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자기조절력, 18개월부터는 일상에서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l이민주육아상담소l

  Рет қаралды 307,768

이민주육아상담소

이민주육아상담소

2 жыл бұрын

#자기조절력 #이민주육아상담소 #육아정보
안녕하세요. 이민주입니다 :)
못 기다리는 아이, 못 참는 아이 '자기조절력'을 키워주셔야 합니다.
🌈 영상에서 소개된 용품/놀잇감 정보는
사진과 링크 정리해서 남겨뒀어요(내돈내산)❣️
blog.naver.com/chuchu0322/222...
-------------------------------------------------
🔸️이민주육아연구소🔸️
🏷 이민주육아연구소 교재/교구/놀이키트를 참고해보세요
👉smartstore.naver.com/zal_jaram
🏷'0~6세 똑소리나는 놀이백과’ 도서 : 집에서 할 수 있는 101가지 발달놀이를 소개해요
👉m.yes24.com/Goods/Detail/11010...
🏷'민주선생님's 똑소리나는 육아' 도서 : 0세~7세까지 단계별 지침을 제공해요
👉m.yes24.com/Goods/Detail/99397211
🏷클래스101에서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성장, 책육아 첫걸음'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어요
👉 101creator.page.link/r4s9
🏷실전육아 모습도 매주 공유하고 있어요
👉 / @leeminjoo_6
🏷인스타그램에서 놀이 일상을 공유하고 있어요 !
👉 / joo_werly
📩 Contact Mail : zal.jaram@gmail.com
--------------------------------------------------

Пікірлер: 269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 영상에서 소개된 용품/놀잇감 정보는 사진과 링크 정리해서 남겨뒀어요(내돈내산)❣️ blog.naver.com/chuchu0322/222786893033
@user-dw4se2nz4l
@user-dw4se2nz4l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궁금했는데 센스 대박♥ 감사합니다💕🥰
@user-rp6db6de7p
@user-rp6db6de7p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용 ❤
@iqvitamin
@iqvitami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지금 보고 있어요
@nuwana1004
@nuwana1004 2 жыл бұрын
1.원하는것 정확하게 표현하게 하기 2 일관성있게 훈육하기 (태도,규칙-쉽게) 3.규칙내에선 자유롭게 하도록 하기 4.기다림을 연습하기 (자기주도성,일상속 만족시키기) 5.부모가 감정,화 다스리는 모델링 되어주기 6.자기조절력을 키워주는 놀이 하기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user-uk6fc6bk2x
@user-uk6fc6bk2x 2 ай бұрын
애기가 넘이쁘네요 ㅎㅎ 엄마판박이에요~~
@user-hw1hq1eo1e
@user-hw1hq1eo1e 2 жыл бұрын
최애 육아채널~ 항상 감사합니다 민주선생님 본건데 또보고 가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이쿠 !!! 너무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힘든 육아 해가며 조금이나마 도움 될 수 있도록 부지런히 공유하고, 소통해가도록 할게요! 채널에서 일상 브이로그도 매주 공유하고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
@user-jr8dp5rx1t
@user-jr8dp5rx1t 2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모든 영상 정주행가야할것 같애요~^^ 앞으로의 육아도 응원해주세요! 화이팅!!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그럼요 ^^! 앞으로의 육아도 언제나 함께 해갈 수 있으니 함께 화이팅 해요 !!
@Joymom
@Joymom 2 жыл бұрын
민주쌤~오늘 교육 내용 너무 좋았어요~^^ 책으로만 보가가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쏙쏙 들어와요~❤️감사합니다~ 자주 올께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이번주도 도움되셨다니 좋습니다 ^^ 아이와 즐거운 주말 보내셔요 ~~!
@user-fs8sf1hl2l
@user-fs8sf1hl2l 2 жыл бұрын
민주쌤 !! 초보맘이라 영상이랑 책보고 많은 도움되고있어요 💛16개월아기 키우고 있는데 재접근기가 온건지 하루종일 안으라고하네용 낯가림도 거의 없었는데 생긴거같구요 가정보육중인데 너무 친구들을 못만나서 그런건 아닐까 걱정이됩니당 🥲🥲놀이터나 키즈카페에서 만나면 먼저다가가긴 하더라규요. 24개월까진 친구보단 부모랑 애착이 더 중요한건 알고있지만 코로나시대라ㅠㅠ 너무 못만난거같은 느낌에 조금 걱정이되는건 사실이네용 그래도 조금씩 만나게 해줘야겠죠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소그룹으로 경험을 시켜주거나, 문화센터 등 엄마와 함께 참여하면서 즐겁게 경험해보는 것을 ㅊ추천합니다 ^^ 지금은 사회성 발달의 주요 시기가 아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많은 경험을 시켜주는 것은 필요해요! 재접근기 관련해서는 kzbin.info/www/bejne/gXnCkoqKeamEjNk 이 영상 참고해주세요 ^^!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free7459
@free7459 2 жыл бұрын
똑소리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네요 쵝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잘 전달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TheSubsistencePerspective
@TheSubsistencePerspective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유익해요 ㅠ 감사합니다..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user-xw5nj9ek5p
@user-xw5nj9ek5p 2 жыл бұрын
민주선생님 덕분에 아이한테 꼭 필요한 순간들을 알게되어 참 감사합니다 영상 참고해서 우리 아이가 올바르게 클수 있도록 노력할게용 고맙습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신다니 저도 너무 감사하고 다행입니다 ^^ 언제든 육아하면서 궁금한 점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요~ 감사합니다 !
@imimimim999
@imimimim999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더더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진심이 느껴지는 행복하세요 말씀에 너무너무 행복해지네요 ^^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의 육아도 건강하게 행복하게 함께 해요 :)
@Rang1105
@Rang1105 11 ай бұрын
규칙과 부모의 태도가 아이의 자기 조절력에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지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nm9lt3lx3u
@user-nm9lt3lx3u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많은분들이 도움 받는거 같아요 멋져요 감사해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신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 어렵고 힘든 육아지만, 화이팅 해보아요 !!!
@nyaaaong
@nyaaaong 2 жыл бұрын
민주쌤 항상 좋은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항상 챙겨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user-uf5yq4rs9v
@user-uf5yq4rs9v 3 ай бұрын
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the_sun_and_the_moon92
@the_sun_and_the_moon92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딱 중요한 시기인듯 했는데 잘배워갑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시기가 잘 맞았다니 다행입니다 ^^ 오늘도 육퇴까지 화이팅 해요!
@user-wg6xe3yj5b
@user-wg6xe3yj5b 2 жыл бұрын
우와 이번영상도 너무 시기적절하게 필요한 영상이네요ㅠㅠ! 하윤이와 같은 22개월 아기키우며 큰 도움 받고있답니다🤍 자기조절력을 잘 키워주려 노력해야겠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시기가 잘 맞았다니 참 다행입니다 ^^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hw1hq1eo1e
@user-hw1hq1eo1e 2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윤이 넘나 귀엽.... 사랑스럽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핰... 너무나 감사합니다 ^^ !!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iqvitamin
@iqvitamin Жыл бұрын
육아관련 동양상 잘 보있습니다. 교구가 있어서 더 잘될거 같습니다
@user-yo1ed5sx3f
@user-yo1ed5sx3f 2 жыл бұрын
항상 도움 많이 받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다행입니다 ^^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minjung00415
@minjung00415 2 жыл бұрын
민주선생님 안녕하세요 ^^ 육아가 힘들어질때면 항상 선생님 영상부터 찾아보는 19개월 아기엄마입니다 재접근기 영상에 이어 이번 영상도 너무너무 공감되고 많이 배워가는데요 ^^ 질문이 있어 댓 남겨요! 저희 아기는 아직도 잠이 들 때 우유병에 우유를 먹으면서 잔답니다. 문제는 자다가 깨서도 우유를 어마무시하게 찾아요.. 어린이집 적응하고 떼야지 했는데 (일반적인 친구들만큼요, 아직도 하원은 제일 빨리 합니다ㅎㅎ) 적응하는데 두달 걸리고 어린이집 다니며 감기를 자주 걸려오니 아픈 시기 지나고 떼야지 이런저런 핑계로 미루고 있습니다ㅠㅠ 아기가 표현력이 늘어나며 자다 깨 보챌때 우유! 라고 외치면서 달라고 하는데, 달래면서 안된다고 계속 이야기해주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주 자지러지게 한참을 우는데 직장맘 체력으로는 한시간 반정도까지는 안아주고 달래주다가 결국 감당이 안되어서 밤에도 우유를 주고 있거든요 ㅠㅠ 독하게 마음먹고 안된다고 며칠 고생해야 하는건지.. 표현 하는데 수용되지 않을때는 어떻게 위로해주는게 좋을지 선생님 의견 궁금해요!
@user-nc9fl6or8j
@user-nc9fl6or8j 2 жыл бұрын
저도 너무 비슷한 상황이라 저의 이야기인줄알았네요..ㅠㅠ
@minjung00415
@minjung00415 2 жыл бұрын
@@user-nc9fl6or8j우리 같이 민주선생님 코멘트 기다려봐용!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밤수를 중단하는 것은 보통 6개월 쯤 되어야 하는데, 이런 저런 이유로 시기를 놓치면 습관이 되어 또 중단이 더 힘들어지긴 하죠ㅜㅜ 하지만 아이의 숙면도, 치아 건강도 여러 가지 이유로 이제는 정말 잘 중단할 수 있어야 해요! 혹시 어린이집 적응 기간이거나 재접근기, 엄마의 복직에 적응 해야 하는 시기 등 아이가 불안감을 느끼는 시기라면, 그 시기는 지나서 어느 정도 안정감을 찾았을 때 시도하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한 번에 중단이 어렵다면, 우유를 찾을 때 그냥 참기 보다는 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점진적으로 중단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물을 제공했을 때 충족되지 않아 울긴 하겠지만 이 과정에 적응해가면서 점차 우유에 대한 집착도 나아질 수 있어요! 화이팅 입니다 !!!!
@minjung00415
@minjung00415 2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네네 선생님.. 요즘은 잘 하던 치카도 거부가 와서 치아 건강이 걱정이네요 ㅠㅠ 알려주신대로 밤 우유는 끊었답니다! 저녁을 적게 먹은 날은 한번씩 먹긴 하지만요^^; 이전에 비하면 엄청 좋아졌어요~ 긴 울음도 없어졌구요 다만 아직 우유 먹으면서 잠드는건 진행중입니다ㅠㅠ 완전 습관화된것같아요ㅠㅠ 이걸 어떻게 끊어내나 새로운 고민중입니다~ 주신 가이드 따라서 물로 대체 제공해보며 서서히 끊어볼게요!
@user-yz2tg5wg9x
@user-yz2tg5wg9x Жыл бұрын
지금 딱 이런시기였는데 영상 보고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이번주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zp3sr8sr3j
@user-zp3sr8sr3j 2 жыл бұрын
윤이랑 개월수가 비슷해서인지 아이에 대한 의문점이 생길때면 마침 민주쌤이 영상을 올려주셔서 많이 도움받고있어요! 21개월 아이키우고 있어요~ 궁금한게 어른이 보는 뉴스, 스포츠, 동물이 나오거나 영어로 말하는 교육프로그램?도 아이에게 보여주면 안되는 미디어로 해당되는걸까요? 아이가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 영상을 자주보는데 보면서 이건 뭐라고 알려주고 울음소리가 어떤지 같이 따라도 해보고 하는데 이걸 계속 반복해서 보려고해요.. 엄마아빠도 힘든지라 밥을 차려주거나 쉬고싶을때 나쁜 미디어라 생각하지않고 보여주기도하는데 안좋은거겠죠...?ㅠ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미디어에 너무 집중하고 다른 놀이가 잘 이뤄지지 않고 조절이 어렵다면 중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미디어 자체가 나쁘다기 보다는 좋은 영상이나 도움 되는 매체도 너무 많지만 아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등 아직은 발달이 미숙하고 경험이 많이 필요한 단계에서 미디어라는 수단이 너무 자극적이라 그런 것입니다 :) 선택은 부모의 몫이지만, 좀 더 다양한 것을 스스로 찾고 탐색하고 집중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 더 좋겠죠?
@user-xk4kc9xd5v
@user-xk4kc9xd5v 2 жыл бұрын
이쁜 윤이 공주님 많이 사랑해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user-zf1vz2yv4y
@user-zf1vz2yv4y 2 жыл бұрын
이제 20개월인데 민주선생님 영상보면서 많이 도움받으며 육아 하고 있어요! 자기주도 행동이 많아지고 원하는 대로 안되면 고집이나 짜증을 종종 내기도 해서 아이랑 화를 참아보려고 같이 숨쉬고뱉기 3초 하고 있답니다. 이게 맞나싶고 막막할 때 맞춰서 알려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같이 행복한 육아해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저희 아기랑도 친구네요~ 앞으로의 육아도 응원하며 함께 행복하게 해나갈 수 있으면 좋겠어요 !!! 화이팅 :)!!
@kyungjungbae2376
@kyungjungbae2376 Жыл бұрын
ㄸ4
@user-mu7jf8yk2g
@user-mu7jf8yk2g Жыл бұрын
현재 16갤 아기가 너무 소리 지르며 울고 떼써서 화나고 힘든 중인데 이 영상 감사합니다💛 민주선생님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저희 채널에서 비슷한 시기 훈육법도 많이 공유해드렸으니 참고해보세요 ^^ 한창 자아가 강해지는 시기죠 !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px8je8qk3j
@user-px8je8qk3j Жыл бұрын
제가 손자 육아를 퇴근하고 하거던요 많은 도움이 되네요 낼부터 해봐야 겠어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늘 건강 잘 챙기시면서 육아 도와주셔요~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user-bc3hv6ev4t
@user-bc3hv6ev4t 2 жыл бұрын
17개월 아이맘인데 도움 받고 갑니다^^ 저희 아이가 먹을거 앞에서 특히 기다리는게 안되서 저도 막 정신없이 주면서 "아유 왜이리 보채" 이렇게 불평만 했었는데, 영상처럼 기다리라고하고 칭찬해 주면서 훈련해야겠네요~ 아이니까 기다림을 가르쳐야하는거였는데..^^;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그럼요 ^^ 17개월은 아직 기다리는 것이 어렵고 본능에 충실한 것이 정상적인 발달 단계입니다. 이제 점차, 조금씩 기다리고 참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시도해볼 수 있으니 천천히 시도해보세요 :)
@Dayeon_mom
@Dayeon_mom 2 жыл бұрын
헝헝 다연이가 요즘 얼마나 떼를 쓰는지.. 때에 맞는 영상을 딱!!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그랬군요... ^^ 요즘 윤이도 장난 아니네요.. 오늘의 육아도 육퇴까지 화이팅 하세요 :) !!
@abcrim
@abcrim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이가 19 개월인데 마침 필요하고 궁금했던 영상이어서 3 번 봤습니다 ^^ 매번 도움되는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윤이의 천사같은 모습을 보는것도 넘 좋구요 ❤️ (랜선이모팬….!) 저도 질문하나 올려보아요 요즘 넘 고민거리라서요 ㅠㅠㅠ 19 개월 남자아이, 어린이집 안다니고 계속 집에서 저랑만 붙어있는 중입니다. 예전에도 이웃사람들을 보면 낯가렸는데 그때는 애착형성이 잘 되고 있구나 생각하고 신경을 크게 안썼습니다 근데 최근 한 2 주 전부터 동네산책하는 남자들이 인사해주면 대성통곡 하면서 울고 , 엘레베이터에서도 이웃을 만나면 전에는 흘깃 보기라도 했는데 지금은 고개를 떨군다든지 제 다리에 매달려서 아예 본인시야에서 아무것도 안보이게 하는 행동들을 합니다. 양가가족들 만나면 즐겁게 잘 노는데 요즘들어 낯선 사람만 보면 소리지르면서 울고 아예 안보겠다고 시야를 가려버리니 제가 어떻게 반응을 해줘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 ㅜㅜㅜ 가끔은 퇴근하고 들어온 아빠를 보면서도 싫다고 대성통곡 합니다 ㅜㅜ 아빠도 애한테 잘해줘서 굳이 싫어할만한 이유는 없어서 저희부부가 난감할때도 생기구요 육아하시구 댓글이 많아서 넘넘 바쁘실텐데 천천히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재접근기, 분리불안이 최고 절정인 시기라 그럴 수 있어요 ^^ 또한, 인지와 정서가 발달하면서 감정도 더 세부화 되어 보일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이는 앞으로 자아가 잘 형성되고, 또 재접근기를 잘 보내어 건강한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할 때, 그리고 여러 경험들이 쌓이면서 점차 나아지는 부분입니다. 물론 기질적인 부분도 영향이 있을 수 있구요 ^^ 저희 채널에서 재접근기와 기질 영상 참고하시면 더 도움 되실 거예요~ 윤이도 한창 경계심이 높은 시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조금씩 주변에 대한 경계심이 나아지고 있다는 느낌이 많이 드네요. 영상들 꼭 참고해보시고, 이번 주도 화이팅 하세요 ^^ !!
@user-ws4lw6cd2y
@user-ws4lw6cd2y 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꾹~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sergiojung4
@sergiojung4 7 ай бұрын
하정훈 샘은 그냥 키우라던데 옛날 스타일로 그게 정답이래요..😢 전 그 스타일로 가는데 좋아요
@user-be5mw5ug2r
@user-be5mw5ug2r Жыл бұрын
민주쌤 영상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당!! 늘 좋은영상 정말정말 감사드려요😆 저희 아기가 이제 딱 17~18개월인데 너무 좋은시기에 보게되어 영광이에요 ㅎㅎㅎ 근데 요즘 아기에 대해 고민이 되는 부분이 있어서 꼭 코칭받고싶습니다!! 1. 저희 아기는 하고싶은 것을 "지금은 안되."라고 하거나 갖고놀고싶은 장난감을 다른 친구가 뺏어가면 울음이 짧은 편입니다 ㅠㅠ 엄마 입장에서는 이부분에서 케어가 수월할 수는 있지만 , 한편으로는 포기가 빠른것인지 염려스럽기도 합니다 ㅠㅠ 친구와 함께 노는 상황에서 장난감을 뺏겨서 속상해하는 그 때에 우리아기, 또 상대 아이에게 어떻게 훈육(?)을 해주고 어떤 말을 해줘야할지 난감할때가 많아서요 ㅠㅠ 무조건 우리아기한테 양보하라고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않은것 같은데.. 2. 아이 스스로 몇번 장난감을 뺏기고 나서는 다른 장난감을 갖고놀때 또 친구가 뺏으려는 듯 다가오면 먼저 그냥 내어줘버립니다...ㅎㅎ;; 그리고는 자기는 다른 장난감으로 애써 관심을 돌려보려는 모습을 보이면 엄마인 저는 안타깝고 속상한데 아이한테 어떻게 해줘야할지 모르겠어요 ㅠㅠ 바람직한 대처방법이 있다면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아직은 스스로 자기 물건, 놀잇감의 '소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하기가 어려운 단계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모델링'이 중요해요 ^^ "친구야 이건 ㅇㅇ가 먼저 가지고 놀던거라서 다 하고 빌려줄게. 기다려줘~" 라고 이야기 하면서 친구가 뺏어간 놀잇감을 자연스럽게 아이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반대로 친구가 하는 것을 뺏었을 때는 "ㅇㅇ야 이건 친구가 하고 있던거라서 빌려줘~ 하고 물어봐야 하는거야" 라며 같이 "빌려줄 수 있니?" 물어보고 친구의 반응에 따라서 "친구가 다 할 때 까지 조금만 기다리자" 라고 하며 내 것이 아니라 친구의 것을 뺏지 않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모델링을 해주셔야 합니다 :)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다른 아이에게 훈육 없이 모델링으로 문제를 해결해갈 수 있고요 ~! 양보보다는 소유에 대한 개념을 먼저 알려주어야 할 때 입니다 ^^ kzbin.info/www/bejne/r3Sbd3Sgj7mqsMk이 영상 참고해보세요!
@user-fs3ii9tm8u
@user-fs3ii9tm8u 2 жыл бұрын
친구의 장난감을 뺏을 때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을까요? 이건 친구거야, 친구가 다 가지고 놀 때까지 기다리는 거야 라고 말해주지만 아직은 받아들이지 못할 때가 많아요 그럴 땐 제가 아이가 뺏은 장난감을 억지로 뺏어서 빼앗긴 친구에게 돌려주려고 하는데 아이의 행동을 제가 그대로 하고 있는 것 같더라구요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 부탁드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직은 소유에 대한 개념이 정확하지 않고, 그렇다고 하더라도 하고 싶은 욕구가 앞서는 사회성 발달이 미숙한 시기입니다 ^^ 반복해서 알려주시고, 뺏는 행동 대신에 해야 하는 "빌려줘~ 같이 하자" 등 몸짓말과 언어를 꼭 알려주세요.
@lonalim3996
@lonalim3996 2 жыл бұрын
간단하고 필요한 내용만 딱 영상으로 만들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user-dd7tk5jc7y
@user-dd7tk5jc7y 2 жыл бұрын
18갤이라 아주후다닥 달려왔습니다!! 늘영상감사드려요~~~♡🙏 구강기가다시되돌아온것같아요즘너무스트레스예요😭😭흑흑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참 어느 시기든 육아는 쉬운 날이 없죠 ^^;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입니다 !!
@user-mz6fp6kd5h
@user-mz6fp6kd5h 2 ай бұрын
28개월 아기 아직도 원하는 거를 울고 떼쓰기만 해요 ㅠㅠ 뒤로 나자빠지는거 보기 싫어서 자꾸 요구를 바로바로 들어주는데.. 내일부터 꼭꼭 5가지 실천해볼게요 감사합니다ㅜㅜ
@gonnabe5k
@gonnabe5k 2 ай бұрын
18개월... 진짜 시도때도없이 짜증내거나 소리를질러요 외출을 못할정도예요.... 너무 스트레스받네요 오늘은 정말 못참고 애한테 소리지르고 방에들어와 찾아보네요...
@gonnabe5k
@gonnabe5k 2 ай бұрын
뭐가필요해? 물줄까? 하면 진짜 방방뛰고 소리질러요... 이럴땐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아예 소리를 지르면서 쾅쾅 난리를쳐요 매사에요 하..
@user-ze6bd9sh2d
@user-ze6bd9sh2d Ай бұрын
머릿속에 원하는게 있는데 말로 표현이 잘 안되니 짜증나서 그러는 거에요 화나지만 이해해 주면서 기다려 주는 수 밖에 없는듯 해요 ㅠ 애둘아빠 올림..
@gonnabe5k
@gonnabe5k Ай бұрын
@@user-ze6bd9sh2d ㅋㅋㅋㅋ앗 2주전에 제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군요... 요새는 좀 나아졌습니다.. 잠깐 그랬던 시기였나봐요.. 표현이안되니 소리지르는건 아직도있지만 ㅋㅋ 이젠 애교수준이네요 감사합니다^^♡
@psc8091
@psc8091 Ай бұрын
똑같아요.
@gonnabe5k
@gonnabe5k Ай бұрын
@@psc8091 좀 그러다가 지나가더라고요.. ㅠ ㅠ ㅠ 저도 잠깐동안 그 시기에 너무 스트레스받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엄청 좋아졌어용!!! 예쁜짓도 더하구요.. 얼른 지나가길..ㅠ ㅠ ㅠ
@user-wn5ro4vq8n
@user-wn5ro4vq8n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소장님 36개월 남아 엄마입니다 아이가 언어가 느리긴 하지만 단어들을 말하기 시작하고 제가 말하는 짧은 문장을 따라하기 시작했어요 발음은 안좋지만 따라하는 모습이 점차 늘고 있어요 고민이 되는 부분은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자율놀이 이외에 특강시간이 있으면 지침을 전혀 따르지 않아요 통제가 안되고 특강시간임에도 불구하도 아이가 자율행동을 하면 선생님께서 타이르거나 심한경우 제지하는데 이때 너무 힘들어하고 울고 난리가 나요 영상을 보고나니 36개월이지만 20-22개월 수준이구나 싶은데.. 괜찮은 건가요?
@livi8278
@livi8278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고집이 너무 세진 아가때문에 고민이 많은데 이렇게 좋은 영상 업로드해주셔서 감사드려요 ㅠㅠ!! 저희 아기는 다음주면 16개월이 되는데요, 요즘 정말 고집이 장난아니에요ㅜㅜ 일단 제가 설거지하는걸 너무 싫어해요... 혼자 놀다가도 설거지하는것만 보면 제 다리를 밀면서 울고불고 난리에요... 놀아달라는것도 아니고 그냥 주방에서 멀어지면 괜찮아요..😭😭 요리를 할때도 비슷할때가 있구요ㅠㅠ 제가 참다참다 못버티고 큰소리를 낸적이 두어번 있는데 그게 더 악영향을 미치는건지... 장난이 많고 말을 잘듣는편은 아니지만 ㅠㅎㅎ 설거지랑.. 먹을거 달라고 할때는 정말 생떼를 부립니다😭😭 정말 제가 화를 안내고 좋은 롤모델이 되어보자고 매일 밤 다짐하는데 쉽지가 않네요ㅠㅠ
@user-fs8sf1hl2l
@user-fs8sf1hl2l 2 жыл бұрын
저두 16개월 아기키우는데ㅜㅜ 설거지만하면 다리밀고 울고불고해요 ㅜㅜㅜ 비슷하네용
@aa01079278648
@aa01079278648 2 жыл бұрын
저희 아이는 15개월인데 저도 똑같은 상황이예요ㅜㅜㅜㅜㅜㅜㅜㅜ너무 힘들어요
@user-vu9mz6qh9p
@user-vu9mz6qh9p 2 жыл бұрын
저는 14개월인데 정말 부엌에서는 서있지도 못하겠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livi8278
@livi8278 2 жыл бұрын
어머!! 생각보다 이런 아기들이 꽤 있군요ㅠㅠ 제 주위에는 저희 아이만 그래서 유별난가.. 고민이 많은데요ㅠㅠ
@happys9594
@happys9594 2 жыл бұрын
우리애기도그래서 설거지 아빠왔을때만 가능했는데 두돌지나니까 설거지 하던말돈 관심도 없더라고요... 그냥 혼자있어서 무서웠던게 아닐까 생각하고있습니다... ㅜㅋ
@kimkyeongeun
@kimkyeongeun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힘들어도 일관되게 포기하지않고 계속 훈육을 하고 일관되게교육하면 나중엔 아이가받아들이고 잘따르게되더라고요 보육교사로일할때 같이일하는교사나 원장님이 떼를쓸때 무조건들어주거나 무조건오냐오냐하는경우는 원장님이 보일때마다 눈치보면서 일부러 더고집부리고 떼쓰고울어서 힘들어요 모든양육자가 같은방법으로 다같이 일관되게 양육해야되는데 현실적으로 그게안되니 참 힘드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아이를 키우면서 기본이 되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모든 양육자간 일관된 환경과 태도인 것 같아요 ^^ 그래야 아이 또한 혼란 없이 배워야 하는 것을 그 시기에 잘 배워갈 수 있고요. 이번주도 화이팅 해요 :)
@aa01079278648
@aa01079278648 2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보고 있어요~ 15갤 아기 육아 맘인데 양치 지도가 매번 전쟁이네요~ 양치 지도 관련 영상도 부탁드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서브채널에서 kzbin.info/www/bejne/nJe7qH17gK2nbtk 이 영상으로 양치지도 공유한 적이 있는데 참고해보셔요 ^^ !!
@bbabang_2024
@bbabang_202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희 아기는 25개월이 딱 되었어요, 낮에는 차분히 설명하면 이해하고 자제를 조금씩 해보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지난주말부터 갑자기 새벽 1-3시 사이에 일어나더니 오열을 하며 주스를 달라, 아니 아빠차 타자, 아니 음악 들려달라 이러는거에요.. 뭔가 온전한 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이랬다 저랫다를 반복하며 너무 울더라고요.. 아빠차 타자해서 알았어 타러가자 하고 그 새벽에 나갔더니 타자마자 집에 가겠데요.. 집에 오니 다시 아빠차 탄데요. 이렇게 온전한? 정신 상태가 아닐때에 훈윤을 하는게 맞는건지 이상한 고집을 피우는데 이럴땐 어떻게 해줘야하눈걸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반수면상태에서 하는 요구를 수용해주는 것은 앞으로의 수면에 더 큰 어려움을 줄 수 있어요. 이가 나거나 꿈을 꾸거나 급성장기에서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동인데, 아빠차에 가자고 해서 아이 요구에 따라 새벽에 아빠차에 가게 되면 어떤 요구를 하든 들어주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게 됩니다. 지금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요구들이 아이가 정말 원해서 하는 요구들은 아닙니다. 새벽에 잠을 자다가 주스를 먹거나 아빠차를 타거나 노래를 듣는 것이 잘못된 요구라면, 들어주지 않는 것으로 가르침을 줄 수 있어야 해요. 대신, 아이는 덥거나 어디가 불편하고 아프거나 꿈을 꿔서 무섭거나 등 이런 상황을 정확하게 스스로 파악하기 어렵고 표현하기도 어려우므로, 아이가 왜 수면 하다 깨는지 원인을 살펴 그 부분을 바로잡아 주고 도와줄 수 있어야 해요. (온습도 조절 등) 너무 울면 물 정도 제공하지만, 불을 켜거나 과하게 말을 계속 하거나 대꾸를 하지 않고 그대로 다시 수면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처음에는 1시간 이상 걸리지만 일관되게 반복하면 점차 깨지 않고 자는 것까지 도달할 수 있어요. 반대로 의미 없는 요구 사항을 계속해서 들어주게 되면 틀림없이 깨고 요구는 더 많아지고 깨어있는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user-pe2zy4lb9c
@user-pe2zy4lb9c 2 жыл бұрын
필기해가며 공부합니다. 민주샘 고마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잘 챙겨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
@fullmooniiinii9930
@fullmooniiinii9930 2 жыл бұрын
이번영상 너무 도움되었어요! 안그래도 자기전에 우유를 못끊어서 ㅠ 저녁먹고 두시간후에먹어도 우유먹고 게우고 토하고 그래도 우유달라고해서 꼭 우유를 먹고자야했는데 오늘은 진짜 20-30분 울어도 안주니 결국엔 그냥 지쳐서 잠들긴했거든요 ㅜㅜ 짠한마음에.. 약간 불쌍했는데 안되는건안된다는걸 보여주긴해야겠네요 저도 맨날 마음이 약해져서 많이울면 결국 주게되고했었거든요 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ㅜㅜ 더구나 먹고 싶어서 우는 건 부모로서 안된다고 외면하기가 참 어렵죠 ! 공감됩니다. 앞으로 이런 순간이 참 많겠지만,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으로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길 바라봅니다 ^^ !
@bu2528
@bu2528 Жыл бұрын
오늘 일이 터지고 영상을 보게되었네요ㅠㅠㅎ 아기가 비염약을 먹고있어서 졸리기도하고 일찍일어난 날이라 피곤한상태에서 무언가요구했는데 안들어주니 뒤집어지고 난리가 났어요ㅠㅠ 제가 음식을 준비하는과정에서 자꾸저를 오라고했고 음식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키친타워에 올려도보고했는데 싫다고 울면서 드러눕더라구요 음식을 다 하는건 포기하고 만들어진하나만 먹여야겠다고 생각하고 손을씻기려는데 뭐가마음에 안드는지 화장실에서 한참을 울고 밥먹는 내내도 계속 울더라구요ㅠㅠ 1. 요즘 뭐든 하고싶어하는 19개월, 식사시간에 식히려고 덜어놓은 그릇이 식탁에 있는데 (아이가 먹는것은 식판에 조금씩 덜어 하이체어에 앉아서 먹어요)그 그릇을 달라거나 그릇에있는 주걱을 달라거나 합니다. 그래서 아이가 달라고 할상황에 대비해서 또다른식판에 덜어놓거나(원래는 반찬 하나당 하나씩 덜어놓았는데 그걸 다 달라고해서 한 식판에 덜어놓으면 아이가 달라고해도 식사하는데 큰영향이 없을거같아 그렇게했어요) 안보이는곳에 놓았어요. 그런데 다시 원래 자기식판으로 달라고 하더라구요...ㅎㅎ 이럴때는 어떻게해야할지.. 제생각에는 엄마꺼라고 생각해서 만져보고싶어서 그런거같긴한데 어디까지 들어줘야하는지 고민이되요 2.외출하고 들어오면 손부터 씻으라고 반복적으로 알려주는데 신발을 신고 뛰쳐들어가 애착인형을 찾거나 놀잇감을 만지거나 도망가요ㅎㅎ 이럴때 억지로라도 안고들어가서 손부터 씻겨야할까요? 건강과 직결된부분이라고 생각해서요 3. 식사준비를 할때 자기랑 놀자고 합니다. 그래서 아기띠를 했었는데 이제는 아기가 거부하고 그래서 키친타워도 샀는데 통할때도있지만 거부하기도합니다 이럴때는 어떻게해야할까요 점심시간에는 다음이 바로 낮잠시간이라 30분이상 늦어지면 낮잠시간에 영향이가서 식사시간에 예민해지기는합니다 4.거실에 있는 장에 있는 걸 죄다꺼냅니다. 꺼내주는건 문제가 없는데 뚜껑을 열라고해요ㅠㅠ 아빠약이나 혹은 아기연고처럼 약성분이 있는건 안열어주는데 그냥넘어갈때도있지만 드러눕기도합니다ㅠㅠ 애기 눈에 안보이게 해야되는건지 아니면 드러누워도 끝까지 안된다고 해야되는건지
@jlee4552
@jlee4552 2 жыл бұрын
19개월 육아중인데 하루에 참을인을 수없이 새깁니드......😷 기질이 겁이많고 순한(?) 아이라 떼쓰고 그런건 없었는데.. 역시 18...18...18 개월 이란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더라고요🫠 도움 주셔서 감사해요! 선생님, 혹시 자기주도(?)식사 하는 방법이 따로있을까요?! 아직 어린이집은 다니진 않지만 두돌쯤 되어서도 혼자 못먹으면 어린이집에서도 창피당할거같아서 집에서 그냥 수저만 쥐어주면 될련지.... 쥐어는 줘봤으나.. 밥알이 사방에... 먹고는 잇는건지.. 밥을 더많이 준비해야하는건지.. 마무리는 제가 떠먹여줘야하는건지... 혼자먹느라 밥못먹엇을때 간식을 더많이 챙겨줘야하는건지... 넘 궁금해요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많이 힘든 시기죠 ^^;; 너무나 공감합니다 ! 자기주도식은 kzbin.info/www/bejne/o3-WmKShat14oLs 이 영상 참고하시면 훨씬 도움 되실 거예요 ^^
@user-vy4nd6uy5z
@user-vy4nd6uy5z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고민이여서요. 조언&상담 부탁드려요 ㅠㅠ아이가 30개월이고 등원한지 한달이 다되가는데 일주일만에 등원할때 울지않고 애써 씩씩하게 들어가요 근데 밥도 하나도 안먹고 밥 거부가와서 결국 밥 안먹고 하원을 하는데 잘 있다가도 엄마가 딱 보이면 집에가자 엄마 오셨네하면 그때부터 그렇게 울어요......싫어 엄마~~흐앙 싫어~~~흐아아악를 반복하며 울어요 왜그러는걸까요..... 이리와라 이리 들어와라 부터해서 싫어 반복하면서 울어요 ㅠㅠ보내지말고 더 데리고 있어야하는건가 싶고 너무 고민이에요 ㅠㅠ 제가 밥도 생각안날정도로 고민이에요 ㅠㅠ
@TV-ts8cp
@TV-ts8cp 2 жыл бұрын
저희아기도 지난달에 어린이집 처음가며 한달 정도 끝나고 나올때마다 울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아 내가 와서 너무 좋구나'라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엄마가 너무 반가웠구나~"하면서 웃으면서 번쩍 안아줬어요. 한달정도 지날때쯤 갑자기 웃으면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
@user-vy4nd6uy5z
@user-vy4nd6uy5z 2 жыл бұрын
@@TV-ts8cp 안아주면 더 난리 치고 뿌리치고 울어ㅜ바닥에 머리도ㅜ 박고 몇번은 문에 박고 ㅠㅠ 그런데요.... 그렇게 안아주면 안겨있지 않아서 원망하듯이ㅜ울더라고요 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어린이집 적응해가는 과정에서는 울지않고 들어가고, 일과 중 잘 논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엄마가 왔을 때 우는 건 더 놀고 싶다거나, 나 말고 다른 친구들은 집에 가지 않는데 엄마가 먼저 왔다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하원을 거부할 수 있어요. 그래서 담임 교사에게 이런 부분을 좀 더 잘 관찰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해주세요. 식사를 거부하는 것 또한, 적응과 관련되어있을 수도 있고 또는 집에서는 좋아하는 밥과 반찬을 주로 먹다가 어린이집에서는 그렇지 않다면 편식으로 인해 그럴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도 고려해서 판단이 필요합니다 :)
@user-lr7bv4kl3p
@user-lr7bv4kl3p 2 жыл бұрын
18개월 아기... 다 알아들으면서도 실실 웃으며 못들은척 하거나 안된다고 하는걸 하죠... 얼마나 얄밉다가도 예쁘고... 화이팅입니다 다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능글능글한 18개월이죠~ 공감합니다 ^^ 오늘의 육아도 수고 많으셨어요 !
@user-zv4ty6qz1q
@user-zv4ty6qz1q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희 아기가 이제 돌이 지났는데 식탐이 많아 밥만 보면 울고 빨리달라고 소리를 지릅니다. 밥을 차려주면 덥석 음식을 여러개 잡아 입으로 넣어요! 남편이 이 행동을 보고 자기 조절력을 키우고싶었는지 쓰읍 하면서 기다리라고 하며 아기가 좀 조용해지면 ‘이제 먹어’ 라고 하며 훈육을 하더라구요 이렇게 훈육하는것이 옳은가요..? 선생님 영상을 참고한 저는 18개월 이후에 자기 조절력 훈육을 할생각이였어요…ㅜㅜ 식탐이 많고 밥만 보면 바로 달려들어 허겁지겁 먹는 돌아기 그냥 놔둬도 괜찮을까요 선생님??ㅜㅜㅜㅜ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기다리고, 조절력으로만 해결될 수 있는 시기는 아닙니다 ^^ 조금씩 즐겁게 시도해볼 수는 있지만, 훈육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에요, 그보다는 아이 식사 텀을 좀 줄여주시거나 중간에 간식을 한 번 제공해주시거나 식사 시간을 좀 당겨주시면 좋아요. 그리고 함께 식사 하면서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모습을 모델링 해주시면서 식사 습관을 잡아갈 수 있어요 ^^
@user-ec5fw4qd4v
@user-ec5fw4qd4v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잘뵜아요~ 저희 아이는 3월에 얼집입소해서 지금 24개월이예요 1학기때는 아이가 앉아서 조곤조곤하게 놀았다곤 하는데 (대신 놀고나서 정리를 해야할 상황에선 떼를 썼다고 합니다 ㅜ) 지금 2학기들어서 최근엔 다른친구들 모방도 하고 조금더 거칠?어졌다고 해요 그렇다고 규칙을 안지킨다는건 아닌데 위험한행동이라던지 등 해서는 안되는 상황에서 안돼~ 위험해 친구들 다쳐 등 이렇게 선생님들이 얘기를 하면 바로 뒤집어져버린다고 해요 ㅠ 이부분이 제일 힘들더라구요 집에서도 안돼하면 울어버리니 ..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얼집쌤은 조금 더 지켜본다는데 ㅠ 집에서 어떻게 교육울 시켜야할지 감이안오네용 ㅜㅜ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이 시기, 아직은 스스로 조절은 어려운 시기일 수 있습니다. 자아가 강해져서 더더욱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뒤집어지기도 하고요. 그럼에도 반복해서 알려줄 수 있어야 해요. 간단한 규칙부터 조절하는 연습이 필요하고, 이는 앞으로 꾸준~히 해가며 자기 조절력을 키워주어야 합니다. 보신 영상에서 알려드린 코칭 내용으로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vllo5153
@vllo515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민주쌤 궁금한게 있어서 남겨요 21개월 여아입니다 밤 9시 방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재울려고 하면 자꾸 불을켜요 이럴때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불키고 재워야되나요? ㅠㅠㅠㅠㅠㅠ 어제 제가 컨디션이 안 좋아서 밤8시50분에 재울려고 방에 들어갔는데 또 다시 불키고 속옷 다 끄집어놓고 거실가서 티비 켜달라고 하고 그렇게 실랑이 하다가 제가 욱해서 불켜주고 티비키고 방문 닫고 혼자 거실에 냅두고 전 방에 있으니 울고 불고 난리치길래 다시 문 열어주고 저는 방에 앉아있으니 눈치보면서 슬글슬금 울면서 오더라구요 이럴때 제가 바로 안아줘야되는건지 아님 시간을 두고 달래줘야되나요? ㅠㅠ 어제 저는 계속 무시한채로 냅뒀더니 10시40분에 울면서 잠들더라구여 아이가 눈치보는것도 슬글슬금 저한테 오는것도 마음이 아프네요 저의 이런 행동이 아이한테 안좋게 될까봐 무서워요 ㅠ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질문 주신 내용은 수면교육 영상 참고하시면 훨씬 도움되실 것 같아요 :) kzbin.info/www/bejne/jJyxn6R_hbN-psk 수면 의식에서 아이가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은 환경적으로 조절 (예: 불을 켜지 못하도록 공간 구성 등) 을 해주시고,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제지해주셔야 합니다. 이제 수용언어는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이야기 하면 아이도 수용할 수 있어요.
@vllo5153
@vllo5153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민주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user-hq7lp8ku8k
@user-hq7lp8ku8k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민주쌤 육아일기만 보는 18갤 딸램맘입니다~쌤 영상으로 공부도,반성도하는 뿌듯?한 맘이되엇지요~ㅎㅎ딸램이 곧잇음 19갤에 접어드는데 두가지 문제로 조언을 얻고자 글을 남깁니다ㅠ첫번짼..아이가 웃거나 인상을 쓰며 가족들 따시기를 때립니다ㅠ저를 비롯,할비,할미등 한대쯤 안맞아본 식구가 없네요ㅠ 뭔가 불만족?스러울때 그런 행동을 하는것 같은데 웃으면서도 그래서 제가 혼란스러워요ㅠ안된다해도 계속계속..ㅠ어쩌해야될까요?ㅠ 두번짼..장난감으로 쌓는 놀이를 하다 무너지면 엄청 짜증내며 우는소릴 내요ㅠ 그러고 다시 쌓고..무너짐..짜증반복.. 낚시놀이도 잘안잡히면 낚시대 던지고ㅠ 이런 상황들을 마주치면 저도 당황해서 머리가 백지가되어 멍때리더라구요ㅠ 쌤의 절실한 조언이 필요합니다ㅠ 도와주세욥~ㅠ0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우선, 아이들이 기분이 너무 좋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자칫 공격행동처럼 보이는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해봤더니 사람들의 반응이 아이에게 인상적이었다면, 그 행동을 반복하기도 해요. 그래서 아이가 기분이 좋을 때/ 또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할 수 있는 표현방법을 반복해서 알려주셔야 해요. kzbin.info/www/bejne/jZyVeHWOfZaZjZo 이 영상 참고하시면 더 도움 되실거에요 놀이의 경우, 아이 개인이 선호하는 놀이가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이제 자아가 강해지는 시점, 하고자 하는 것이 분명한데 뜻대로 되지 않으면 부정적인 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못습이기도 하고요 :) 저희 아기도 낚시놀이는 14~5개월 때도 잘 되지 않으면 그렇게 신경질을 내며 울더라고요^^;; 잘 되지 않아 답답함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니 아가들도 그럴 수 있답니다.
@junynura
@junynura 2 жыл бұрын
1~4번까지 말씀해주신 거 다 나름대로 잘 하고 있던 거라 뿌듯했는데 역시.. 5번에서 잘하고 있는지 부끄러워졌어요 ㅠㅠ 요즘 화가 나면 아기 앞에서 화내는 모습을 종종 보인거 같아서 너무 미안해요 ㅠㅠ 알면서도 잘 안되는.. 흑흑... 진짜 더 성장하고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데 노력하면 되겠죠? ㅠㅠ 민주쌤 덕분에 다시 한 번 반성하고 저를 다잡아 봅니다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그럼요~ ! 부모도 사람인데, 무너질 때가 있죠 !! 그럴 때마다 다시 마음을 다잡고, 또 화이팅 하면 되는거죠 ^^ !! 오늘의 육아도 수고 많으셨어요~ 이번 주도 힘내세요 :)
@user-jz9sn5cj3i
@user-jz9sn5cj3i 2 жыл бұрын
헐너무귀여워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nunuumma
@nunuumma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이제 46개월 되는 5세 아가 키우고 있는데 부쩍 남자/여자 엄마 몸, 아빠 몸이 다른 이유를 궁금해해서 성교육을 진행해보려고 하는데 방법 및 책 추천 가능할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성교육 관련한 영상도 공유해드렸는데 kzbin.info/www/bejne/oWTaoauJhNR4qqc 이 영상 참고해보시고, 한번 더 제가 성교육 관련 주제로 컨텐츠 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ht8zd7kj8v
@user-ht8zd7kj8v 2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보여달라 떼쓰면 잠깐 기다리자며 10분후의 시간에 스티커를 붙여두고 10분 후에는 잊어버리던데 그렇더라도 약속했으니 그때 제가 영상 보는시간이라고 알려줘야할까요? 혹시 안 알랴줬다가 부모신뢰? 부분이 깨질까요
@allysonkim3363
@allysonkim3363 2 жыл бұрын
혹시 놀잇감을 정리한다거나 생활에서 해야하는 정리정돈, 그릇 가져다놓기, 기저귀 버리기 이런것들을 안하려는 아이는 왜 그런걸까요? 뭐든지 엄마가 하라고합니다ㅠㅠ 그릇이 나 깨끗해지고싶어 싱크대에 들어갈래 혹은 밥 다 먹으면 엄마 아빠는 그릇을 가져다놓는단다 이렇게 설득해봐도 겨우 겨우 갖다놓을까 말까 합니다. 어떤 방법으로 생활 습관을 가르치고 행동하게 하면 좋을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무조건 시키는 것을 수용하고 따라서 잘 하진 않아요 ^^ 결국 습관은 형성해가는 것이기 때문에 천천히 모델링도 해주시고, 그림책도 보면서 또 많은 경험이 쌓이면서 잘 완성해갈 수 있게 일관되게 도와주세요 :)
@ye__in
@ye__in 2 жыл бұрын
윤이보다 딱 6개월 늦은 아기 키우고 있어서 늘 너무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다행입니다 ^^ 앞으로의 육아도 함께 화이팅 해요!!
@user-zz7yt9si8u
@user-zz7yt9si8u 10 ай бұрын
😅😅​@@leeminjoo_lab😅😊 ㄷ
@estherlee6312
@estherlee6312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항상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가 마침 18개월인데요, 평소 안된다고 했던 것들( 식사 자리 이탈, 밥대신 간식을 먼저 주는 것, 과한 미디어 노출 등) 을 최근 며칠 감기가 걸려 힘들어해서 다 자유롭게 해 주었는데요. 이것도 일관성 유지를 위해 안되는 걸까요?😢 아이가 컨디션이 너무 좋지 않아 스트레스가 많고 먹기도 힘들어하는 것 같아서 모두 허용해줬거든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아프면 아무래도 생활 패턴이 모두 무너지기 마련이죠. 그럼에도 회복 후에 또 다시 잡아가는 것도 적응해가는 것도 부모와 아이의 몫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허용은 괜찮지만, 무조건적인 허용은 결국 아이가 다시 적응하는데 힘들고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거예요 ㅜㅜ
@estherlee6312
@estherlee6312 2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답변 감사합니다☺️
@user-xx9rl9rv5j
@user-xx9rl9rv5j Жыл бұрын
아기웃을때마다 넘이쁘네요 ㅎㅎ 아 러닝타워는 원목인데 다칠우려는 없는지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오래 사용하고 있는데 영유아용으로 안전하게 만들어져서 위험하진 않아요 ^^
@user-cz1pb1hz8y
@user-cz1pb1hz8y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21개월 아이를 키우고 있어요 요즘 이상한 고집을 너무 부려서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되는지 난감합니다 응가를 해서 씻기려고 하면 바지를 안벗겠다고 울어요ㅠ그리고 기분이 안좋을때 옷을 안벗겠다고 하고요 땀이 엄청 나도 계속 안벗겠다고 합니다ㅠ 그래서 아이가 울때 저도 소리치면서 혼을 냈어요 방법을 모르겠네요 그리고 아이가 아파서 어린이집을 일주일동안 안갔다가 다시 등원하니 울고불고 어린이집을 안가겠다고 하네요ㅜ 어린이집에 들어가서 3시간 정도 울었다 그쳤다를 반복해서 제가 아이를 데리고 왔어요ㅜ 이건 시간밖에 답이 없을까요? 그리고 선생님 친구들 얘기하면 고개를 저어가며 싫다는 의사를 보여요ㅜ 3월부터 입소해서 첫날 빼고 운적이 없었어요 낯가림은 있지만 느린기질 아이로 잘 등원하던 아이였어요 그런데 너무 심하게 등원을 거부하니 걱정이 됩니다 아이에게 도움이 될만한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늘 영상 보면서 많은 도움을 받고갑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아이들이 이제 자아가 형성되면서 말도 안되는 떼를 쓰거나 억지를 부리기도 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 보이는 모습이고 보통 18개월이 지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행동입니다. 저희 채널에서 대체로 이런 내용을 담은 훈육방법을 공유하고 있고 똑소리나는 육아_우리아이 훈육편 책에서 씨앗-새싹 단계 경계쯤이기 때문에 참고하셔서 상황에 맞게 훈육해 나가시면 됩니다. 어린이집의 경우, 아프다가 등원하면 그럴 수 있어요. 처음에는 뭣모르고 즐겁게 가서 탐색하고 경험하다가 영아들은 특히 아픈 후에 등원하면 다시 적응 기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ㅊ지금처럼 시간을 짧게 시작해서 점차 보육시간을 늘려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
@user-cz1pb1hz8y
@user-cz1pb1hz8y 2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답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아이가 이제 안울고 다니고 있어요^^ 알려 주신것 처럼 잘 공부해서 훈육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eanut8601
@peanut8601 Жыл бұрын
곧 18개월 남자아기인데 자기 마음에 안들면 던지는건 기본이고 화를 냅니다 바로 혼을 내는데 고쳐지지가 않아서 걱정이에요 또 안되는것을 못하게 하면 자기 머리 쿵쿵도 자주 합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대처 해야 될까요.. 그리고 애아빠랑 스킨십 하는걸 보면 질투를 굉장히 많이 하는데 자연스러운 건가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우선 자아가 강해지는데 비해 아직 전반적인 발달이 미숙하고 옳고 그름의 판단도 어려운 시기이므로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는 모습입니다 ^^ 따라서 공격행동 대신에 할 수 있는 표현법을 지속적으로 알려주셔야 해요. 저희 채널에서 공격행동을 대체하는 몸짓말 영상과 자기 머리를 때리는 등 자해행동 대처방법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
@user-sq7oh3vo1f
@user-sq7oh3vo1f Жыл бұрын
당분간 저는 16개월 훈육+재접근기+자기조절력 영상 3종을 자주보고 생각해야겠어용^^; 15개월 아기 뭔가 왔어용 ㅎㅎ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자주 보면서 실천해보시고, 힘들고 어려운 시기도 건강하게 화이팅 입니다 ^^ 오늘의 육아도 힘내세요~
@user-xk4kc9xd5v
@user-xk4kc9xd5v 2 жыл бұрын
민주님 2022년 부자되세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SECRET-ym6gc
@SECRET-ym6gc 28 күн бұрын
1. 원하는것이 있을때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기회 제공하기 ㅡ 원하는것이 있어보일때 "뭐가 필요해? 물어보고 말이나 손짓이나 표현하면 물줄까? 물주세요~ 했어? 하고 이야기하기 이 과정이 반복되면 아이는 필요하는것이 있을때 정확한 표현방법을 알고 스스로 할수있는만큰 표현가능! 2. 규칙/가이드 일관된 태도를 보여주기 ㅡ 운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는 일관된 태도를 보여주기 3. 규칙안에서는 최대한의 자율성 보장해주기 4. '기다림'을 경험하게 하기 먹고싶은것이 있을때 '잠깐만 기다려~ 엄마아빠랑 같이 먹자' '기다려줘서 고마워 덕분에 엄마가 빨래를 다 널었네' 기뻐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5. 부모가 감정과 화, 행동 다스리기 모델링이 되어주기 ㅡ무조건 참고 긍정적인 모습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 화가나서 지금은 대화하기 어려워 잠깐 기다려줘' 라고 말하거나 심호흡을 후 후 하며 화를 가라앉히거나 마음을 쓸어내리는 제스처를 보여준다면 아이또한 화났을때 이렇게 조절하는거구나 알게됨. 자기조절력 키워주는 놀이추천 ㅡ 즐겁게 춤을 추다가 그대로 멈춰라 ㅡ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ㅡ 얼음 땡 ㅡ '준비~ 출발~' 기다렸다가 출발신호에 맞춰 출발하는것 이런 놀이들이 자기 조절력을 키워주는데 도움될 수 있음.
@user-xc3rm7rk3p
@user-xc3rm7rk3p 2 ай бұрын
장난감을 잘안치우려고하고 혼내야 정리하는데 어쩌는게 좋을까요?ㅜ 뭐..안치운건 한주간 안준다고 얘기하고 안줘보기도햇고...등등..잘안되더라구여ㅜ
@user-rq8py7vm6c
@user-rq8py7vm6c 2 жыл бұрын
또 한가지 사례 추가로 질문드릴게요ㅜㅜ 15개월 저희 아기는 원체 먹는거에 큰 흥미가 없고 아기의자 이유식 의자에 앉는것을 아주 싫어해서 지금도 그냥 따라다니면서 밥을 먹이고 있어요 물론 좋지 않은 습관이란걸 알지만 저에겐 먹이는게 더 중요하거든요... 그런 아기와 식당에 가게 되었는데 그날 하필 아기 낮잠시간과 물려서 아기가 식당에서 제공한 아기 의자에는 앉아있을수 없는 상황이 되었어요 졸리기도 하고 의자에 앉기 싫어 떼를 떼를 쓴거죠... 저는 결국 아기를 제 무릎에 두고 식사를 했고 조용히 식사를 마쳤어요 (원체 떼가 많은 아기는 아니고 말귀도 잘 알아듣는 아기에요) 물론 밥은 코로 들어갔는지 몰라도요^^; 어쨌든 아기 컨디션이 딱 좋지 않은 상황에 식당에 갔고 졸리지만 안아주니 무사히 식사를 할수 있게 해준 아기에게 저는 고마울 따름인데 남편은 입장이 달라요 조절능력 예의범절 훈육 이라는 차원에서 어쨌든 아가 너는 말을 알아들을수 있고 하니 울더라도 아기의자에 무조건 앉아있어라 아빠는 풀어주지 않겠다... 이런 입장입니다..... 아기가 울어대서 어쩔수 없이 엄마인 제생각대로 하긴 했으나 남편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입장이에요 이런 상황일때 훈육이나 규칙 예의 범절을 알려주기 위해 구지구지 아기 의자에 꼭 앉혀두는것이 맞을지 그렇다면 대략 어느정도 월령에서 그렇게 교육시킬수 있을지 궁금합니다ㅜㅜ 도와주세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육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육 환경에서 양육에 참여하는 양육자가 일과 된 환경을 마련해주고 아이에게 일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고민 내용도 그렇고 우선 아이 아빠와 엄마가 그 작업을 먼저 해주는 것이 좋겠어요. 책의 파트1,2에서 보시면 양육환경에 대한 점검과 양육자의 태도에 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담겨있어요. 또한, 옳고 그름의 판단도 중요하지만 우선 아이 발달을 잘 이해하고 시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발달에 대한 내용도 확인하셔서 '씨앗단계' 코칭들 참고하셔서 실천하시면 도움 되실 것 같아요 ^^
@user-es4cc1mx9s
@user-es4cc1mx9s Жыл бұрын
19개월 여자아기에요,, 선생님 영상 늘 잘보고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너무 고민이 되어 처음으로 댓글을 남겨봅니다.. 아기가 몇달전부터 물고 할퀴고 그래서 말로 계속 하면 안돼 아파 이렇게 해주가다 안되서 손을 꼭 잡고 아주 저음으로 하면 안돼 엄마 아빠도 아파 혼나 이렇게 훈육하는데 잠깐 괜찮더니 요즘 또 그럽니다 ㅠ 너무 속상해서 눈물도 나네요 엄마 아빠 얼굴엔 상처도 나고 세게 할퀴거든요,, 돌전부터 엄마 아빠 아~진짜 이렇게 말문이 트였는데 오히려 지금은 엄마 아빠도 안해요,, 이 아기는 뭐가 답답한 걸까요 ㅠ 아빠도 일찍 퇴근해서 많이 놀아주고 하는데 뭐가 아이가 답답한 건지 ㅜ 말을 가르쳐도 할켜요,, 도와주세요 ㅠㅠㅠㅠㅠㅠ 참고로 아기성향이 겁이 무지 많고 소극적인것 같어요 낯도 너무 가리구요,, 현재 가정보육 중입니다
@ROSA-vf4bf
@ROSA-vf4bf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27개월 여자아기 키우고 있는 엄마입니다. 요즘 너무 고민이 있어서 이렇게 댓글 남겨요ㅠㅠ 두돌 전까지만해도 유모차를 잘 탔는데 두돌 이후부터 아무것도 안타려고 하고 계속 안아달라고만해요. 그래서 세발자전거도 사서 부모가 타는것도 보여주면서 재미를 붙여주려고 했지만 그것도 싫다네요ㅠㅠ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 아기도 편하고 부모도 편해질 수 있을 까요??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 재접근기라 그럴 수 있습니다. 잘 타고 잘 걷던 아이가 무조건 안아달라고 한다면, 그럴 수 있어요. kzbin.info/www/bejne/gXnCkoqKeamEjNk 이 영상으로 참고해보세요 ^^
@user-gb1gp6ef4p
@user-gb1gp6ef4p Ай бұрын
더운데 자꾸 앵겨붙고 한계가와서 아이를 들어서 침대로 내동댕이쳤더니 놀라서 울더라구요 그러고 안아주지않았어요 너무 짜증나고 저도 조절이안되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다시 미안해하면서 안아줘야하나요?
@user-ov1su7de2y
@user-ov1su7de2y Жыл бұрын
훈육은 더 일찍부터 제 가치관대로 해왔는데 갈수록 더 어렵고 힘든것이 아무래도 아니야 내가할거야 이런게 생기기 시작한 두돌이후부터 매일매일이 ... 하는 행동마다 괴팍맞으면 어떡하나요..? 아빠랑 아빠형이 어릴때부터 동네 유명한 사고뭉치얐다는데(평범한 아기들은 상상도 못하는 못된 사고치거나 스케일이 남달랐어요 그런 피를 타고났나 싶을정도로 누가 옆에서 가르치지도 않는데 이상한짓을 많이해요 옆에서 보던 친정 엄마는 그럴때 손한대 탁쳐라 식인데 그렇게따지면 하루종일 때려야한답니다.. ㅜ 예를들면 움직이는곳마다 이불을 일부러 엉망으로 끌어내리고 걸어가면서 손에잡히는 물건 바닥에 던지고 식탁에서 밥먹다가 음식 상에 문지르고 , 좋아서 엄마랑 놀다가 갑자기 머리 잡아당기고 아프다 하지마라해도 타일르고 화내보고 소리질러도 늘 반복되고 맘추질않아요 하는짓마다 문제아처럼 쉬지않고 말썽부리는데 어떻게 다스려야할지 모르게썽요 기질이 예민한편 같아요 기억력 좋고 발달도 빠릅니다 한번 말한거나 한번 봤던거 기억하는편입니다 예를들면 손닦고 수건은 여기에 걸어두는거야 지난번에 가지고놀던 노랑자동차 할머니집에 어느자리에 뒀는지, 등등 그러면 저한테 혼날짓을 알고도 어찌 매번 그 충동을 못이겨서 꼭 사고를 터트릴까요ㅠ 너무 심해서 힘듭니다 이제 저도 감정조절이 힘들고 같이 싸우고 소리지르고 기싸움 벌이고 혼내고 무관심도 해보고 모르겠습니다 대체 하는 행동 사사건건 다 문제가 심해서 친정도 시댁도 못데리고 다니겠어요 제지레가 상당히 심하고 하루에도 수십번씩 잦아요 작은 조언이나 팁좀 부탁드려요 ㅠ 28개월 남아입니다
@user-eh5xz8kg9g
@user-eh5xz8kg9g Жыл бұрын
28개월 부끄러움과 수줍음이 많은 남아입니다. 두돌전쯤엔 공공장소에서 시키는대로 인사를 잘 하곤 했었는데 오히려 요즘에는 어른들께 의무적으로(?) 인사하라고 하면 반항하듯이 손에 들고 있던 장난감을 던지고 싫다는 표현을 하며 저를 너무 난감하고 당황스럽게 합니다.. ㅠㅠ 아이에게 화를 내면 수치심을 느낄것같아서 차분하게 어른앞에서 그러면 안된다고 여러번 말하는데 사춘기 아이처럼 통하지가 않는 느낌입니다.. 인사는 자기가 하고싶든 하기싫든 해야하는거라는 것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ㅜㅜ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해당 상황에서 아이는 반항보다는 부끄러움 쪽에 가까울 듯 합니다 ^^ 이전보다 훨씬 다양한 감정을 느끼는 정서가 세분화 되는 시기로, 부끄럽고 창피하고 민망하고 등등 이런 감정을 느끼는데 아직은 옳고 그름의 판단이 어렵고 감정 조절이나 통제도 미숙한 시기이기 때문에 민망하니 괜히 장난감을 던지거나 갑자기 소리를 지른다든지, 이상한 표정을 짓는다든지 회피의 표현을 할 수 있어요. 인사를 하는 것, 예의나 생활습관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직은 아기가 어린 시기이므로 자신의 감정을 잘 인식하고 대처하는 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해요. "부끄러웠어? 안녕하세요 인사하는 건 창피한게 아니라 멋진거야" 라고 알려주고 머리 쓰다듬어 주면서 부모가 "안녕히 가세요" 고개 숙여 인사하는 모습을 모델링 해주시는 정도로도 충분한 시기예요. 아이는 부끄럽지만 엄마, 아빠의 모습을 보고 또 배울 수 있답니다 :)
@neweast80
@neweast80 2 жыл бұрын
저희 딸은 이게 잘 훈련된 것 같기는 한데 조금 특이해요 ㅋ 저희가 그동안에 아이한테 "물 줄까?" 하면서 물주고, "까까먹을까?" 하면서 과자주고 이러는걸 몇달 반복했거든요. 그랬더니 지금은 저희 딸이 26개월인데 본인이 목마르면 "물 줄까?" 이렇게 말하고, 과자먹고싶으면 "까까줄까?" 엄마한테 안기고싶으면 "엄마가 안아줄까?" 막 이러네요 ㅋㅋㅋ 엄마아빠가 하는 말을 그대로 쏙 배웠어요 ㅋㅋ 살짝 이상하지만 넘나 귀엽네요 ㅋㅋㅋㅋㅋ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모방어를 한창 하는 시기라 아기들만 표현할 수 있는 재미있는 언어들을 많이 관찰할 수 있죠 ^^ 이 시기가 지나면 또 그 상황들이 그립고 아쉽고 그렇더라구요~!
@user-gk4bi7rd9w
@user-gk4bi7rd9w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제게 꼭 필요한 영상이었어요~ 조언을 좀 구해도 될까요? 19개월 딸 쌍둥이입니다. 8개월부터 현재까지 자기주도식사 중인데 포크와 숟가락을 바닥으로 인당 20번은 떨어뜨리는거같아요~ 매번 말을 했기에 포크와 숟가락의 위치, 두는 곳은 식탁이라는 사실을 아가들도 인지는 하는데 제 눈을 보며 보란듯이 수저를 던지고 씨익 웃고 주워달라고 합니다~도미노예요. 한 아가가 하면 다른 하나도 따라하는..저도 지치기도 하고 뒷처리도 점점 버거워져서 저 나름대로의 규칙을 정해 2번의 기회를 주고 실수가 아닌 장난을 치느라 수저를 바닥에 던질경우 밥을 먹을수 없다고 알려주고 실천중입니다~ 물론 식판을 뺏긴 아이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울며 힘들어해요~ 우유를 담은 빨대컵도 그렇게 하고 있어요 뒤집어서 장난치고 바닥에 던지면 이베 우유를 먹을수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계속 해도 되는걸까요? 넘 매정한 엄마일까요? ㅠ
@user-ng2st9ed4s
@user-ng2st9ed4s Жыл бұрын
25개월 딸쌍둥이 아빠입니다.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요새 저희 애들도 자기주장이 너무 강해져서 힘든 시기인데 꼭 따라해봐야겠네요 ㅠㅠ 아자!!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자아가 한창 강한 시기죠 ^^ !! 오늘의 육아도 건강하게 화이팅 하세요 !
@eunjw78
@eunjw78 2 жыл бұрын
6월말에 만 세돌인 여자아이… 이미 너무 늦은 것 아닌가 걱정되네요 ㅠㅠ 정확하게 말로 표현하는 법 알려주고, 안 되는 건 안 된다고 하면서도 크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면 최대한 허용해주고 그렇게 하고 있는데… 워낙에 기도 세고 고집도 세고 에너지가 넘치는 아니라 너무 힘들어요 ㅠㅠ 요즘은 때리고 발로 차고 던지는 것 고치느라 너무 힘드네요. 아이가 떼 쓴다고 방에 넣고 문 닫아버리는 건 절대로 하지 말자고 남편하고 약속했었는데 요즘 이 때리는 것 때문에 남편이 못 참고 방에 넣어버리는 상황이 자주 생기고 있어요 ㅠㅠㅠㅠ 티비도 만 세살까지는 보여주지 말자던 저와 달리 외국인이고 티비를 많이 보고 자란 남편은 그럴 이유를 못 느껴서 워낙 일찍부터 보여주기 시작했는데 요즘 티비/동영상 때문에 실랑이하는 일이 점점 늘고 있어요. 너무 당연히 요구하고 끄면 울고 신경질내고 ㅠㅠ 진짜 티비를 지금이라도 없애야 하나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기가 세고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일 수록 표현도 강하기 때문에 특히 더 자지조절력에 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최대한 허용해주는 것은 좋지만 아이 스스로 옳고 그름의 판단을 배워갈 수 있게 한계를 설정해주시고, 또 환경을 통제하는 주도권은 양육자가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미디어 노출에서 조절이 어렵고 그로인해 문제가 심각하다 판단이 된다면 아예 노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user-gb1gp6ef4p
@user-gb1gp6ef4p Ай бұрын
영상 3개만 보자. 하고 말하면 18개월도 알아듣나요? 그러고도 보채면 3개봤으니 놀자 하고 다른걸 해야하는데 저도 무궁무진하게 놀잇감을 제공해줄수가없고 자꾸 안아달라는데 너무 무겁고 힘드네요 어떻게해야하지요
@user-vf3wn1hy2y
@user-vf3wn1hy2y 8 ай бұрын
전 아빠입니다 29개월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우리 딸이 어린이집에서는 아주 우등생인데 저랑 문센 이런 곳 가면 다른 아이들은 부모 품에 있어서 통제가 되는데 혼자 자꾸 중앙으로 나가서 신나서 점프 뛰고 달리고 합니다 저랑 있을 때만 그런 것 같아서 제가 원인인 것 같아요 무조건 응석 받아준 건 아니고 자주는 아니더라도 혼을 어느 정도는 내는 편입니다 무엇이 원인인지 모르겠어요
@user-rq8py7vm6c
@user-rq8py7vm6c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또왔네요^^ 아기 자기조절력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아달라고 떼쓰거나 하루종일 집에서도 계속 손잡고 걸어다니려고 하는 15개월 아기... 예를 들어 설거지를 하고있을때 안아달라고 다리밑에서 버둥거리면 저는 설거지를 멈추고 바로 안아주는데 남편은 설거지 다 끝나고 안아주라고 안아 줄수 있을때 애정표현 할때는 확실히 해주지만 기다려야할때는 기다려야 한다는걸 알려줘야한다고하는데 그래야 아기도 자기 조절력이 생긴다는 남편의 논리.... 제생각은 아기가 안아달라고 하는 요구는 정당한거기 때문에 그리고 선생님이 말씀 하신 것처럼 엄마랑 몸만 떨어져도 불안해하고 안고 있어도 안아달라 하는 시기가 있으니 애정표현에 있어서 만큼은 시간차 없이 요구가 있으면 대부분 바로바로 충분히해주고 있는데 제가 외출을 하거나 남편과 둘이 있으면 안아달라느니 뭐 해 달라는 요구 없이 떼쓰지도 않고 남편은 집안일 하고 아기는 혼자서 책도 보고 잘 놀기만 한다고 하는데... 그럼 아빠랑 있을때는 뭐 불안하거나 그런게 아니야는데 이부분은 제가 할말이 없더라고요 남편은 육아에 있어서 되는것과 안되는것을 확실히 애초에 구분하긴 했거든요 남편에게는 일절 떼도 안쓰고 혼자잘놀고.... 이부분이 어떻게 설명이 안되네요 자기 조절력을 위해서 아기의 안아달라는 요구도 일정 시간 기다리게 해도 되는건지 그부분은 자기조절 영역과 조금 별개가 아닐까 싶어 저는 바로 바로 안아주는데 그부분이 잘못된건지 궁금 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엄마와의 분리가 굉장히 불안감이 높은 시기일 수 있어요. 반면, 엄마가 아닌 아빠와 있을 때는 오히려 크게 반응하지 않고 혼자 잘 놀이하고 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모습이기도 합니다. 참 어렵긴한데, 이 상황에서는 '적당히' 라는 말이 필요해요. 설거지를 멈추고 곧바로 안아줘야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무조건 기다리라고 하고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어려운 시기입니다. 저는 보통, 어느 정도 기다려볼 수 있도록 엄마 설거지 하는 동안 안전한 주방 용품들을 제공해 엄마 근처에서 냄비 두드리고 집게나 국자 가지고 놀이하는 것으로 시간을 두기도 하고, 곧바로 안아주진 않더라도 "ㅇㅇ야 엄마 다리 잡고 잠깐만 기다려줘~ 엄마 조금 남았어"라고 하고 설거지의 양을 조절하여 (반정도 하고 중단하는 등) 너무 오래 기다리진 않더라도 어느정도 만족을 지연 시켜주기도 합니다. 엄마가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 중단하고 안아주지 않는다고 해서 불안정애착이 형성되진 않아요. 아이 반응에 몸은 설거지를 하고 있지만, 눈 맞추며 "엄마 안아 달라고? 잠깐만 기다려" 이런식으로 잘 반응해주는 것 만도 충분해요 ^^ 그 시간이 너무 길면 아이가 힘들기에 아이 발달 수준 정도에, 적당히 맞춰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user-gx8hk8kf7z
@user-gx8hk8kf7z 2 жыл бұрын
지금 만4세가되었는데 어릴때 훈련이 잘안되어 지금 자기조절이 잘안되는 떼쟁이 아이가 되었어요. 이걸 지금 해결하려하는데 너무힘드네요. 언어나 발달도 느리고 사회성도 떨어져서 더힘든데. 이시기에는 어떻게 해줘야하는지 .. 가이드를 좀 제시해주실수있을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마 정서적으로도 이전보다 훨씬 세분화되면서 스스로 느끼는 감정이 더 다양해졌을 거예요. 예전에는 그냥 부정적으로 느끼는 화남, 속상함, 슬픔이었다면 이제는 섭섭하다거나, 민망하고, 실망스럽고 등등 이런 감정들을 상황마다 더 민감하게 느낄거예요. 그래서 자기 조절이 어렵기도 해요. 하지만 이 시기 배워가야 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아이의 감정을 우선 공감해주시면서 언어화해주셔서 스스로 느껴지는 감정이 무엇인지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user-gx8hk8kf7z
@user-gx8hk8kf7z 2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답변감사합니다. 다양한감정에대해 이야기해줘야겠네요
@user-bi3gl4ps1t
@user-bi3gl4ps1t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30개월된 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오늘 있었던 일 같은 경우에는 기저귀에 한 번 쉬아를 했는데 쉬아했다며 좋아하는 자전거를 타지않을 정도로 불편함(?)을 표현하더라구요 몇개월전부터 배변훈련을 시작하긴했는데 집에서 가끔 팬티를 입고 있다가 시간이 돼서 쉬아하자고 하면 안한다고 하고서는 바로 바지에 실수를 하곤합니다 아기가 표현하는거나 선생님 동영상으로 확인해본 결과 배변활동의 적기라는 생각이 들고, 저도 선생님 조언처럼 잘따라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아기가 이렇게 자꾸 거부 아닌 거부를 할 땐 어떻게 해야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충분히 금방 기저귀를 뗄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아직 기저귀가 편한건지 싫다는 표현을 자주해 걱정이 많네요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두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변기에 대한 불편함 또 하나는, 변기에 가서 쉬하는 것이 귀찮아서 일 수 있어요. 전자라면 변기에 친근감을 느낄 수 있게 충분히 놀이, 그림책, 모델링 통해서 시간이 필요하고 후자라면,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쉬 먼저 하고 놀이 할 수 있게 습관 형성을 도와주셔야 합니다 ^^
@user-rm6sh9bb8l
@user-rm6sh9bb8l Жыл бұрын
18개월 아기 인데 저때의 윤이랑 저희아들 발달 차이가 많이나긴 하네요 뭐 해줘야 할지 막막하네요 ㅜ😂 유트브에 관련 영상 마니 찾아봐야겠네요 아이가 아파서 맨날 휴대폰영상만 보여주는데 미안하네요
@bandal2112
@bandal2112 Жыл бұрын
22개월 조금 크니까 말귀도 잘 알아듣지만 자기주장에 쎄져서요 요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때가 많은데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올해의 마지막 주네요. 이번주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jr4jy9be2n
@user-jr4jy9be2n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민주쌤! 설거지놀이할때 윤이가 밟고 올라서있는 발 디딤대 어떤건지 알러주실수 있나요? 저렇게 높고 옆에 가드?처럼 되어있는게 잘 없어서요ㅠ
@soyoungjeong1342
@soyoungjeong1342 2 жыл бұрын
저거 아마 러닝타워일거에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link.coupang.com/a/m6f7u 이거예요 ^^!! 영상에 나오는 용품은 더보기 정도란에 모두 남겨두고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user-ex1er2pn6c
@user-ex1er2pn6c 2 жыл бұрын
요즘우리아기가18개월인데 딱궁금했는데 넘좋은정보네요.ㅎ.ㅎ 혹시아기싱크대올라가는 그계단이요 윤이가싱크대위에올라탄.원목으로된디딤판 브랜드알수있을까요 지금사려고하는데마땅한게없어서요.ㅜ
@user-nh4ub8cf3l
@user-nh4ub8cf3l 2 жыл бұрын
저도저도 궁금해요 ㅋㅋㅋㅋㅋ 내용도 내용이지만 아기 싱크대 사줘야겠다 하면서 봤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c5zr4nf6m
@user-lc5zr4nf6m 2 жыл бұрын
러닝타워인가?그걸거예요ㅎㅎ
@jslee1129
@jslee1129 2 жыл бұрын
러닝타워 네이버에 검색하시면 나올거예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제가 사용하고 있는건 link.coupang.com/a/m2854 이 제품이예요 ^^ !!
@user-db4gf3tu2c
@user-db4gf3tu2c 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6살 3살 아이 키우고 있는 엄마 입니다~ 잠자리독서를 꾸준히 해왔는데 둘째가 현재 20개월인데 어리다보니 첫째 책 읽어 줄때 책을 던지고 못 읽게 하네요~어떻게 해야 할까요
@taerimine
@taerimine 2 жыл бұрын
정말 요즘 너무 힘든 18갤인데 선생님 영상보고 조금씩 배웁니다 전 일관되지 못하게 아가한테 육아하고 있었어요 !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너무너무 힘든 시기죠 ㅜㅜ 이 또한 잘 발달해가는 과정이기에 화이팅 입니다 ^^!!
@user-me6df9lt3v
@user-me6df9lt3v 2 жыл бұрын
지금 아기가 막 19개월 접어들었는데, 돌 직후부터 자기주장이 너무 강해 육아방식이 다 바뀌고, 하나부터 열까지 제동이 걸리고 있습니다. 그후 저도 저의 육아방식을 점검해보면서, 영상에 나와있는대로 안전과 건강에 해치는게 아니라면 충분히 시간과 기회를 주며 자유를 주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규칙과 한계설정을 무너뜨리고, 무작정 떼를 쓰는 경우가 늘었습니다. 제일 큰 애러사항은 목욕인데요, 물을 좋아하는 아이인데도, 목욕하자고 설득하는데 한참(20분)입니다. 요즘 또 다시 육아의 방향성을 잃어버린것 같아, 두서없이 댓글로 하소연해봅니다...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이제 자아가 형성된 시기에서 지나 자아가 강해지는 시기입니다. 표현도 더 강해지고, 그만큼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순간들이 매일 연속일거예요. 아이의 행동에는 변화가 생기고 대처가 어려워지는 건 사실이지만 한계 설정이 무너지면 안됩니다. 한계설정은 말그대로 아이가 환경에 적응해가야 하는 설정이기 때문에 아이의 반응에 따라 설정의 범위가 달라지진 않아야 해요. 다만, 아이가 잘 적응해갈 수 있게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일관되게 그 방향으로 알려주고 대처해주어야 합니다. kzbin.info/www/bejne/bIOZl6uQbr-Yr80 이 영상이나 에서 씨앗~새싹 단계 참고하시면 훨씬 도움이 되실거예요 :) 화이팅 하세요 !
@jaewon-gv7uf
@jaewon-gv7uf Жыл бұрын
아기가 물이 필요할때 물 이라고 하지않고 암 이라구해요 아빠가 암 이라고 가르쳤기 때문에 돌쯤부터 암 이라고 했는데요 계속 물 이라고 가르쳐도 물이라고 발음할 필요성을 못 느끼니까 바꾸지를 않더라고요 물 이라고 할때 물을 줘야할지 암 암 이라고 하는데 물을 줘도 되는지 혼란스러워요
@kimyerim_tv
@kimyerim_tv Жыл бұрын
아기가 31개월인데 22개월때 시부모님한테 맡겼어요.해달라고 말하기전에 알아서 다해주다보니 어쩌다 안해주면 떼쓰고 소리지르고 때리고 난리도아니네요. 오늘 아들보러 왔는데 그런모습보니 제 아들이지만 너무 놀랍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저희가 키울려고 마음먹었어요.이대로 가다간 애가 제대로 못자랄것 같아서요. 이제 본격적으로 교육시킬려고 하는데 많이 늦은건 아니겠죠? 노력하면 고칠수 잇겠죠? 잠도안오고 너무 답답해서 댓글 남깁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그럼요 ! 앞으로의 날들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양육 환경을 점검하시고, 일관되게 잘 해나갈 수 있길 바라봅니다 ^^ !! 하시면서 궁금한 점은 댓글 남겨주세요. 화이팅입니다 !!
@user-io6gy7tc3o
@user-io6gy7tc3o 11 ай бұрын
밥을 잘 안 먹고 아풀때도 많아서 동영상을 보여 주면서 밥 먹이는데 이제 영상 아니면 밥을 안 먹을려고 해요 ㅠ 안보여 주면 악을 쓰고 우는데 이럴땐 어떻해야 될까요 ㅠ 밥도 잘 안 먹고 보다가도 다른거 다른거 보여 달라 하구여 ㅠ
@chloekh4473
@chloekh4473 2 жыл бұрын
요즘밖에나가면 도대체집에들어갈생각을 안하고ㅠ 울고때쓰고 너무힘든 17개월아가입니다 1시간 을 기다리고 2시간을 기다려고 가겠다고안하고 단호하게 가야된다고도해보고 숨어도 보고..ㅠㅠ 집안에서는 그렇다쳐도 밖에서 그러면 특히 잠자기전에는 집에대려올때매번 온동네가 떠나가게 엄청나게 통곡하며 힘겨루기를하며 안고데려와요ㅠㅠ 밖에서 위험한길에 손잡기도힘들고 매번쫒아다니는데 너무힘들어서 혹시 그럴땐 어떻게해야할까요ㅠㅠ 자아가생기는 시기라ㅠ훈육쪽인듯하여 궁금합니다ㅠㅠ 또 기저귀갈때나 옷갈아입힐때 안한다고하면 기다리다 억지로갈아입히는데ㅠ 이럴때두 억지로해도괜찮을지 의문이에요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이제 자아가 점차 강해지는 시기로, 싫고 좋고도 분명해지고 자기 주장도 강해지죠. 하지만 아직 전반적인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옳고 그름의 판단도 어렵고, 조절은 특히 더 어려워요. 아이가 어떤 것을 잘못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훈육이 필요하진 않지만, 바깥놀이는 1시간 정도 하고 들어가는 루틴이라든지, 기저귀를 갈거나 옷 갈아입어야 할 때는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것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환경적으로 조절해주는 것이 필요해요. 대신 아이가 더 놀고 싶은 마음과 기저귀 갈이 하기 싫은 마음은 충분히 공감해주시면서, 그래도 왜 해야하는지 간단한 문장으로 알려주시며 일관되게 해주시면 기본적인 규칙에 적응해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이가 따라와 줄 수 있는 적절한 한계 설정이 필요해요 ^^ 그리고 그 한계 안에서는 최대한 자유롭게 주도성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셔야 해요.
@chloekh4473
@chloekh4473 2 жыл бұрын
@@leeminjoo_lab 답글 감사합니다! 엄마도기준을가지고 꾸준함이필요하겠네요!! 😭 항상 많은도움받습니다!!화이팅이세요!!
@user-gd9yu7vh6y
@user-gd9yu7vh6y Жыл бұрын
떼쓰는 아이에 대한 동영상을 찾아보다가 알게되어서 감사한마음으로 잘보고 참고하고 있는 보육교사입니다. 조부모님과 함께 사는 제가 담임을 맡고 있는 18개월 남아가 있는데, 유독 엄마에게만 떼쓰고 머리나 안경을 잡아당기고 버릇없게 굴더라구요.. 어린이집에서는 잘 웃고 양보도 잘하고 별 문제없고, 집에서도 다른 식구는 별로 힘들게 하지않습니다. 엄마가 너무 허용적인것 같은데, 훈육의 필요를 말씀드려도 두돌전까지는 위험하지만 않다면 훈육할생각이 없으시다고 하시네요~ 어린이집등원할때도 엄마랑해어지는 그 순간만 떼쓰며 엄마를 찾고 바로 뚝 그치고 잘 놀고생활 합니다. 어머니께 훈육의 필요성을 어떻게 말씀드리면 받아들이실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훈육을 하세요' 보다는 모든 양육자가 일관된 태도로 양육을 하는 것이 아이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것임을 알려주면 좋아요 ^^ 사실, 필요하고 알려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가정에서의 훈육은 또 엄마의 몫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강조하다보면 신뢰관계가 깨질 수 있어요. 그러므로, 어린이집에서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가고 있다는 것을 필요 시 전달하여 "가정에서도 함께 도와주세요" 이 정도로 알려주면서 점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
@drk5609
@drk5609 Жыл бұрын
19개월아들입니다 아기가 하고싶은게 있는것 같은데 몇번표현하다가 금방포기해요 이제 뭔가 규칙을 알려주고 싶은데 뭔가 흥미가 없으면 그냥 바로 다른거해요 이미 흥미를 잃어서 집중도 안하고 자기할일하러가요 흔히 내가내가병이라고 혼자뭔가를 하려고 한다는데 그런거도없고 제가 하라고하면하고 마지말라고하면 세번?정도 졸라보다가 포기하네요 떼도 안써요 울지않고 징징거리지도 않아요 이제까지 순하다고 하면서 양육했는데 이렇게 놔두는게 올바른 양육방향일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아직은 표현언어도 전반적인 발달도 미숙한 단계이므로, 사실 아이가 몇 번 표현을 할 때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나름대로 몇 번 표현을 시도했는데 양육자가 그에 맞는 반응이나 피드백이 오지 않으면 표현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질에 따라서 그 정도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요 ^^ 흥미를 잃고 자기할 일 하러 갈 때는 아이가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흥미가 있는지 관찰해서 그 부분을 북돋아 주시는 것도 필요하고요 :)
@jinj2820
@jinj2820 2 жыл бұрын
10개월된 에너지 넘치는 사내아이를 기르고 있는 아빠입니다. 아직 시기는 아니지만 좀더 컸을때 많은 도움이될것 같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저희 아기 11개월 때부터 일상, 놀이, 상호작용 등 육아 모습을 채널에 매주 공유하고 있어요^^ 브이로그 채널도 도움되실 것 같아요! 장마철 건강 유의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christinepark6243
@christinepark6243 Жыл бұрын
민주쌤 늘 많이 배우는 아기 엄마입니다. 아기가 19개월이되었는데 고민이 있어요. 1. 단어 정도는 한국말로 잘하는데 미국 거주라 어린이집을 영어만 하는곳을 가게되었어요. 그러면 기본적인 단어를 미리 영어로 가르쳐야할까요.. 아이가 가서 처음듣는 언어에 스트레스 받을까 걱정돼요 2. 떼쓰는게 심해지기는 하는 19개월인데, 아기가 누군가 때리는걸 본 적이 없는데도 “악!” 하면서 어른들 눈치를 보면서 엄마나 아빠를 때려봐요. 그래서 단호하게 “때리면 안돼, 아파” 이렇게 말해주는데 그러면 씩 웃으면서 애교를 부려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때리면 어른들 반응이 다르니 장난치는것같은데.. 3. 마지막으로 아이가 혼자 뭘 하는걸 좋아해서 스스로 하게 많이 지지해주는데, 예를들면 유모차를 자기가 밀겠다고 해서 놔두는데, 들고 가고싶은거에요. 그건 불가능한거라 “그건 무거워서 들 수가 없어” 라고 말해줘도 막 울어요. 그리고 도와주려 하면 더 울어요. 할 수 없는걸로 스스로 짜증이 났을 때 그걸 설명해주기가 아직은 어려운 나이인데 이건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선생님!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일단 지금은 아이가 생활속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먼저 알려주면 좋아요. 기관에서 자기 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고, 자기 의사 표현이 단어로 가능한 정도가 되면 이중언어 노출도 괜찮아요 ^^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하고 단호하게 안된다고 알려주세요. 특히 때리는 행동 등 위험한 행동은 장난으로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반복해서 알려줘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양육자가 일관되게 알려주셔야 해요. 마찬가지로, 아이가 할 수 없는 수준의 것을 하려고 할 때는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한 후 기다려주세요. 설명해주면 어느 정도 이해는 하지만 아직 자기조절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떼쓰고 짜증내고 울 수는 있어요. 그럼 잠깐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이가 하고자 하는 것은 미리 알아채고 좀 더 쉽게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도록 아이가 눈치채지 못하게 조절해주시면 가장 좋고요 ^^ 이는 아이가 발달해감에 따라서 신체 조절도, 또 자기 조절도 능숙해지며 자연스럽게 나아질거에요 !
@user-fp7sb6ks4x
@user-fp7sb6ks4x 2 ай бұрын
지금7세여아인데 이런모든걸해준게하나도없어요ㅠ 아이가 아침에 뭐해야해 그다음은 뭐해야해 등 이런식이예요.어떻게해야하죠?
@user-hq6tr6vw9z
@user-hq6tr6vw9z Жыл бұрын
18개월 아이예요 요즘 엄마아빠 머리를 때리거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네요 안된다고 말해도 놀이인줄 알고 재밌어해요 지금 어린이집에 다니는데 친구들한테도 한번씩 그러는거 같아요 선생님이 안된다 말하면 좋아하고.. 안된다고 계속 말하면 안하게 될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Жыл бұрын
안된다고 말을 하더라도 단호하고 정확하게 훈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직 전반적인 발달이 미숙하여 바로 행동 수정은 어렵지만, 아이가 좋아하고 재미있어 한다는 것은 안된다는 의미 자체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어요. 더불어, 어떨 때 잡아당기는지 살펴본 후 올바른 표현법도 함께 알려주셔야 해요. 함께 놀고 싶고 관심을 요구하는 표현이라면 그에 맞게 몸짓말이나 언어를 알려주세요 :)
@user-ln4ym7kl8d
@user-ln4ym7kl8d 2 жыл бұрын
민주샘 안녕하세요 이전부터 영상을 쭉 즐겨보던 26개월 남아 맘입니다. 선생님께 간절히 코칭 원해서 댓글남깁니다. 주로 제가 혼자 아이를 집에서 돌보다 이번달 초부터 어린이집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거의 처음으로 저랑 떨어져 낯선환경에서 보낸경험을 2-3일 했습니다. 둘째날부터 격하게 울었고 이후에는 오히려 시간을 줄여서 진행했고 지금은 3주차지만 어린이집과 이야기 해서 저랑 함께 어린이집에 들어가 천천히 익숙해지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는 예민한 기질인듯합니다.어린이집 경험 직후 아이가 졸리다던지, 자다 깨는 일이 있다던지 그런경우 하루 한번이상(오늘은 저녁 내내 다섯번 넘게 격하게 아이가 탈진하는 것은 아닐지 걱정될 수준으로)격한 떼를 씁니다. 그런데 최근들어 이사를 두번이나 진행하면서 지금까지 지내던 환경이 변하기도 했고 저도 너무나 바빠서 아이와 놀아주는 시간이 줄기도 했어요.(그래도 거의 대부분을 시간을 아이와는 같이 있습니다) 이런상황인데 정말 말도 안되는 떼를 쓸때 훈육을 해야 하는 것인지(몇일전에는 핸드폰을 보다가 의자뒤로 넘어가 먼지가 묻어 휴지로 닦고 변기에 버리니 그 휴지를 꺼내달라, 물을 내려도 그 휴지를 꺼내달라 격하게 악을 악을 쓰며 떼를 썼습니다ㅠ)정말 너무너무 힘들어요. 한번도 때려본적없는데 몇일전 등짝한번 세게 내리치게 됐고 오늘은 차안에서(요즘은 밤잠도 무조건 차로 운전해서 재웁니다ㅠ) 제가 아이에게 해선 안될말도 하고, 그만하라고 소리를 크게 질렀어요. 아이가 가장힘들텐데 인내심 없고 감정조절 못하는 제 모습에 또 한번 죄책감이 듭니다ㅠ 이런 모습이 훈육을 해야 하는 건지. 환경변화가 많으니 일단 수용해야 하는 건지. 그리고 잠과 관련된것처럼 주로 졸린 상황에서 나오는 것 같기도 하구요...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발 상담 부탁드립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어떤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가르쳐야 하는 상황에서는 훈육이 필요하지만, 지금처럼 환경에 대한 적응이 힘들고 스트레스로 인해 울고 떼쓰는 행동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감정에 대한 수용이 필요합니다. 최대한 안정감을 느끼도록 해준다든지, 좋아하는 놀이, 스킨십, 산책, 좋아하는 간식 등 이런 것들로 어느정도 해소가 필요해요. 어린이집 적응은 보통 1~2개월정도 걸리는데 기질에 따라서 4~5개월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아이가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하지만, 사실은 그 행동 자체보다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마음이 원인입니다. 많이 힘들고 어려울 것 알지만 2~3개월 정말 마음을 크게 먹고!! 화내거나 체벌하지 마시고, 많이 안아주고 만져주고 웃어주는 것으로 최대한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낮춰주세요~ 그래야 좋아질 수 있어요!
@user-sq8us5rp2o
@user-sq8us5rp2o Жыл бұрын
제발 화내고 때리지 마세요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6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아기와 놀아주는 법 || 놀이에 집중하는 아기를 만드는 양육자의 습관
9:40
베싸TV, 과학과 Fact로 육아하기
Рет қаралды 709 М.
화내지않고, 올바르게 훈육하는법!!(feat.오은영박사)
19:30
교육대기자TV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자기 주도성 이 영상 하나면 해결!
13:17
오은영의 버킷리스트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How I checked the autism spectrum with play
6:50
지식황 Iamgrowingup
Рет қаралды 645 М.
매일 20초 동안 아이 안아주자 나타난 놀라운 변화
7:53
책식주의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