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이 된 살인자? 미국 의료보험은 왜 이렇게 됐을까 | 의료보험, 오바마케어, 국제뉴스

  Рет қаралды 681,111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Күн бұрын

#의료보험 #오바마케어 #국제뉴스
영웅이 된 살인자? 미국 의료보험은 왜 이렇게 됐을까 | 의료보험, 오바마케어, 국제뉴스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 참고문헌 📑
Murphy, T., & Shastri, D. (2024, December 7). Many are venting insurance frustrations after UnitedHealthcare CEO’s shooting | AP News. AP News. apnews.com/art...
Searcey, D., & Kircher, M. M. (2024, December 6). After UnitedHealthCare CEO shooting, Americans express frustration with health insurance industry. The New York Times. www.nytimes.co...
Briteweb. (2024, November 21). The share of Americans without health insurance in 2023 remained low. Peterson Foundation. www.pgpf.org/a...
Valaitis, K. (n.d.). 1.1 Historical background. Pressbooks. pressbooks.uwf...
Scott, D. (2024, October 2). Why is US health care like this? Vox. www.vox.com/ex...
Rakshit, S., Rae, M., Claxton, G., Amin, K., & Cox, C. (2024, February 12). The burden of medical debt in the United States | KFF. KFF. www.kff.org/he...
Kliff, S., & Abelson, R. (2024, December 5). ‘Delay, deny, defend’: United has faced scrutiny over denying claims. The New York Times. www.nytimes.co...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gov) | A (Brief) History of Health Policy in the United States by Katherine Smith A (Brief) History of Health Policy in the United States - PMC
USA.gov | How to get insurance through the ACA Health Insurance Marketplace www.usa.gov/he...
CMS.gov | Types of health insurance www.cms.gov/me...
Dorning, C. (2024, December 10). There’s anger behind the internet’s reactions to the death of UnitedHealthcare CEO. NPR. www.npr.org/20...
한국경제-글로벌마켓, 2024/12/12 | 보험 CEO 피살에…도마 오른 美 의료시스템 by 김리안 기자 www.hankyung.c...
뉴시스, 2024/12/11 | 美의료보험업계 살인 사건은 보험료 관련 해묵은 분노의 표출 - WSJ by 차미례 기자 www.newsis.com...
연합인포맥스, 2024/12/09 | [뉴욕은 지금] 보험사 향한 미국인들의 분노 by 전정호 기자news.einfomax....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정보포털, 2024/04/29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Vol.508(2024.04.29) - 미국 의회조사국, ‘22년 미국 의료보험 가입 실태 발표www.medicalkor...

Пікірлер: 1 600
@jamesraynor942
@jamesraynor942 Ай бұрын
사람을 총으로 쏴죽이면 살인마 소리를 듣는데, 수술 직전의 사람에게 수술비 지급을 거절하면 기업가 소리를 듣는다. 이것이 미국의 현실이다
@lions0401
@lions0401 Ай бұрын
총 쏴서 죽이나 보험급 지금 미루고 거절해서 죽이나 살인이긴 매한가지다
@shenanigans-exhilarating
@shenanigans-exhilarating Ай бұрын
U a genius
@lily9025
@lily9025 Ай бұрын
한국 건강보험이 최고인 이유. 의료직 피 빨아 먹기 때문임. 그런데도 그 국민들은 감사할줄 모름. 그 정부와. 의료 보험 시스템은 유럽에서도 그 비용대비 효율이 나기 힘든 구조일수 밖에 없는데. 의료직들의 희생으로 유지 되는 거임 한국은.
@레몬오렌지-z6m
@레몬오렌지-z6m Ай бұрын
중국은...?
@tacon7586
@tacon7586 Ай бұрын
먼저 수술비를 신청하지요. 허락이 안 나면 수술 준비 자체를 안 합니다
@user-su4ys9my5b
@user-su4ys9my5b Ай бұрын
저도 작년에 유나이티드를 갖고 있었는데 의사가 처방을 내린 CT검사도 거부당하는 바람에 못 받았습니다. 올해는 다른 보험사로 바꿨지만 미국 의료보험/시스템은 정말 문제가 많습니다
@황근출-h6t
@황근출-h6t Ай бұрын
곧 가시겄네
@krauskim7662
@krauskim7662 Ай бұрын
오바마케어도 거부한게 미국인 스스로입니다. 그냥 그대로 사십시요.
@한국아제발잘살아보자
@한국아제발잘살아보자 Ай бұрын
@@krauskim7662트럼프가 거부했다오 그래도 뽑이준데…,
@xavidavid2639
@xavidavid2639 Ай бұрын
미국사는데 그정도는 가만하셔야죠 그게 시르면 한국 오셔야할듯
@EighthVigour
@EighthVigour Ай бұрын
유튜버들도 요즘 다들 ㄱ글에서 토카인 하단다고 하던데
@2023winter-d2l
@2023winter-d2l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많은 나라에서 치료 받은 경험을 종합해보면 한국이 최고 입니다. 이걸 무너뜨리는 놈은 어느 누구라도 용서하면 안됩니다.
@symphssymphs1286
@symphssymphs1286 Ай бұрын
이미 무너졌어요
@오늘의행복-l9k
@오늘의행복-l9k Ай бұрын
출산보다 노인이 많은데 유지가 될까요
@suwonlee5175
@suwonlee5175 Ай бұрын
최고는 맞는데, 과잉진료인면도 분명히 있음. 결국 나에게 돌아올수 있는 돈이 과잉진료로 나간다는 얘기임. 한국같은 선진국에서 최소 노령연금이 60만원밖에 안되니..
@UnhasJ
@UnhasJ Ай бұрын
근데 이대로 가면 무너짐. 부담을 늘리고 비용을 늘려야 됨. 근데 반대하잖아? 그럼 무너지는 걸 막을 수 없음
@김성중-k4l
@김성중-k4l Ай бұрын
건보재정 적자전환까지 단 3년 남았습니다 누가 안무너뜨려도 알아서 무너지게 생겼어요
@suelim4715
@suelim4715 Ай бұрын
정말 너무 정확하게 짚어주셨어요. 마지막 결론 까지 완벽!!! 미국사는 아줌마인데, 미국은 건강보험 후진국 입니다. 저도 CEO가 총맞아 죽었다는데 전혀 동정이 안가더라구요. 그 사람 일년 연봉으로만 10 밀리언(145억) 받았다고 하더라구요
@ellinacristin3082
@ellinacristin3082 Ай бұрын
한국 태극기부대들은 이성따로 심장따로. 무조건 친미 외치지만 이런시스템 부작용도 과연 반길까요 ㅋㅋ
@qocntslv
@qocntslv Ай бұрын
​@@ellinacristin3082 친미랑 국민 건강보험이 무슨 연관인지... 그 사람들이 외교관들도 아니지만 외교란게 해당 국가의 시스템을 그대로 배껴온다는건 아니잖아요 서로 이득의 파이를 나눠먹는 눈치게임이지 강대국들 사이에서 파이의 부스러기라도 주워먹어야 하는게 현실인걸
@빈티지름신
@빈티지름신 29 күн бұрын
​@@ellinacristin3082 모든것이 완벽한 나라가 어디있을까요ㅋㅋ 그런곳이 있다면 유토피아겠죠ㅋㅋ 동경받는 지도자가 어두운 면이 있겠지만 밝은면이 크니 동경하는 것이겠고요. 제가 20대라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밖에서 그런식으로 말씀하시면 정치병자 소리듣습니다
@leetootoo
@leetootoo 29 күн бұрын
​@@ellinacristin3082몰라서 마냥 지지할걸요.
@sopainfulgolf8684
@sopainfulgolf8684 19 күн бұрын
연봉145억이 머가 문제야. ㅋㅋ하여튼 바퀴벌레들 1프로에게 세금 99프로에 복지지?ㅋㅋ
@ermdjoo
@ermdjoo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의료보험제도가 좋다는 것은 다 인정되는 사실이고, 하지만 앞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각자가 더 부담을 해야 한다는 사실 또한 인정헤야 합니다
@jecheolsokim535
@jecheolsokim535 Ай бұрын
그 약간의 부담이 민영보험의 악랄함에 비교가능함?
@suelim4715
@suelim471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중산층이나 그 이하로 살아보시면 이런 말 못하실겁니다. 의사 얼굴만 봐도 삽십만원입니다.
@GK-os1ri
@GK-os1ri Ай бұрын
더 부담하는 건 상관없죠. 근데 정치적으로 이용해서 무지한 사람들 선동해 민영화 시키려는 못된 정치인들이 문제임.
@밀크초콜릿-k9y
@밀크초콜릿-k9y Ай бұрын
@@GK-os1ri 맞아요..민영화로 교묘하게 바꾸고 있지요 두 눈 부릅뜨고 지켜 봐야 해요..
@MOF232
@MOF232 Ай бұрын
생산성 안나오는 사람들을 저가로 연명하게 하는 작금의 구조가 얼마나 갈까
@User-idreamMI
@User-idreamMI Ай бұрын
미국으로 이민 왔을 때 가장 적응이 안 되었던 것이 의료시스템이었음. 엄청난 비용 대비, 느리고 복잡한 과정….. 정말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의료진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고 사셔야 합니다.
@checkychoi1391
@checkychoi1391 Ай бұрын
한편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의사협회와 보험협회가 추진하는 최종 목표가 미국식 의료 제도라는건 아시나요? (건강보험 당연가입 폐지로 민간보험 확대.)
@낙법고수
@낙법고수 Ай бұрын
그 최고인 건강 보험을 민간에 내주려던 윤건희 정권!!!
@roskfl-n6s
@roskfl-n6s Ай бұрын
@@hannam63 일본의 수도와 전기 민영화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데?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checkychoi1391근거는 있음? 뭘 보고 말하는거임?
@낭만메딕
@낭만메딕 Ай бұрын
@@checkychoi1391 의협이 지금 그럴려는 정부정책에 지난 1년 동안 개거품 물면서 반대해 오고 있는데. 제대로 알고 얘기해세요. 의사 악마화 하는건 님 자유라 쳐도 사실관계를 바꿔서 얘기하는건 곤랑하죠
@austinclassjasontv9115
@austinclassjasontv9115 Ай бұрын
저도 당했어요. 오바마 케어 가입했더니 아이 필수 예방 접종 4종류 맞았는데 소아과가 청구한 내역을 보니 거의 800불 그걸 보험사가 거부하니까 저에게 청구하더군요. 진짜 짜증나더군요. 루이지 멘지오니는 진짜 영웅입니다. 아픈 사람들을 보험사가 죽일 땐 조용한 언론이 부자놈에 유명 기업 CEO가 뒈지니 아주 그냥 범인 찾는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고 느꼈어요. 지강헌이 명언을 했다고...
@김맑음-y1d
@김맑음-y1d Ай бұрын
광고주임
@neo-sinla
@neo-sinla Ай бұрын
이건 또 뭔 괴소리야? 오바마 케어가 오히려 한국식 의료보험 방식인데. 어디서 미국인인척을 하고 있어
@sungahkang323
@sungahkang323 Ай бұрын
오바마케어 보험료 한달에 $850(제일 싼것)지불하고있음 ,태국여행중 친구집 개에게 물려 바로 병원으로 이동 치료와 파상풍 주사 (?) $30지불. 주사는 각각 시간을 두고 3번 맞아야하는데 미국으로 꼭와야해서 태국에서 두번맞고 미국에서 한번더 맞을려고 하니 보험되고도 $5000 지불. 35년 미국 살면서 가장중요한건 운동과 건강관리 철저, 음식은 조금만 이상해도 버려버린다. 아깝지만 병원가는것보다 났다. 이게 나의 규칙입니다
@Sean-yv4ek
@Sean-yv4ek Ай бұрын
​@@sungahkang323그거 민주당의 오바바 캐어 입법안을 공화당이 반대해서 절충안으로 그렇게 된거임 이제 공화당이 상하원 싹쓸이에 대통령까지 당선 됐으니 아재 소원대로 본격적인 헬파티 열릴거임
@버디찬스-f1g
@버디찬스-f1g Ай бұрын
저희 부부 둘이서 의료보험료 한달에 2천불. 일년에 24,000불 냅니다 이것도 저희부부에게는 제일 저렴한 보험입니다 얼마전 산책하다 넘어져서 팔이 부러져 수술을 하게되었는데 2주가 되어서야 겨우 수술하게 되었죠. 수술전까지 팔 부러진채로 지내야 했습니다 수술전후 병원 .의사방문 및 재활치료시 에도 코페이 라는 항목으로 매번 한번에 백불씩 내야합니다 반면에 4식구 임에도 한달에 고작 백불미만을 내는 저소득층이 받을수있는 메디케이드 보험 을 사용하는 사람은 똑같은경우에 수술비는 커녕 병원방문시에도 단돈 한푼 안냅니다. 결국, 세금 안내고 탱자탱자 노는 대단한 저소득층들 에게만 주어지는 오바마케어 및 모든 혜택들은 없어져야 합니다. 어떤 혜택이든 18살이상 성인은 납부한 세금 기록에 근거하에 혜택을 주는것이 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절을때 이민와서 한국에 세금 한푼 안내고 살다가 아프면 교포랍시고 이중국적 들이밀면서 한국에 가서 온갖 의료혜택 받고오는 쓰레기같은것들. 정말 살기를 느낄정도로 증오합니다 제발 대한민국도 정신차리고 이런 쓰레기교포 들 뒷처리에 국민들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강력한 법적조치 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Hwajio
@Hwajio Ай бұрын
다른 건 한국이 외국으로 부터 배워야 할 건 많아도, 그래도 공공 의료보험, 치안과 안전, 민원행정 서비스와 처리속도 그리고 저렴한 공공요금 (전기료, 대중교통 요금 등)은 대한민국이 선진국 최고 수준인 것 같습니다.
@johnthan9944
@johnthan9944 Ай бұрын
전기료는 한국은 좀 오를겁니다 그것만 제외해도 치안 안전 공공 의료보험 민원 행정서비스 처리속도 다 한국은 좋은편입니다
@킹펭구인
@킹펭구인 Ай бұрын
그게 노인이 적고 노동가능인구가 많았을때 가능한 정책이였는데 이제 10년만 지나도 못할겁니다. 아니면 계속 후손들에게 빚지거나
@guess4243
@guess4243 Ай бұрын
그 대단하다는 의료보험 고갈 직전임
@Hwajio
@Hwajio Ай бұрын
@@johnthan9944 앞으론 오를 것 같지만, 미국은 전기회사가 민간기업이라 기본적으로 비싸지만 우리나라는 국가 공기업이라 그 정도는 아니죠.
@user-dl8ox4lt3k
@user-dl8ox4lt3k Ай бұрын
의료보험은 이제 끝이죠. 실손보험 강제 해약시키는거 확정 남. 의대 증원할 떄부터 알아봣다
@JessicaJang77
@JessicaJang77 Ай бұрын
좋아요👍 의료보험 만큼은 대한민국이 최고다👍 한국에서 스무살에 미국으로 이민 왔지만.. 그래서 한국사정은 정확히는 모르지만 ㅎㅎㅎ 그래도~~ 100% 동의해요😊 오죽하면 미국에서 한국으로 의료관광(?)을 많이들 가실까싶어요😢
@김경아-t9e
@김경아-t9e Ай бұрын
박사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잘듣겠습니다
@cnlaldhkd
@cnlaldhkd Ай бұрын
네 캐나다와 영국에서 살아봤고 현재 미국 살고 있는데 의료시스템은 한국이 최곱니다
@SOKWOBAG
@SOKWOBAG Ай бұрын
CEO 사고일어나고 저 회사 바로 지급명령내렸다는 소리듣고는 역시 말보단 주먹인가 ? 하는게 떠오르더라..죽창앞에는 모두가 평등하지...
@garam_e309
@garam_e309 3 күн бұрын
말보다 주먹 ㅇㅈ
@mmmm-y8s5y
@mmmm-y8s5y Ай бұрын
의료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스을쩍 우리나라도 이렇게 가게 하려는 거, 눈 부릅뜨고 막아야 함
@cwlee6831
@cwlee6831 Ай бұрын
이미망했어요
@neonneon5863
@neonneon5863 Ай бұрын
왜곡 아닙니까? 우파 정권만 들어서면 이런 유언비어가 난무 하는데 이거 선동이예요. 구체적 증거도 없이 이런 얘기를 왜 하죠? 건보를 만든 사람이 박정희 대통령이예요. 모르세요? 정치인들은 인기를 먹고 삽니다. 우파 정치인들이 자기 앞 길 망칠 자해에 가까운 일을 왜 하겠습니까?
@윤상현-m4i
@윤상현-m4i Ай бұрын
이미 망함 저출산에 필수의료과 인력 박살남 누가 외과가고 소아과 지원함?
@augustinyang9708
@augustinyang9708 Ай бұрын
한국 건강보험이 최고인 것은 의료인들의 적지 않은 희생도 (미국과 대비) 인정합니다.
@천라이언
@천라이언 Ай бұрын
희생을 하지 말라고 증원 하자는데 왜 반대하냐고
@천라이언
@천라이언 Ай бұрын
희생을 하지 말라고 증원 하자는데 왜 반대 하냐고
@써니-o9i
@써니-o9i Ай бұрын
​@@천라이언이제 희생 안 하겠죠. 돈 많이 내시면 됩니다.
@소담k1t
@소담k1t Ай бұрын
희생도 있지만 과잉진료도 많음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Ай бұрын
@@써니-o9i 희생이라는 말이 참 이중적이죠. 누군가는 '일을 많이 하는 것'을 희생이라 생각하고, 누군가는 '돈을 적게 버는 것'이 희생이라 생각하죠. 증원하면 일은 적게 하겠지만 돈은 적게 벌 것이니 희생을 하면서도 희생하지 않는다는 괴상한 의미가 나오는 거죠. 이익집단에 따른 생각의 차이랄까요
@joonkim8686
@joonkim8686 Ай бұрын
미국사는데,,직장구할때 보험유무가 급여수준처럼 기준이 됩니다 그정도로 의료보험이 있고 없고가 아주 중요합니다. 일례로 보험없이 대장내시경하면 천만원 나오고 엠블런스 불러도 보험없으면 7백만원 나옵니다. 맹장수술도 보험없으면 2-3천만원 나오고..아무튼 의료보험에 있어선 최악의 나라입니다. 미국에서 은퇴한 재미교포들이 모아둔 돈과 연금을 한국에서 쓰면서 살고 치료받고 하는게 의료때문이란 조사가 가장 높을정도입니다. 한국에서 보험료로 월에 몇십만원 내는게 미국에 비하면 너무 싸기 떄문이죠..한국 의료시스템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제발 누구에 의해 엉망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
@bsl9415
@bsl9415 Ай бұрын
엉망 만드는 자들은 의사 집단임.
@Lighthouse-k8y
@Lighthouse-k8y Ай бұрын
@@bsl9415ㅋㅋㅋ아직도 이런 사람이 있네 엉망 만드려는 정부에 들고 일어난 집단이 누군데ㅋㅋ
@blueneonCS
@blueneonCS Ай бұрын
​@@bsl9415 대한민국이 엉망이다
@singbetter1
@singbetter1 29 күн бұрын
빙고❤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진짜 정확하게 말씀해주셨어요. 마지막 결론까지 완벽!!! 미국살이 아줌마인데, 말이죠, 미국 건강보험은 정말 후진국이에요. CEO가 총 맞아 죽었다던데 전혀 동정 안 가더라고요. 그 사람 연봉으로만 10밀리언, 우리 돈으로 145억이나 받았다니까요.
@koreauncensored6022
@koreauncensored6022 Ай бұрын
미국은 의료보험 문제 이전에 의료비 문제가 더 크다. 애초에 진단비와 치료비가 어마무지하게 높아서 그걸 커버하는 보험료도 따라서 오를 수밖에서 없다. 미국의 의료비가 높은 이유는 첫째 의료진의 인건비가 높다. 지금 의대 증원에 반발해서 종합병원에 전공의들 파업하니까 그 큰 병원들이 휘청거리는데 그게 우리나라는 전공의들 갈아넣어서 진료비를 낮춰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은 그렇지가 않다. 뭐 미국도 인턴, 레지던트 때 힘들기는 해도 우리나라 같지는 않다. 또한 간호사 1인당 환자 수가 우리나라의 절반에서 1/3밖에 안된다. 그런데도 미국 간호사가 돈은 두 배로 번다. 즉 우리나라 간호사들이 1/4~1/6 가격으로 갈려나가고 있다는 거다. 다음으로는 소송비용이다. 우리나라도 툭하면 의료소송 걸기 시작했는데 미국은 앰뷸런스 체이서가 있을 정도로 소송이 비일비재하다. 그래서 의료 소송 안 당하려면 온갖 검사를 다 해봐야 한다. 거기에 소송당할 때를 대비한 비용까지 미리 녹여넣어서 진료비를 책정한다. 그렇다면 강제로 공공의료를 강화하면 되는 게 아니냐고? 영국이나 캐나다에서는 팔이 부러져도 치료받는데 두세 달을 기다려야한다.
@한가한오후-p9r
@한가한오후-p9r Ай бұрын
빙고
@낭만메딕
@낭만메딕 Ай бұрын
개념글!
@sjdob-y5d
@sjdob-y5d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소송부담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죠. 정부에서 정해놓은 가격으로 그동안은 적은 소송부담으로 박리 다매했다면, 앞으로 낮은 수가로 높은 소송부담으로 박리 소매해야하는 구조이니 젊은 의사 의대생들이 난리칠만 하죠.
@singbetter1
@singbetter1 29 күн бұрын
추천해서 상단으로 올립시다
@goodcompanyman
@goodcompanyman Ай бұрын
그냥 의료시스템이 말이 안됨. 100불 짜리 목발이 있다고 하면 병원들은 환자한테 100불에 안팔고 보험회사에 1000불로 청구함. 그러고선 보험회사는 이것저것 다해서 "원래 1000불이엇으나 본인 부담금 400불만 내시면 되요~" 이렇게 돌아감
@misteik
@misteik Ай бұрын
원외 구입 안되나요?
@angel-fj4sy
@angel-fj4sy Ай бұрын
사기치지마세요.비싸요~안사요~;;;
@ookss6241
@ookss6241 Ай бұрын
한국시스템은 말이되고? 치료하는데 100원 드는데 병원에 70원밖에 안주는건 모르세요?
@misteik
@misteik Ай бұрын
@ookss6241 적자인데 의사 수입이 빵빵하단 주장인가요?
@겸겸-q1c
@겸겸-q1c Ай бұрын
미국매운맛좀 봐야겠네
@acechoi5850
@acechoi5850 Ай бұрын
선생님, 건강하게 다시 돌아오셔서 감사합니다.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미국 의료진도 보험사들 때문에 악몽 꾸는 건 마찬가지야. 환자에게 제일 좋은 약 고르는 게 아니라 보험 적용되는 약 찾아내느라 고생이야. Prior Authorization 때문에 보험사와 통화하려고 해도 시간만 엄청 버리고. 미국 의료비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아서 사람들 파산까지 이르고 있어. 대부분 보험은 직장과 연결되어 있어서 직장 때문에 번아웃이나 우울증 와도,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이 허다해. 그렇게 되면 병만 더 키우게 되지. 아이러니하게도 병의 근원이 되는 직장 스트레스인데, 그 직장을 그만둘 수 없는 거야. 왜냐하면 자기와 가족의 의료보험이 거기에 묶여 있으니까. 결론은 우리나라 보험이 진짜 최고라는 거야!
@조영미-s8i
@조영미-s8i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다만 존댓말로 해주세염 ❤
@미뇽한다
@미뇽한다 Ай бұрын
미국의사 되려고하는데.. 참...
@greenbean0940
@greenbean0940 Ай бұрын
미국 생각할때마다 참 이런거 밟히면 정말 무서워요. 모든게 자리 잡혀 있다가도 하나라도 삐걱거리는 순간 모든게 위험해지죠.
@Noname-ju9vm
@Noname-ju9vm Ай бұрын
그래도 미국 의사가 치료결과가 나빠서 형사처벌됬다는 소식은 들어본적이 없네요.
@jinwkim4589
@jinwkim458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보험도 좋은 약 못쓰고 보험되는 약 쓰느라 의사들이 골치 아픈 것은 마찬가지라네.. 그래도 그나마 비용적으로 환자들을 위해 설계되긴 했지..
@영신김-f2h
@영신김-f2h Ай бұрын
한국 건강보험 최고긴 한데, 외국인 혜택은 좀 더 촘촘하게 개정 해야 할 듯. 악용하는 경우가 너무 많아요.
@Bgg-o8g
@Bgg-o8g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lions0401
@lions0401 Ай бұрын
건강보험료 정상적으로 내는 외국인들은 보장해줘야지 당연히 건강보험 받아야됨 근데 제대로 안내믄서 혜택만 야금야금 받아먹는 외국인들 많다고 들었다
@Bgg-o8g
@Bgg-o8g Ай бұрын
@ 제말이요!! 제대로 돈안내고 타먹는 사람이 생각보다 엄청나더라구요!!
@chaostar88
@chaostar88 Ай бұрын
건강 보험 원래 본인 확인 철저히 했어야 되는 시스템인데..... 주민등록번호 대충 둘러대면 통과 시켜서 이지경 된 거..... 그러니 외국인 뿐만 아니라, 해외 교포 마저 국내 들어와서 지인 사칭하고 치료 받고 나가니 적자가 쌓이지.....
@Breakfastststst
@Breakfastststst Ай бұрын
잘해줘도 한국 욕하는게 현실임 외국페미들이
@seank3597
@seank3597 Ай бұрын
미 의료진 입장에서도 보험사는 악몽입니다. 실제로 환자에게 어떤 약이 최고일지를 생각하기보다, 어떤 약이 보험 적용할까를 생각하게 되고요. Prior Authorization 때문에 보험 회사에 직접 연락을 해도 뺑뺑이 돌리며 수십분을 허비시키는일이 어무 많아요. 미 의료비는 정말 천문학적이며, 그로 인해 파산하는 경우도 너무 많고요. 많은 보험이 직장과 연결이 되어 있다보니 본인과 가족모두 의료보험 때문이라도 번아웃과 우울증이 와도 퇴사 이직을 못하는 경우도 허다하고, 그로 인해 병을 더 키워 오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이러니하죠? 병의 근원이 극심한 직장 스트레스인데, 그 직장이 자신과 자신 가족에게 제공하는 의료보험 때문에 그 직장을 그만둘수 없고, 그 병이 더 커진 다는게. 박사님 말대로 결론은... 울 나라 보험 최고!!!!
@yune5597
@yune5597 Ай бұрын
💥한국도 의료민영화됨 이꼴 난다, 국힘당이 밀고 있는 의료민영화
@fromcomplex5299
@fromcomplex5299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와서 겪었는데요 엄청 작은 부위인데 보험을 받으려면 보험회사에서 지정한 주치의를 만나야한대요 바로 전문의 만나면 보험이 안된데여 근데 주치의에 전화하니 초진은 예약이 다차서 6개월뒤에 볼수 있데요 😅😅황당 ㅎㅎㅎㅎㅎ 그래서 가벼운치료 해준다는 얼전케어라는곳에 가긴했는데 나중에 좀더 큰병으로 주치의를 만나야하면 티켓팅하듯이 계속 전화해서 캔슬자리 노리라더군요 누가 안아플때 계속 전화하냐며…2년살 예정인데 벌써 한국병원 그리워요
@seank3597
@seank3597 Ай бұрын
어느 주를 가도 같은거 같아요 ㅠㅠ 계시는 동안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paulyun3052
@paulyun3052 Ай бұрын
그건 어떤 방식의 보험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다름... 미국은 HMO 방식과 PPO 방식, 이렇게 두종류 보험이 있는데 HMO 가 주치의를 먼저 만나고 그담 주치의가 검진후 환자 상태에 맞는 전문의한테 인계 하는 방식이고 PPO 는 본인이 직접 바로 전문의 찾아 가면 되는 방식임.... 그리고 주치의는 정확히는 보험사가 지정한 주치의를 가는게 아니고 본인이 가입한 보험을 받는 의사들 리스트가 있고 그중에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 반경에 있는 의사들중 거기서 본인이 원하는 의사를 주치의로 고르는 거임...
@hopel.8868
@hopel.8868 Ай бұрын
본인 주치의사가 이용 가능 안하면 그 밑에 일하는 다른 의사를 약속 받을수 있고 의뢰서 받아서 전문의를 볼수 있습니다. 6개월 기다리지 마시고 알아 보셨으면 좋았을걸요.
@costarica6379
@costarica6379 Ай бұрын
미국은 한국과 같이 국가가 건강보험을 운영하지 않기에 개인이 경험한 것은 그야말로 장님이 코끼리 더듬기일 뿐입니다. 님이 겪은 경험은 민영보험 중에서도 질이 낮은 HMO이기 때문에 그런 황당한 경험을 하신 겁니다. 정상적인 보험은 PPO라 해서 주치의를 통하지 않고도 전문의를 자기가 골라서 찾아갈 수 있습니다. Urgent Care는 님과같은 상황에 처한 환자들을 상대로 법망, 의료보험제도를 최대로 악용하여 태어난 의료영업 형태입니다. 보험료가 높아도 양질의 보험을 추천합니다.
@원석호-n5c
@원석호-n5c Ай бұрын
한국은 당일 처리
@백승엽-g6p
@백승엽-g6p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최고지만 정치권에선 민영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는게 우려가됩니다. 만약 한국이 미국처럼 된다면 뭘 어떻게 준비를 해야하나요?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미국식 의료보험에서 살아남는법이요? 오바마케어 포함하면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거나 의료비 신경 안쓸 정도로 수백억대 자산가가 되면 됩니다. 아, 깜빡했는데 안 아프면 상관없겠죠
@sw9634
@sw9634 Ай бұрын
100% 공감합니다 한국이 최고다 사견 살짝 덧붙이자면 '아직은' 한국이 최고다 '조만간'
@동의보감구수략
@동의보감구수략 Ай бұрын
진짜 미국 의료 보험 악명은.....
@TLTLVNTM
@TLTLVNTM Ай бұрын
우리 국민건강보험...문제도 있지만...그나마 다행이다. 매월 꽤 부담스런 보험료는 내지만....
@북한인민
@북한인민 Ай бұрын
실비까지들면 죽을래야 죽을수가없다능.....
@낙법고수
@낙법고수 Ай бұрын
그 최고인 건강 보험을 민간에 내주려던 윤건희 정권!!!
@별빛나그네-c3u
@별빛나그네-c3u Ай бұрын
한국 좌파들은 미국 진짜 돈없는 사람은 병원비 공짜라는걸 말안할까 ㅋ
@La-VieEn-Rose
@La-VieEn-Rose Ай бұрын
보험료 받을려면 변호사 고용해야 합니다
@ChGb-qr5zx
@ChGb-qr5zx Ай бұрын
올리버쌤 채널에도 미국 의료보험 문제를 다룬 영상이 있는데 감기 걸려서 병원가면 우리는 기껏해야 1~2만원이지만 미국에서는 16만원 정도 들 수 있다고 하죠. (보험 없이) 그 외에도 (비보험 기준, 한화로) 흉부 X레이 찍는데 우리는 2만원인데 미국에서는 40만원 들어가고 MRI는 한국 50만원, 미국 400만원 등등.. 아주 흉악한(!) 의료비를 자랑합니다.
@홍차왕자-f7k
@홍차왕자-f7k Ай бұрын
보험의 문제가 아니라 의료비 자체가 미국이 비싼 겁니다. 하지만 욕은 보험사가 먹죠... 그 이유를 아십니까?
@바나나우유-z3j
@바나나우유-z3j Ай бұрын
​@@홍차왕자-f7k이유가 무엇인가요?
@정86
@정86 Ай бұрын
한국이 저렴한거지 미국이 흉악한건 아니죠. 베트남 위내시경이 60만원인데 한국은 6만원임
@tinyfire153
@tinyfire153 Ай бұрын
@@홍차왕자-f7k 대형병원과 대형보험사들의 붙어먹기지. 일단 비싸게 청구하고, 청구할인 혹은 리베이트 그게 세금이 싸기 때문이고. 보험사들과 병원들만 이익을 보는 구조
@빅초이-t8h
@빅초이-t8h Ай бұрын
다 세금으로 메꾸는거지. 뭐가 쌈ㅋㅋ 곧 청구서 날라간다. 딱 대라 ㅋㅋ
@soonyong221
@soonyong221 Ай бұрын
한국이 최고인건 맞죠 근데 어떻게 최고가될수있는지 봐야합니다. 터무니없이 적은 의료수가로 의사들 갈아가면서 우리최고 우리최고하면 안무너질까요?? 당장 내년에 산부인과 지원하는 의사가 1명밖에없는데? 싼값에 24/7 의료서비스 받을수있는 배경에는 갈려나가는 사람들이 있다는걸 알아야합니다
@GK-os1ri
@GK-os1ri Ай бұрын
그만큼 돈을 많이 벌잖아요. 우리나라 인재들이 다 의대 가는 이유가 뭘까요? 갈려나가는 만큼 엄청 벌죠
@정동호-t1z
@정동호-t1z Ай бұрын
의사라는 직업을 아무도 안하려고 한다면 님 말이 맞겠죠
@체리코코-s5e
@체리코코-s5e Ай бұрын
​@@GK-os1ri ㅎㅎ많이 번다의 기준은 뭘까요? 대학교수가 월 700받는게 많이 받는거라고 생각하실지? 덧붙여 국가에서 실손도 손 볼 예정이라 의사의 벌이나 국민이나 모두 피해보게 될 겁니다
@misteik
@misteik Ай бұрын
외과같은 필수의료에서 심각성은 인정. 전체적으로 빡쎈것 같음. 그렇다고 최고소득 직업인걸 덮고 넘어갈수 있냐?
@WAN-b9x-c3s
@WAN-b9x-c3s Ай бұрын
갈려나가는 만큼 엄청 번다의 증거가 의대선호라고 보는건 명확한 오류임이 이번에 드러났죠. 보복부에서 때려잡으려고 난리치는데 지원율 높잖아요. 거긴 후반영되는 시장입니다. 업무대비 페이는 세계적으로 하위권이 맞아요. 진료량을 찾아보세요.
@eunjinyang7194
@eunjinyang7194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이 와닿네요. 미국도 캐나다도 아닌 한국이 최고다. 현재 캐나다에 살고있는데 무료의료의 장단점을 여실히 깨닫고있습니다.
@changhyeonsong5124
@changhyeonsong5124 Ай бұрын
보험료, 보험금 용어를 섞어서 쓰셨는데요. 소비자가 내는 돈이 보험료 보험사가 지급하는 돈이 보험금 입니다.
@baezzangee27493
@baezzangee27493 Ай бұрын
박사님한테 훈수질 뒤지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방구석 키보드워리어 주제에
@changhyeonsong5124
@changhyeonsong5124 Ай бұрын
@baezzangee27493 저분은 국제 정치학 박사지. 보험 박사는 아님. 그리고 내가 박사인지 석사인지 니가 니가 아냐?
@sangwookhong4630
@sangwookhong4630 Ай бұрын
@@baezzangee27493 박사님은 뭐 전지전능이냐?
@hawoo3651
@hawoo3651 Ай бұрын
혼용해서 쓴 부분이 있긴함 이정도는 지적할 수 있는 부분 아닌가;;
@CH-fy2yb
@CH-fy2yb Ай бұрын
적절한 지적이라고 생각되는데 왜 박사에게 훈수질을 하냐고 애기하시나요. ㅡㅡ
@박성현-o9s
@박성현-o9s Ай бұрын
참... 과거의 우리나라 의료보험은 최고였었죠... 최근 의료정책 발표 전까지는 말이죠... (설익은 의료 정책으로 시스템을 더 개판으로 만들고, 실손에서 생긴 손해를 메꾸겠다고 1, 2세대 혜택을 대폭 줄이겠다고 한 것 등.... 피 볼일이 많네요)
@Akaris001
@Akaris001 Ай бұрын
절대로 의료 개혁이라고 주장하는 엄청난 뻘짓을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한국의 의료제도는 개혁이 필요하긴 합니다. 의료제도란 연금제도 처럼 지속성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필수과를 살린다면서 필수과를 날려버리는 미친짓을 할줄은 몰랐지만, 수가 문제등 여러가지 문제가 시한폭탄처럼 계속 존재하기는 합니다.
@jjjppjss
@jjjppjss Ай бұрын
그런 중요한 문제들은 무시한채 의대증원에만 몰두하고있는 현실이 암담합니다..
@haskar-by5pl
@haskar-by5pl Ай бұрын
@@jjjppjss 증원도 하고 개혁도 해야하는게 맞는데 증원을 무조건 반대하니 더이상 문제가 진척이 없음.
@kyungmin197
@kyungmin197 Ай бұрын
@@haskar-by5pl내눈엔 정부도 의사들도 다 똑같아보임ㅠ
@haskar-by5pl
@haskar-by5pl Ай бұрын
@@kyungmin197 잘했든 못했든 방향성에 대해서 얘기하는거. 향후 수십년 고령인구가 급증할거고 그에 따라 의료수요도 폭증할건데 타 OECD국가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은 2.06명으로 어떻게 그 수요를 감당을 하겠음. 사실 2천명도 적지.
@tmjdoc50
@tmjdoc50 Ай бұрын
한국의 의료보험 체계는 한때 최고였었다. 끝.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Ай бұрын
지금도 최곤데요 ㅋㅋ 미래에는 어떨지 몰라도. 실컷 즐겨야죠
@goldmedalpapa
@goldmedalpapa Ай бұрын
정치권은 폭탄돌리기라서 손대기 싫어하고, 미국처럼 초고소득층이 되고싶은 의사들과 병원들의 욕망과 건보부담이 조금이라도 늘어나는것에 대해 막연히 부추기는 언론과 거기에 휘둘리는 젊은세대들의 이기심을 잘 조율만하면 세계최고를 유지하지는 못해도 수준급의 건보는 충분히 유지가능합니다.
@user-rl9xi5yw6h
@user-rl9xi5yw6h 29 күн бұрын
​@@goldmedalpapa현직 의사들말로는 공공의료보험료 3만원만 더 내도 손실이 없다고 해요.실비내듯 내는 게 훨씬 국민들에게 유리하고. 대다수는 민영화 찬성하지 않을텐데요.
@sopainfulgolf8684
@sopainfulgolf8684 19 күн бұрын
​@@goldmedalpapaㅋㅋ 부러우면 의사하지 그랫어. 하여튼 모지리들의 열등감으로 국민들이 자살을선택햇지
@goodstyle12
@goodstyle12 12 күн бұрын
​@@Poloxamine-tg8dh 저능아임? 미래에 노인이 돼서 즐겨야 이득아님? ㅋㅋ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프..사....혼자있을때만눌..러ㅋ) 올리버쌤 채널에서 미국 의료보험 문제를 얘기했는데, 우리나라에서 감기 걸려 병원 가면 겨우 1~2만원인데, 미국은 보험이 없으면 16만원이나 나올 수 있어요. 그리고 흉부 X레이는 우리나라에선 2만원인데, 미국은 40만원 들어가고, MRI 비교하면 한국은 50만원인데 미국은 무려 400만원이나 든다니까요. 미국의 의료비가 정말 흉악하죠!
@Blackbean82
@Blackbean82 25 күн бұрын
아니 근데도 미국 사는 게 신기해요. 뭐가 좋은 게 있으니까 이민간 거 아닌가요? 아님 자녀때문에 미국에 사셔야 되는 건가? 저는 애때문에 한국으로 못 돌아가는데 그게 아쉬워요.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남자만드루와 내꺼ㅋ) 미국에 와서 가장 적응 안 되던 게 의료 시스템이었어. 비용 많이 들고 처리는 느리고 복잡해서… 정말 한국 의료진들이 고맙더라.
@extrazero8
@extrazero8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미국 액션영화에서 주인공이 다쳤을때 병원에 안가고 자기 스스로 지혈하고 상처 꿰매는 모습이 무식해보이고 멋있게 보였는데 알고보니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주말농장가거나 의료비때문에 노숙자가 되는 미국의 현실을 대변 한거라는걸 알았죠....
@johnthan9944
@johnthan9944 Ай бұрын
그만큼 미국이 의료보험과 의사만나는게 어렵고 빨리 안되고 반대로는 미국은 스스로 지혈이나 감기약 처럼 처방없이 하는게 약과 연고들이 많습니다
@yune5597
@yune5597 Ай бұрын
💥한국도 의료민영화됨 이꼴 난다, 국힘당이 밀고 있는 의료민영화
@extrazero8
@extrazero8 Ай бұрын
@@johnthan9944 그래서 미국에 마약이 퍼진 이유도 그런거 같아요 진료받기도 빡세니 영화처럼 노란병에든 진통제 입에털어넣어서 견디다보니 마약에 빠지는 수밖에
@extrazero8
@extrazero8 Ай бұрын
@@yune5597 아... 예, 이재명 구속, 윤석렬 구속 ㅇㅋ?
@JHHA-hi4ou
@JHHA-hi4ou Ай бұрын
박사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미국의료시스템은 나름의 합리성과 고질적인 문제점을 지닌 채로 지속되긴 할 겁니다. 미국은 여전히 성장하는 나라이며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나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료시스템은 붕괴 확정입니다. 절망적인 인구구조 변화때문이죠. 그동안 생산가능인구 3~4명이 1명의 노인 의료비를 부담하는 구조였다면 앞으로는 생산가능인구 1~2명이 4~5명 노인 의료비를 부담해야 합니다. 이런 인구구조는 공공보험이 유지 될 수가 없습니다. 직장인 소득 절반을 보험료로 부담해도 유지가 쉽지 않을 정도라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우리 공동체가 저출산 고령화 대비해야 한다고 떠든 지도 벌써 20년은 된 듯 합니다. 사회시스템 교정을 점차적으로 하면서 대처를 해도 극심한 갈등이 벌어질 일들이 허다 한데 아무런 대비없이 시간만 보내고 있는 이 나라가 어쩔 때는 무섭기까지 합니다.
@한가한오후-p9r
@한가한오후-p9r Ай бұрын
단계별 붕괴는 미래이자 현실입니다.
@asturiasion
@asturiasion Ай бұрын
한국은 응급하지 않은 증상이 있을 때 의료 접근성이 좋은 나라입니다. 가격도 굉장히 저렴하고요. 지금까지는요. 여러분들 못느끼시죠? 심지어 수도권 사시는 분들도 여러분 지금 당장 심장이 멈추거나 뇌출혈이 생기면 수술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죠? 몇년전에 아산병원에서 근무하던 간호사가 뇌출혈 터졌는데 수술의사가 없어서 서울대까지 전원가다가 돌아가신 케이스 기억하시나요? 소위 빅5병원에 필수의료과 막내 교수님들이 대부분 50대 후반입니다. 한국의료는 이미 붕괴 시작했어요. 미국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한 마디로 획일화 해서 말을 못 합니다. 물론 왜곡되고 문제가 많은건 맞으나, 어떤 직업을 가지고 있냐에 따라서 너무 다르거든요. 전 개인적으로 의료비 한국에 있을때랑 지출 비슷합니다. 얼마전에 와이프 맹장수술했을때도 900불인가 냈고요. 그 정도야 뭐 제가 충분히 감당 가능한 소득입니다. 제 친구가 한국 지방에 있는 내과의사인데, 뉴스에만 안 나오지 지방에서는 이미 맹장 수술 의사가 없어서 119응급차로 떠돌다가 돌아가시는 분들이 있다더군요. 달에 300-400버는 분들이 건보료+국민연금으로만 달에 150-160씩 나가면 생활이 될까요?
@hfhxhxhslfkshe
@hfhxhxhslfkshe Ай бұрын
100% 동감. 이게 진짜 현실적으로 맞는 댓글입니다. 한국은 감기 걸렸을때 등 경증 의료 접근성이 좋은 것 뿐이고 정말 생명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에서는 의료 접근성도 나쁘고 비용도 엄청나게 들죠. 미국 보험은 어쨌든 Out of Pocket Maximum 이라도 존재하는데 한국은 그조차 없어서 중증 질환에 걸리면 파산 확률이 더 높은건 한국입니다. 김지윤 박사님도 마지막 멘트에 말씀하셨고, 많은 댓글들이 '한국 건강보험이 최고' 라고 하지만, 이게 문제가 있습니다. 일방적으로 의사들과 소수 환자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지속 가능하지 않은 시스템이란 점입니다. 정작 위험할때 의사가 없다. 긴급 상황이나 (이국종 교수 등) 중증에 의사가 없다 라는 문제입니다. 이게 사실 한국 건강보험 시스템 탓입니다. 현재 한국의 건강보험은 일방적으로 소비자 (일반 국민) 중 다수 - 즉 일상에서 감기 걸려서 병원 이용하는 - 사람들만을 위해 만든 시스템이고, 소비자들 중 소수 (중증 환자, 긴급환자, 희귀병 환자) 들 및 공급자 (의사) 의 희생을 강요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의사들도 건강보험을 피해갈 수 있는 곳으로 몰립니다. (성형외과 피부과, 일부 안과, 또는 특별 진료 등) 그럴 수 밖에 없어요. 국민들은 의료보험료 1만원만 올라도 난리를 치면서, 의사들이 사람, 전문가 대접받는 분야로 옮기면 의사를 욕합니다. 이국종 교수 같은 분들의 희생은 찬미하면서, 그쪽으로 의사들이 많이 가게끔 그만한 대우를 해주고 건보료를 올리자고 하면 다들 돌아설걸요. 한국의 의료 문제는 건보에서 나온 것입니다. 한국 건보가 최고라는 분들은 아직 본인이나 가족 분들 중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중한 일을 겪지 않으셨거나 운이 아주 좋으셨던 경우죠. 사실 얼마 전 김지윤 박사님께서도 정말 위험한 일을 겪으셨지만, 정말 다행히 김지윤 박사님께서는 병원을 잘 찾으시고 치료 받으셨는데... 그게 안되는 경우가 한국엔 너무나 많습니다.
@김우진-u5b
@김우진-u5b Ай бұрын
@asturiasion 근데 의사 입장에서 생각해보시면 막내가 50대 될때까지 병원에서 교수 채용을 안하니 그쪽 분야 의사지원율이 떨어졌죠. 내가 이 과 전문의를 따도 저리가 없으니까요. 병원에서 교수 채용을 하지 않는 이유는 적자가 나기 때문에, 상급종합병원 타이틀을 유지해서 지원금 받기위한 목적으로 최소한의 인력만 뽑기 때문입니다. 다들 의사=병원 으로 생각하시는데, 병원장은 의사겠지만 재단이사장은 대부분 비의료인 경영진들입니다. 아산병원 재단장이 누군지 찾아보셔요. 가격을 국가에서 강제로 통제하는데 원가보전조차 되지 않는다면, 그 가격에 공급할 사람은 줄어들 수밖에요... 장기간 누적된 저수가가 오히려 필수의료에 악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asturiasion
@asturiasion Ай бұрын
@@hfhxhxhslfkshe 저도 100% 공감합니다. 일부 의사들을 갈아 넣으며 만든게 한국 건강보험 체계입니다. 정치인들은 표 떨어질까봐 건보료 인상은 입도 뻥끗 하지 않고 있죠. 지금 일반 직장인이 내는 15만원 정도 건보료? 택도 없습니다. 아주 보수적으로 잡아도 월소득 300만원인 사람이 50-60만원은 내야 앞으로 유지가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asturiasion
@asturiasion Ай бұрын
@@김우진-u5b 맞습니다. 제 친구들도 의사지인이 많아서 100% 공감합니다. 내가 개고생해서 의사됬는데 히포크라테스 선서고 나발이고 돈 벌어야지요. 근데 필수의료가면 고생만 존나게 하고 돈은 못벌고 미쳤다고 그걸 하겠나요. 저 같아도 당연히 당직없는 과로 가지요. 제 친구들도 전부 당직없는 영상의학과나 피부과로 선택했습니다.
@상선약수-u3y
@상선약수-u3y Ай бұрын
의사가 부족한 것 아니다. 서울 강남 홍대 신촌 등 젊은거리에 성형의사들이 넘쳐난다. 돈이되는 비의료보험의 성형과 피부과로 의사가 몰리기때문. 어떤이유로든 의료민영화 는 안된다. 돠거 돈없어 병원못가고 죽은 사람들 많앗ㅅ다.
@Sunghwank81
@Sunghwank81 Ай бұрын
한국애 계시는 박사님 덕분에 미국에서 살고 있는 제가 유용한 정보를 많이 접하게 되네요 😅 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마침 제 보험이 블루크로스 블루쉴드인데 여기서 그 유래를 알게 되었네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앞으로도 통찰력 있는 분석 기대합니다.
@노프라이즈
@노프라이즈 Ай бұрын
귀에 속속 잘들어오는 목소리 김지윤 박사님 잘듣고 갑니다❤
@mezutv8030
@mezutv8030 Ай бұрын
맥을뻥 뚫어주시는 설명! ❤❤❤넘 재밌고 유익해요. 자유대한민국을 외치며 미국식 민영화를 외치는 사람들이 꼭 봐야할 영상입니다.
@ellykim9003
@ellykim9003 Ай бұрын
한국도 인구 절반이 노인인 상황이 곧 닥칠 예정이라...보험료 올라갈 일만 남았다.
@지선-t3j
@지선-t3j Ай бұрын
그것도 아주 가파르게 가고있죠. 10년뒤엔 최소 지금의 2배를 20년뒤엔 최소 지금의 4배를 내야할겁니다.
@호떡-s5d
@호떡-s5d Ай бұрын
이미 올해부터 자기부담금 두배로 올림. 소득없는 노인들 15~20만원 약값내고 있던거 올해부터 두배냄. 더 못오르게 막아야된다 진짜
@윤상현-m4i
@윤상현-m4i Ай бұрын
그걸 우리가 내냐? 아니... 우리 다음 세대가 내겠지... 순순히 내줄까? 우릴 혐오하고 사회가 붕괴될거임
@박대일-d2d
@박대일-d2d 25 күн бұрын
잘 배우겠습니다! ^^ 응원합니다. ^^
@SeoFluffy0518
@SeoFluffy0518 Ай бұрын
미국살이 수십년이 넘는데.. 진짜 미국 의료보험 최악, 의료시스템 최악, 예약잡기 최악, 다 최악 입니다. 정말 스트레스 입니다. 그냥 한국가서 의료보험 혜택 못받더라도 풀페이하고 진료 치료 다 받고 휴가차 쉬고 보양하고 주기적으로 다녀옵니다. 수술도 했지만 수술땐 일년에 두번씩 들어갔다 왔지만 비행기값, 수술비(의료혜택 없이)가 미국보다 쌌어요. 심적으로 편하고 오히려 한달안에 계획잡고 다 끝내고 들어오니 미국에서 몇달 질질 끄는거 보다 삶에 질이 나아졌네요.
@user-su4ys9my5b
@user-su4ys9my5b 28 күн бұрын
@@SeoFluffy0518 저도 한국에서 (보험 없이) 종합검진 받았는데요…미국 같으면 예약 기다리느라 일 년 내내 걸렸을 그 많은 검사들을 단 하루에 끝냈다는게ㅡ믿어지질 않네요. 현금으로 냈지만 미국에서 내는 코페이나 코인슈런스에 비하면 너무 착한 가격이었습니다. 제 주치의에게 검사자료를 건네주자 너무 놀라면서 덕분에 여기서 비싼 돈 내고 해야할 많은 검사들을 면제해 주었습니다.
@이규문-g6e
@이규문-g6e Ай бұрын
박사님~^^ 영상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꼭! 건강하세요~~ GOODLUCK!! 💪🙏🌹👍😁🤟
@하영-g1k
@하영-g1k Ай бұрын
1,2세대 실손보험 강제로 바꾼다네요 의료보험 민영화가 멀지 않았습니다
@루루루-d6n
@루루루-d6n Ай бұрын
대의료개혁으로 이제 우리나라도 비슷해질 전망입니다 🎉
@Tone-e7i
@Tone-e7i Ай бұрын
한국이 최고지만 지속불가능하죠. 건보재정 위태롭습니다......미국식이든, 캐나다식이든, 제 3의 방식이든, 바꾸긴 바꿔야 될 겁니다.
@chaostar88
@chaostar88 Ай бұрын
미국은 그냥 미친 시스템이고, 캐나다나 영국식도 결국엔 세금으로 보험금 내니 공짜라고 보이지만, 수술 기다리다 죽는 사람들이 한해 몇만명씩 됨..... 결국 반반 시스템이 최고라는 거임.....
@peterll1038
@peterll1038 Ай бұрын
캐나다? 의사 만나는데 3시간이 기본인데?
@dpi5569
@dpi5569 Ай бұрын
여기 ... 우리나라도 곧 이렇게 되지 않겠나 싶다.
@teddybear-g4k
@teddybear-g4k Ай бұрын
@@user-hz7ec1fh3y 우물안 개구리 같은 소리 한다. 미국가서 한 달만 살아봐라. 그런 얘기가 나오나.
@subin4420
@subin4420 Ай бұрын
한국이 의사연봉 1위인가요? 미국보다 많이 받는다구요? 30만달러가 넘게 받는다는데
@user-hz7ec1fh3y
@user-hz7ec1fh3y Ай бұрын
@@subin4420 미국 전공의 연봉이 세전 9천만원임.. 한국은 세후 4천정도니까.. 국민소득은 2.7배이상 차이남
@user-hz7ec1fh3y
@user-hz7ec1fh3y Ай бұрын
@subin4420 국민소득 2.7배 차이 미국 전공의 세전 9천 한국 세후 4천 전공의만 봐도 ㅋㅋ
@Blackbean82
@Blackbean82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최고다라는 말 맞아요. 캐나다에 사는데 이민자가 늘면서 의사도 부족해지고 약값도 소득에 따라 1400불 후에 커버되고 아니 아프지 않으면 누가 일년에 약값을 140만원을 씁니까... 그 말은 거의 커버가 안 된다는 말이죠. 의사보는 건 공짠데 예약하고 2주 정도 기다려야 하고 응급실 가면 2시간에서 5시간 평균적으로 대기시간이 걸리고 전문의를 보려면 본인 가정의한테 리퍼럴 받아서 거의 3달 정도 기다려야 전문의를 봐요. 근데 미국은 캐나다보다 더 열악하다니 이해가 안 되요. 국가가 국민 건강에 저렇게 무책임하다니 미국에 안 사는 걸 다행으로 여기고 있어요.
@Chapssall_rei
@Chapssall_rei Ай бұрын
최고이지요 지금은 문제는 우리나라 의료는 지속가능하기 어렵습니다 의료계 종사자면 다들 예측 합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어요
@wonderwomanjj5701
@wonderwomanjj5701 Ай бұрын
잘배웠습니다😊
@yoomisuh4849
@yoomisuh4849 Ай бұрын
저도 병원에서 일하면서 보험사와도 승인 받으려고 간간이 얘기할 일이 있어요. United Healthcare 가 정말 형편 없어요. 걔네들은 미국 심장협회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고 자기네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다 거절이예요. 그러다가 사람이 죽을 수도 있는데 말이예요. 그리고 요즘 blue cross blue shield 가 anthem 으로 같이 가는 지 어떤지 정말 나빠졌거든요. 얼마전에 수술할 때 마취과 비용을 어느 시간까지만 커버한다고 해서 그럼 수술 중간에 깨워야 하는 거냐고 농담처럼 한 적이 있는데 이 사건 터지고 다시 취소 한 걸로 알고 있어요. 정말 의료인으로 일하기 힘듦니다.. 한국 의료 좋은데 의료 수가가 사실 너무 싸요. 좀 올려야 해요.
@Luddite-m2d
@Luddite-m2d Ай бұрын
한국상황을 잘 모르시고 하시는 말씀입니다 의사들 소득수준이 미국다음으로 높은 나라가괜히 되는게 아니구요 비급여비중도 높고 행위별수가제는 경증질환중심으로 진료시간쪼개고 횟수늘려서 수가인상하고 과보상 충분히 받고 있습니다 그덕에 중증필수의료는 거덜나고 있죠 gdp대비 총의료비지출 비중을 보면 미국이 지금 월등히 높지만 세계에서 가장 빠른속도로 미국을 열심히 쫒아가는 나라가 대한민국입니다
@cottonyooo
@cottonyooo Ай бұрын
@@Luddite-m2d 필수의료 분야가 금전적 보상이나 소송 위험성에서 안 좋기 때문에 의사들이 기피하고 상대적으로 쉽게 돈을 많이 버는 성형외과 같은 데로 몰리는 거 아닌가요 한국 의사들 소득수준이 높아도 그런 분야가 평균을 끌어올린 거면 큰 의미가 없는 거 같은데
@sjdob-y5d
@sjdob-y5d Ай бұрын
@@Luddite-m2d 님 말마따나 박리다매 해서 몸 갈아 넣어서 많이 버는거네요. 근데 박리 소매하라면 누가 할까요?
@Luddite-m2d
@Luddite-m2d Ай бұрын
@@cottonyooo 우리나라 의사들은 크게 세분류입니다 성형 피부 흔히 말하는 쁘띠의료 한분야 , 비필수경증과 실손보험 연계하는 개원가 흔히 말하는 골목의사, 대학병원에서 필수중증치료하는 의사 물론 대학병원도 돈잘 벌어주는 과도 있지만 말그대로 적자투성이 환자치료하면 적자인과가 있습니다 자 그러면 의사단체인 의협에서 가장 입김이 쎈 의사들은 누굴까요? 당연히 비필수경증 실손연계보는 개원가입니다 대학병원교수들도 퇴직하면 병원차려서 개원해야 하니까 비필수경증으로 수가를 몰아줘도 모른척 해왔습니다 개원가 소득수준이 얼마일거 같아요? 대학병원 필수중증보는의사가 대부분이 아닙니다 근데 필수중증의사 앞세워서 수가를 전체적으로 다묶어서올려왔고 또 올녀달라고 합니다 이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Luddite-m2d
@Luddite-m2d Ай бұрын
@@sjdob-y5d 15만원받고 15분진료하면 노동투입시간 1분당 1만원입니다 3만원받고 3분진료하면 똑같이 1분당 1만원이죠 2분으로 줄이면 ??? 1분당 1.5만원 50%나 상승합니다 박리인가요?????? 행위별수가제는 노동투입시간을 줄이면 단위당 매출가가 상승하는 고리다매입니다
@서영희-g7s
@서영희-g7s Ай бұрын
불의에 분노할 줄 모르는 지식인은 올바른 민주시민을 가르칠 수 없습니다.
@songkim7610
@songkim7610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pinesanglee
@pinesanglee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에 살고있는데 4가족 건강보험 한달에 $2500 내고있네요..
@보노보노-h2c
@보노보노-h2c Ай бұрын
그 정도면... 아플 때를 대비해서 그 보험료를 모으는 게... 낫지 않을까요?
@lions0401
@lions0401 Ай бұрын
​​@@보노보노-h2c 미국의 병원비와 약값은 우리나라의 10배 20배를 그냥 넘음 우리나라는 내과나 이비인후과 가서 감기 진단 받으면 3 4일치 약값과 당일 진료비 해봐야 우리돈 5만원 안에서 해결되지만 미국의 경우 같은 증상으로 병원가면 5만원이 50만원이 되는 기적을 경험하게됨 앰뷸런스 콜 하는것 만으로 역시 우리돈 수십만원을 기본으로 내야하는 기적을 경험함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Ай бұрын
​@@보노보노-h2c윗분도 말햇지만, 의료보험 적용돼는덧과 안돼는것(수술, 약)에 따라 가격차이 큰데 미국은 더 창렬이고요. 원댓글처럼 민영보험 내도 개인부담금이 상당히 쌥니다. 개인파산자중 70%가 의료파산자라 하니 말 다햇죠. 미국 어떤 사람은 치료비 없으니 은행도 텁니다. 장난감 총들고 은행가서 1달러 내놓으라하고, 벤치에서 경찰 기다렷다 하네요. 감옥은 그래도 치료해주니까.
@KateHorsley-jz9zq
@KateHorsley-jz9zq Ай бұрын
$2500 낸다면 본인 수입이 매달 10 억 정도 번다는 이야기인데…
@user-dl8ox4lt3k
@user-dl8ox4lt3k Ай бұрын
@@KateHorsley-jz9zq 뭔소리에요 평균적으로 4인가족 1년에 100K 달러(1.4억원) 정도면 $2500 매달 냅니다만..?
@tour2080
@tour2080 Ай бұрын
이 내용과 별개로 1/5일자 kbs중국---- 어쩌고 하는 프로에서 닥터샘이 나왔어요!! 비록 분량이 37초정도인데 이거 너무나 좋았어요. 다른 패널의 대본읽기 보단 닥터의 발음,문장전달력,머 ,,,아쉬운것들 만았지만 샘의 전달력이 최고입니다. 좋은 날 좋은한해 되세요!!!
@한가한오후-p9r
@한가한오후-p9r Ай бұрын
그러나,짧게는 10년 길게는 25년 안에 한국식 저부담 중혜택의 의료보험제도는 붕괴할 것입니다.젊은 미래 의사(=지금 쉬고있는 의대생전공의들뿐 아니라 10대 예비의대생 포함)은 선배 의사들이 1977년 이래로 혼합진료하면서 버텨낸 작금의 저수가 진료체계를 거부를 하고 있습니다.,저출산 고령사회에 닥쳐 올 의료보험 부담율의 폭등을 국가(=세금)와 보험가입한 일반 국민들도 거부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GGA-r6f
@GGA-r6f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에서 살아보고 느낀 딱 한가지는 한국 의료 시스템이 정말 최고라는 겁니다 아픈것도 힘든데 그 와중에 보험이 되는 병원인지 커버는 어느정도 되는지 물어보는것도 힘들더군요
@원석호-n5c
@원석호-n5c Ай бұрын
한국이 최고인 이유는 의사들이 싸게 받고 많이 일하기 때문~~^^
@cjlee3649
@cjlee3649 Ай бұрын
의사 년봉이 싸긴 뭐가 싸요? 삼성직원의 몇배면 충분하지 않은가요?
@천라이언
@천라이언 Ай бұрын
아니 그러니까 많이 일 하지 말라고 증원 하자는데 왜 반대 하는데
@borntokill4209
@borntokill4209 Ай бұрын
​@@천라이언 병원에서 안뽑는거 모름?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Ай бұрын
응급의학과같은 곳이라면 모를까 성형외과 의사들이 정말 싸게 받습니까?
@smithsmith4436
@smithsmith4436 Ай бұрын
ㅋㅋㅋ 적게 일하게 하겠냐 고용주들이 월급 후려쳐서 일은 똑같이 굴리고 이익 극대화하려하겠지 왤케 모지리가 많냐 대댓들
@USxTAPE
@USxTAPE Күн бұрын
잘해바바 다시 응원한다 🎉
@user-yu2kh1fx5q
@user-yu2kh1fx5q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의료보험체계에 대해서도 해주시면 어떨까요. 중국인의 의료보험혜택이 한국에서 심각하다고 하는데 대부분의 국민들은 모르는거 같아요. 한국이 과연 최고일까요. 한국인으로 내는 건강보험료가 세금을 내지않는 외국인을 위해 쓰인다고 하는데 진실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violette0709
@violette0709 Ай бұрын
좋은 컨텐츠 잘 보고 있어요. 시간되실 때 캐나다 트루도 총리 사퇴 사건 정황도 한 번쯤 다뤄주시길 부탁드려요. 김지윤 박사님의 소중한 의견이 듣고싶네요. 잘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e_personal
@e_personal Ай бұрын
지적하고 싶은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현상이나 역사에 대해서는 잘 지적하셨습니다. 하지만 근본 원인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미국의료비가 비싼것은 민간보험이라서가 아닙니다. 근본적 원인은 썩어빠진 정부복지에 있죠. 미국의 병원료가 "천문학적" 이 되게만든 요인이 정부지원금에 있습니다. 미국 의료시장은 겉보기에는 민간보험이지만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정부가 보장하는 각종 혜택과 일빈인 잘 모르는 지원금 착취하기가 만연하죠. 생각해보세요. 미국의료가 진실로 민간주도라면 왜 정부세금이 천문학적으로 매년 밑빠진 독 물붓기 하듯 들어가죠? 시장경제에서는 가격은 구매력에 제한을 받습니다. 구매할 수 없는 상품으로 장사 못하죠. 그런데 왜 병원이 구매력을 벗어난 가격책정이 가능했는가? 정부가 돈 뿌려서입니다. 여기에 대한 증거는 밑에 제시하겠습니다. 보험회사가 욕심으로 운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경제에서 안그런 기업이 어디있겠습니까? 그 보조금때문에 개개인은 의료비를 낼 수 있지만, 그 때문에 사업체들이 의료비를 시장의 구매력과 상관없이 올릴 수 있게 됐는데 경제에 무식한 우매한 대중들은 정부보조금이 도움이라는 착각을 버리지 못하는 실정이죠. 오바마케어역시 그런 시장경제에대한 무시를 근반으로한 부패한 사상이었고, 그래서 저는 반대했죠. 제도의 문제점을 거치키는 커녕 고착화시킨 정책이니까요. 한번 생각해보시죠. 만약 한국 의료보험이 현 제도가 아니라 사립보험에 가입을 강제시키고 그 보험사들이 세금착취로 수익을 내는 구조를 제도화시켜는 방식이었다면 지금 한국의료 무슨꼴 났을지. 그게 오바마케어였죠. 개인적으로는 의료비가 줄어든 경우가 있기도 했지만 보험료 폭탄을 맞은 사람도 있었죠.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어느 개개인에게 싸졌냐 비싸졌냐가 아닙니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표면상으로는 민간보험에 주도되는 의료시장이 시징경제에 의해 돌아가지 않고, 정부가 뿌려대는 돈이 민간 업체들이 시장을 무시하고 사격을 올릴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서입니다. 증거하나 보여드리죠. 아래는 경제학자 Russ Robrerts 의 2019년 포드캐스트 내용입니다. 병원에서 환자가 개인부담 거의 못할거라는거 뻔히 아는 비용을 청구하고 그것의 일부만 환자가 내게하고 겉으로는 생색내면서 정부에 "저 손해봤어요. 제도적으로 메꿔주세요." 하는 수법으로 이익챙기는 만연한 풍조를 고발하는 한 수술센터 운영자가 나옵니다. 이런 수법은 정부가 돈뿌리지 않으면 성립이 불가능한 구조죠. www.econtalk.org/keith-smith-on-free-market-health-care/
@eunkoh425
@eunkoh425 Ай бұрын
와우 제가 10 만 때 선생님께서 너무 좋아하시면서 운동갔다 온 후에 ㅡ뭐라고 쓰셨는데ㅡ 잘 생각이 안나네요. 꾸준히 보다 중간에 잠깐 쉬는동안 100 만이 넘으셨네요. 이제라도 축하드려요 🎉🎉🎉🎉🎉🎉
@lalalaal9934
@lalalaal9934 Ай бұрын
미국은 일반 중산층 이하를 대상으로 조져댄다면 한국은 의사를 대상으로 조져댐 다행스럽게도 의사는 소수에 돈 많이 번다는 인식 덕에 시위해봐야 적폐취급. 물론 그 덕에 필수 바이탈은 이미 붕괴
@taelee347
@taelee347 Ай бұрын
미국사는 데 저도 2018에 잠깐 해외로 나가서 일을 몉 개월 쉬는 바람에 오바마 케어 벌금 1400불 정도를 낸적이 있는데 그래도 미국 건강 보험 뜯어 고치긴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캐나다나 영국 처럼 하면 안되고 한국이나 일본 처럼 헤야되는데 그게 쉽지 않을거 같네요.
@hyejung2448
@hyejung2448 Ай бұрын
Thank you ❤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프사....혼자있을때만눌러ㅋ) 오바마케어 가입했는데 아이 예방접종 4종 받았다가, 소아과 청구서에 800불 나왔더라. 보험사가 안 준다며 나한테 청구해 버리니까 열받지 않을 수가 없어. 루이지 멘지오니는 진짜 영웅 맞어. 아플 때 보험사가 모른 척할 땐 언론도 가만히 있더니, 유명한 CEO 하나 죽으니까 범인 찾기에 온힘을 다하는 걸 보고 정말 허탈했어. 지강헌도 그랬잖아.
@Shine_eats_lives
@Shine_eats_lives Ай бұрын
저는 캐나다 살고 동생은 미국 사는데 의료는 한국이 최고에요👍🏼 캐나다는 기다리다 낫거나 죽거나에요 강한자만이 살아남는😂
@mcs4239
@mcs4239 Ай бұрын
지금 한국도 의료민영화 시작단계인데 무지한 국민들을은 그걸 박수치고있음ㅋㅋㅋ
@yuna9315
@yuna9315 Ай бұрын
정말 궁금했던 미국보험!! 이렇게 잘 설명해주셔도 어렵고 이상한 미국 보험.. 여전히 금액부담이 어떻게 될지 몰라서 불안하고 무서워 못가겠어요 😢
@sjdob-y5d
@sjdob-y5d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좋아보이는 이유는 고소득층, 젊은 인구들이 다 내주고 있기 때문에 쓰는 사람과 내는 사람이 따로 있기 때문이고, 그동안 의사들이 박리다매에 동의했었기 때문이지만, 올해부터 초고령화에 의한 건강보험 적자, 의대 증원으로 인한 박리 다매에서 박리 소매로의 전환에 대해 젊은 의사들이 동의 하지 못함, 소송부담에 대한 증가, 실손보험에 대한 정부의 탄압 등 얼마 안나 파탄날겄입니다. 이 상황에서 증원은 더욱 상황을 빠르게 악화시킬 뿐입니다. 건강보험료 연 몇천씩 내보면 무슨말 하는지 알겁니다.
@김효숙-p3l
@김효숙-p3l Ай бұрын
몇천식 안냄 400이상 못내게 되어있음 알고 욕하던지 내
@sjdob-y5d
@sjdob-y5d Ай бұрын
@김효숙-p3l 개인사업자는 본인이 8퍼센트 다 내야되고 달 1000만원 한도라 연 1억2000만원까지 낼수있음. 장기요양보험 포함. 피고용인들도 반은 사업주가 내주고 있다는거를 아시길바랍니다.
@구렁이처리
@구렁이처리 Ай бұрын
엇그제 까치설 잘~.~보내셨나요👀🙃 을사년 새해 🧧10002!받으세요👏🏻👏🏻✨
@앵딸몽럽
@앵딸몽럽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무려 1964년도에 시작이 됐네요 그 못살던 시절부터 앞날을 내다보고 복지의 틀을 마련했던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dmrest7
@dmrest7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때는 공무원과 일부기업만 해당 되었죠. 신분을 나누는 수단이었죠. 이것을 전국민으로 확대한 분들에게도 감사해야죠.
@kangbitcoin
@kangbitcoin Ай бұрын
"1977년 7월 1일. 박정희 정권은 의료보험법을 전면 개정해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와 공업단지 근로자는 강제적으로 의료보험에 가입하도록 합니다. 진정한 의미의 의료보험제도가 시작됐던 겁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박정희 - 노태우 - 김대중 거치면서 완성됨
@martinj8935
@martinj8935 Ай бұрын
​@@kangbitcoin박정희 김대중의 공이 크죠
@krauskim7662
@krauskim7662 Ай бұрын
모르면 그냥 닥치고 배워라 오히려 신분차별의 체계가 건강보험이었다.
@cwlee6831
@cwlee6831 Ай бұрын
이제 망했어요 ㅎㅎ
@IRIS-I9금-Serendipity-채널
@IRIS-I9금-Serendipity-채널 Ай бұрын
*(프사 누. 르. 고 주. 소 ㄱㄱ)* 유나이티드 보험 있었는데, 의사가 CT 검사 해야 한다고 해도 보험사가 거부해서 결국 못 받았어. 올해 다른 보험으로 갈아탔는데, 미국 의료보험 시스템은 정말 문제 많아.
@Bigguni
@Bigguni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섬나라두루미
@섬나라두루미 Ай бұрын
미국에 살고보니 1980년대 까지만해도 미국의 대기업들은 국민들을 위해 존재하고 있다는것을 실제로 느끼고 있었다 . 그러나 그이후 모든 대기업들은 갑자기 험악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 MBA 출신들은 회사의 이익을 올리기위해 소비자로부터 온갖 이유를 들어 이상하게 생긴 수수료를 늘릭 시작했다 . 우리식구가 30년동안 낸 가족 건강보험료는 평균 월 400불 이었으니 400×12×30=15 만불정도 되고 이를 복리로 따지면 당시 서민용 개인주택가격이 보험료로 나간것이다 .보험이 없으면 애들이 학교를 다니지 못할정도로 규제가 심하다 . 그런데 애들키우며 어쩌다 병윈을 갔어도 도무지 알수없는 이상하게 적힌 숫자와암호로 적힌 보험료지불거부사유가 복잡하고 따질방법도 없다 . 은행도 마찬가지 80년도 초기에는 소비자는 은행의 주인처럼 대접받았었다. 미국인모두 개인수표를 발행하는 사회이고 자기계좌에 잔금이 있는한 액수상관없이 수표발행을 한다 . 그런데 살다보면 내손에 들어온 타인수표가 부도수표이고 그 부도수표를 내계좌에 입금시키고 수일후에 내가 수표발행하면 가끔 잔고부족으로 은행에서 즉시통보가 와 잔고확인 보충하라고 하며 남의 부도수표를 알려준다. 보통5일간의 조정시간을 주던 은행이었으나 1990년대 들어 갑자기 은행들이 모두 함께 소비자에게 벌금을 물게해 첫수표는 20불정도 두번째수표는 40불 세번째 수표는 60불벌금 . 다시말해 수도세 전기세 쓰레기세 3장을 부도가 나면 120불의 벌금이 나오게 되는것이다 . 남의 나쁜수표를 계좌에넣었다가 잔금이 부족하면 1불짜리 수표라도 벌금이 산더미 같이 나오는것이다 . 자동차보험도 마찬가지 사고시에 이핑계저핑계 보험회사는 잘도 빠져나가 차주는 돈받아 내기 쉽지 않다. 국민을 대하는 기업들이 1990년대쯤부터 갑자기 악당으로 돌변한것이다. 사실 미국은 우리가 알고있는 살기 나쁜나라 라는 틀린말이다. 좋은 나라인데 대기업들의 흡혈귀 정책으로 나빠졌고 따라서 사회도 험악해진것이다. 이번 보험회사사장의 피살사건은 미국사회의 단면을 자세히 나타낸 현상이다 . 한국도 자동차급발진은 소비자탓이라는 것도 이런 종류의 악행의 시작에 속한다 .
@smiley12348
@smiley12348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똑부러진 영상 속 지윤님께 감사드립니다, 언젠가 한 번은 정리해놓고 싶었던 파트였었거든요, 이 방대하고 머리지끈 정보지식을 수집 정리하시느라 애쓰셨어요, 미국 정치랑 의료보험은 영혼이 덜 진화된 것들의 장난같아요. 악마의 영역이라 신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절망적 ㅠㅠ )
@user-redpig
@user-redpig Ай бұрын
의료 개혁 덕분에 의료보험 적립금이 이제 5년도 안남았는데 . 어찌 가능하겠소? 의료보험료가 어마어마하게 오르던지 또는 커버리지가 많이 줄텐데~ 지금 실비 개혁하는거 보면 어디로 갈지 뻔해보이는구만
@sjdob-y5d
@sjdob-y5d Ай бұрын
@@user-redpig 지금 인구비율로는 아무 해답이 없습니다.
@원준백-g8l
@원준백-g8l 25 күн бұрын
사건의 진실을 알아가며 너무 흥미로워요 🔍
@재선김-b4r
@재선김-b4r Ай бұрын
김 지윤 지식 play ❤ 감사드립니다 충성 🎉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 Ай бұрын
익숙한 음성인데요 무척 편안하고 또한 귀에 쏙쏙 들어오게끔 정보들을 제공하는 프로페셔널 한 고급진 꿀 목소리를 지니셨군요~ㅎ 잘 들었습니다^-^~
@swj8742
@swj8742 Ай бұрын
그 최고의 의료보험제도를 부수려는게 지금의 정부 의료정책이지요
@JHC-k6g
@JHC-k6g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15% 경계선 ㅋㅋㅋㅋ
@kevinsong2286
@kevinsong2286 Ай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너무 감동적입니다.미국 의료 시스템은 서로의 이권으로 인해 후진국 수준 입니다.중산층이 살기엔 힘들죠..한국의 의료 보험 수준은 최고입니다.곧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달에 시작하는데..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결할지 귀취가 주목 되고 있습니다.
@kangbitcoin
@kangbitcoin Ай бұрын
그냥 전형적인 국뽕 멘트임 한국도 문제 많은게 무차별 산발적 건강보험이라서 지금 병상에서 의사도 포기한 사람들한테 연명치료로 어마어마한 돈들디 빠져나가고 있음 건강보험 적자나고 있는데 10년안에 터지고 민영화될듯
@flash_han
@flash_han Ай бұрын
조만간 우리나라도 저렇게 된다 ㅋㅋㅋ
@seungchoi2419
@seungchoi2419 Ай бұрын
Thanks!
@managersequence4724
@managersequence4724 Ай бұрын
"It's an insult to the intelligence of the American people" 미국에 삽니다. 그리고 이 말에 눈물이 납니다.
@김민서-q3f2m
@김민서-q3f2m Ай бұрын
새해 첫 영상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했습니다. 코로나 때 많은 미국 사람들이 돌아가신 걸로 아는데, 공공 국민 건강 보험제도가 좋겠습니다.^^
@너동-q5x
@너동-q5x Ай бұрын
잘보겠습니당
@rami-rami-dorami
@rami-rami-dorami Ай бұрын
한국이 당연히 최고지 ㅋㅋㅋ 적자를 얼마씩 보는데... 한국이 최고다 같은 소리 하지마세요 제발 ㅠ 3년뒤면 재정 고갈이에요
@우종숙-g8g
@우종숙-g8g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도 실손보험 1세대 2세대에 관해 손을 대고 있는것 같아요~ 이제까지 낸돈이 얼마인데~ 박사님 언제나 감사합니다~
@번창하라대한민국
@번창하라대한민국 Ай бұрын
오바마가 너무 부러워 했던 대한민국의 의료보험👍 무안 제주항공기 사고로 사망 하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유가족 분들의 슬픔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Ай бұрын
오바마케어 결국 불발된걸로 아는데요, 민간보험이 가입하게하고 정부가 돈주는걸로 아는데, 아니엇나요?
@imp1471
@imp1471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새해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좋은 소식 부탁드려요 언제나 늘 항상 사랑 💕 건강보험료 삽십육만원 아픈자를 위한 기부..
@rachelryu5749
@rachelryu5749 Ай бұрын
본인이 좀 지나면 아프게 되고 그때 해택을 볼수 있을겁니다.
@calca1
@calca1 Ай бұрын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도 이렇게 된다.. 기대하시길
@FoolSelfDriving
@FoolSelfDriving Ай бұрын
지윤님 건강 챙기세요😊
@marrins2
@marrins2 Ай бұрын
돈에 미친 미국의 현실
@호-u3o
@호-u3o Ай бұрын
한국은 따라가는중
@kateoyh4815
@kateoyh4815 Ай бұрын
훌륭한 설명 잘 들었읍니다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Ай бұрын
보편적 사회보험제도가 민주주의 정부가 아니라 권위주의 정부에서 태동한 것도 신기하네요... 비스마르크의 질병보험법, 박정희의 건강보험법... 정작 현대민주주의의 롤모델인 미국이 건강보험제도가 개판인것도 아이러니
@북한인민
@북한인민 Ай бұрын
자본주의의 명과 암이죠. 어차피 수정자본주의로 가기때문에 미국도 공공으로갈수밖에 없음.
@김상민-k3s
@김상민-k3s Ай бұрын
비스마르크는 그당시 사회주의 운동 세력을 누르기 위한 선제적조치로, 박정희정부도 코앞의 북한과 비교되는 남한의 복지와 삶의질을 개선하기 위함이였지만 미국은 냉전이라고 해도 노동조합영향력이 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시민들이 많았던것도 아니고 우린 부유하니 소련보다 잘 살아 마인드가 있었죠. 다른 유럽국가 대부분 민주주의지만 복지가 잘되어있었던 이유는 공화주의자나, 사회민주주의자들이 많아서였습니다. 민주주의라기보단 공화주의의 차이가 아닌가 싶네요. 미국은 공화주의보다 자유주의가 극강한 나라구요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Ай бұрын
그렇게 해야 권위주의에 대한 대중들의 거부감을 어느정도 잠재울수 있으니까
@indi-you
@indi-you Ай бұрын
원래 전국민 건강보험은 사회주의 국가의 제도죠. 자본주의 진영은 수정자본주의로 도입한거고.. 박정희의 건강보험도 북한과의 체제경쟁에서 북한이 선전도구로 전국민 무상의료제도를 이용해서 여기에 밀릴수 없다고 해서 도입한거고... 사실 순수한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전국민의료보험이 안 맞죠. 미국 부유층 상당수는 전국민 의료보험 싫어합니다. 우리나라 부유층도 조사해보면 싫어하는 사람 꽤 나올겁니다.
@kalmorning
@kalmorning Ай бұрын
권위주의 심지어 독재정권하에 건강보험이 나온 이유는 상대방이 더 좋다고 여겨지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요즘도 그 핑계를 많이 대는 빨갱이 즉 공산주의 세력이다 의료분야에서 공산주의 시스템과 경쟁할려면 공공의료보험 도입은 기본이다 그리고 미국은 경제활동의 기본이 이윤추구라 의료관련 단체의 이익극대화 욕구를 제어하기 힘들지만 우리나라에선 공익이란 명분하에 의사나 제약사의 희생이 당연시되고 단일 의료보험 체제하에 정부가 가진 막강한 교섭권을 가지고 보다 값싸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효진-o3n
@이효진-o3n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ikekim3242
@mikekim3242 Ай бұрын
미국 유학생들이 모여서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한국 국적을 가져서 가장 좋은 점은 의료보험이다"
@수내-j1j
@수내-j1j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유익한 내용이라 잘 봤는데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에 나오셔서 너무 반갑습니다
КОТЁНОК МНОГО ПОЁТ #cat
00:21
Лайки Like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Banana vs Sword on a Conveyor Belt
01:00
Mini Katana
Рет қаралды 77 МЛН
How Strong is Glass? 💪
00:25
Brianna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Tilt 'n' Shout #boardgames #настольныеигры #games #игры #настолки #настольные_игры
00:24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을 2번 노리는 진짜 이유 (어린시절,성공비결)
14:16
공부왕찐천재 홍진경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이민자의 천국 캐나다, 문 닫는다? 이민자 수 급감 결정의 진실
14:11
조재현 변호사의 스팟라이트 | Lawyer Jae Cho
Рет қаралды 489 М.
КОТЁНОК МНОГО ПОЁТ #cat
00:21
Лайки Like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