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론 물리학자들은 양자컴퓨터 동작의 근간인 양자얽힘이 사실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에서 예견했던 웜홀 때문에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들은 Nature지 등 여러 학술지에 게시되었습니다. Reference www.nature.com/articles/s41586-022-05424-3 ------- 제보/소통/질문 ------- Instagram : instagram.com/archiveyoutube/ Blog : blog.naver.com/asdfg3663 ------- 부계정(보관소TV) ------- kzbin.info/door/jjPpn-_LcSQXlOKiQWiiMw ------- 비지니스 문의 ------- E-Mail : asdfg3663@gmail.com
@아티수트26 күн бұрын
이 채널에서 물리학에서 흥미를 많이 얻어 물리학과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김나물-j3v26 күн бұрын
헉
@빨강색주린이방26 күн бұрын
왜그랬어요
@user_bs7tlp4hq2lj26 күн бұрын
멋있어요~ 화이팅!
@자건-i4k26 күн бұрын
멋지군요🎉
@우주의신비-w6y26 күн бұрын
우주먼지에서도 이댓글 봤는데
@상추-p6o26 күн бұрын
와 소오름이 돋았습니다. 모든것의 이론에 한발짝 띤 느낌이네요
@ilililililili18 күн бұрын
설명도 설명이지만 영상자료도 대박..대한민국 GOAT입니다.
@Watchman_Pasugun25 күн бұрын
올리시는 영상 항상 감탄하며 보았는데요. 요번 영상은 정말 놀랍습니다. 양자얽힘과 웜홀 ,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연결되다니..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가 됩니다 ^^
어 ㅋㅋ 나도 이생각했었는데! 아무리 멀어도 정보가 동사에 전달된다는건 혹시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고 ㅋㅋ 과학자들이 이런생각을 안했을리거 없을거야 하면서 당시에 생각했었는데 ㅋㅋㅋ 여윽시
@sifmuna50026 күн бұрын
웜홀이 더 작은 규모에서 쉽게 만들어질수 있고 시공간의 휘어짐이 원자단위까지 내려가다 보면 계산상 그 표현을 초미세 웜홀로 표현해도된다. 오히려 웜홀이 생성돼있다는게 계산상 맞는거 같다... 궁금한건 양자얽힘 상태의 입자쌍을 관측하면 웜홀이 파괴되는건지, 파괴된다면 관측하기 전까지 웜홀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을수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하야케25 күн бұрын
이영상 미쳣다...구독박습니다. 결국 4,5차원으로 양자는 연결되어 양자얽힘이 일어나고 시공간의 왜곡이라는 동일현상으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공존 4차원의 평행세계 시공간에 무수히 많은 미래가 있고 나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도 나의 생각이라는 에너지를 통해 시공간의 양자가 확정되기떄문에 나는 나의 미래를 원하는 것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아몰랑
@최최-r1b12 күн бұрын
아몰랑 공감합니다
@운칠기삼-p2p26 күн бұрын
대단한 이론이네요
@PROPSY76026 күн бұрын
이 우주에 시공간과 시공간의 굴절만 존재하는 세상이라면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물질의 상태부터가 그냥 원래 있던 표시적인 값의 변화밖에 없는 완전한 실체가 없는 시뮬레이션 이라는 이론에 더 가깝게 근접하는 증거가 아닐까 하네요
@DeadPool-kj5il26 күн бұрын
오늘 정말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웜홀이라.. 슈타인형도 입맛 싹 돌 주제인듯
@아카리-슈아Күн бұрын
슈타인 할아부지도 관짝에서 나올만함
@KaKaH-f6m26 күн бұрын
와.. 이게 다 일리가 있다는게 진짜.. 이게 사실이면 물리학 패러다임이 바뀌겠네요 ㄷㄷ
@수리수리마수리-j5n25 күн бұрын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7:35 과학적으로 발전해서 가시적인 관측 가능한 우주의 범위가 늘어날 수록(빛이라는 한계를 넘더라도) 얽힌 세계가 발견되는 것이고 관측이라는 행위는 얽힘 자체의 확대를 확인하고 있을 뿐이다. 즉 우리가 발견하는 모든 것이 결국 복사된 얽힌 세계의 반복을 확인하는 것일 뿐이다. 우리는 결국 그 발견을 통해서 아무리 노력해도 진리에 닿을 수 없는 세계관에 있는 것이고 설계자가 그렇게 프로그램한 세상이 이 우주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한적이 있다. 그게 설계자의 의도처럼 우주의 가속 팽창으로 표현되고 다중 우주로 표현되고 있는 게 아닐까? 설계자가 우리가 진리에 닿지 못하도록 만든 1차 한계가 빛의속도이고 2차 한계가 양자 얽힘...3차...
@Ishihara-Satomi24 күн бұрын
한계를 하나만 해두면되는걸 구지 여러개할필요가있음?
@5tw3b45tcf24 күн бұрын
재밌는 생각이네요..;
@richasset676325 күн бұрын
역대급 영상입니다!! 😊
@KXS-l4l16 күн бұрын
이 세계는 모두 관계 그 자체이고 거리와 시간이라는 것은 인간의 인지체계에 끼워맞춘 허상이다
@회멸15 күн бұрын
반야 바라 밀~다심~경
@dirncla26 күн бұрын
오... 오늘 내용은 간만에 겁나 신선하고 충격이었다~ 굉장히 설득력 있은 내용이네요~
@할말좀하자-j6e6 күн бұрын
이건 진짜 설득력있다.
@Rrf69925 күн бұрын
이번 편 정말 재밌네요! 물질이 시공간의 휘어짐 그자체일 수 있다니
@드기드기-n3l25 күн бұрын
와 이번편 진짜 심도있고 리얼 재밌다 새롭다 질량이 곧 웜홀의 결과라니 쩐다 이번편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IllIlIllllIIIIllIlIlII5 күн бұрын
불교에서 말하는 파도와 바다의 관계가 생각나네요. 파도는 스스로 존재하는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바다의 일부일 뿐이며 끊임없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user-ok2jm5hf3o25 күн бұрын
22년 논문이지만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행복하네요... 오랜만에 도파민 충전하고 갑니다...
@A_cup_of_life26 күн бұрын
초끈이 아닌 시공간의 휘어짐이 답이었던것인가…!
@happyhan60825 күн бұрын
늘근 문송이라 2번 봣는데도 ㅜㅜ 다시 정독 해봐야 겟네요. ㅋ😅🎉❤
@이원일-i5m25 күн бұрын
모든 것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아직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다!!
@rlaskrtn571826 күн бұрын
아 최고다 지식보관소
@gomdorij321325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지식보관소 님의 설명을 들으면, 그 어려운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의 통합이 곧 이뤄질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clumsymm24 күн бұрын
양자얽힘의 가장 미스테리한 부분이 빛보다 빠른 무한대의 속도로의 정보의 이동이 가능하다는건데 이게 웜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웜홀을 통해서는 빛의 속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정보가 교환될수도 있는 가능성이 열리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서로 양립할수 있는 또다른 가능성이 보임. 매우 흥미롭네요
@lhj572126 күн бұрын
제목을 딱 읽었을때 드는 느낌보다 훨씬 더 많은 내용을 담고있는 영상이네요... 그건그렇고 뉴턴의 운동방정식이 이후 수백년간의 물리학을 지배했던것처럼 아인슈타인도 상대성이론이 그정도까지는? 이라 생각했는데 결국 이런식으로까지의 통합이 성공한다면.... 인류가 정말로 복받은거같네요...
@jos770922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영상 감사합니다
@hawkeyekhan626926 күн бұрын
원래 물질은 존재하지 않고 시공간의 휘어짐 만이 존재할 뿐이로구나. 진공 속에서 입자들이 쌍 생성 되고 다시 쌍 소멸 되는 것이 오직 공간의 휘어짐이 변화할 뿐이라니....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 오늘도 작은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ergodic-v3f25 күн бұрын
나이가 조금 있으신 것으로 보이는데, 물리학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정말로 전공책을 사서 한번 공부를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kocw등 영상 강의도 잘되어 있고요. 물리학의 언어는 오직 수학이고, 현실의 언어와 거기서부터 오는 생각의 틀과 심히 괴리되기 때문에, 실제로 작성자님은 아무것도 깨닫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직접 손으로 방정식을 풀어서 확인하고 나서야 이런 괴상하기 짝이 없는 명제들이 정말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죠.
@green_dollar_sign25 күн бұрын
아직 가설에 불과합니다. 과학의 진가는 이런 그럴듯한 가설제기가 아니라, 가설 제기를 위한 수학적으로 엄밀한 배경, 그리고 이런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첨단 기술들을 응용하는데에 있다고 봅니다. 각각 이론물리학자와 실험물리학자들이 하는 일입니다. 물론 문학적 작품으로 해석하고 깨달음을 얻을 순 있지만, 그건 주관적 의견일 뿐, 진리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런식의 깨달음을 얻고자 하면 차라리 고전이라고 불리는 책들을 읽으시는 편이 낫다고 봅니다.
@ABC-tf1sd2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이번 가정은 현실성이 없을듯 물질과 시공간의 상호작용 정도면 몰라도 물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해버리면 원소와 분자 개념이 부정당해버림 물질을 절대영도로 만들어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킨 이후에 상온으로 되돌려서 초전도현상이 해소됬을때 물질이 랜덤으로 바뀌는거 아닌 이상에야 시공간과 별개로 물질은 확실히 존재함
@2분과학3분과학25 күн бұрын
@@ABC-tf1sd 이에 대해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는 이렇게 말했죠 - 비트에서 존재로 -
@고무-b7e25 күн бұрын
@@2분과학3분과학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터졋다
@SAM-yh8qk25 күн бұрын
늘 응원합니다ㅏ
@yfantas650025 күн бұрын
와 정말 대단하네요. 물론 무슨 말인지 이해는 못했습니다
@20000s2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구독이-w3l18 күн бұрын
사실 이해하는순간 이해하는게 아니게되므로 그게그거일지도..
@circuiteq986223 күн бұрын
와... 최근 영상 중 가장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만약 우주의 모든 것을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시공간의 어느 한 지점을 휘어진 상태 또는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고 이건 우주가 시뮬레이션이라는 얘기로 확장될 수 있을 것 같아요.
@Applegolf25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 좋네요
@aziktn25 күн бұрын
물질이 시공간의 휘어짐의 결과일 수 있다니... 그건 마치 이데아론에서의 동굴 벽에 비친 그림자를 뜻하는 게 아닌가
@정기용-n3p26 күн бұрын
신박하네.. 잠깐 내가 방금 뭐가 신박하다고 생각한거지
@창조의아침-z1x25 күн бұрын
당신의 생각은 이미웜홀을 통해 날아갔씀
@jungyeonho25 күн бұрын
관측해서 붕괴해버린...
@jhpakr874223 күн бұрын
양자 얽힘이 깨지셨군요
@sasa-ky8ud26 күн бұрын
진리의 전형적인 특징 : 명쾌함. 한가지 현상을 설명하는데 여러가지 이론이 필요가 없음 = 왠지 진리에 가까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 양자컴퓨터가 리만가설만 풀어준다면..!!
@옳은말만하는사람26 күн бұрын
초끈이론이 그런 식의 이론이었는데 이게 더 말이되고 더 쉽게 이해가되는거 같음
@wotomy25 күн бұрын
사실 명쾌할수록 더 경계해야 함
@oceanfrank267725 күн бұрын
진리까지 가려면 한참 멀었다~ ㅎㅎ
@SnowMorningstar25 күн бұрын
초끈보다 명쾌한게 더 좋긴 함
@cheolhanjang483126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쉽고 흥미있게 설명을 😃
@ddunipeng15 күн бұрын
양자 만능론 싫어하는데 웜홀이든 뭐든 일시적으로 공간을 외곡시키는 매개체가 있다는건 되게 설득력 있는거같음 4대힘을 합치려는 시동중에 중력만 계속 실패중에 있는데 초끈같은 엉터리 이론버다 이쪽이 더 확실하게 설명할수있을거같음
@franhse900625 күн бұрын
완벽하게 이해했어!
@diy395526 күн бұрын
5:33 이 개념 아주 신기하네요
@요르겐비요르겐-b5h24 күн бұрын
저도 이 개념이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것같네요
@득도자경주최0025 күн бұрын
참 좋아요 ^^
@c72chiri25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개신기하네. 이런 세상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는 거가 더 안믿어지네요ㄷㄷ
@user-iu9yw8nc5d26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user-gz2qe9wk9t26 күн бұрын
와 이 정도 명쾌한 설명이면 만물의 이론도 머지 않은건가?
@sade2222325 күн бұрын
물질은없다 정보일뿐 세상은 시뮬레이션
@my-life48525 күн бұрын
새상의 모든것이 과연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있는새상이 올수있을지... 후대한태 맞겨야죠 머 ㅎㅎ
@프로틴요플레25 күн бұрын
이 영상대로면 그건 시공간방정식 같은 이름 붙겠다 개간지 ㅋㅋㅋㅋ
@hsk357526 күн бұрын
우와... 시뮬레이션 우주설에 대해 좀 더 명확한 설명이 되겠네요
@ElysiaK24 күн бұрын
소름... 완전 재밌게 봤어요
@corevista417110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공감 이론
@mooddang669523 күн бұрын
우와 흥미로워 대단한 시각이당
@warden505526 күн бұрын
데이비드봄의 초양자장 까지 갔는데 다음에 볼만한 책이 없어요
@레몬청-x9k26 күн бұрын
ㄷㄷ
@eyasban25 күн бұрын
정말 깜짝놀랄 결과네요 이게 정말이었으면 좋겠어요
@오늘의노래-q7t25 күн бұрын
아름다운 이론이네요
@임임임-h1d25 күн бұрын
정보가 비대칭적으로 쌓인 아카식 레코드가 존재할 수도 있겠다. 양자역학으로 얽혔다는것 증명하는 날이 올것
@태양의밭관리자사딸라25 күн бұрын
아인슈타인 진짜 의문의 1승…정작 양자역학을 그렇게 싫어했는데…
@iskykkare681325 күн бұрын
항상 시간 공간 질량 물질 에너지등등이 인간의 편의와 관측적인부분으로 분류해놨을뿐 하나이지 않을까생각했었고. 양자역학도 미시적인부분에만 국한되어있었는데 거시적인부분과 연결이되고 하나라고 보는관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keigokim210626 күн бұрын
전자의 위치가 확률적으로 존재하는 이유도 비슷하겠군요
@linkinpeas121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전달 너무 감사합니다. 다만, 너무 똑같은 전달 포맷을 고수하다보니...(같은 bgm, 뭐 지금까지는 말이죠..)이런 포맷에 변화를 가끔씩 주면 더 재밌게 시청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Jisoonhwan25 күн бұрын
하나도 이해 못했지만 엄청나보이는 변화네요😂
@om_WHAT26 күн бұрын
우와~~~정말 양자 얽힘원리가 무엇일까?라고 오래전부터 의문이 있었는데? 혹시 미세 웜홀일 수도 있다는 가설만으로도 엄청 가슴을 뛰게 만듭니다.. 전 그냥 알기쉽게 차원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만 했더랬는데..ㅎㅎㅎ 차원은 끈이론,M이론이 이론을 설명하려고 무려 11차원까정 확대하고 있잖아요?ㅎㅎㅎ 한차원만 확장한 것도 해석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무려 11차원을(4차원(시공간,현실세계) + 7차원) 어떤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으려나? 1000년이 지나야 할까나?ㅎㅎㅎ 지보소님~무쟈게 감사를 드립니다^^
@지가뭘안다고25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은 역대급 재밌네
@냥과가치26 күн бұрын
최근 현실 물리학은 2차원 SF를 뛰어넘는군요.
@kswvox10 күн бұрын
이런식으로 가다가 양자컴퓨터, 상온초전도, 핵융합발전, 암정복 다 이루어 졌으면 좋겠읍니다. 특이점이 금방 왔으면 좋겠어요. 요세 사는게 정말 힘듭니다.
@CaptainBoat25 күн бұрын
이건 진짜 미쳤네요... 통일장이론이 근거를 가지게 되는건가
@plen_for_nothing21 күн бұрын
물질과 공간은 별개가 아니라 하나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몇 해전부터 했는데 비슷한 말씀을 해주시니까 놀랐어요. 참고로 저는 물리학은 커녕 산수도 제대로 못합니다. ㅋㅋ
@hyoseok25 күн бұрын
흠 아주 재밌네요 혹시 양자역학관련됨 도서 추천가능한가요?
@kyubokhan393725 күн бұрын
저 어렸을적 문과가 무식하게 물리용어들 아무데서나 따와 붙여놓은거 같아요 분리되어 발달하던 분야들이 이제 연결고리들이 보이기 시작하는거군요!❤❤
@킴-e4g25 күн бұрын
와우. 기존 이론보다 훨씬 깔끔해지는 것 같네요!
@user-io5bb8hi7t25 күн бұрын
와 머릿속이 간만에 신선해지는 느낌이다
@오잉-f3r26 күн бұрын
영상 내용이 지식보관소님도 이건 꽤 그럴듯하다고 생각하시는거 같네요
@corelcid25 күн бұрын
시간이 멈추는 블랙홀에서 시-공간이 분리되지 않는다면, 즉 시간이 멈추는 곳에 공간도 멈춘다면, 사실 웜홀은 불가능하겠지요. 입자나 물질의 이동이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없으니깐요. 시간과 공간이 분리 된다면, 공간은 특이점에서 이동할 수 있고, 웜홀이 될 텐데, 극저온의 환경과 블랙홀의 환경에 대해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고라파덕-m5r26 күн бұрын
와 똑똑한 사람들은 대체 어디까지 똑똑한 거냐
@bleee125 күн бұрын
종이 다르다고 생각할정도임
@이규종-w8s23 күн бұрын
공간이란 공기속의 대기압의 힘이 있는 것처럼 진공상태 역시 알수없는 힘이 가득차 있는 상태 입니다. 그것에서 물리 법칙이 생겨나고 물리 법칙이 작동하는 것입니다. 공간과 물질이 상호작용 해서 핵반응과 같은 엄청난 에너지도 생겨나는 것입니다. 공간과 물질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수 있는것이 아니고 비슷한 성질을 가진 하나의 세트라고 볼수 있습니다.
@KovskyHTC24 күн бұрын
물질이 시공간의 휘어짐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시공간이 휘어진 곳이 인식되는 형태가 곧 물질이라는 해석도 가능하겠네요.
@알형-h8q26 күн бұрын
양자얽힘이라는게 정보의 기록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1의 행동을하면 디스크에 0으로 새겨지는거고 0이면 1이 새겨지고 그래서 정보의 총량이 중력을 만들고 블랙홀로가면 우주의 정보들이 뭉쳐 있는거라고 블랙홀로가면 과거와 미래가 한군데있고 0과 1이 같아지는 순간이 오지않을까
@DalcommeHeony24 күн бұрын
정말 대단한 인사이트네요!
@zerohourD424 күн бұрын
물리량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관측방법, 또는 그러한 힘이나 어떤 작용이 발견되면 좋겠네요. 결국 그것을 다시 관측하는 행위가 영향을 준다면 문제가 되겠습니다만...
@johnyu200325 күн бұрын
미세한 웜홀이라..즉 빛의 속도를 능가하여 정보가 실시간으로 다른입자에 반영되는 현상을 새로운이론이 아닌 상대성이론으로도 설명이 가능하겠네요..증명만 된다면요.
@Salad_Pals23 күн бұрын
그 새로운 방법인 -- 이온트랩방식이나 광방식에대해 궁금합니다
@신효상-v9e23 күн бұрын
매우 흥미롭고 신선한 자극이었습니다. 다만 한 가지 의문점은 물질 = 중력 = 시공간의 휘어진 결과값 이라면, 시공간을 왜곡시킨 최초인 힘(원인)은 무엇이냐는 것이지요. 각 물질을 시공간의 휘어진 결과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도대체 뭐가 시공간을 휘어지게 만드는 원인이랴는 거죠.
@Do_Mindfulness23 күн бұрын
초미세웜홀로 추측하는게 지금 영상이죠.
@신효상-v9e23 күн бұрын
@@Do_Mindfulness 아 네 감사합니다. 다만 물질이 시공간의 결과값이라고하면, 그 결과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이었습니다. 초미세웜홀을 만드는 원인이 뭐냐는 질문이었죠. 제가 채널주의 생각을 온전히 이해못해서 하는 질문이니, 답글 안주셔도 상관없습니다. 저는 영상 내내 보면서, 매우 통찰력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럼 물질은 뭐지? 라는 의문이 계속 떠올랐거든요.
@lbpw72525 күн бұрын
통합이 된다면 대박이네요
@thesanctuary22525 күн бұрын
물질의 본질은 파동이고 파동으로부터 물질은 생성됩니다. 무언가를 간절히 원하면 그러한 마음이 파동을 일으켜 원하는 것이 물질화 되는 것이죠. 기도의 원리가 그러한 것이며 신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어느정도 까지는 파동의 힘이 작동하는 것이죠. 신이 존재한다면 기도자의 마음에서부터 발생한 파동이 신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신께서 행함으로써 원하는 것이 물질화가 되는 것이구요. 마음공부 또한 물리학과 통하는 것입니다.
@Do_Mindfulness23 күн бұрын
기도만 해서는 아무 쓸모 없고 행동도 해야합니다. 파동은 엄밀히 말하면 마음이 아니라 광자와의 상호작용입니다.
@virtalf25 күн бұрын
이번건 진짜 소름이다.
@이재성-h8j25 күн бұрын
100년내에 진실을 알게 되겠네요 정치도 과학처럼 앞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
@hwisokim541323 күн бұрын
오 못참는 영상... ㅇㄷ
@태선박-s2k26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graycain23 күн бұрын
양자 얽힘은 2개만 가능한가요? 3개 4개 아렇겐 안되나? 그럼 스핀줄때 하나의 에너지만 줘도 다른 입자의 상태도 바뀌는지? 그게 가능하다면 입자 하나는 블랙홀 근처에 두고 외부에서 쌍 스핀을 이용할수 있지 않을까?
@passing_man21 күн бұрын
이 가설이 진짜라면, 지금 현재 인류가 봉착한 대부분의 문제들에 대한 원인을 설명해줌과 동시에 방향성을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고, 물리학을 거의 완성시킬지도 모르겠네요
@brownstone740826 күн бұрын
천사: 인간놈들 드디어 버그를 알아채기 시작했는데 어떡하죠? 신: 10분 뒤에 서버를 다시 리셋시켜
@Soraworks25 күн бұрын
완벽히 이해했어..!!
@브이티-f2k23 күн бұрын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법칙을 모르는 우리눈에 주사위놀이로 보이는것 뿐이라는거겠죠?
@새한-c9y25 күн бұрын
갑자기 드는 생각인데..전자의 스핀을 관측하는 빈도 또한 광속을 넘을 수 없는거잖아요? 이 스핀이 관측하는 순간 결정되는게 아니라 스핀이 광속으로 바뀌는 중인데 관측 빈도가 타이밍이 딱 맞거나 관측 당시 잔상이 지속적으로 보이는건 아닐까요? 그러니까 층류현상 같이 멈춰있는거 처럼 보이는건 아닐까 생각합니다.
@Tnw312025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웜홀은 양자얽힘이다"라는 연구가 있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그거랑 연결되네요
@Ddaon9919 күн бұрын
오 새로운 쿨러인가요?
@babababbob25 күн бұрын
잘보고있습니다. 다만 영상 중간에 삽입되는 설명문 너무 빨리사라져서 읽을수가 없어요...
@아이누-q8g26 күн бұрын
최근 양자컴퓨터 연구 및 발견이 다중우주 연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까요? 양자컴퓨터와 다중우주는 어떤 연관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