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절(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달라 분사 생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를 독립분사구문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분구이 98일차 수강 완료했습니다. 5분구이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영어의비법3 жыл бұрын
98일차 인증 감사합니다 ~~^^ 쭉쭉 화이팅입니당😊😊
@bulbaseal45983 жыл бұрын
78일차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독립분사구문⁎ 1. 분사구문 (1) 분사로 시작하는 구가 있는 문장 (2) 종속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으면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로 변환 (3) 만약 종속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면 생략 불가 >> 독립분사구문 2. 독립분사구문 종속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달라서 종속절의 주어를 생략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분사구문
@영어의비법3 жыл бұрын
꾸준한 5분구이 수강 너무 좋아요!! 🥰
@user-tc9rp3lh1w5 жыл бұрын
이해가 한번에 확되네요 감사합니다
@영어의비법5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구독하시면 더 좋은 강의들 놓치 않으실 수 있어요~
@user-tc9rp3lh1w5 жыл бұрын
@@영어의비법 구독했습니다~~
@ardf105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어의비법5 жыл бұрын
댓글에 감사드려요^^
@3051최지호2 жыл бұрын
1.분사구문 (1)분사로 시작하는 구가 있는 문장 (2)종속절(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으면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핸재분사로 변환 (3)만약 종속절(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게 생략 불가 ->독립분사구문 2.독립분사구문
@영어의비법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pwtang8339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ㅠㅠ질문이 있는데요.마지막 예시The passengers had to ~as the plane being delayed.에서being을 생략해도 되나요?
@영어의비법5 жыл бұрын
네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영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분사구문을 쓰는 이유는 간단하게 줄여쓰기 위함인데 이렇게 쓰면 사실상 줄여지는 부분이 거의 없으니 잘 쓰지는 않습니다
@jamdole12305 жыл бұрын
It (was/being) sold out, I have to buy other things. 이런 예문에서 답을 being 으로 고를때, being p.p 수동의 형태로 이해해서 being을 생략하고 뒤에 sell 이 sold로 바뀐건가요?? 아니면 be동사 원형의 -ing 가 붙어서 being이 되고 sold out은 원래 형태가 sold out 그대로였고 바뀌는거 없이 쓰여진건가요?? ㅠㅠ
@영어의비법5 жыл бұрын
수동태의 be p.p에서 being pp로 된 것입니다 다만 sold out 은 이제 관용적으로 굳어진 분사여서 그냥 형용사로 다 팔린 이렇게 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2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더 많은 질문은 아래의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www.youngbeestudy.com/on-line
@jamdole12305 жыл бұрын
@@영어의비법 감사합니다!
@vermeum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항상 깔끔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질문 드릴게 있어요!(혹시나 해서 앞에 두 문장은 문맥 파악시에 필요할 것 같아 적어봤고 큰따옴표 부분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Good writers keep in mind that the reader is a perfect stranger to their garden of ingenious ideas. In fact, to her, that garden may initially resemble a tangled thicket, if not a tropical rain forest. “This being so, their job as a writer is to guide her through, step by step, so that the experience will be quick and memorable.” 1. 여기서 ‘this being so’가 독립분사구문이 맞죠? 이걸 풀어서 as(because) this is so라고 봐도 되나요? 2. 종속 접속사만 분사구문으로 만들 수 있나요? 3. 여기서 so는 앞 문장을 받는 건가요?? 이 so와 관련해서 사전을 찾아보긴 했는데 관련 문법 정보를 찾으려면 인터넷에서 뭐라고 검색해보면 될까요? 4. S2 V~, 접속사 S1 ~ing 에서 접속사가 생략이 되면 부대상황으로 쓰인다고 말씀하셨는데 혹시 접속사가 생략 가능한 예문 하나 들어주실 수 있나요? 이 때도 주절의 주어와 같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처음 들어보는 설명이라 확실히 알고 싶어요!!ㅎㅎ)
@영어의비법3 жыл бұрын
1. 여기서 ‘this being so’가 독립분사구문이 맞죠? 이걸 풀어서 as(because) this is so라고 봐도 되나요? -> 네 맞습니다. 2. 종속 접속사만 분사구문으로 만들 수 있나요? -> 아닙니다. 등위접속사도 부대상황의 분사구문이 될 수 있습니다. 3. 여기서 so는 앞 문장을 받는 건가요?? 이 so와 관련해서 사전을 찾아보긴 했는데 관련 문법 정보를 찾으려면 인터넷에서 뭐라고 검색해보면 될까요? -> 네 so의 활용도 5분구이에 있습니다. 앞 문장의 상태나 동작을 지칭하는 부사입니다. 4. S2 V~, 접속사 S1 ~ing 에서 접속사가 생략이 되면 부대상황으로 쓰인다고 말씀하셨는데 혹시 접속사가 생략 가능한 예문 하나 들어주실 수 있나요? 이 때도 주절의 주어와 같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처음 들어보는 설명이라 확실히 알고 싶어요!!ㅎㅎ) -> 네 주절의 주어와 같으면 생략하나 강조할 때는 반복해서 명사나 대명사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주절의 주어와 다르면 당연히 생략할 수 없구요. 접속사가 생략되면 부대상황입니다. He was reading a book while his wife cooking. 이때 현대 영어는 접속사 대신 전치사 with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with부대상황이라는 것을 우리가 공부하는 것이죠. 즉, with his wife cooking이 됩니다. 전치사 with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파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