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향이 아니라 내 인생에서 내가 높은 가치를 두고 살고 싶은 그 무엇. 이라고 말하는 게 정확하겠네요.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20대"라면 지금 아무것도 안하고 있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치관이라는게 하루아침에 정하고 스타트, 이렇게 시작하는 달리기 같은 것이 아니죠.
@Acmosa7773 күн бұрын
전제 조건 1. 우리가 잘하고자 하는 분야는 문학적 글쓰기가 이닌, 설명문이나 논설문이다. 글이 좋다는 것의 기준 : 글이 명료하다. 주제의식이 분명하다. 글을 잘 쓰는 방법 1. 지금부터 쓰고자 하는 바를 한 줄로 설명해보기. 2. 내가 잘 알고있는 분야에 대해서 쓸 것. ( 자연스럽게 구체성이 생긴다. 잘 모르는 분야의 글을 쓸 경우 미사여구의 빈도가 증가한다. ) 3.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나의 이야기. 내가 알게된 세상 및 본인의 디테일을 살릴 것. 4. 자기의 결에서 자기가 가장 잘 아는 이야기를 쓸 것. 5. 오만함이 느껴지지 않게 글을 쓴다. 친절하게 설명하는 방법으로. 힘이 들어간 문장과 유식한 방법은 지양하기. 6. 글을 쓴 후 소리내어 읽어보기. 7. 글을 잘 쓰려면 신문의 맨 뒤에 오피니언 및 짧게 요약한 글 자체를 필사한다.
@sughyeannam92723 күн бұрын
아시는분 좋은 신문을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필사해 보고 싶어요
@sughyeannam92723 күн бұрын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를 한줄로 써 본다 가르치려는 오만은 절대 금물, 알려주고 싶은 친절 모드. 가장 잘 아는 이야기로 쓴다 신문에 오피니언을 필사한다
@binded-leaves6 күн бұрын
1. 솔직하게 쓰기 - 그러나 일기용 솔직함과는 다르다 (감정을 배설하는 것이 아님) 일기: 솔직하게 써도 됨! 에세이: 독자가 있음. 솔직함을 활용해야 함 2. 실패한 경험을 소재로 활용할 것 - 단, 실패로부터 배운 것이 있어야 함. 배운 것이 있어야 독자에게 무언가 줄 수 있는 것이 있다. - 사람들은 실패했던 사람의 성공한 이야기를 좋아한다 3. 내 관심분야가 무엇인지 고민하기 - 다른 사람들이 갖지 못한 인사이트를 써 볼 것 요약은 했지만 영상에서 여러 예시를 들어주시면서 설명을 하셔서, 영상 전체를 시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anana012210 күн бұрын
자기연민이나 자기혐오나 자기 안에 더 잘난 나와 못난 나를 구분짓고 있으니 생기는 거 같네요 결국 잘난 나의 우월감에서 오는 거죠
@being_romance20 күн бұрын
혹시 온라인에서 신문 오피니언은 어떻게 찾을수있을까요? 사설과 오피니언은 다른건가요?
@key-man453122 күн бұрын
초, 중, 고때 왕따를 당해서 항상 혼자 외톨이처럼 있어서 그런지 회사에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ㅠㅠ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들어와서 한가닥 희망을 보고 가요. 내일은 어떨지 ;;;;
@김규환-s8b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alterbyun5100Ай бұрын
앞 글 "아니옵니까"를 "아니옵니다"로 고칩니다. 죄송합니다.
@walterbyun5100Ай бұрын
왠 제목이 이리 용장합니까? "용장"이란 말을 아십니까? 쉬운 고유어만 나열하는 것 만이 능사가 아니옵니까?
@유토피아-u3vАй бұрын
간단한 걸 왜 어렵게 생각하나요? 바이러스, 세균, 벌레는 환경만 되면 숙주에게 달라 붙어 피와 살을 갉아 먹잖아요.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환경만 주어지면 버러지처럼 남들의 재능, 능력, 돈을 야금야금 갉아 먹어요. 그리곤 '꼬리가 길면 잡힌다'고 결국 죽여 버려요. 따라서 부패하지 못하게 감시를 철저히 하고 처벌도 일반인들과 같이 쉽게 해야 합니다. 지금은 국민들을 조직스토킹해서 '현대판노예' 만드는데 얼마나 열심인지 아십니까. 국민들이 고독사, 자살을 많이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
@YoungDeokKimАй бұрын
좋은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wisemoveeАй бұрын
해석 너무 잘 들었습니다
@needesignlab2 ай бұрын
02:42 스티커 메시지 만드려면 다음 요소 충족해야 함 -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스토리, 신뢰성, 감성
@채윤박-y9j2 ай бұрын
정말 꿀팁이에요!!♥ 돈 대신 좋아요 구독...★
@cantabilev60562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참 좋으세요~
@차재용-t8x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ulieKim78692 ай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가요.
@이기자-v1n2 ай бұрын
자신이 원하는 글을 필사하는 방식이 자칫 잘못하면 표절논란에 휩싸일수도 있고 논리적인 사고나 글 전개에도 별 도움이 안될수 있다는데 공감합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종류의 글들은 그냥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읽으면서 느끼고 감각을 살리는 방식이 더 나을것 같습니다. 신문의 사설면은 대학논술에서도 예전부터 좋은 논술문을 작성하기위한 좋은 참고로 많이 언급되곤 했었습니다.
@kikoyu-b4v2 ай бұрын
말잘하는 노하우에 대해 꿀팁 전해받아 넘 좋은데 한번 시도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불안한 마음에 잠도 설친 적이 있었는데 멜라티움 먹고 난 후로는 모든게 덜해지고 잠도 편하고 깊게 잘잤네요
@drama.housekeeper2 ай бұрын
피곤한데도 잠이 안 와서 힘들었는데, 이걸 먹고는 바로 잠들었어요.
@우와-o9u3 ай бұрын
선생님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의견을 피력하고 조율해야하는 역량을 필연적으로 가져야하는 직업을 준비중인데 제 취약부분이라 정말 막막했거든요..ㅠ 말씀주신 팁들 잘 참고해서 그대로 따라해보려구요! 귀중한 정보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정용호-h5s3 ай бұрын
지난일은 지난거임 헤메고 해내고 나도 헤메고 있지만 해낼꺼임 화이팅!!!
@똥스-j7z3 ай бұрын
필사를 하고 그 글을 보고 제 나름대로 인용해서 글귀를 만드는것도 자기 글쓰기 실력을 올릴 수 있는걸까요???
@haha-ed1zl3 ай бұрын
블로그 시작하느라 할때마다 부담이었는데 너무 좋은 강의였어요 감사합니다 저장해놓고 자주 볼게요!
@무무탐정연구소3 ай бұрын
오피니언 구체적으로 추천부탁드려요
@봄들이님3 ай бұрын
구독 왠만하면 잘 안하는데 11분 쯤에 구독을 누르게 되었어요. 자꾸, 자주 감사하게 듣고 싶습니다.
@전연화-q5w3 ай бұрын
해가 갈수록 알고 있던 단어도 잊어버리는데 어감 사전 이라는 게 있군요 감사합니다
@나그랑-f8y3 ай бұрын
꿀팁받고 실천을 약속드리며 좋아요 구독 드리고 갑니다. ^^
@park99904 ай бұрын
저도 요즘들어 말하기의 중요성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영상 하나를 교과서 삼아도 될 정도로 잘 정리되어있네요. 정말로 감사합니다.
@shadow-em7dm4 ай бұрын
참 뻔뻔하다 내로남불
@지연-l6i3o4 ай бұрын
구독햇는데 마지막 영상이 이년전이네요 ㅠㅠ 어디가신거죠
@빛빛솔4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이루다-m2f4 ай бұрын
다 들어도 어려워요... 선생님 오피니언이 신문에 1주일에 한가지가 나오나요.. 신문을 구독해야하나요.. 오피니언이라는 코너가 있나요 아니면 사설을 말씀하시는건가요...
@천상여인-f6k4 ай бұрын
정말로 잘 듣고 갑니다 저도 그랬던 적이 있었거든요 아~그때 왜 이렇게 말을 못했나 하고~지금은 메모를 많이 합니다
@Hy-be7fk4 ай бұрын
우왕 너무 쉽고 잘 알려주시는 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황소-i2k4 ай бұрын
자서전을 쓰고싶고 주위에서 권유도 있는데 문장력이 없어서 고민입니다 혹시 작가님들 조언을 듣고 싶네요
@EJM-qm7bl5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꼰대 오지랖이지 함부로짓거리는건
@yourgracie105 ай бұрын
정주행중인데 너무 유익합니당😗👍
@시후어반5 ай бұрын
좋다~~😂😂
@서영-h4g5 ай бұрын
정문정답이 왜 십만 구독자가 안되는지 빨간여자 말행동에 답이 나왔네 지주제를 모르네
@mingyu01-c5o5 ай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
@안온-h3c5 ай бұрын
사회과학도서 추천해주시는 책 있나요?
@도독-u8h5 ай бұрын
문학직품같이 아름답고 수려한 글을 쓰는법도 너무 궁금해요ㅠㅠ!!
@_Lykke6 ай бұрын
3:41 이거다 …😢
@블루-f8c6 ай бұрын
선생님검색하다 얻어걸린영상 호호호 감사드립니다. 심리학영상에서 뵙고 펜이되었어요
@yes09776 ай бұрын
4:10
@walterbyun51006 ай бұрын
귀하께서는 얼마나 글에 "통효"하셨기에 , 얼마나 자신이 있기에, "비결"을 대한 민국 국민에게 "전수"하려 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