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선생입니다. 무환수 무여과 X 왈스타드 O 로우테크 O 꼭 읽어주세요. 무환수 무여과(무무항) 라는 명칭이 이제는 지양해야 겠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유는 무환수 무여과 라는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문제는 이 상업적 목적이 자칫 잘못된 물생활 입문으로 이뤄질 것으로 노심초사한 마음이 앞섭니다. 무무항이라는 타이틀을 쓸 당시에는 상업적인 움직임이 없었던 시기였고, 거의 왈스타드의 모습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생각을 했으나, 이제는 누군가의 상업적 목적의 명칭으로 쓰이고,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되 대처가 아쉽다고 생각이 들어 쓰지 말아야하는 단어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게 잘못된 물생활의 입문이 되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즐겁게 쓰이던 이 취미생활이 상업적 단어로 사용되여 굉장히 유감입니다.... 여러분들이 즐겁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물생활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너른 이해와 항상 응원해주시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천회씩이나 봐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꾸벅)
@thinking-z3g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기포기 소음으로 고민하다가 이 영상을 보고 어항을 셋팅해서 2년넘게 잘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좋은 영상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TeacherGo_Offical Жыл бұрын
저의 습작인데 잘 운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에 힘입어 열심히 하겠습니다~
@heysong9248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뿡이-b8d2 жыл бұрын
총 가격이 어는정도 나왔나요 ???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로우테크 카페를 열었습니다. 미약한 시작이지만 오셔서 많은 정보를 공유해봅시다. cafe.naver.com/lowtechaquarium
@시간관리-h4t4 жыл бұрын
모든이의 로망이죠~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onz53082 жыл бұрын
작은 새우 어항을 이런방식으로 꾸며서 잘살고있습니다... 그런데 맨아래 원예흙에 점점 가스가 차서 흙이 부풀어진 상태고 요즘들어 종종 보로록하고 공기방울이 터져올라와요 괜찮은걸까요?바닥재를 한번 싹다 꾹꾹눌러서 가스를 다 빼버리고싶은데 수초들때문에 무리일것같고... 원래 이렇게 가스가 차는건가요...? 이건 그냥 둬야할가요? 가장자리 일부는 막대기같은걸로 꾹꾹눌러서 공기를 빼버리긴했어요 근데 이 공기빠질때 약간 냄새나는것같기도...?
@TeacherGo_Offical2 жыл бұрын
오우... 정확한 감을 가지고 계시군요. 혐기공간에서 일어나는 황화가스가 차오르는 것 입니다. 계란 썩은 냄새가 나요. 원인은 수초 뿌리가 닿지 않는 산소가 희박한 공간입니다. Konz의 판단처럼 쿡쿡 눌러 가스를 빼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konz53082 жыл бұрын
@@TeacherGo_Offical 답변 감사합니다...! 최대한 눌러서 뺐어요 ㅋㅋㅋ 물어보길잘했네요
@JWK-k3s12 күн бұрын
영상보니 히터도 없는데 겨울철에 상관 없나요?
@TeacherGo_Offical12 күн бұрын
겨울철에는 히터 필요합니다~
@alsita98064 жыл бұрын
너무이뻐욥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enesiskim8795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원예흙 대신에 소일(흡착계) 사용해도 되나요?
@TeacherGo_Offical11 ай бұрын
소일은 방법이 달라집니다. ㅠ
@genesiskim879511 ай бұрын
@@TeacherGo_Offical 아, 그렇군요. 그럼 소일을 살리려면 흑사어항과 소일어항으로 분리해야 하나요? 아님 어떤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perfectest4 жыл бұрын
3일차에 물 전체를 뺀다는데 물을 없애고 새물을 넣는다는 말인 가요?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네 하루 묵힌물을 뜻합니다
@뿡이-b8d2 жыл бұрын
저 25 큐브에 영상에서 부터 따라할려고 하는데 한번에 백운산 4마리 투입해도 되나요????(물생활 초보ㅜㅜ)
@TeacherGo_Offical2 жыл бұрын
4마리 괜찮습니다.
@haru_____4 жыл бұрын
여기에 코리나 오토싱도 키울수 있을까요?? 아 그리구 화산석 대신에 천룡석을 쓰려고하는데 괜찮은지도 여쭤보고싶어요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천룡석의 특성때문에 잘 쓰이지 않습니다. 코리, 오토싱 등 바닥을 해집고 다니는 녀석들은 바닥재를 더 두껍게 해야하며, 수초가 견고하게 자란 다음에나 가능성을 둘것 같습니다.
@haru_____4 жыл бұрын
@@TeacherGo_Offical 그 특성이 먼가요‥? 단순 레이아웃용이 아닌가요??
@이하원-g6h4 жыл бұрын
3일차에서 물을 뺀다는게 얼마나 빼야하는거에요? 물이 어느정도 잡힌후에 생이새우 몇마리 정도 넣어도 될까요?
@TeacherGo_Offical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백탁이나 기타 분진을 위해서 전량을 뺍니다. 물이 잡히는 것을 판단하는 것 중 가장 안전한 방법은 수초가 자기 일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광합성, 성장, 뿌리 뻗음 등의 사유를 통해서 수초의 힘이 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이 된다면, 생이새우를 개체수를 조절해 가시면서 넣으시면 됩니다. 물잡이 기간을 줄이고 싶으시다면 소량의 물고기 먹이를 어항에 넣어두시면 박테리아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