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설비 전문 카페 에듀강닷컴[동영상강의] 에듀강닷컴 후원하기 : toon.at/donate... 공식사이트 : edukang.com 유튜브 : / win1008kr 티스토리 : edukang.tistory... 페이스북 : / jkkangsem 교사 : 강진규
Пікірлер: 35
@이기환-w9q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잘되게 수강하였어요! 훌륭한 강의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김태형-s5i Жыл бұрын
표정관리도 굿입니다. ㅋㅋ 웃는 연습 하신듯
@edukangTV6 жыл бұрын
추가사항 : 강의상 냉난방비가 같다라는 말은 이론상 압축기가 "같은 조건 같은 시간" 운전했을때를 바탕으로 같다는 말을 사용 하였습니다만 이부분은 충분한 오해의 소지가있어 추가 설명 드립니다. 실제 가정용 에어컨을 기준하면 같은시간 운전시 전력소비량은 난방이 냉방보다 1.2~1.3배 정도 높게 나타 납니다. 이는 겨울철 외기온도가 낮아 증발압력이 낮고 응축압력이 올라가며 압축비가 상승하게됩니다. 그로인해 전력량이 상승하기 때문인데요. 이는 여름과 겨울이라는 사용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즉 조건이 달라 전력소비량의 차이가 생기는것인데요. 이부분까지 강의에 담지못해 본의 아니게 혼란을 드린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ㅜ 앞으로는 이런부분도 세밀하게 체크하여 보다 완성도있는 영상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고요. 다시 한번 이부분 지적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전합니다. ^^
@Nana-o4r2h6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냉.난방시 생각보다 전기세차이가 안나네용 ㅎ
@edukangTV6 жыл бұрын
@@Nana-o4r2h 넵 에어컨 원리상 그럴수 밖에 없지요. 좋은 지적 감사드리고요. 앞으로도 좋은영상 만들수 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
@effortntruth4 жыл бұрын
일반인에게 좋은 정보를 주셨네요. 잘 배웁니다
@alenansonic2 ай бұрын
정답을 찾았네요 땡큐 !!!!
@rollstory6 жыл бұрын
오, 이렇게 이론적으로 알게 되니까 좋네요 :)
@edukangTV6 жыл бұрын
우디샘~! ㅎㅎ 더 좋은 컨텐츠 많이 연구 하고있으니 자주 놀러오세용~^^
@제이크-q8gАй бұрын
전기 히터,lpg.도시가스.등유. 보다 열효율 . 유지지비가 어떤것이 좋을까요????
@장재훈-v3w5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입니다
@짱멋쟁이-d4x2 жыл бұрын
그럼 왜 냉방과 난방의 전기값이 다른가요? 엘지냉난방기 인데 22년식 에어컨은 한달기준 36천원 난방은 16만원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리고 계속 켜놓는것이 좋을까요? 아님 하루에 한번씩 켜놓는게 좋을까요?
@S.leshe-슬2 жыл бұрын
난방 효율이 조금 더 안좋아서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옵니다. 전기세 측정 기준은 냉방으로 설정했을때로 측정할껍니다. 밑에 댓글에 적혀있네요. 하루한번을 키는것도, 꾸준히 켜놓는것도. 정답은 없습니다.(있다면 저도 알아가고 싶네요) 사용하는 곳을 따뜻하게 유지하는게 전기세를 조금더 줄여줄수 있는 방법입니다. 외부 공기 차단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실내온도가 설정온도가 될때까지 콤프(압축기)는 작동하고, 작동하는만큼 전기세가 올라가죠.
@changseokseo83554 ай бұрын
이유는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냉방모드에서는 실외 35도 실내 25도일 때 온도차이는 불과 10도입니다. 난방모드에서는 실외 -5도 실내 20도일 때 온도차이는 25도나 차이가 나게 되죠. 비록 똑같은 원리로 밸브로 방향만 바꿔서 효율은 동일한 것이 맞습니다만, 저렇게 큰 온도차를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난방이 훨씬 에너지 소모가 심합니다.
@화반-r5h2 ай бұрын
난방시에도 트레인호수에서 물나오나요?
@루비쮸-m2y Жыл бұрын
벽걸이인버터 냉난방기를 이번에 구입하려는데 겨울에 난방비도 적게 나오는지요? 현재 요식업운영중이고 정속형냉난방비 사용중인데 요금이많이나와서요.
@실행가7 ай бұрын
일반 전기 난방장치보다 에어컨 난방 효율이 나쁜가요?
@saja10264 жыл бұрын
강의잘봤습니다 그러면 에어컨은 약 25도로 쭉트는게 껏다켰다하는것보다전기세적게드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난방도 마찬가지로 껐다켰다하지말고 적정온도로 쭉트는게 전기세적게드나요?
@edukangTV4 жыл бұрын
네 해당질문에 답변을 드리면 예를들어 정속형인 경우에는 냉방이든 난방이든 원리는 같습니다. 난방이라고 가정하고 25도까지 온도를 올리기 위해 전원을 킨경우 편차량이 있으니 통상 26도씨 까지 운전 후 압축기가 꺼지게 됩니다. 그 후 다시 편차량에 의해 24도씨 까지 실내온도가 떨어지면 켜지게 되죠.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세를 아끼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26도씨로 운전하되 풍량을 강으로 설정하여 최대한 실내온도를 빠르게 올린 후 풍량을 다시 약 또는 중으로 맞추어 주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 에어컨을 켰다 껐다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시동부하가 더 커지므로 전기세를 더먹기도 하는데 이 부분은 실내 환경 및 외부 환경에 따라 다를수가 있으니 단정지어 켜고 끄는게 무조건 많이 든다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 여기까지가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고요. 요즘에는 인버터형 에어컨이 많이 나오고 있지요. 인버터형은 자체적으로 실내 부하가 설정치에 오르면 압축기 내부 모터의 RPM을 조정하여 부하에 대응합니다. 즉 설정 부하까지 다다른 경우 RPM을 줄여 전기를 적게 사용하다가 부하에서 편차량 만큼 떨어지면 다시 RPM을 올려 운전하여 설정 부하에 맞춥니다. 그래서 이런 인버터형은 장시간 사용시 그냥 켜두는게 전기세를 적게 먹습니다. 이는 시동부하가 크기때문에 처음에 전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차후 부하수준에 맞게 RPM이 조정되기 때문에 서서히 전기를 작게 사용하게 되기 때문이죠. ------- 여기까지가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였습니다. 답은 나왔겠지요. 요즘은 거의 대부분의 에어컨이 인버터형으로 출하되고 있으니 이왕 에어컨을 구매하시려면 가격이 조금 더 나가더라도 인버터형을 구매하심이 옳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