전부터 남북국 시대, 후삼국시대를 포함하는 개념인데 저렇게 단순히 천년간 안정되었다는 식으로 말할 수는 없는거죠.
@hyoshilpark995
@hyoshilpark995 5 жыл бұрын
How interesting and educational a clip you have produced ! I did enjoy your fascinating conversation and learned a lot. Officially you are my first korean history teacher in cyber if you're okay with it. 👌👍😊😊 looking forward to next lessons.
@해피캐롤라인
@해피캐롤라인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선생님한테 듣기로 조선의 노예들이 김이란 성을 좋아해서 돈주고 사서 그렇단 얘길 믿엇는데 교수님 관점이 더 설득력이 잇어보입니다.감사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 жыл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 많은 소개를 부탁 합니다. 지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zihionkang1245
@zihionkang1245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배워갑니다! ^^
@ilillilllliiilliil487
@ilillilllliiilliil487 5 жыл бұрын
열정이 너무 멋지십니다. 응원할께요!
@yoyuyuk
@yoyuyuk 3 жыл бұрын
제가 그 평화와 안정을 상징 한다는 김씨 입니다 :) 교수님에게 매번 흥미로운 역사를 배워 갑니다! 최고✨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3 жыл бұрын
Thank you!!!
@donguri5306
@donguri5306 5 жыл бұрын
예~~첫 영상 축하드려요~🤟 김씨가 많은건 알았지만 왜 많은지는 몰랐었어요. 사실 다른나라들도 비슷한 비율일거라고 생각했었어요. 한국 왕조의 집권 기간이 다른나라들에 비해 긴 편이었군요. 교수님 덕분에 이것저것 찾아보고 싶은게 생겼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from Kim씨
@이동열-q3j
@이동열-q3j 5 жыл бұрын
김씨는 하나가 아닙니다~ 김이라 불리는 음만같은 다른 성들이 수십가지입니다
@시준-n6w
@시준-n6w 3 жыл бұрын
@@이동열-q3j 대부분이 쇠금이고 다른 3개는 희귀한걸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칼융-t4v
@칼융-t4v 5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해석이 옳고 그르냐를 떠나 새로운 관점에서 볼수 있어서 매우 좋네요ㅎㅎ앞으로 더 많은 컨텐츠를 기대하겠습니다
@J비틀어버릴리오
@J비틀어버릴리오 5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앞으로도 기대할께요~
@hotpickorea
@hotpickorea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최근영상부터 거꾸로 과거로 돌아가며 보고있어요 ㅎㅎ 저도 김씨로서.. 의미있는 영상이었어요^^ 안정된 왕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 역사에 감사하게 되네요!
@꼽쓸머리앤
@꼽쓸머리앤 5 жыл бұрын
우~와 드디어 시작했당!!!
@po00076
@po00076 5 жыл бұрын
좋은 관점이네요! 앞으로도 신기한 관점으로 많이 보여주세요
@MegaKayoung
@MegaKayoung 5 жыл бұрын
Oh wow! I’ve been wondering how to explain Korea’s long history to my foreigner friends then you just made it super easy and interesting!! Awesome video and awesome perspective! Thank you!
@lIlIlI_IlIlII
@lIlIlI_IlIlII 5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more on the topic if you may^^
@김프로-s4e
@김프로-s4e Жыл бұрын
매우 흥미로운 통찰입니다. 감사합니다.
@초코링-g6i
@초코링-g6i 5 жыл бұрын
Very interesting! I like your unique interpretation on Korean history. I’m bought!! :D
@JuneCoMy
@JuneCoMy 5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교수님 귀여워요 다만 같은 성씨라도 다른본관을 가지고있는경우도 많아요 김해김씨 경주김씨 등등 많은김씨들이있어유
@수련김-n5f
@수련김-n5f 5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걸 말씀드리고 싶었어요ㅋㅋㅋㅋ 김씨만 해도 100개가 넘는 본관이 있어요...
@프록싸이키블루스
@프록싸이키블루스 5 жыл бұрын
@@수련김-n5f 파생이죠. 저희 파평윤씨나 칠원윤씨나 뿌리는 똑같은데 다 갈라져 나온거죠.
@수련김-n5f
@수련김-n5f 5 жыл бұрын
@@프록싸이키블루스 네 당연히 그렇죠ㅋㅋㅋ 어짜피 조선초중기만 하더라도 본관과 성을 가진 사람은 극소수였으니까요.
@신광인-y9l
@신광인-y9l 5 жыл бұрын
@@HotSoil510 고려말 조선초기쯔음에는 천민들을 제외한 일반 양인들은 성을 가쟜습니드. 양인에서 천민으로 탈락한 신분도 성씨는 유지했습니다.
@kim08ddong
@kim08ddong 5 жыл бұрын
@@HotSoil510 고려 이후부터는 소수의 천민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백성들이 성씨를 가졌습니다.
@johnnyparker7971
@johnnyparker7971 5 жыл бұрын
54년간의 정수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독일에서 살고 있는데 많은 외국인 친구들에게서 질문을 받습니다. 왜 그리 김씨가 많냐고... 이제 자신감을 가지고 대답해 줄수 있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피터슨 교수님 : )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3 жыл бұрын
Danke fürs Schreiben aus Deutschland. Es tut mir leid, dass ich zwei Jahre gebraucht habe, um Ihren Kommentar zu beantworten.
@moonlim33
@moonlim33 5 жыл бұрын
Very good information
@oyoun5902
@oyoun5902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감탄하며 영상보았습니다. 너무 재밌어요. 항상 건강하셔서 많은 가르침을 주세요.ㅎ
@tschung5322
@tschung5322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youtube를 통해 우리역사에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연구하신것 대단히 감사하고 시청하고 있습니다. 한국 성씨 언급하시면서 고구려 (BC 37~ AD668)에 대한 말씀을 안 하시던데요 고씨 성씨... 한국역사에서 고구려는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고구려(Korea) .백제. 신라 . 고려(Korea) . 조선...Korea ..고구려의 역사 강의도 부탁드림니다..
@아디아리
@아디아리 5 жыл бұрын
Intreresting perspective and meaningful interpretation about Korean history!
@먹갈남
@먹갈남 5 жыл бұрын
아...생각해보니 정말 그렇습니다. 우리 역사를 참 혼란스럽고 어지럽다고만 생각했는데 큰 시각에서 보니 매우 안정된 역사였군요. 새로운 시야를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nb9198
@ynb9198 3 жыл бұрын
그저 감사합니다 꾸벅^^
@무하-t5o
@무하-t5o 5 жыл бұрын
하이채드에서 타고 왔습니다. 한국인인데도 김씨가 많은 이유도 생각해보지 않고 살았네요. 배우고 갑니다.
@solohan8899
@solohan8899 5 жыл бұрын
구독 신청해놓고 기다렸는데 드디어 영상을 올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한국의 성은 위의 분이 말씀해주셨듯이 본관이라는 독특한 점이 있죠 그래서 김씨라고 해도 같은 패밀리 그룹이 아니예요 외국의 기준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의 본관이 오히려 외국의 성에 가까울 겁니다 외국의 귀족가문들이 자신이 다스리는 영지로 가문의 이름을 삼았다면 우리나라는 그것을 본관으로 두고 따로 한글자 한자어로 성을 삼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성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건 사실이고,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영속성이라는 부분은 의미있는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hjkim9754
@hjkim9754 5 жыл бұрын
@@HotSoil510 어떤 역사가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을 거 같아요. 교수님이 말씀하신 영속성은 한 편으로 제대로 된 처단은 한 번도 없었다라는 뜻도 되니까요.
@15xxrcn
@15xxrcn 5 жыл бұрын
@@hjkim9754 제대로 된 처단이 있어야 좋은 건가요?
@hjkim9754
@hjkim9754 5 жыл бұрын
@@15xxrcn 사실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나라가 망한 데는 지배층의 폭정이 이유였을텐데, 아무도 책임 안 졌다는 거는 좀 슬픈 일이라서요.
@또또또또-y3o
@또또또또-y3o 5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근데 재미있는건 (교수님도 재미 있다고 한 부분은) 같은 해밀리가 많다 가 아니라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많다는거고, 그 이유가 왕족의 박멸을 하지 않았다는 거죠 여러 가문이 있어도 이렇게 같은 성을 가진 나라는 없으니까요 아무튼 중요한건, 가문, 분파가 많든 적든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르게 같은 성을 가진 비율이 많다는 겁니다
@kaist3s
@kaist3s 5 жыл бұрын
Why I never have questioned this?! This clip makes me think a lot :)
@보니보니-b6k
@보니보니-b6k 5 жыл бұрын
+ 성씨는 같지만 나뉘는 개념이 “본관”이라는 것으로(ex : 김해 김씨, 안동 김씨 등) 또 나뉩니다.
@prcjhk
@prcjhk 5 жыл бұрын
ㅎㅎ 일선김씨와 선산김씨도 있지요
@Park0804
@Park0804 5 жыл бұрын
울산 김씨도~
@gmvisck
@gmvisck 5 жыл бұрын
안동김 광산김 김녕김...등등
@찹쌀떡-h4t
@찹쌀떡-h4t 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같은생각입니당
@아키밍키
@아키밍키 5 жыл бұрын
전 고양김씨에요☺️
@김경희-f3d
@김경희-f3d 4 жыл бұрын
우리보다 더 우리 다우신것 같아요. 많이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foggyworldbong
@foggyworldbong 5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지 못한 측면이었어요ㅋ 한국에 대해서 애정을 가지고 연구하셨다니 감사한 마음을 가집니다.
@kamui2337
@kamui2337 5 жыл бұрын
This makes a lot of sense, and your profound insight is so refreshing. What an adequate name for the channel!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 such a fresh perspective on this matter.
@mocabts3753
@mocabts3753 5 жыл бұрын
한번도 왜 김이박이 많은지 생각해 본적이 없었어요 교수님 말씀 한국 사람들에게 아주 유익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할께요 응원합니다~!!!
@재하-n5v
@재하-n5v 2 жыл бұрын
"남산에서 돌을 던지면 김,이, 박이 맞는다." 대목에서 동양학, 한국속담의 뜻까지 ...... 와우! 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chsk86
@chsk86 5 жыл бұрын
Very insightful video. Thank you.
@부안러닝센터
@부안러닝센터 5 жыл бұрын
이런고민 첨 해봄 구독시작합니다 앞으로 기대되어요
@isaact0ng
@isaact0ng 5 жыл бұрын
Awesome! Thank you for sharing as this has been very insightful. Looking forward to more videos ahead.
@leonardkim9719
@leonardkim9719 5 жыл бұрын
이햐... 안정성의 연속성이라는 관점은 솔직히 처음 배웠습니다. 잘 배웠습니다 교수님!
@eugeneluv
@eugeneluv 5 жыл бұрын
Thanks for your insightful opinion I also agree with you doc.
@proferant8082
@proferant8082 5 жыл бұрын
Excellent point of view.
@제3의인생-q8t
@제3의인생-q8t 5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새로운 관점입니다...오십여년 한국사람이지만 역사에 관심도 많지만 이런 새로운 왕조 시대의 격변,격침을 성씨로서 해석해 낼 수 있네요...정말 다른 나라의 왕조의 변천사와 다르네요.....피터슨 교수님 대단하십니다.....우리 민족은 수난과 고통의 역사인 줄만 알았는데... 역주행해서 다시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alfarabi73
@alfarabi73 5 жыл бұрын
"우물 밖의개구리" - awesome title! ;)
@마그네틱-w8q
@마그네틱-w8q 5 жыл бұрын
진짜 수많은나라중에 한국의 역사를 택해주신거에 감사합니다. 저도 이씨지만 아버지께서 저희집안이 유명한 뿌리를가졌다고하는데요. 진짜인지는 모르겠어요. 왜냐면 제가배우기로는 진짜 조선왕조의 이씨집안인경우는 드물다고들었거든요 생각하고싶지는않지만 일제시기에 호적을 많이사고팔았다고해서 그때 집안에서 얻기시작한게아닌가 하고생각하고있어요. 집안에있는 족보가 진짜유명한데 검색하면나오지만 진짜라고생각안하게됬어요.
@브라이언-w9k
@브라이언-w9k 5 жыл бұрын
그때 당시에 사고 판거 맞아요
@7_810
@7_810 5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정확한 검사를 하셔서 당당하게 말씀하신게 아닌가 싶네요
@우아아-l8w
@우아아-l8w 5 жыл бұрын
김씨와 이씨는 족보를 사고판것보다는 노비였을 가능성이 높아요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없어지면서 성씨를 가질수있게된 노비들이 신라와 조선의 왕족성씨였던 김씨 이씨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MixTempo
@MixTempo 5 жыл бұрын
Hmm... Also want to say that when we met some ppl who have same Last name in Korea, we usually ask 'where' did the Last name came from. Like we have 족보, we commonly use that concept even we don't know how to read the Chinese letter. For example, when two Kim are in a relationship, they will ask each other 'where' Kim are you. One might say I'm Kimhae's Kim. 70th generation. (Furthermore, a lot of ppl might know what number of a generation they are.) In here, Kimhae is the region(city, village) where their ancestor mainly lived (Usually one village was made by one lineage). So with the region, we can guess who might be their ancestor. And even we don't know that region or ancestor, we can guess the historic or nobleness of one's lineage with the longness of their generation. (with this, also can slightly guess whether they were the slave who bought the last name) This becomes fade as time goes, but still, a common thing to know as like we know ourselves name. I know this too and I'm the 20s now. because revealing each one's lineage was meant to avoid the marriage btw close lineage or same lineage to prevent the inherited disease. (Of course, to avoid the hated ones too) writing down this for the ppl who might gonna want to know more about this.
@feminielove7494
@feminielove7494 5 жыл бұрын
thank you, cz i was really wondering how Koreans avoid close kin marriages 👍
@yellowRose806
@yellowRose806 5 жыл бұрын
I have an uncle and aunt who are both from the Park clan. I've heard that was a little concern in their relationship.
@Ddunsil_unni
@Ddunsil_unni 5 жыл бұрын
살면서 한번도 궁금해본적없는 주제였는데 교수님 얘기를 듣고나니 정말 우물안 개구리가 처음 밖으로나왔을때의 충격처럼 와우~눈이 번쩍뜨이는 얘기네요. 정말 새로운 시각에서본 한국사 이야기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amolal3885
@amolal3885 4 жыл бұрын
Yes professor. I subscribed. Give us more your views.
@윤현준-d4r
@윤현준-d4r 5 жыл бұрын
There's something you're missing. Kim is not all the same Kim. They have a family name. For example, there are dozens of different family names, including Gimhae Kim and Andong Kim.
@akiakiii5879
@akiakiii5879 5 жыл бұрын
Ooh, is that so. That's interesting. I'd also love to learn about that
@오후햇반
@오후햇반 5 жыл бұрын
I heard your analysis well. In addition to your hypothesis, there are also such hypotheses in Korea. The Joseon Dynasty was a class society. As the class society collaps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began to make genealogy with money.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of the Joseon Dynasty did not have the genealogy itself. Some say that the sur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biased as it is now, as they are making genealogies. People in the lower classes were able to put their wealth and honor through the rank laundry as an upper class. In some ways, having a preponderance of surnames in Korea can be a painful past.
@picnic3665
@picnic3665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저보다 더 한국인 같으시네요
@changhoonjeong1742
@changhoonjeong1742 5 жыл бұрын
와! 놀랍습니다 교수님 화이팅 👍🏼👍🏼👍🏼👍🏼
@phaeton-xy9lf
@phaeton-xy9lf Жыл бұрын
배우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wjk8321
@wjk8321 5 жыл бұрын
평화와 안정의 상징이라.. 재미있는 관점이네요... 그 이야기는 중국의 당에게 멸망당한 고구려왕조와 백제왕조의 성씨가 많이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겠네요.. 실제로도 그런 것 같기도 하구요..
@onnya4753
@onnya4753 5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설득력이 높은 논리로 보입니다. 백제 귀족성씨는 현재 없다싶이 한데, 신라입장에서 백제를 증오했고, 신라가 합친뒤 백제 왕족들은 탄압을 피해 성씨를 숨기고 다 바꿨을것같습니다. 반면 고구려 성씨는 현재 많이 남아있습니다. 고구려기원의 왕족성씨인 고씨와 귀족성씨 강씨가 꽤 있어요. 이 또한 후고구려와 그를 이은 고려가 고구려를 표방했기때문에 고구려 성씨들은 유지될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우아아-l8w
@우아아-l8w 5 жыл бұрын
@@onnya4753 백제의 상류층들은 삼국통일후 거의 다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이 아닐까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5 жыл бұрын
@a yon 토요타 자동차로 유명한 도요다 가문도, 백제 왕족의 후손이라고 지들 족보에 기술하고 있죠.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5 жыл бұрын
@@우아아-l8w 백제는 보통 성을 두글자로 썼는데, 그래서 일본도 성을 두글자로 쓰는거죠. 백제 왕족은 부여씨,
@TheDongHwaPark
@TheDongHwaPark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제대로 우리에게 돌을 던지셨네요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이런 생각을 해 본 일반 사람들이 몇이나 있을까요? 게다가 밖(외국인)에서 우리의 우물을 들여다 보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교수님은 작은 돌을 던지 셨다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이 작은 우물 안에서는 크게 느껴집니다 구독했어요
@TheTresnoir
@TheTresnoir 5 жыл бұрын
신기한 채널이네요ㅋㅋㅋㅋㅋㅋ 김씨 글케 많은가 생각해본적 없는데ㅋㅋ 재밌어요
@soulofjan
@soulofjan 5 жыл бұрын
잼있어요 교수님~^^
@assarabiya1
@assarabiya1 5 жыл бұрын
한국인으로서 생각도 못한부분인데 놀랍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교수님!
@erickim3710
@erickim3710 5 жыл бұрын
Woah.. as a Kim myself, always wondered. Finally a descent explanation from a historian! Thank you sir. Liked and subscribed!
@장보고-b5m
@장보고-b5m 5 жыл бұрын
한국고대사 좀 다뤄주세요
@25senoanshim
@25senoanshim 5 жыл бұрын
Really impressed on how you described the last names in Korea; as a Korean who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d love to have a professor like you.
@miraclechoi4294
@miraclechoi4294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늘 건강하세요
@southern_scepter
@southern_scepter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속담 말씀하실때 깜놀. 발음 너무 좋으셔. 김이박이 왜 많은지 한국인인데도 몰랐는데 잘 알고 갑니다. 저는 권씨인데 권씨도 신라 왕족이 고려개국에 공을 세워서 성을 받은거라네요.
@티라노숙회
@티라노숙회 5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론 노비문서가 없어지면서 성이 없던 노비들에게 성을 붙여 준걸로 알고 있었는데 그래서 귀족 출신이 많은 김이박등 인기 성들이 많아 진거라고 이것도 어디까지나 추측이지만
@hjkim9754
@hjkim9754 5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배웠음. 그걸로 다 설명되지는 않겠지만 노비들은 성이 없거나 주인의 성을 따라 썼다고.
@glegoo0909
@glegoo0909 5 жыл бұрын
난리통에 노예나 중인들이 죽은 양반의 성씨와 재산을 가지고 행세 하는일은 유럽에서도 흔한일이죠. 그렇지만 유구한 역사의 흐름으로 판단해 본다면 그 비중이 크지는 않을겁니다.
@홀로-e7l
@홀로-e7l 4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왜 그 순간에 김이박이 많아졌는가에 대한 더욱 근본적인 이야기를 하시는겁니다. 그런 모두가 다 아는 사실정도는 저 분이 더 자세히 아세요. 박정희시절부터 한국을 연구해오신분인데 노비문서니 본관이니 하는건 우리보다 더 깊이있게 아심.
@SDongil
@SDongil 5 жыл бұрын
One ruling dynasty that disappeared is the 왕 (王) line. The story from my wife's father side is that the 왕 family, in shame put on hats and went into exile to the southwest, becoming the 전 (全) family and founding a town (全州).
@idgeek
@idgeek 5 жыл бұрын
Interesting story.
@곤양-r8d
@곤양-r8d 5 жыл бұрын
also some of them changed their last name to 옥 (玉)
@KingofKpop
@KingofKpop 5 жыл бұрын
Also Kim. Which explains why there are so many Kim's.
@SDongil
@SDongil 5 жыл бұрын
@@KingofKpop I think that one is a stretch. It's just a story, though; who knows the reality. (Maybe Prof. Peterson?)
5 жыл бұрын
An old Korean family name, Dan.
@Michaelcoffee
@Michaelcoffee 5 жыл бұрын
That's correct. And I am so infulanced by your English. Structure is perfect to learn thanks
@ruggapark1062
@ruggapark1062 5 жыл бұрын
와..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잘아시네요..오늘 큰가르침을 받았네요
@Cellody-i8r
@Cellody-i8r 5 жыл бұрын
새로운견해 너무 신선하네요~구독합니다
@sophie8098
@sophie8098 5 жыл бұрын
So grateful that I found such a significant channel on the youtube. As you mentioned that not many research has done about the Koreans, as well as Korean history from different point of views so I’ve always looked forward something like this. Since I am Korean studied abroad, I had troubles finding reliable research about Korea in English. I thought it was because firstly we were less known compared to the China and Japan and secondly we don’t do any marketing or branding our country haha We have over thousands of history on this Han peninsula and flourished our own cultures. Every single Koreans know and love our history very deeply but now it is time to let others know and analyse ourselves in a variety of ways so I appreciate your uploading.
@gpknkee
@gpknkee 5 жыл бұрын
요서 요동 만주 연해주도 언급주세요. 그래야 우리의 진정한 역사 정체성을 가진 역사 Korean history branding이 되지요. 한반도만 언급하는 건 정말 억울하고 소심한 브랜딩이 아닐까요?
@크로반
@크로반 5 жыл бұрын
고려는 왕씨성이 왕족 아닌가염. 그리고 김이박씨도 지역마다 다른 경우도 있어요. 김이박씨가 왕족성씨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요.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성씨를 사고 파는 경우도 많았구요. 왠지 잘 말씀해주실것같아서 좀 진지하게 댓글 달아봤어요.
@donguri5306
@donguri5306 5 жыл бұрын
조선 1대 왕 태조때 고려시대 왕조인 왕씨에대한 숙청이 있어서 전씨나 옥씨 등으로 바꾼경우도 있는걸로 알아요.
@남기권-t7q
@남기권-t7q 5 жыл бұрын
金氏 · 경주 > 성씨 유지 분관 : (구) 안동/청도/함창(김인관)/김해 김녕/진주[김추]/전주/수원/원주 > 성씨 교체 : 안동 권씨/수성 최씨 · 김해 > 성씨 유지 분관 : 진주[김원술]/금릉 > 분봉 : 함창[고령가야 왕]/고성[소가야왕 김말로] > 별개 : 김해 우륵[김충선;사야가] 李氏 · 전주(단독-토착으로 판단) 朴氏 · 경주 > 특기 : 한국 모든 박씨 본관의 우두머리 관향. 왜 교수님께서 김이박을 처음 주제로 삼았는지 감이 오시나요. 조선 후기에 있었던 신분제의 문란과 일제강점기 초의 호적 조사 등을 들어 족보가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그걸 감안하더라도 족보를 기반으로 한 지금의 인구 통계 상 왕성 혹은 국성으로 불리는 성씨가 이렇게나 산재해 있습니다. 또한 세계가 그나마 확실한 이 세 국가의 귀족 혹은 관료층은, 나말여초와 여말선초에 교수님의 말씀을 빌려 계승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라(고대)와 왕씨 고려(중세), 이씨 조선(근세)을 주요 근거로 삼아 6분 30초 가량의 서장을 제작하신 겁니다.
@JunLoveNhu
@JunLoveNhu 5 жыл бұрын
王씨는 조선 넘어오면서 조금씩 성을 변형해 全, 玉, 田씨 등이 되었습니다
@JJ-bf6ho
@JJ-bf6ho 5 жыл бұрын
왕씨를 그대로 썼는데 살아 남았다구요? 그럼 왜 전씨 옥씨 등으로 성을 바꾸고 숨어서 살았을까요?
@하상욱-d1y
@하상욱-d1y 5 жыл бұрын
I never thought I would learn things about Korea that I didn't know about from a foreigner. lol My last name is Ha which I heard was less than 1% of total population, but shares its root with Kang(about 2.5%). It's also interesting to know that other countries have so much diverse last names!! I can't even think of 10 different last names in States right now on top of my head. cool video. Hope to see more of it in near future.
@QWER-wv5kn
@QWER-wv5kn 2 жыл бұрын
저는 강씨고 제일 친한 친구가 하씨인데.... ㅋㅋㅋㅋ 이거 진짜인가요?
@frommeekyoung
@frommeekyoung 4 жыл бұрын
감동과 감사입니다. 오늘 처음 알게 된 채널입니다~~
@paragons88
@paragons88 5 жыл бұрын
Amazing videos and infos thanks!
@tigerk5373
@tigerk5373 5 жыл бұрын
interesting! I'm korean living in korea for over 40 years. but anyone with family name 'kim' doesn't feel any proud of dynasty. kim is kim like he or she. I really respect and appreciate your theory. but that's the that it is... anyway. I'll definately subscribe your channel! :)
@충무공이순신-m4j
@충무공이순신-m4j 5 жыл бұрын
17세기 중반 호구조사를 한 기록에 전체인구의 50%가 성이 없이 이름만 기록되어 있음. 대부분의 상민과 천민은 성이 없었으며, 그 상민이나 천민들이 아주 예전에 자기 조상의 성을 알수 있었다고 기대하기 힘듬
@hyunwoo5604
@hyunwoo5604 5 жыл бұрын
뭘 말하고자 하시는지? 자료 좀 봅시다 50%가 성이없다는
@김수미-v5n
@김수미-v5n 5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양인들은 성이 있었다고 알고있는데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hwkang5371
@hwkang5371 5 жыл бұрын
김영수 천민은 그냥 개똥이 뭐시기라고 불리웠던거 아닐까요. 성이 없었던거 같아요
@충무공이순신-m4j
@충무공이순신-m4j 5 жыл бұрын
조선초기 조세와 군역의 목적으로 태종때 호패법을 실시하면서 호구조사를 시작함 (태종실록). 이때의 양반은 전체 인구의 10% 단성호적과 숙종실록을 바탕으로 전국민의 30%~40%가 노비였음, 천민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걸이 노비, 그외 북방계외국인였던 백정, 재인, 기생, 공장, 승려, 무당, 상여꾼 이들을 조선 8천이라 함. 성이 없이 이름만 있는 호구조사비율 50%는 보수적으로 잡은 수치임 학자에 따라 전 국민의 70%가 천민이였다는 분도 있음
@hannahlee4768
@hannahlee4768 5 жыл бұрын
Family name Yi is usually translated to Lee. Thank you for the video!
@sdklsdlkl213e1kwdsf
@sdklsdlkl213e1kwdsf 5 жыл бұрын
중국 성 얘기할 때는 Lee라고 한 것 보니까 우리가 하는 이씨의 발음이 Lee보다는 Yi에 가까워서 저렇게 쓰신 것 같네요
@moonlight_heaven-s3g
@moonlight_heaven-s3g 5 жыл бұрын
영광입니다 교수님!!
@gusagunja5929
@gusagunja5929 5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인 저도 당연시 봤던 성씨의 종류를 새롭게 보게 되었네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역사와 관련된 유익한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고맙습니다.
한국말100% 하버드 박사가 한국에 온 이유? (Who is the frog outside of the well?)
10:11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434 М.
"Korean Slave Names: Surnames and Given Names (말똥 과 작은개)
12:59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53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BAYGUYSTAN | 1 СЕРИЯ | bayGUYS
36:55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Hoe Announcing + Korean History 101 from Harvard PhD, American Professor!
14:45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28 М.
7 Korean Surnames: Are They Really Lower Class? The Truth Revealed!
11:16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464 М.
한국말하는 미국인 하버드 박사가 만난 조선 내시 (Korean eunuchs show the value surnames)
10:13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190 М.
Jeong Mongju's Death Shows the Falsehood of Japanese Historiography in Korea
11:10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231 М.
Korea's Oldest Jokbo, Andong Kwon-ssi Jokbo
8:41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53 М.
Best things to see and do in Barcelona, for first timers, 2025
24:25
Globetrotting Graeme
Рет қаралды 1,5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