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6' 저자와의 대화

  Рет қаралды 253,773

오마이TV

오마이TV

13 жыл бұрын

경복궁 근정전의 박석은 울퉁불퉁 제 멋 대로이지만 알고 보면 큰 비가 와도 사이사이 물이 흘러 잘 빠지게 만든 조선시대 사람들의 지혜가 담겨있다. 이 지혜의 아름다움을 보고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 명지대학교 교수는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라고 감탄했다.
삶의 도처에 숨어있는 고수들을 만나게 되고 그들을 통해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다는 의미인 유홍준 교수만의 감탄사. 여섯 번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부제이기도 하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권 출간기념 저자와의 대화에서 유 교수는 문화유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풀어냈다. 이날 저자와의 대화는 오마이뉴스, 인터파크, 창비 주최로 16일 오후 서울 대치문화센터에서 열렸다.
두 번째 시즌을 선언하며 10년 만에 돌아온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서울의 상징인 '경복궁'과 '광화문'에 얽힌 숨은 이야기, 고도 '부여'에서 발견하는 백제 미학의 정수 등을 담고 있다.

Пікірлер: 52
@user-dx9dd9oy2v
@user-dx9dd9oy2v 11 ай бұрын
이 시대의 대한민국 보물 제1호 유홍준 교수님!!! 무병 장수 장수하셔서 후손들에게 우리 찬란한 문화를 잘 가르쳐 주시길!!!
@violit22
@violit22 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오래오래사세요.
@user-lg8xr8jm9r
@user-lg8xr8jm9r 3 жыл бұрын
존경 합니다언제들어도 감동입니다 공부할것도 너무많고 꼭 알아야할것도 많아 또공부합니다
@user-ru7ou2to8q
@user-ru7ou2to8q 3 жыл бұрын
나라의 보물이신 교수님 ❤ 정말 감사합니다💖
@user-ul6tf1rh1x
@user-ul6tf1rh1x 2 жыл бұрын
유홍준교수님이 세상에서 젤 좋아아요~~~🤩🤩🤩
@naturefruitmineralwater6307
@naturefruitmineralwater6307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vb4cv4rr7c
@user-vb4cv4rr7c 11 ай бұрын
😅
@user-ru7ou2to8q
@user-ru7ou2to8q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들어도 푸근하며 역사문외한인 저에게 상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려요 ㅋㅋ💫💫💫💫💫💫💫지금 이라도 많은 역사서적 정독 하겠습니다🤷😊😊
@mac2949
@mac2949 3 жыл бұрын
유홍준교수님은 우리 문화 우리 삶의 존재감을 부여하신 분 배움을 재창조하신 분
@user-lj9ep4fs7n
@user-lj9ep4fs7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문화역사를 올바로알수있어서 감명깊었읍니다
@user-ks5ob3bo6c
@user-ks5ob3bo6c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c3vr1sc5g
@user-jc3vr1sc5g Жыл бұрын
유홍준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user-cf7ch6um8f
@user-cf7ch6um8f 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흥미롭네요.. 여유로운 휴가를 이렇게 보내면 행복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s3gr8je3f
@user-vs3gr8je3f 3 жыл бұрын
나라의보석이시네요 유교수님
@hi-uy1lp
@hi-uy1lp 9 жыл бұрын
강의를 들을때마다 처음가는 산에 등산하다 쉼터에서 땀닦으며 표주박으로 약수 한잔하는 느낌이구나. 유홍준교수님 건강하시고 좋은글 많이 남겨주삼.
@user-co9po8pi8v
@user-co9po8pi8v Жыл бұрын
더많은 집필 부탁드립니다 건강하세요
@user-jy3yl1ls6i
@user-jy3yl1ls6i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존경합니다.
@user-zu4fb9ni4e
@user-zu4fb9ni4e 7 жыл бұрын
정말 이제는 우리가 우리문화의 자긍심을 가질수있다고 봅니다 교수님감사합니다
@wallacetorin5678
@wallacetorin5678 2 жыл бұрын
I guess I'm pretty randomly asking but does anybody know of a good place to stream newly released movies online?
@user-pr5bs7ld3y
@user-pr5bs7ld3y Жыл бұрын
유흥준 청장님! 산림청에서 150만평 뺏긴게 아니고 금강송 150년 잘 키워 궁궐로 시집 보내기로 한 거죠. 나무를 키우는 사람은 딸 가진 부보같아요. 나무는 요긴하게 쓰려고 기르는 거 잖아요. 대한민국 최고의 금강송을 최고의 문화재로 쓰겠다는데 환영할 일이지요. 우리 150년간 건강하게 살아 남아서 그 약속 꼭 지킵시다. 당시 산림청징 조연환 드림
@jeongdonghwa9880
@jeongdonghwa9880 6 жыл бұрын
유홍준 교수만큼 문화적 지성과 통찰이 명석한 사람이 문화부장관 되었으면 좋겠다. 문화르네상스는 사람으로부터 오는 것이니까.
@user-sk3we5wk5v
@user-sk3we5wk5v 5 жыл бұрын
문학적 지식은 어디로 부터 오나요. 청하고픈데 유홍준 교수님의 답변이 필요합니다. 제가 그만큰 사랑해야 될것 같아서요.
@otaqoo
@otaqoo 11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에 대한 비판의식을 잠시나마 내려놓고 미학적 관점의 접근으로 역덕후에게 또 다른 재미를 주었던..ㅎㅎㅎ 알면 알수록 신기하고... 옛날분들도 대박이지만.. 현재 이쪽일 종사하시는 분들 진짜 대단하시다는 생각...ㅋ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대장간이 필요하네요. 아직은 다른 곳은 몰라도 장인을 보았어요. 증평 청안 나들이 시장 들어가는 곳 증평 농약사 뒤에 남아 있어요. 아마 인간 문화재인데. 소멸되었어도 물어보면 금방 나타나요. 장사는 안돼도 얼마 전에도 살아있고 운영했지요. 호미히나도 다르지요.
@sysgraphic
@sysgraphic 9 жыл бұрын
교수님도 이제 연세가 드셨나봐요..학교때는 조는 학생들 바로 잡아내셨는데…. 교수님 건강하세요~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이알게 농장과 주변이 정리되어야 맞고. 또 하니 보이네. 제기 고속도로 청주에서 능선을 넘어 산줄기를 자르고 넘어오는 토목공사는 아니고. 생태축이 무너지지요. 터널을 평면으로 뚫으면 생태축은 살고 자락도 같으니 설계변경하여. 터널로. 그것도 마음 아프나. 할수없지요. 그렇게라도 살아야지요. 이어서 농장이 살아나고 보호가 되어야 아마 세종시가 제 노릇 할거에요. 당장 세계가 원하는 단일 국가도 이게 순리로 풀려야. 이루어지고. 그래야 새계국가에 존경받는 한 나라 한민족이 형성됩니다. 내 할머님 산소 바로 뒤에 공장을 지어. 기운을 자르여는 저 홍군수 가야지. 다 이런다니. 어여 들어가. 거기에 지금도 못된 짓만 젊은이에게 시키느니 살아남겠내. 총장님은 늘 노리기 있이 말씀하시어 보고 있어서 다 느낌니다. 나무없이 집은 고사하고 유적 유물 복원은 불가. 그러니 서로 도우면 가능합니다.
@yonghocho5529
@yonghocho5529 2 жыл бұрын
한자는 동이족이 만든거여~~ ㅎㅎ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또한 당장 스레드는 농장 건설때 약속 계약을 그대로 적용하세요. 그 내용은 일꾼 마을 90대 노인 최고인 이장 이순신은 기본은 다 알아요. 당연 산소는 다 나가야 맞아요. 당연. 넓이 속에 교통대학이 들어가나 새끼 공부하는 터라. 이는 봐주어요. 자락 청안 다 들어가지만 지금 건설주는 청안 공장. 이는 약속에 들어가니 철거 원상복구. 안에도 다 원상복귀. 계곡 메은 놈. 안석준비 후손 도둑이니 이제는 나가라 하세요. 저 뒤에 창고로 왕창 불법 같은데 올라와 잇너요. 요즈음. 철수. 제대로 원상 복귀에 농장인은 최대한 농장이 잘 운영되게 원성복귀에 투자도 하라고 하세요. 나가 다 알렸으니. 그동안 투자금 정도는 군청 사회에서 투자해야지요.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나무 실제 저희 농장에 종류 많아요. 쓸만한 놈 꽤 많아요. 단지 그저 숨쉬고 살아남기만을 하고 있어섲지요. 또 산에 마루턱에 가면 아직 소나무 토종 농장에 들여올 놈 꽤 있어요. 종자는 아직은 살아 있으나. 앞으로 어절대로 될지 나도 지킴이오는 마지막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화재와 나무 너무 가까운 문제. 또 종자나무 없으면. 도시화 산업화. 실제 그저 바람줄면 사라져요. 다 알지만. 지키는 놈은 니 하나. 훔치려는 망가트리고는 놈은 다 이니 방법이 없지요. 이래서 제가 바보로 보이지요. 실제는제가 진짜 주인임을 깨닫았지요. 이러니. 내가 말하는 것을 대장들은 듣는데 좋다고 말은 전해 주어요. 시진핑이. 중국 없고. 있어도 이제는 다 사라졌지. 이치가 그래요. 다시 나차나려면. 적어도 몇 작년후에나 나올까 말까. 내가 내보내지 않는 한에서는 불가로 알지요. 그냥 앉아서 죽는거에요. 하하. 뙈놈 안내놓고는 방법없어요. 이걸 나라에서 또 도둑질 했으니. 할 말이없지요. 이래서 빨갱이 공산당은 사라져요. 진짜입니다. 훔치기도 다는 불가하니 방법없어요.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문화제 복원에 필요한 목재가 필요하면 남한은 불가. 이제 종자가 40년이 안되었으니 방법 업어요. 북한 김여정가 임시 대장을 하는 모습 서로 돠외 백두산에는 남았을듯. 도움 받고. 그 정도의 도목수나 장인이 남아 있을지 나도 의문이에요. 그저 도전한다고 되지는 않으니 기획하고 시점을 만들 준비는 당장 시작해야 그 때를 만들 수가 있지요. 매 머리에 네팔에 도움을 요청하면 좀 보기는 했어요 인력과 노하우 아직 남았을듯 합니다. 한번 흔적을 찾아보기 시작하지요. 복원도 중요하지만 살아남아야 하는 문제가 있어. 또 생각해야지요. 과학도 기초부터 하여야 하고. 문화 문학. 참 많아요. 문화 과학 융성이 안되면 어려워요. 또 만드는 문제도 노예가 만들 구 없는 작품들이라. 이도 잘 조정되어야 융성이 오지요. 하하.
@cpakimsin2
@cpakimsin2 9 жыл бұрын
한윤형의 말을 빌려 부언하자면. 탈민족주의적 입장에서 벗어나 이제 대한민국도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공존.공유.. 전통성에서 벗어나 베끼고 훔쳤다고 해서. 부끄러운 것이 아닌듯. 결국 자기것은 체화하는 것이 관건.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3 жыл бұрын
세종시는 아주 각오하고 물질 특히 돈의 가치 재물의 다시 찾는 마지막 기회로.알고 우리 한국의 기와 질을 보여 주는 좋은 기회이고. 재료도 그저 친환경이라는 개념도 버려요. 치장이 아니라. 아주 진짜의 모습을 서양 즉 할머님 나라와 동양 즉 한국의 장기를 합하여 정성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내 고장의 진짜 재료를 내넣는 것입니다. 각 지방에 좋은 재료도 내 놓지만. 지금 시점을 잘 깨닫는 외국 친구들의 재료도 받아 만들어 보지요. 그저 양이나 아파트는 그리 중요하지 않아요. 잘 구상하고 조각들도 겉 모습이 아닌 실제 조화를 이루게 하여. 앞으로 사회의 기준을 만들어 보지요. 그냥 공사 다 만들었어 아니고 모든 조건을 서로 토의하고 최대의 작품을 만들어 보지요. 늘 만들어도 모자람은 있어요. 최대한에 도잔이지 완벽은 그저 수렴입니다. 꼭 우리가 최고라도 아니고 서양의 장점 많아요. 잘 어울려야지요. 특히 조심하여야할 상황은 말을 적게 하고 다툼은 안되고 화합하여 정성껏하면. 충분히 쫗은 작품 나와요. 욕심 농장에서 싶게 잘 접근하게. 접속 문제를 잘 다루자길 바랍니다. 유 총장님도 마음은 같으시지요. 하하.
@huiwonyoon5594
@huiwonyoon5594 7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울학교 교수님이었으면 큰일날뻔했다 ㅋㅋㅋ왜케 목소리가 나긋나긋하신거야 ㅋㅋㅋㅋ
@yonghocho5529
@yonghocho5529 2 жыл бұрын
먹은겨~~???
@user-nt4ki5yo2p
@user-nt4ki5yo2p Жыл бұрын
뿔테안경잡이발랑까진이마오우형...ㅠㅠ 5녀은현또개명한은금현본인전하은현이본인서울미스한본인점주인책쓴이본인등등일거되는이거되는고거인데...등등..오로라공주엄마성모예수토끼엄마이세상내당토끼나라...등등.........= 전하 참한아의 삶의 환상 속에서 = 의주난몽일기.... 등등...소마본인...
@user-ne2es1xl9w
@user-ne2es1xl9w Жыл бұрын
유홍준교수님은 우리 문화의 자긍심, 우리 삶의 존재감을 부여하신 분, 배움을 재창조하신 분, 교수님 감사합니다. 글구요 교수님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중들을 데려다가".... 제발 이런 점찬치 못한 표현 하지 마시구요, 스님이라고 표현 부탁 드립니다. 좀 거북해요. 감사합니다.
@user-vb4cv4rr7c
@user-vb4cv4rr7c 11 ай бұрын
내가
@dohyah
@dohyah 6 жыл бұрын
잘 나가다가 삼천포(4대강)로 빠지내요.
@user-gr2bk7zp7s
@user-gr2bk7zp7s 3 жыл бұрын
마스크도안쓰고잔소리가 말도되게마레
@user-vn7mo6cw9p
@user-vn7mo6cw9p 6 жыл бұрын
ㄴㅇㄹㄴㅁㄹㅇ
@freefrom3948
@freefrom3948 5 жыл бұрын
내가 본 책중에 안 봤으면 하는 책이 이늠것이 처음이지. 이런게 교수라고....
@user-be1ek2kn4n
@user-be1ek2kn4n 4 жыл бұрын
태형 이런놈은태형으로 조질놈이네
@user-jw6cw2nl1p
@user-jw6cw2nl1p 4 жыл бұрын
에라 쉬발눔아
@user-jw6cw2nl1p
@user-jw6cw2nl1p 4 жыл бұрын
에라 쉬발누마
@user-gr2bk7zp7s
@user-gr2bk7zp7s 3 жыл бұрын
아직 사기치고있네 그만헤라
@user-xb7qw3uu8m
@user-xb7qw3uu8m 3 жыл бұрын
허리통증의 원인은 자세가 아니라 자신의 몸이 누르는 중력때문입니다 이를 몰라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습니다 저는 철저히 검증하고자 허리를 일부러 부러뜨리고 설악산 대청봉을 등산하고 역도를하며 지냅니다 저는 힘이 없으므로 교수님께서 널리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사람은 왜 목 허리 무릎이 아플까? 저자 법무사 이희숙 010-5250-4802
'아는 만큼 보인다' 유홍준 교수가 본 서울은 어떻게 다른가?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편 2부
1:09:40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문화가 있는날 "인생은아름다워 토크콘서트" 유홍준 교수
1:32:23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중국편]
14:08
창비교육
Рет қаралды 26 М.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0주년 기념 행사
2:04:59
창비 TV
Рет қаралды 4,8 М.
진중권 '미디어아트 - 예술의 최전선' 저자와의 대화
2:02:19
유네스코세계유산 - 통도사 상징의 비밀
46:21
K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867 М.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