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예지자? 기술의 미래를 예술의 언어로 말하다 | 김찬용 전시해설가

  Рет қаралды 55,730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Күн бұрын

김찬용 | 전시해설가
00:34 오프닝
01:30 전시 해설이 오히려 감상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닐까..?
02:22 숫자 300과 아티스트 뱅크시(Banksy)
07:20 한국 미술 작품이 서구권에 비해 가격이 낮은 이유는?
08:13 숫자 50과 도슨트 일을 시작한 계기
11:35 흥행하는 미술 전시는 대부분 현대미술이 아니다?!
12:45 최애 미술 작가는?
22:44 [넘버스 공식질문] 내가 넘어서고 싶은 인생의 숫자가 있다면?
--------------------------------------------------------------------------------------------------
🎬 LIFE IN NUMBERS(라이프 인 넘버스)미술, 스포츠, 음악, 미식의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 숫자를 초월하는 놀라운 인사이트와 그보다 더 진한 라이프 스토리를 듣습니다. 많은 기대 바랍니다💙
*이 영상은 한화생명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23
@3protv
@3protv Жыл бұрын
00:34 오프닝 01:30 전시 해설이 오히려 감상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닐까..? 02:22 숫자 300과 아티스트 뱅크시(Banksy) 07:20 한국 미술 작품이 서구권에 비해 가격이 낮은 이유는? 08:13 숫자 50과 도슨트 일을 시작한 계기 11:35 흥행하는 미술 전시는 대부분 현대미술이 아니다?! 12:45 최애 미술 작가는? 22:44 [넘버스 공식질문] 내가 넘어서고 싶은 인생의 숫자가 있다면?
@자두-r9f
@자두-r9f Жыл бұрын
김찬용도슨트님 ❤ 현대미술의 의의를 잘 들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활약 기대할게요~
@bora5592
@bora5592 11 ай бұрын
우연히 전시회에서 보고 팬이 되었어요
@J은교
@J은교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들었습니다. 예술은 나를 설레게 하는 영역 입니다.😂
@zenjeong6167
@zenjeong6167 Жыл бұрын
김찬용씨 반갑네요
@뭉실구름-g6j
@뭉실구름-g6j Жыл бұрын
김찬용 도슨트👍👍👍👍👍. 문장 하나하나….작가나 작품 관련해서 간략한 설명에선 최고이신 도슨트 -> 전달력과 공감을 제일 잘 전해주시는 분
@쑤수수
@쑤수수 Жыл бұрын
인터뷰 정말 재밌게 잘 들었어요!! 새로운 분야의 분들과 대화 넘 좋습니다😆😆👍
@3protv
@3protv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jjalee63
@jjalee63 Жыл бұрын
찬용 도슨트님이 삼프로에 나올줄이야 멋진 시간이었습니다. 고품격 삼프로TV로 거듭나네요
@정선-d3p
@정선-d3p Жыл бұрын
현대미술을 이해하는데 한 발 더 다가가는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3protv
@3protv Жыл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데보라의세상속으로
@데보라의세상속으로 Жыл бұрын
삼프로에서 김찬용도슨트님의 미술 강좌를 들으니 좀 더 새롭네요. 평소 미술 프로에서는 미술흐름에 대한 얘기위주였다면 여기에선 삶이나 경제와 어우러진 미술 이야기를 들은 것 같아 더 포괄적이였습니다
@파고파-t6n
@파고파-t6n Жыл бұрын
내공이 장난 아니네요!! 정말 인상깊게 잘 들었습니다
@3protv
@3protv Жыл бұрын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cotsap
@ccotsap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짧지만 정말 통섭의 멋진 언어들 감사합니다. ♥️
@2dul2dulhan73
@2dul2dulhan73 Жыл бұрын
앞으로의 활동이 기대 되는 분입니다
@진달래-n1u
@진달래-n1u Жыл бұрын
김찬용 도슨트님 삼프로 진출 축하드립니다
@macaus4935
@macaus4935 Жыл бұрын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네여 정프로는 그거에 의문 품고 질문하는게 좋네여
@agile154
@agile154 Жыл бұрын
미술이야말로 가장 치열한 제로 투 원의 세계가 아닌가 싶어요. 새로운 창의성을 작품으로 창출하는 행위네요. 하지만 예술의 가치를 결정하는 부분은, 창의성이 아닌 핵심 주체들과의 연결성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바라바시 교수의 생각과 데미안 허스트라는 작가를 통해 그런 느낌을 받게 되요. 모두, 모든 것이 예술가와 예술이 되게 되면서 인도의 민주주의 만큼의 혼란이 생겨나고 있다고 봐요. 칸딘스키나 피카소 앤디워홀 뱅크시 같이 0에서 10 100 1000의 로그적 도약을 이뤄내는 인물들을 살펴보며 미래를 추측해 봐야겠죠. 예술도 삶도 창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로그지표적 도약을 이뤄내는 과정이 아닐까 싶네요. 쿠웨이트 박 선생님의 말씀처럼 우리 예술 한 번 합시다ㅎㅎ
@macaus4935
@macaus4935 Жыл бұрын
시대를 잘 캐치해야 하네요
@chefearther7288
@chefearther7288 Жыл бұрын
Incredibism미술은 예측이 아닌 현실입니다. 새로운 언어이고 상대적입니다. 모두 예술의 언어가 아닌 새로운 언어를 만드는 미술을 했으면 하네요. 어렵겠지만.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예측이 아니라 예상임. 대체 뭘 측정했단거지?
@chefearther7288
@chefearther7288 Жыл бұрын
백남준 작품들은 incredibism아트에 비하면 유치원생 소꿈놀이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INTERVIEW] VESTIGE_Rhizome of Existence_Sumita Kim
13:54
MANSION9 맨션나인
Рет қаралды 1,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