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하기 전에 디자이너로 살고 느낀 점들

  Рет қаралды 90,487

이연LEEYEON

이연LEEYEON

2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로 살기... 저랑은 안 맞았지만 추천(?)
이연의 스케치 없이 그리는 실루엣 드로잉 클래스101
class101.page.link/GR3G
편집 : nicole PD

Пікірлер: 128
@k_rd__9496
@k_rd__9496 Жыл бұрын
현직 디자이너 2년차인데 그냥 다 떠나서 디자이너는 디자인에 대한 애정 빼면 시체임 박봉이고 야근잦고 모든 사람이 훈수두고....정말 단점이 많은 직업임 그리고 디자이너를 관두는 요소 중에 가장 베스트는 '그깟 디자인 나도 할 수 있는데? 뭐가 어렵다고..' 라고 생각하는 인간들이 회사가면 그냥 존나많음 진짜 이거때문에 현타 개오는듯 차라리 박봉은 학생때부터 예상해왔어서 걍 포기하고 받아들이고 있는데 애정빼면 시체인 이 직업을 정말 기가 팍 죽게 만드는 저런 편협한 시선들 때문에 그만두는 경우 진짜 많은듯 저도 디자인이 너무 좋지만 솔직히 언제까지 할지는 모르겠어요 체력도 존나 갈아넣어야하고 멘탈도 진짜 쎄야함 그리고 은근 커뮤니케이션 능력 굉장히 요구됨...디자인은 애정 없으면 절대 오래 못합니다 아니 시작조차 힘듭니다..
@user-kd2dc1lg6g
@user-kd2dc1lg6g 2 жыл бұрын
웹디, 편집디자인 등 15년차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문제되는 점은 앉아서 쉽게 일하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는 것입니다.
@user-lz6kt4mm9p
@user-lz6kt4mm9p 2 жыл бұрын
7년차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이너로 살아가기 녹록지 않지만 누가 무슨일 하냐고 물을때 디자이너입니다라고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이 참 행복합니다. 오늘도 감이 부족한 클라이언트와 마찰이 생겨 속상하지만 조금씩 타협을 보며 세상을 좀 더 아름답게 디자인하는데 이바지해야겠지요. 대한민국 디자이너분들 힘내시고 오늘도 내일도 빠샤!
@user-xp2ps6hb6f
@user-xp2ps6hb6f Жыл бұрын
근데 디자인은 솔직히 커서 그림이랑 관련된 것도 별로 안하던데 그림을 그리게 시켜서 입시를 하는게 좀 어이없는거 같아요
@hoilac_say
@hoilac_say 7 ай бұрын
@@user-xp2ps6hb6f그래서 최상위학교로 갈수록 주제를 주고 생각을 묻는 문제가 많이 나와요. 결국 필드가면 아이디어싸움이거든요.
@TakeOnMe2023
@TakeOnMe2023 Жыл бұрын
디 자인 수정해주세요 자 간도 수정해 주세요 이 것도 수정해주세요 너 무 수정했네 원래대로 해주세요 ----------------------- 디 자인을 하다보면 자 존감이 낮아진다 이 거해라 저거해라 너 가 해라 이새기야
@YoungJinYou
@YoungJinYou 9 ай бұрын
앜ㅋㅋㅋㅋㅋㅋㅋㅋ😂
@oh-hm760
@oh-hm760 2 жыл бұрын
단점중 하나는 수명이 짧다.. 입니다… 그래서 연님처럼 자기 스스로가 브랜드가 되어 사업을 한다거나 해야하는 것 같아요. 그럼 오래오래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3학번인데 동기들 중 아직도 디자인 필드에 남아있는 사람 거의 없어요…!.
@user-lz8sx5je4i
@user-lz8sx5je4i 2 жыл бұрын
그럼 대부분 문과직무...예를들어 마케팅..기획.. 이런 쪽으로 빠지게 되나요...? 박봉인 거, 업무강도 빡센 거, 이런 것들은 감안해도 수명이 짧다는 점이 제일 걸리네요...ㅠㅠ 이 부분이 디자이너 직무를 고민할 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아요..
@oh-hm760
@oh-hm760 2 жыл бұрын
@@user-lz8sx5je4i 여자들은 아무래도 일이 워라밸이 보장이 안되다보니 대부분 결혼과 함께 필드에서 사라져가구요.. ㅠㅠ (저도 여자지만 일하는 친구들 몇 없네요..) 남자들은 스튜디오-대기업 아니면 스튜디오 또는 기업-자기사업 등으로 가는 경우가 많은 듯해요. 디자인과 졸업했지만 다른 일 하는 사람도 많아요. 말씀하신 마케팅, 기획으로 가는 경우도 많고요. 그리고 사업이나 디자인 전문 스튜디오가 아닌 이상 연차가 쌓이면 디자인을 직접하는 비중은 적어진다고 봅니다. 디자이너도 조직의 일원이니까요.. 점점 관리의 영역이 커지고, 젊고 실력 좋은 디자이너들이 매년 쏟아져나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실력좋은 애들을 싸게 쓸 수 있는 기회가 되겠죠.. 물론 모든 면에서 실력이 뛰어나면, 대기업에서 임원까지 가는 경우도 봤습니다! 하지만 그분도 어느 연차부터는 직접 디자인 하시진 않았을거에요.. 연님 말씀처럼 디자인이라는 능력은 정말 쓸모가 많고 다양한 분야에 부스터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니 가능성을 닫아두지 마시고 많은 경험 해보시길 바랍니다..! 저도 지금은 공공기관에서 디자인 관련 근무중이지만 디자인은 거의~안해요^^;.
@yulee9500
@yulee9500 2 жыл бұрын
저도 03학번..ㅎㅎ
@user-lz8sx5je4i
@user-lz8sx5je4i 2 жыл бұрын
@@oh-hm760 자세하고 세심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대로 경험부터 많이 쌓아봐야겠어요..!!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다지만 제게 디자인만큼은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이 보이고 큰 매력으로 느껴지는 걸 보면 일단 나아가봐야 할 것 같아요:) 고민해결에 도움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려요 !!
@oh-hm760
@oh-hm760 2 жыл бұрын
@@user-lz8sx5je4i 네 멋지게 자기만의 길을 만들어가길 바래요!
@gardentotablelife3737
@gardentotablelife3737 2 жыл бұрын
디자인 어느 정도 하면 해외에서 일하기 쉬운 것 같아요. 외국어 실력이 부족해도 눈으로 바로 이해가 되니까 기술로 커버되는 느낌. 단점으로 언급하신 것처럼 시각적인 결과물이라 비전문가도 쉽게 평가 할 수 있지만 또 그만큼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언어를 초월한 설득력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해요. 올해 무슨 일이 생겨서 랜덤으로 다른 나라에 이사하게 된다고 해도 먹고살 걱정이 안되는데 이런 부분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강점이라고 생각되요.😀
@84mry39
@84mry39 2 жыл бұрын
제가 공기업 재직시절 홍보리플릿을 제작의뢰해야하는 상황이었고 디자이너분과 리플릿의 목적과 방향성에 충분히 설명을 하고 그에 맞게 훌륭한 디자인시안을 내주셨습니다. 제가 검토해야할 부분은 리플릿안에 문구수정이나 오타를 잡아주는것이었는데 저희 부장님은 디자인자체에 손을 대시더라구요. 그때 정말 답답했습니다. 디자인전문도 아니신분이 단지 자신의 입맛에 맞게 지적하는부분을 못참겠더라구요. 뭔가 한국사회는 특정위치에 있게되면 뭐라도 지적을 해야 일을 하고 있다 생각이 드나봅니다. 😢
@rmlee9275
@rmlee9275 2 жыл бұрын
뭐 부장님도 자신이 걸어왔던 길이 옳다고 생각하니 그렇게 손대시는 거라 생각해요. 왜냐하면 한국 사람만 그런것도 아니거든요 ㅋㅋㅋㅋㅋㅋ 보는 사람은 답답해 미치겠는데 매니저 자리에 올라가면 그렇게 해야 속이 시원하신 것 같아요
@84mry39
@84mry39 2 жыл бұрын
@@rmlee9275 맞습니다.ㅎㅎ
@user-dm9gm6pu7n
@user-dm9gm6pu7n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렇게 해야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것...할 말이 없으면 안하면 되는데 뭐라고 적어넣으려고 하는 사람들...존재합니다 ㅎㅎ
@apostle5735
@apostle5735 2 жыл бұрын
저는 디자이너이지만 의뢰자(클라이언트)가 디자인을 의뢰했다고 해서 수정 권한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창작활동이 아닌 작업물은 클라이언트와 함께 적절히, 충분히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 도출된 결과물이 좋은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그 부장님이 님과 다른 의견을 내는 게 싫으셨던 게 아닐까요
@84mry39
@84mry39 2 жыл бұрын
@@apostle5735 다른의견은 없었습니다. 다만 디자인 시안이 목적과 다른부분이 있는 것을 지적한것이었다면 당연히 지적할 수 있죠. 근데 색상, 모양수준이었고 나중엔 다들 “잉?” 이런 반응이었습니다.
@user-kn5mk7qf8r
@user-kn5mk7qf8r 2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디자이너로 6년정도 일햇는데 단점중하나가 누구나 훈수를 둘수잇다는겁니다 4명의 컨펌자중 1명만 마음에안들어도 새로만들고 일반 기획자나 디자인과 관련없는사람들에게 훈수를 받을때마다 기분이 좋진 않죠 특히나 신입시절은 그게 좀 심햇던듯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경력이쌓이고 나이가 들면서 받아들일건 받아들이고 어차피 일반인에게 어필할려고 채용된게 디자이너이기때문에 납득하게되었지만 간혹 정말 이사람이 하는말은 정말 아닌데도불과하고 우기는사람들이 잇죠...; 4명중 1명만 불만이잇어도 3번이건 5번이건 엎어야합니다 장점으로는 사실 디자인도 분야가 굉장히많기에 다 똑같진않겟지만 요즘은 디자인을 이용하여 활용할수잇는게 굉장히 많은 반면에 노동강도와 스트레스에비해 초반연봉이 너무낮아 그만두시는분들도 많기에 구인난이 심해지고잇는상태입니다 덕분에 저도 연봉이 덩달아 잘오르곤잇습니다 우대도좋아졋고요 단점이 더 잇다고 한다면 컨펌을해주는 클라이언트 외에도 전 공정 팀들과 후 공정 팀들과 사이가 안좋아지거나 불만이 생길수잇는 요지가 굉장히 많나는거죠.. 빌런1명만 잘못 석여잇어도 굉장히불편해집니다 기획자나 개발자.
@dorothy8800
@dorothy8800 2 жыл бұрын
구인난이 심하다고 하셨는데.. 혹시 어느 분야 디자이너 이신지 궁금해요!
@babnuna
@babnuna 2 жыл бұрын
기획자나 개발자...딱 맞는말씀.저도 느껴본사람입니다^^
@intp486
@intp486 2 жыл бұрын
Uiux쪽이신감
@user-cl6ig3ju3i
@user-cl6ig3ju3i Жыл бұрын
엌ㅋㅋㅋㅋ 진짜 인정이에요. 그래서 용납 안되는것 색상 폰트 이런거 건드릴려하면 레퍼런스와 많은 이유와 카리스마로 제압해야합니다 ㅜㅜ 진심 피곤...
@NOL5VE
@NOL5VE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힘든 디자이너임에도 다들 한결같이 디자인을 너무 사랑하고 무언가 만들어짐에 있어서 큰 행복함을 느끼기에 열심히 다니는 것 같아요 :D 다시 태어나도 디자이너를 할 것 같아요 ㅎ 필요한 것을 아름답게 이쁘게 만든다는건 정말 매력적입니다 ㅎㅎ 그리고 운동처럼 디자인도 열심히 마니해봐야지 실력이 늘어요... 신기해...
@dhneo9138
@dhneo9138 Жыл бұрын
오 저도요ㅎ ㅎㅇㅌ!
@dorothy8800
@dorothy8800 2 жыл бұрын
현직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데.. 정말 공감해요...!! 특히 누구나 훈수를 둘 수 있는 영역이라 쉽게 얘기한다.. ㅠㅠ 이 말 절실히 공감합니다.. 마치 자기가 전문가인양 말하는게 너무 싫어요..ㅠㅠ
@user-vm5tw9qr5q
@user-vm5tw9qr5q 2 жыл бұрын
미대 다니고 졸업 전에 취업을 해서 잠시 일을 해보고 퇴사했습니다. 일 자체는 너무 재밌었지만 삶에서 내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무엇일까 고민했어요. 이제 막 시작 단계이니만큼 야근도 많이 했어야 했고 출장도 많이 다녔어야 했고 따로 자기개발도 해서 계속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했었는데. 일을 해보니까 저는 직업 성취보다 워라벨이 더 중요한 사람이구나를 느꼈고 퇴사해서 공시준비하고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느끼게 된건 나는 디자인을 하고싶던게 아니라 그림을 그리고 싶었구나를 알게되었어요. 그림을 좋아해서 그림 관련 직업을 가지고 싶었지만 막상 순수미술을 도전하기에는 겁나서 상업 미술인 디자인을 선택했거든요. 돌고 돌아서 결국 이렇게 되었지만 준비하고 있는 시험에 합격해서 좀 더 나를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 그림을 그리려고 합니다.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지만 내가 정말 좋아하는걸 취미로 이어갈 수 있다는 생각에 설래요. 결론은 뭐든 본인이 직접 경험해보고 이후에 깨닫게 되는 것들이 나를 가장 행복하게 만드는 길이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scavengers19
@scavengers19 Жыл бұрын
디자인은 서른 후반까지만 한다고 생각하고 40대 이후에는 다른 업종에서 일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미리 준비를 해야 되지 않을까 싶네요.
@muh_ea_tsy
@muh_ea_tsy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 그런걸까.. 큰기업 빼곤 어떤 직업이든 일한만큼 인정받지못하고 보상받지 못하고 오히려 더 힘들게 굴려지는 듯한 느낌..대기업에선 돈이라도 많이받지만 대다수는 연봉이든 워라벨이든.. 어떤것도 제대로 받는게 없는듯한..
@user-gd4sl7ez5s
@user-gd4sl7ez5s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산업 구조 자체가 대기업 위주의 산업방식이에요. 아예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갠적으로요
@user-dm9gm6pu7n
@user-dm9gm6pu7n 2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가 아닌 기획자들의 이래라 저래라에 반 포기 상태로 살아가고 있는 디자이너입니다. ‘기획이 부족해도 나중에 수정시키면 돼 일단 시키고 보자 수정을 시켜야 그 사람들도 할일이 생기는거다’ 이게 거의 대부분의 기획자들 기본마인드…그런 사람들 연봉이 내 연봉보다 높은거 보면 진짜 현타가…
@belovedsomeone
@belovedsomeone 2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고 막연하게 꿈꾸기 시작한 문헌정보과 학생이에요 어릴 적부터 미술에 관심은 늘 있었지만 막상 고등학교 땐 입시준비를 하고 싶다는 말이 입 밖으로 나오지 않더라고요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생각은 늘 했는데 뻔한 얘기지만 가정형편상 쉽든 어렵든, 그런 큰 금액의 학원을 다니고 싶다고 말하기 참 어렵더라구요 여차저차 현실과 타협하고 나름의 방황도 거치다가 언제부턴가 저 안에서 그 꿈이라는 게 자꾸 발목을 잡는 느낌이 들어요 무시하고 살고 싶다고 생각도 했는데 얼마 못 가서 또 꺾인 자리에 새 싹이 돋는 걸 보고 한번 제대로 해보기는 해야겠다 싶어져서 무작정 전과를 준비중이에요 아직 알아보는 단계고 나이도 동기들 보다 많지만 언젠가 진짜 배우고 싶었던 걸 배우고 그걸로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마음을 단단히 먹을 수 있게 하는 영상이 되었어요
@PARKEDDE
@PARKEDDE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듣고 잘 보고 가요 이연님!! 디자이너 분들의 노력이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디자이너분들 항상 응원합니다~~
@youngoneart797
@youngoneart797 2 жыл бұрын
이연님의 채널이 정말 좋은 점은 영상 이외에도 댓글들을 통해서 무수히 많은 생각들이 공유되고, 공유하고 토론할 수 있다는 것인 것 같아요. 저 역시 디자이너로서 많은 걸 다시금 느끼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SkimOnWest
@SkimOnWest 2 жыл бұрын
포폴이 다 한다라는 말 공감합니다. 사실 저희 회사는 이력서는 포폴 통과된 사람들 것만 봅니다.
@leeyeon
@leeyeon 2 жыл бұрын
앗 귀한분께서 직접 댓글을🥹 역시 현업에서는 포폴을 제일 중시하죠!
@madame_choii
@madame_choii 2 жыл бұрын
기획자가 바라본 디자이너의 장단점, 채용을 정말 정확하게 정리해주셨네요. 소름 돋는 이연님의 인생 4회차!!👍👍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에 관해서는 선을 잘 넘는것 같아요. 기획자도 마찬가지지만 디자이너의 필수 능력 중 하나는 내가 왜 이 디자인을 이렇게 했는지, 설득할 수 있어야 하는 부분도 있어요. 그냥 듣다가 생각나서 일잘하는 디자이너 몇분이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ellie_JD
@ellie_JD 2 жыл бұрын
디자인하고 있는걸 후회하고 있습니다. 돈도 잘 못 벌고.. 그렇다고 돈 많은 집에서 태어난것도 아니기에.. 고달파서... 후회가 많이 되네요
@haelee1044
@haelee1044 2 жыл бұрын
삶 속에서 디자인을 써먹는 다는 말에 매우 공감합니다. 디자인학과를 나오고,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가지지 않은 사람 중 하나지만, 제가 디자인을 못해서라기 보단 조금 다른 선택을 했지만 언제나 디자인적인 사고를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후회가 없습니다!
@zion8096
@zion8096 2 жыл бұрын
디자인적인 사고란 건 어떤 걸까요
@haelee1044
@haelee1044 2 жыл бұрын
@@zion8096 너무 포괄적일 수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디자인은, 사람들의 경험을 만드는 일입니다.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했어요. 그리고 "왜"라는 질문을 계속 하게끔 훈련받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현재 디자이너로 시각적인 완성을 제가 책임지고 있진 않지만, 무엇이든 기획하고 실행할 때 꺼내어 쓸 수 있는 생각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사람들과 함께하고 영향을 준다면, 어디든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메일을 하나 써도, 그 이메일을 제가 디자인하는 것, 즉 그 이메일을 보고 상대방이 느낄 감정과 하게 될 행동을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하게 됩니다.
@J--y10..
@J--y10.. 2 жыл бұрын
늦게시작해도 괜찮을까요 수명이 짧다라는 의견들도 있지만 저는 디자인적 사고를 하는 삶이 좋아서 디자인하는걸 포기할수가 없을것같아요 돈이나 경력 말고 제가 살고싶은 삶의 모습때문에 디자인일을 하고싶어요
@user-yw3vx4ff4b
@user-yw3vx4ff4b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어용! 지금 04년생 고3으로 현재 지방에서 미대 디자인과 입시 준비 중인데 학과는 정해졌는데 학교 정하는데 고민이 많이 들어요.. 저는 현재 사는 지역에 계속 사는게 좋기도 하고 집에서 가깝고 사립대는 등록금이 너무 비싸서..; 지거국 포함해서 수시 쓸 예정인데 학원 원장쌤은 웬만하면 수도권 지역 대학 위주로 쓰길 원하세요. 지방보다는 시각적으로 보고 경험할 게 많다고요... 지금도 고민 엄청하고 있는데... 혹시 지거국 나오면 취업하는 데 불리하게 작용하나요...?
@user-kp1cn2mg8j
@user-kp1cn2mg8j 2 жыл бұрын
와... 뭔가 다른 업계와 전공에 관련된 얘기를 들으니 흥미롭네요. 오늘도 잘 봤습니다.
@wender_maker
@wender_maker 2 жыл бұрын
저에게 필요했던 정보네요...정말 감사드립니다 이연님
@user-fq6ko7iw9y
@user-fq6ko7iw9y Жыл бұрын
디자인은 경력이 쌓여도 훈수 두는 사람이 많다보니까 신입인것 같아요
@user-xg8hi4ei1s
@user-xg8hi4ei1s Жыл бұрын
단점 중 하나는 디자이너는 평범한 사람의 사고를 포기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앉았있는 시간이 많아서 병에 걸리기 쉽습니다. 또 미고, 또는 미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노력과 실력이 필요합니다.
@loveraria
@loveraria 2 жыл бұрын
한때 산업디자이너(?)를 꿈꾸었어요. 어떤 직업이든 진짜 전문가로 태어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과 각종 노력이 드는지 또 한번 느낍니다. 진한 애정이나 자부심도 있어야 하고요. 세상을 속속들이 더 아름답게 만들어주시는 디자이너 분들 감사드려요~^^
@songpainting
@songpainting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nk7hn1rv6b
@user-nk7hn1rv6b Жыл бұрын
비전공 디자이너인데.. 진짜 맨땅에 헤딩해서 포폴 만들어내기 너무 어렵더라구요. 혼자 학원 다녀가며 만드는데... 진짜 그때 만든 포폴보면 쥐구멍에 숨고 싶더라구요... 어쩌다 보니 지금은 7년차고 프리랜서인데... 너무 힘듭니다... 학교를 4년 나오신 분들이 아는 정보를 저는 모르니, 부딧혀 익히는 수 밖에 없어서... 지금 7년차 이지만, 제 스스로 느끼기에 전공자 3~4년차 정도로 밖에 안되는 것 같아요... 사수도 없었기 때문에 정말 안늘더라구요... 근데 디자인이 재밌어요. 예쁘게 만드는 것이 즐겁고, 시안이 한방에 컨펌이 날때 쾌감도 있고. 에이전시 같은데 들어가보고 싶은데, 잘 뽑아주지도 않고, 년차만큼 못할 것 같아 두렵기도 해서 지원도 못해보고 있어요... 언젠가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되면 사이버 대학으로라도 가서 배워보고 싶어요...
@jspark6046
@jspark6046 5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그리고 사이버 대학교가서 배우는건 현직에서 경력 쌓는것보다 그냥 이론적인거라서 별로 추천안하고 싶고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추천합니다. 저는 어차피 유학갈거라 여기서 배우는건 아닌데 현직 프리 디자이너 친구들, 좀 힙하게 잘하는애들이 여기 추천해주더라구요. 실무와 이론을 키우기 한국에서는 가장 최선인 곳이라고 생각됩니다.
@_writekim7034
@_writekim7034 2 жыл бұрын
디자인 15년차..애둘 엄만데 경단 안되고 프리로 못해두 월 250씩은 벌어요 물론 잠을 잘 못자는건있지만..항상 감사히 영상 보고있습니다😘
@uddesign
@uddesign Жыл бұрын
취업은.. 나와 회사가 잘 맞는지 서로 알아가는 과정이죠. 저도 그래픽 실력이 뛰어난건 아니라서 포트폴리오가 부족하지 않을까? 고민도 많았는데.. 잘 찾다보면 다른 장점을 알아봐주는 곳이 나타나더라구요!
@DmYuri
@DmYuri 11 ай бұрын
고2때부터 디자인하고 26인 지금을 사는 개자이너 입니다. 작은 기업이라 디자인이랑 웹앱개발(껍데기를 만드는 프론트엔드 개발) 둘 다 하는데, 이걸 다하다보니 생각이 들더군요. '와 디자인말고 개발자만하면, 사장한테나 다른사람들한테 태클걸릴일도 적고 디자이너보다 수정요청 들어올일도 적고, 다른 디자이너가 말한데로 딱딱 만들어주기만 하면 회사에서 스트레스 받고 살일 90%는 없어지겠네' 하고요.. 디자인으로 혼자 뭔가 놀만한게 많아서 애정이 있지만..남의 돈 벌어먹을땐 참 할말하않...ㅎㅎ 결론은.. 나중에 나이들어서 자회사 차리기엔 디자인이 진짜 좋은거 같다는것...(왜냐면 인터넷에있는 왠만한 컨텐츠, 실제 가게나 생활속에 들어있는 시각적인것들은 거진 다 만들수 있으니까요!) 모든 디자이너 분들 화이팅합시다! ㅎㅎ
@StarlightZeze
@StarlightZeze 2 жыл бұрын
말씀 너무 조리있게 잘하시는것 같아요 푹빠져서 들음
@alittlehui
@alittlehui 2 жыл бұрын
ㅎ ㅠㅎ...술한잔 마시면서 토킹하고싶은 주제네요 ㅋㅋ..공감
@nameee885
@nameee885 2 жыл бұрын
추가하자면… 미대아닌 디자인학과도 많습니다 ㅎㅎ 고등학교때 미술을 하지 않아도 본인이 실력만 있다면 일반 디자인과 가셔도 취직하는덴 문제 없습니다 물론 디자인학과라도 너무 기본이 없으면 안나오니만 못하지요
@somsom4537
@somsom4537 2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합니다👍👍👍
@98shimchung
@98shimchung Жыл бұрын
단점하나더 알아야할것이 너무많다 내가 한 디자인이 설득을 가지려면 알아야할것이 저어어어어엉어어어ㅓ어ㅓㅓㅓ어ㅓ어엉말 많습니다
@user-xf9bm3le1k
@user-xf9bm3le1k 2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가 꿈인 예고생입니당.. 다시한번 꿈에대해 생각해보게 되는것같네용..
@like.mungmung
@like.mungmung 2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닌 미대는 이십년전에 학기당 500만원 정도였어요. 쭈욱 대기업을 다녔는데 팀들중 거의 제일 페이가 적지 않았나 싶습니다.
@leeyoungju2691
@leeyoungju2691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 30년차이면서 디자인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만 몇백명이상의 디자이너를 경험할 수 밖에 없었지만 디자인과 미술은 크게 관련성이 없다고 단언합니다 사람읓 뽑을 때 오히려 경영마인드나 공대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결국은 더 잘하더란 것을 경험적 데이터로 얻고 있습니다 최소한 미대출신을 선호하지는 않아요
@marthaart3176
@marthaart3176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한때 디자이너가 꿈이였어요 ㅎㅎㅎ 이연님 그림 볼때마다 궁금한게 있는데 뭐 딱히 구도같은 것도 안 잡고 그냥 슥슥 그려내시는데 되게 그림이 자연스러워요 어떻게하면 구도도 딱히 안잡고 이래 자연스러운 그림이 나오나용 ㅠㅠ
@Jyoutube1207
@Jyoutube1207 2 жыл бұрын
2:21 눈이 있다 이거지 ㅋㅋㅋㅋ 공감
@user-dv7cv7tx8n
@user-dv7cv7tx8n 3 ай бұрын
클라 : 아니 디자이너면 한 눈에 척척 그리고 고객이 말하는 걸 한번에 다 캐치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대표 : 설명 조금 듣고 한번에 척척 맞추면 제가 박수 무당을 하지 디자이너 왜 합니까?
@hyojinyu
@hyojinyu 2 жыл бұрын
이연님! 저는 피규어 디자이너인데 넘 공감돼요!!
@shawn2574
@shawn257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ㅎㅎ
@nari_womowi8901
@nari_womowi8901 2 жыл бұрын
이연님의 영상을 보니 참… 모든 내용이 공감도 가고…. 주니어 시절의 에피소드들도 생각이 나고…. 박봉과 야근 속에서도 게속 디자인을 하고 있는건… 그게 또 재능이고 재밌고 좋아서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음.. 저는 22년차 디자이너로 경력의 반 이상을 팀장급으로 보냈고, 현재는 회사를 벗어나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는데요. 몇자 적으면 좀 도움이 될까 싶어서 매일 눈팅에 좋아요만 누르다가 몇자 적어 봅니다. 첫번째, 디자이너들이 받는 페이에 대해서… 저는 프리랜서 관점에서 좀 이야길 하고 싶어요. 요새는 플랫폼 통해서 일을 받아 하기도 하는데 정말 박리다매….. 이미 그런 플랫폼을 통해 일을 받아내고 있으신 분들의 페이도 최저가인데.. 그 안에서도 또 가격경쟁을 합니다. 그래야 일을 따내니깐요… 그렇다고 그 플랫폼을 통해서 일을 주는 클라이언트들이 싸다고 디자인 퀄리티까지 낮게 받길 원하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사회적으로 디자인 산출물과 디자이너들의 노고들을 낮게 가격을 책정하는 이슈도 문제지만, 낮은 가격 경쟁을 측정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을 만들어 디자이너들도 그것에 따르게 만든것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부업으로 혹은 포폴을 만들 생각으로 시작하실 수는 있어요. 현실적 이야길 드리자면, 보통 저런 플랫폼을 통해 하시는 일들 중에서 페이지 몇개 배너 몇개 이런건 경력 인정 받기 힘들어요. 차라리 프로젝트 단위로 일을 하시는게 훨씬 경력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처음 시작하시는 디자이너분들이라면… 일단 회사에서 약 3년 ~ 5년 정도 프로젝트 단위별로 경력을 쌓길 바래요. 그렇게 쌓은 경력으로 프리랜서를 하실 때 프로젝트 단위로 일을 받을 수 있는 구인사이트의 플랫폼 혹은 헤드헌터를 통해서 일을 하시면 훨씬 많은 금액을 받으실 수 있어요. 물론, 이것도 결과물이 좋았을 경우지요. 그리고, 보통 프로젝트를 처음 했을 때 같이 일한 동료나 클라이언트가 만족도가 높으면 일이 쭉 이어져 가기도 해요. 단순히 포폴만 중요한건 아니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다 것이지요. 두번째, 디자이너로써 갖춰야 할 것들에 대해서…. 댓글을 쭉 보니까. 자기의 디자인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고 누가 쓰셨더라고요. 완전 공감… 정말 특출나게 디자인 능력이 있으신 아주 소수를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이면 대부분 퀄리티는 차이가 많이 안나요. 게다가 회사의 경우는 팀장 혹은 사수의 컨펌이 완료되기 전에 많은 수정 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대부분 결과물들은 나쁠 수가 없구요. 근데 클라이언트는 그 디자이너의 경력과 퀄리티 상관없이 본인들이 원하는 디자인이 아니면 이연님 말씀처럼 미주알 고주알 말들이 참 많습니다. 디자인에 디자도 모르지만, 그게 아주 현실적인 클라이언트거든요. 또 그 클라이언트들이 말하는 것중에 시장의 상황 고객들의 의견 등 디자이너들이 간과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접한 분들이구요. 그래서 마냥 그 이야기들을 지양할 수는 없어요. 해서 디자인 퀄리티 외에 갖춰야 할 것은 디자인 기획력이예요. 디자인을 처음 시작할 때 스케치를 하거나 포토샵, 일러스트 등의 프로그램 켜는 일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디자인 요구사항 분석, 벤치마킹, 디자인 방향성이 담긴 디자인 기획을 하는 것죠. 너희들이 이런 요구사항을 했고, 그걸 토대로 분석해서 나는 벤치마킹을 했고, 그것을 또 토대로 방향성을 잡아 나는 이런 디자인을 했다. 라고 클라이언트를 설득할 수 있는 문서…. 그리고 과정 중간중간 클라이언트와 미팅을 통해 공유하고 의견을 자주 받구요. 클라이언트 너희도 이 프로젝트의 일원이야라는 암묵적 메시지를 던지는거죠… PT까지 하면 좋지만.. 디자이너들의 대부분 이것까지는 참 버거워 해요. 디자인은 정말 단순한데 별거 없는데… 마케팅까지 잘해서 잘 판매되는 디자인이 있어요. 헌데 그런 디자인의 뒷이야기를 보면 정말 어마어마한 기획력이 있지요. 세번째.. 디자인 전공 유무 10년 넘게 팀장으로 있으면서 구인을 참 많이 했어요. 그리고 포폴을 먼저 보고 이력서를 많이 봤어요. 선입견이 생길 수가 있으니. 포폴을 받으면 전공 상관없이 딱 두가지로 갈립니다. 괜찮은데? 별로야? 로…. 에매해라고 말할 수 있는 경우는 정말 얼마 안되고… 애매해는 사실 별로야에 가깝구요. 전공하신 분들중에서도 잘 하시는 분들은 그중 몇프로고요. 전공 안하신 분들중에서도 잘 하시는 분들은 그중 몇프로예요. 전공하면 취업할때 유리한건 사실이지요. 하지만 개인의 노력이 정말 중요하다는 점… 하지만, 전공인데 포폴이 별로면 더 최악이겠죠. 전공하고 포폴이 괜찮으면 또 취업에 무조건 100% 유리하냐…것도 아닙니다. 면접시 뭐 한번 보고 그 사람의 인성을 다 알 수는 없지만, 사람들의 눈은 다 정말 비슷하고 그중 과반수의 의견이 비슷하면 정말 그런 경우가 다수예요. 전공도 하고 포폴이 너무 좋아서 뽑았는데 OJT 기간 못채우고 나간 디자이너들도 봤고 전공도 안하고 포폴은 그냥 애매했지만, 사람이 너무 성실하니 계속 성장해서 오랜기간 근속하는 디자인들도 봤고요. 대기업의 경우는 학력을 먼저 보는건 이연님 이야기처럼 팩트예요. 하지만, 취업을 할 수 있는 시장은 대기업보다는 중견, 중소가 더 많다는 사실…. 페이로만 보면 사실 내 사업을 해야 해요 ^_____^ 직장은 그냥 생계유지입니다.. 그것도 어느정도 나이가 차면 나와야 하니까~ 주저리 주저리 많이도 썼는데 도움이 되시길~
@user-sc6mr6bf5k
@user-sc6mr6bf5k 2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 나이가 차면 회사를 나와야한다고 하셨는데 나리님은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디자인 업무를 22년이나 하실 수 있으셨나요? 아무래도 프리로 일하면서 지속적으로 컨택하는 회사를 만드는게 중요하려나요ㅜㅜ
@nari_womowi8901
@nari_womowi8901 2 жыл бұрын
@@user-sc6mr6bf5k 나이가 차서 회사 생활을 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하지만 그런 분들은 거의 실무는 아니시고 관리직이실꺼고요. 관리직이야 말로 더 경쟁이 치열합니다. 왜냐… 실무가 필요한 회사보다 관리 포지션이 필요한 회사가 적기 때문이겠죠. 아마 본부장 이상은 거의 인맥으로 가는 경우가 많을 거고요. 그게 아닐 경우는 아마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 등을 회사에 쏟아야 합니다. 근데 거기까지 가기 전에 두가지의 경우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여성분의 경우는 출산, 육아등 일보다는 가정을 택하면 진급에서 누락되거나 경단이 되고 일을 택하면 가정에 조금 소홀하겠죠. 또 하나는 회사에 이렇게까지 충성을 해야 하나 이렇게 열심히 할 것 같으면 내 사업하는게 더 이득이겠네 하면서…… 저의 경우 일을 택해 직장생활만 20년을 했습니다. 경쟁속에서 치열했죠…. 그만큼 힘들었고요. 그리고 후자를 택해서 2년차 프리를 하고 있고, 제 사업을 준비중입니다. 일은 직장의 동료를 통해서 간간히 받아서 하거나 헤드헌터를 통해 개월수가 정해진 프로젝트로 일을 합니다… (경력이 좀 되고 포폴이 괜찮으면 꽤 연락이 와요) 프리랜서란 시간을 그만큼 프리하게 쓸 수 있지만, 그만큼 수입이 들쑥날쑥해서 멘탈 관리가 많이 필요해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user-sc6mr6bf5k
@user-sc6mr6bf5k 2 жыл бұрын
@@nari_womowi8901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 직업의 더 먼 미래의 부분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됐어요. 오늘 남은 날동안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youjung5651
@youjung5651 Жыл бұрын
긴글 써주셔서 감사해요❤ 잘 읽었습니다!!
@YoungJinYou
@YoungJinYou 9 ай бұрын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젝트 단위로 일을 받을 수 있는 플렛폼은 어디인지 알 수 있을까요?
@user-mi2sl1uv7m
@user-mi2sl1uv7m 6 ай бұрын
미국 유학 갔다 와서 현대자동차 디자이너로 들어갔다가 때려치고 다시 공부해서 공무원 된 분도 봤어요 얼마나 모멸감을 느꼈으면..... 부모님이 집 팔아서 뒷바라지 했다던데ㅜㅜ
@user-us8qo7px9r
@user-us8qo7px9r 3 ай бұрын
Sorry to that person who experienced Hyundai, it is reality
@heameeda_da
@heameeda_da 2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로 일한지 6년됐는대요 단점 일하는거에비해 박봉이거 야근도 많아요 제가 패디졸업해서 패션디자이너로일하다 그래픽디자이너4년 넘게하다가 지금 패션쪽 콘텐츠 디자이너로 이직해서 일년째 근무중인대요 제가 그래픽디자이너였어서 드로잉은 물론 로고디자인에 패키지디자인까지 가능하고 패션디자이너로서 꽤 내실을 많이 쌓아서 그쪽으로도 기술이 좋은대 요즘 급변하는 시대에 디자이너에게 더 많은걸 요구하더라구요 내가 이만큼 가지고 있는건 당연하고 css디자인도 (코딩적인부분) 해야하고 영상편집도 해야하며 어도비에 나온 모든 프로그램은 왠만큼 상위레벨로 사용할줄 알아야하더라구요..ㅋㅋㅋ제가 잘하고싶은 맘이 커서 그런지 그것들 다 집어넣느라 죽죽 갈리는대요 그 노력에 비해 진짜 박봉이죠...장점 일이 재밋어요...저는 그게ㅜ제일 좋은거같아요 물론 스트레스받고 사회생활거지같은거 똑같은대 그래도 진짜 성취감도 크고 잘하고싶어서 스트레스받는대 그걸 해냈을때 이루말할수 없이 뿌듯하거든요 전 돈도 돈인대 이건 진짜 장점인거같아요..그리고 부수입도 좋구요 저는 핀버튼 디자인해서 부수입이 월급보다 많았던 적이있었거든요 ㅋㅋㅋㅋ그건 좋더라구요ㅎㅎ
@user-bh9by9xq1p
@user-bh9by9xq1p 2 жыл бұрын
핀버튼이먼가용
@asyeong3637
@asyeong3637 2 жыл бұрын
오... 능력자시네요
@Arcahive7
@Arcahive7 2 ай бұрын
졸업을 앞두고 있는 학생입니다. 알고리즘에 떠서 봤고 이미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디자인 업계이지만 그럼에도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제 손으로 무언가를 창조해낸다는게 좋더라구요. 물론 그 완성까지의 과정이 피곤하고 힘들지만요... 제가 선택한 디자인이니 버틸 수 있으면 버텨보려고 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user-bi3ty9xn9r
@user-bi3ty9xn9r 2 жыл бұрын
요즘 개발자와 일맥상통하는 느낌이네요 ㅋㅋ 어떤 서비스를 보면 어떤 구조로 수익을 내고 있을까 왜 저 방식을 했을까 하는 생각도 하고 ㅋㅋㅋㅋ
@user-xx5yh2cm2n
@user-xx5yh2cm2n 2 жыл бұрын
현재 디자이너가 꿈인 고2학생인데… 디자이너가 된다면 일단 돈 모으는 건 포기해야하는 걸까요… 항상 디자이너라는 꿈에 대한 로망이 있다가도 이런 현실적인 문제들을 마주하면 앞날이 걱정되네요… ㅜㅜ 그래도 허고싶은 거 하면서 사는 게 제일 좋은 거겠죠…??
@user-wg3et6lo6t
@user-wg3et6lo6t 3 ай бұрын
디자이너도 사람바이 사람입니다. 분야에따라 능력에따라 연봉이 다릅니다. 저희 아버지가 인하우스 디자이너시지만 세후연봉 1억 찍으셔요
@user-xx5yh2cm2n
@user-xx5yh2cm2n 3 ай бұрын
@@user-wg3et6lo6t 그렇군요 하긴 뭐든 본인 하기 나름이긴하죠!
@kiron2496
@kiron2496 Жыл бұрын
회사는 가끔씩만 포토샵이 필요헌 반복업무로 선택하고. 디자인은 취미나 다른 외부적인 일에 사용하는데. 만족합니다.
@appleh-9446
@appleh-9446 2 жыл бұрын
채색하고계신 물감이 궁금해요^^
@user-df8tn6zc6d
@user-df8tn6zc6d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공감된다요....
@user-ri3wp3op6z
@user-ri3wp3op6z Жыл бұрын
저는 학원 출신 비전공자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인으로 밥벌이한지 10년 가까이 되었는데 미대를 나오지 않아서 차별받은 느낌은 거의 없었지만 일을 하면서 드로잉적인 부분에서는 약간의 한계는 느꼈던거 같아요. 그림 실력은 꽝이었거든요. 하지만 다행히 십년간 일하면서 나름 일했던 업체들에서 인정도 받았던 제 자신이 자랑스러워요. 물론 서른 후반인 지금도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user-kd8ue3oq7h
@user-kd8ue3oq7h 10 ай бұрын
어떤 업계 디자이너신가요?
@user-he3pi3do4t
@user-he3pi3do4t 2 жыл бұрын
와 이연님 영상!!
@ZZIN-sq7td
@ZZIN-sq7td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연님~!! 물감이랑 붓정보 궁금해요~~~~^^ 5:52
@dkdoejfldnakaoef
@dkdoejfldnakaoef 2 жыл бұрын
제가 생각했던것들 다 말씀하시네요 ㅎㅎ 9년차고 회사다니면서 프리랜서하다가 지금은 회사 관두고 잠시 키를 돌려서 프리랜서로 생활중입니다. 프리하다가 은행대출 필요하면 다시 회사 들어가려고요 ㅋㅋ 프리랜서로써 수익은 평균 월 500정도에요, 직전 회사 월급은 세후 430이였어서 프리도 직전 연봉 기준으로 견적책정해서 회사에서 번만큼 버는거같아용/.. 암튼 프리하고 수익이 더 잘나와서 만족하고 삽니다. 디자이너의 가장큰 장점은 실력만 있다면 프리, 회사 조직이나 형태에 목매지 않고 수익을 창출 할수 있는게 제일 큰 장점인것 같아요, 태국가면 노마드로 디자인 하시는 분들도 많고 ㅎㅎ 장소구애도 안받아서 좋습니다. 물론 감리는 ....ㅎㅎㅎ
@user-gd4sl7ez5s
@user-gd4sl7ez5s Жыл бұрын
잠은 잘 주무세요? 500 벌면서 몇시간 주무시는지 궁금해여
@user-dh5ci6gj7n
@user-dh5ci6gj7n 8 ай бұрын
잠은 잘 주무세요? 500 버시려면
@dkdoejfldnakaoef
@dkdoejfldnakaoef 2 ай бұрын
수면은 그냥 회사랑 똑같은 루틴 만들어서 주말빼고 8시간 기준 정해두고 근무 해서 나쁘지 않았어요 ㅎㅎ 근데 프리 하다보니 회사랑 일하는 시간 똑같구.. 인맥도 관리해야 하고 그래서 젊을때 회사 최대한 다니구 나중에 아쉬우면 프리해도 될것 같다는 생각 들어서 지금은 대기업 인하우스로 프리때 벌이 맞춰서 협상하고 회사로 돌아왔습니다 ..
@chul1029
@chul1029 Жыл бұрын
2:38 내 마음의 소리를 대신해주셨어요 ㅋㅋㅋ
@skysurfr
@skysurfr 2 жыл бұрын
전부 체감되는 말이네요.
@GolfCrazy
@GolfCrazy Жыл бұрын
창작의 영역에서 시간 싸움은 = 창작을 하지 말아라. 같은 말 입니다.
@hihihehehohohuhu
@hihihehehohohuhu Жыл бұрын
서울을 기준으로 말하시는거겠죠..?😂 9;25 여기 대학정도면 괜찮지 의 여기대학이 인서울을 말하는 건가요?
@user-wg3et6lo6t
@user-wg3et6lo6t 3 ай бұрын
미대 유명한곳 꼽자면 서홍국곽건이 이렇게 6개 학교가 유명하구요 경기도 대장학교들 까진 괜찮은학교로 알아요
@user-ie9kc6cn2v
@user-ie9kc6cn2v 3 ай бұрын
스트레스도 심하고 건강을 해치는 직업이라 다른 직장인만큼 오래 일하기 힘든 직종이죠
@chaebongb
@chaebongb Жыл бұрын
2:20 와 전회사 팀장 생각나서 (디자이너 아님) 얹히는줄 ^^
@suyun6767
@suyun6767 4 ай бұрын
그래픽디자인 보통 몇살이 최고로 물오를때고 언제가 가장 위험한가요
@ginikim2192
@ginikim2192 2 жыл бұрын
아무튼 디자인 직종은 이직도 많고,힘든 직종이에요. 열에 아홉은 떨어져 나가는거 같아요. 그렇다고 만화 및 일러스트레이터 직종도 만만치 않은거 같더라구요.(수입료가 시간대비 ㄷㄷㄷ하죠. 물론 능력치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째든 돈 욕심많고 성공하려면, 디자인과 예술하면 안됩니다. ㅋㅋ 앙리 루소처럼, 나이들어 돈 벌고 여유있을때, 늦게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언제나 취미로 시작해 예술영역에 접근해 성공이 가능하답니다. ㅎ 물론 예술은 성공이 꼭 목표점는 아닌거 같네요. ㅡㅡㅡㅡㅡㅡㅡ 앙리 루소(1844-1910)는 세관원으로 일하면서 독학해서 마흔두 살부터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그나마 처음엔 비웃음만 받았다. 젊은 아방가르드 화가들이 그의 색다른 그림을 눈여겨 보기 시작하면서 그는 49세에야 전업화가가 되었다
@minmean857
@minmean857 2 жыл бұрын
3년차 디자이너인데요 제 주변 디자이너는 정말 디자인이 재밌어서 하는 사람 뿐 입니다 그게 아니면 디자인 너어~무 힘든일 인 것 같아요 그에 비해 박봉이고요.. 우리나라에서 특히 대우받지 못한다는거 크게 공감합니다 박봉인 이유도 그래서인듯하고요..
@user-gd4sl7ez5s
@user-gd4sl7ez5s Жыл бұрын
어디쪽 일하세요? Ui/ux? 영상쪽?
@sseennaaaa
@sseennaaaa 2 жыл бұрын
디자인도 중소기업 말고 대기업쪽으로 가는게 조은듯
@m_visual_school
@m_visual_school 2 жыл бұрын
서방권 기준 한국 디자이너의 연봉은 세계 최저 맞아요
@tv-uh2qw
@tv-uh2qw Жыл бұрын
대학 나와서 디자인 했지만 디자이너는 포트폴리오만 좋으면 된거임 디자이너들 전부 공감했음
@user-yl5pn5kh4c
@user-yl5pn5kh4c Ай бұрын
혹시 과기대 나오신건가요??
@user-th1kk8wq2v
@user-th1kk8wq2v 2 жыл бұрын
야자시간에 봐요,,,
@veritasruxmea
@veritasruxmea 2 жыл бұрын
아무도 알람 신청 안했지만 유일하게 알람설정 해둔 유튜버
@veritasruxmea
@veritasruxmea 2 жыл бұрын
저는 간호사로 일 하고 있지만 디자인 쪽에 관심이 많아서 취미로 집에서 그림도 그리고 이것저것 해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위에 디자인을 하시는 분들이 잘 없고 들을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인데 이렇게 이연님 유튜브를 보면서 항상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연님의 삶 이야기, 가치관, 생각 등등 멋있고 배울점이 많아서 좋습니다.🙂
@imnmmnmi
@imnmmnmi Жыл бұрын
15년 회사에서 일하고 짬짬이 프리랜서 고인물 아니 썩은물 디자이너 입니다. 1. 간섭이 쉽다. 동감이며 동시에 다른 관점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기획력과 시장 마케팅 자본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디자인도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파인아트를 해야죠… 하지만 팀장이 되어도 간섭을 받습니다. 2. 충격부분 국립대 저는 200미만으로 졸업(입학 때 120) 하고 초봉 세후 월급이 180인데… 10년 후에도 180이라는 것에 충격 매우 충격 … 3. 그럴꺼면 너가 디자인하지. 이건 소통의 부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 공감은 적더라도 꾸준히 뜸뜸하게 수입이 있다 + 수입이 전문직 인데 적다.
@user-vz4qm6ye6m
@user-vz4qm6ye6m 7 ай бұрын
그치만 다른 직업을 디자인만큼 잘했다면 굳이 프리랜서 하지 않아도 먹고살만하다는거 ㅋㅋㅋㅋㅋ 단순하게 기타 기술직만 생각해봐도 연차 쌓이면 연봉 1억 넘는 사람들 진짜 많습니다. 디자이너는 글쎄요~~진짜 ㅈㄴ 박봉이고요 추천 안합니다 저도 디자인이 좋아서 계속 하는 사람이긴하지만 직업적으로 증말 별로에요
@user-wg3et6lo6t
@user-wg3et6lo6t 3 ай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디자이너신데 연봉 1억넘습니다. 디자이너가 박봉이라는것도 편견이 아닐까 싶어요? 근데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훈수두거나 잦은야근은 멘탈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힘들어보이더라구요.
@toteles80
@toteles80 Ай бұрын
@@user-wg3et6lo6t 아버님이 어떤 디자인을 하고 계신가요?
잘나가는 예술가의 6가지 공통점
22:46
이연LEEYEON
Рет қаралды 117 М.
곁에 있는 모든 것을 신중하게 고르기
15:52
이연LEEYEON
Рет қаралды 177 М.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he importance of skin makeup | Matte vs. Glow, What's My Type?
6:50
레어리 Rarele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여러분은 오늘을 살고 있나요?
20:36
이연LEEYEON
Рет қаралды 689 М.
집단주의 문화 본 외국인의 솔직한 생각은?
16:02
파비앙 Fabien Yoon
Рет қаралды 70 М.
정리만 잘해도 많은 문제가 해결됩니다
12:47
이연LEEYEON
Рет қаралды 137 М.
СИМВОЛИЧНОЕ ИСКУССТВО
0:28
В ТРЕНДЕ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Лепим из Candy Clay - самой крутой легкой полимерной глины 🤘🏻 #diy #clay #творчество
0:14
Candy Clay. Уроки по лепке из легкой глины!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ООСТЕРЕГИСЬ🙊🙊🙊
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OMG 😂😂😂#funny
0:12
Ri Miu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Машина Времени для Лапши🍜😮🏪
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