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의 부활은 가능할까?
13:06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24:01
[SUB] VIRUS | Friend or Foe? (4K)
14:22
Please Join Weniverse.
1:44
3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user-dy6hg1pm4s
@user-dy6hg1pm4s 7 сағат бұрын
미방 일반수학 때 시험문제로 코로나 종식 예측 나왔었는데.. 틀림
@user-ow6lc7ve3c
@user-ow6lc7ve3c Күн бұрын
기계적인 확률만 따진다면 바꾸는 게 맞겠지만... 출연자가 고른 것이 정답일 경우에만 사회자가 바꿀 기회를 줄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결국 사회자에 대한 신뢰 문제가 됨.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4 күн бұрын
이론적으로는 미각수용체와 중추신경계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미각반응을 분석해서 식욕을 해결하면 되는 것 아닌가?근데 그 기술 이후의 지구는 지금과 다를듯
@user-kd4sn3fb2w
@user-kd4sn3fb2w 5 күн бұрын
제가 본 모든 인터스텔라 관련 영상 중 단연 1등입니다..
@user-rl1mc9gk3y
@user-rl1mc9gk3y 5 күн бұрын
혹시 적색 초거성도 다뤄주시나요?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6 күн бұрын
현실에서 생각해보기 좋은 것은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의 단면이 시간적 흐름이면서 그 안에 시간의 정보가 저장된다는 사실이 틀렸을 수도 있다는 것.물론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어쩌면 유사공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 수도 있음.
@transam1870
@transam1870 7 күн бұрын
네가 진정으로 무언갈 안다면 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한다. - 아인슈타인- 이 말이 떠오를정도로 훌륭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bublemichael8273
@bublemichael8273 11 күн бұрын
나사에서 발표한 블랙홀에 들어갈때 보이는 풍경 리뷰해주실수 있나요?
@minaroh9377
@minaroh9377 17 күн бұрын
싸우지말고다들 화해햐~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17 күн бұрын
1+1=0입니다
@Gooo-ps4if
@Gooo-ps4if 18 күн бұрын
특별한 상태와 미래로 가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잘 모르겠어요,, 문과생인데 과학독서지문때문에 보고있어서 쉽게 설명부탁드려용ㅠㅠ ㅎㅎ
@bokkumbob
@bokkumbob 20 күн бұрын
우주에서는 속도제한이 있어서 빛은 그 속도 이상으로는 못가기때문에 빛의 속도가 불변할 뿐이라고 생각되는데요. 빛의 속도가 36만km이던가요?즉 빛은 속도가 줄어들수는 있으나 36만km를 넘을수는 없다.
@user-bg6qg2wy7h
@user-bg6qg2wy7h 20 күн бұрын
제가 수학 발표를 준비하면서 이 영상을 참고하려고 하는데, 발표할 때 설명을 못 할 것 같은 부분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2:30에서 취약자 수의 변화와 감염자 수의 변화, 회복자 수의 변화를 설명할 때, d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요?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23 күн бұрын
올바른=/=정확한
@user-wk1fz2ys5y
@user-wk1fz2ys5y 26 күн бұрын
파이썬 코딩 어떻게 하셨는지 볼 수 있을까요?
@user-gg8iq1id5y
@user-gg8iq1id5y 27 күн бұрын
와따메 설명죽이네 감사합니다 수행평가에 잘 참고하겠습니다 ㅠㅠ
@TheOne-2023
@TheOne-2023 Ай бұрын
빛과 같은속도로 동행하는 관점으로 이세상을보면 우주는 빛의속도로 팽창하고있다
@till_the_death_do_us_part
@till_the_death_do_us_part Ай бұрын
소름 돋는 영상 퀄리티
@osanraven
@osanraven Ай бұрын
어떠한 물리선생보다 더 자세하고 알아먹게 알려주시는듯 ㅋ
@lIlIlIlIlIlll
@lIlIlIlIlIlll Ай бұрын
결론이 특히 와닿네요.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
@lIlIlIlIlIlll
@lIlIlIlIlIlll Ай бұрын
수준높은 내용에 감탄하고 갑니다
@user-vr5mn4gs1h
@user-vr5mn4gs1h Ай бұрын
왜 일상에 무관심되는 논리를 일상에 심으려고 하죠.날이 갈수록 이상해지네요.뭐 어찌해달라고 외치는 자는 없었건만 극구코로나를 띄우며 백신을 더욱 교묘한 논리로 펼쳐나가네요.변하지 않는 본질은 인체의 단백질은 인체기관이 만드는 것이지 사람의 임의로 조종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아무리 설명을하여도 코로나 대체자를 넣어준다는 말인데 그렇게 어려운 설명을 하네요.
@imsocold..822
@imsocold..822 Ай бұрын
왘..너무떨려
@alanyu4309
@alanyu4309 Ай бұрын
Once u remove that impossible whatever are may in time improbable must be true. ㄷㅅㄷ^
@user-jd6fn2vp6o
@user-jd6fn2vp6o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제 삶에 베이즈 추론을 응용해 봐야겠어요.
@user-sd2wr6yf2d
@user-sd2wr6yf2d Ай бұрын
유병률이 높아질수록 위발견율이 줄어드는것이 맞나요? 다른분 답변도 괜찮으니 부탁드려요ㅜㅜ
@aramoa07
@aramoa07 Ай бұрын
수학 수행평가에 활용하겠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출처 남기고 사용하게습니다)
@user-bd3he8tt1x
@user-bd3he8tt1x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ㅠㅠ
@user-jf7pj1kt8b
@user-jf7pj1kt8b Ай бұрын
만약 특이도가 100%면 어떤 결과일까요..?
@user-qf1bv4co5h
@user-qf1bv4co5h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물리 관련 새로 올린 영상은 없는건가요?
@user-vf9fz7fc3n
@user-vf9fz7fc3n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인상 깊게 보았습니다. 다시 보면 볼수록 경이롭네요.. 핵심 아이디어의 구조를 자기 복제하는 영상과 인셉션에서의 층위를 구현하시다니.. 펜로즈 삼각형이 배경인 것도 일관성 있고, 영상 위에서 스택stack을 시각화해주셔서 ‘토템’보다 단계 확인이 분명하면서도 재밌었습니다 🤩 괴델의 정리를 ‘손을 그리는 손’을 통해 그 아이디어를 설명해주신 부분에서는 조금 소름이 돋았네요.. 평소 댓글을 잘 달지 않는 편인데, 댓글 최신순으로 보니 <괴델, 에셔, 바흐>에서 내용을 참고하셨다는 걸 보고 무척 놀라 몇 자 남겨봤어요. 저는 이 책으로 학교 내에서 탐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고등학생인데 책에서 ‘작은 화성의 미로’, ‘재귀적 구조와 과정’ 부분이 인셉션의 아이디어와 유사하다는 생각이 들어 영상을 찾아 보게 되었어요. 사실 인셉션을 작년에 처음 보고서 ‘층위’ 개념이 신기해서 자료를 찾아보다가 위니버스님의 이 영상을 처음 접하게 되었고, 책을 읽으며 pop, push를 시각화하신 그림 자료만 기억에 남아서 다시 유튜브에 검색해 들어와 봤습니다. 지능에 관한 호기심에 프로젝트를 이 책으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책 내용 이해 차원에서 많은 벽을 느낀지라 이번 1학기 내에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혹시 책을 읽으실 때 어떤 식으로 이해하셨는지, 관련 주제로 추천할 만한 책이 있으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Weniverse
@Weniverse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재밌게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괴델의 정리를 마음과의 동형성에 주목한 만큼 괴델에 관한 두 책을 추천드립니다. 첫 책은 호프스태터가 상기 도서에서도 언급한 <괴델의 증명>이고, 두 번째는 대한수리학회에서 발간한 <논리적 딜레마>입니다. 추가적으로 호프스태터가 쓴 <사고의 본질>도 좋은 도서라 생각되며, ‘의식’에 더 관심이 생기신다면 펜로즈의 <마음의 그림자>도 읽어볼 만 합니다.
@user-vp8fy4lo4i
@user-vp8fy4lo4i Ай бұрын
퀄리티 개쩐다..
@user-hf1tm8sb8h
@user-hf1tm8sb8h Ай бұрын
3:18, 7:12
@phydice
@phydice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봤습니다 혹시 빛의 속도가 불변인 이유이 대한 영상 만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그건 훨씬 어렵습니다. 이론과 기설의 영역이라 아직 물리학 최전선에서 연구중이니까요.
@user-wl8qz2kn2q
@user-wl8qz2kn2q Ай бұрын
5:08
@thinker--
@thinker-- Ай бұрын
개쩐다 시발 ㅋㅋㅋ
@user-rx5ju3jb9o
@user-rx5ju3jb9o Ай бұрын
반박합니다...........상대성 헛소리
@Smile-so4my
@Smile-so4my Ай бұрын
시간은 존재 않는다. 공간 속에서 존재하는 물질/물체가 변해 가는 상태를 시간이라고 부를수 있지 않을까요?
@bossman4503
@bossman4503 Ай бұрын
뭔소리야? 시간이라는게 인간이 정의한거라 존재자체가 없는건데 공간과 하나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