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상은 2018년 11월 14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열을 지켜라! 고단열 스틸하우스와 이동식 난로>의 일부입니다.
@코우슴도치 Жыл бұрын
영상시작에 하나 예약할가했었는데 마지막 기초위의 솔잎도 안쓸고 그대로하는걸보고 맘이 바뀜, 그걸 그대루해요?
@marquisblack9226 Жыл бұрын
단열은 나름 신경써서 잘하는 것 같은데 하부 기초가 컬러각관인게 좀 아쉽네요. 그리고 단열재 고정할때는 열교방지 화스너를 쓰면 좋겠습니다. 콘크리트 기초위에 올리고 나서 기초와 연결 및 노출부위 마감작업이 포함되면 더 좋겠네요. 2018년 영상이라 코로나 전인데 아직 잘 운영중이신지 모르겠네요. 잘봤습니다.
@chsh851016 Жыл бұрын
저 회사의 대표가 조금 깨어있는 사람이라면, 공장 바닦부분이 평평하지 못해서 매번 집을 지을때마다 수평잡는다고 30분이든 1시간이든 활애할 시간동안 돈을 투자해서 바닦에 10cm 두께의 철판을 3M*3M이던 4*3이던 10개을 지을꺼면, 10개 철판을 두었다면, 평평을 무시하고, 일관된 높이의 고이몫만 사용하여 기초를 잡는데 빠른 시간과 노동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일수있었을텐데... 그런곳에서 무관심하기 시작하면, 다른 처우개선조차 어렵다고 봅니다. 즉 젊은 사람들은 기술을 배울려고 가더라도 빠르게 손절할수밖에 없는 이유들이 숨어 있을꺼라 짐작합니다 (저도 그런 대표들 밑에서 일을 배우면서 이런것 건의를 해도 들어준 경우가 손에 꼽히긴 했습니다)
@kki-yooooo-ot Жыл бұрын
집짓는영상들 항상보면 용접부분은 왜 도색안하나몰라 아연코팅돼있어도 용접부위는 다 벗겨지고 나중에 그곳만 집중적으로 녹이스는데 집짓는영상들 죄다 보면 방청제조차 안뿌림
@davidyoung21829 ай бұрын
건축밥 먹는 사람으로써 참으로 애처롭습니다 이런영상은 욕밖에 안먹어요
@본관사또 Жыл бұрын
좁은 생각인지는 모르나 개인적생각을 한말씀 올리겠 습니다 수평을 맟출때는 너무 수동방식인데요 일밀이 나무판을 될께아니라 바닥에서 수평잡는 스크류 식으로 해서 스큐류를 돌리면 일도 빨리 진행이 될거같네요 단스크류 돌릴때는 몽키스파나를 사용 하면 되겠지요 스크류식 치공구 개발제작 별로 어렵지 않어요 조금 답답해서 드리는 글입니다 참고하시기ㅈ바랍니다. 저는 예비건축주입니다.
@맨인블럭 Жыл бұрын
조립과정도 부실해보이고, 옮기는데 바닥 안치우고 옮기는것도 그렇고,, 바닥에 저 각파이프 쓰는거 맞아요? 내구성 의심, 단열의심될만한 영상이네요
@권용정-h3u Жыл бұрын
하부 프레임이 고강도 철 합금이면 드릴피스 따위에 관통이 나겠나요? 아무리봐도 제가 아는 싸구려 각파이프 같은데요..
@말하는고양이-s1l Жыл бұрын
제가봐도요
@대한민국대한사람 Жыл бұрын
파이프 소리만 들어봐도 ..그렇내요
@user-yir Жыл бұрын
저 공장 작업자들 안쓰럽다. 공장 바닥 수평도 안 맞아서.. 일할때마다 부목으로 수평 맞추고 참.. 저 뼈대 맞추는것도 일주일 걸린다고 말하는것보면... 한국의 모듈러 주택의 기술 성장 속도는 애기 걸음마 수준이 아닌가 싶다.
@백재영-y4h Жыл бұрын
칼라관...금방부식되겠군..
@이름없다Hk Жыл бұрын
ㅅ ㅍ 지금 직원이 몇명인데 바닥을 미리 레벨을 맞춘 기본 장치를 미리 바닥에 설치해 두고 해야지..하나 만들때 마다 레벨을 맞춘다고?? 그냥 다 짜르고 외국인 써라.. 돈 잡아먹는 귀신들이다
@raykim181211 ай бұрын
아놔..수평 잡는데만 3일 소요.. 나무조각 넣고 빼면서 작업하니 하세월이네... 자동차 자키 개조해서 만들면 수평작업 반나절이면 끝낼텐데..ㅋ
@임곡개러지 Жыл бұрын
바닥 구조재 보면 구매욕이 확 떨어짐니다. 경험상 컨테이너도 바닥 구조재부터 얼마안가 부식되서 바닥이 무너져 내려 앉아요 멀리보고 안보이는 곳에 신경을 더 써야 좋을거 같아요
@너구링-o6k Жыл бұрын
1) 기초가 고강도 합금이 맞는지 의문 2) 아무리 단열재로 둘러싼다지만 전기배선 작업하기 위해 컷팅할 때 빈 곳 폼을 쏘는건지 의문 3) 가장 신경쓰였는데, 현장 도착해서 구조물 안착시킬 때 왜 바닥에 나뭇잎 등을 안치우고 올리는 건지 의문 4) 저 구조물을 콘크리트 기초바닥과 결합을 시키기는 하는건지 의문
@몸만와 Жыл бұрын
1) 각파이프 가장 약한 철자재 사용 2) 단열은 조립식 건물 보다는 좋아 보임 3) 패스 4) 하부 구조물 부식에 취약함
@츄릅츄릅-l9g Жыл бұрын
대량생산이지만 비싼건 함정
@라마할매 Жыл бұрын
주 거주 목적의 집이 아닌 5도2촌용 농막의 업그레이드버전 같네요
@디에스이레 Жыл бұрын
그냥 공장 바닥이 수평이 안 맞으면 바닥에 수평 맞게 지그 미리 짜 놓으면 되는거 아닐까? 매번 3-4일씩 수평 보는거보다 그게 사장 입장에서도 훨씬 나을텐데
@김선우-q6z Жыл бұрын
역시 춥겠군...
@59motors12 Жыл бұрын
수평이 중요하고 이동중에도 뒤틀림을 걱정하는데 바닥정리를 안하고 내리는거 보면 실제로 큰 문제는 아닐지 몰라도 구매하는 사람 입장에서 집을 어떤 마음 가짐으로 만드는지 짐작이 되지 않을까요? 언제 하자가 생겨도 생기지 않을까... 후기 보고 사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평 맞추면 일은 좀 줄어들겠지만 어짜피 수평은 맞춰야돼요. 밑에 손톱만한 돌맹이 하나만 깔려있어도 바로 틀어지는데
@yongjin5368 Жыл бұрын
스타코 안망하고 아직 버티고있구나
@meiyou_5168 Жыл бұрын
이걸 고단열이라고 말한다면 단열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거나 단열이라는 이름으로 사기를 치거나 둘중 하나다 단열은 자제의 상향평준화로 특정 자제의 성능보다는 두께로 승부를 보는데 가장 효율이 떨어지는 암면단열제 저정도로 절대 고단열이라고 할수 없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프레임 사이에 중단열된 암면이 머금는 습기가 해소 될방법도 없으니 시간이 갈수록 단열 효율도 떨어지겠지 그낭 이건 광고거나 사기거나
@gondrenamul8660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혁신적인 공장 생산 방식으로 대량 생산된 고단열 스틸하우스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철제로 만들어져 가볍고, 이동하기 쉬우면서도 견고하며 안전한 집들이 제작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들이 많이 일어나기를 응원합니다.
@hyunmin-l9j1v10 ай бұрын
저거 배송하는 화물사장님들이 더 극한직업이다 😑
@붕나라차뿐다10 ай бұрын
전문가로서 우리회사 일못한다고 홍보하는 영상이네요
@Realman19 Жыл бұрын
wow
@문베드로-z1o Жыл бұрын
개판이구만 바닥에 낙옆이 잔뜩 있는데 쓸지도 않고 그냥 내려놓네~ ㅎㅎ
@바람을가르는그물 Жыл бұрын
수평 맞추는거 장냔하냐? 합판쪼가리로 수평 맞추는데 장냔하냐.. 저게 그냥 맞추고 끝나는거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기초 수평 맞추고 그후부터 하중 있는 자재가 계속 들어갈건데.... 웃기지 안냐? 바닥 수평 안맞는다고 합판 쪼가리로 수평 맞추면 하중 늘어나면 그게 버티냐? 그냥 다 개판
@rickjang3555 Жыл бұрын
태풍에 날라가는거 아닌지...
@jangjihyun_c Жыл бұрын
지그를 대야하는데...참
@chl2779 Жыл бұрын
저기요! 그 집 한쪽 긴 면을 벽을 터서 집을 정착해 두는 곳에 두채를 세운 후 서로 맞닿게 하면 아주 넓적하고 시원한 집을 짓게 되지 않나요? 물론 설계도 그런식에 맞추고............
@dongholee9060 Жыл бұрын
관련법규때문에 안될듯 농막기준 6평인가 넘어가면 허가 따야하고 법규가 이상함
@homme436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선 트레일러하우스라고해서 집한채 공장에서 만들어서 배달해준다. 간이주택야.
@88dang Жыл бұрын
컨테이너박스ㅋ
@거부기-z3n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저렴하나? 엄청 허접하네
@홍성구-t8k Жыл бұрын
저 집은 틀렸어..칼라각관은 1년되면 다 너덜너덜 썪어...판넬 밑장 뜯어봐..내가 틀린 말하는지..아연각관써야..
@미래를꿈꾸다 Жыл бұрын
ㅎㅎ 바닥 골조 웃긴다 그걸로 집을 만들어? 어디 천막치나?
@테스트유튜브배우-x5c Жыл бұрын
이것도 전부다 기계화되고, 자동화로 찍어낸듯이 만들어내게 될꺼야. 그러면 더 빨리 더 많이 더 싸게 만들어낼것이고 대세가 될꺼야. 모듈러주택은
@user-ol9yr3bu4s Жыл бұрын
스테인은 가격대비 너무 효율이 딸려서 안할텐데.. 굳이 산속에 넣어놓고 스테인을쓰는이유가뭘까.. 겨울에 극한으로 추울거고 여름에 극으로 더울텐데
@나칼마 Жыл бұрын
진짜 별로네 ㅋㅋ
@지무-d5u Жыл бұрын
하루홈 목조 모듈러 주택이 더 견고해 보이네요.
@jaybee_world Жыл бұрын
정부의 농막규제로 업체들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네요. 정말 너무하는 것 같습니다.
@이대경-n1f Жыл бұрын
근데 인테리어중에 웃긴게 세탁기위에 가스렌지 웃끼다 ......세탁기는 .....참내원 똥가루 묻은 펜티를 보관및 세탁하는곳 즉 세탁기는 똥가루 묻은 머시기를 보관해야하는데 그 위에 가스렌지 !!!!! 생각이 있는지!????
@kimjames6177 Жыл бұрын
지금봐도.. 저정도 규모의 공장에서 저런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일한단 말인가? 시스템과 인프라가 아닌 사람의 노동력으로 의지하는 이런 공장이 과연... 2018년 한국의 조립식주택 공장은 그냥 가내 수공업 정도의 수준이구나.. 그래도 5년 동안 많이 발전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