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nt8kp9eb8r
@user-nt8kp9eb8r Күн бұрын
저는 미국에서 박사받고 현재 포닥중인 엄마입니다. 아들의 장래를 막연히 상상만하고 지켜보고 있었는데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많은걸 이해했어요. 후일 저희 아들이 교수님을 만나뵐 수 있으면 바래봅니다. 참고로 저희 아들도 기계공학과 전공이예요. 로보틱스 연구실 이라고 해요. 아무것도 모르는 엄마에게 아들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주셨어요. 감사합니다~^^
@leehyunyoon175
@leehyunyoon175 Күн бұрын
조교수 1년차인데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injookang9344
@minjookang9344 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9월부로 일본에서 조교수 생활 시작합니다 😊 교수님 영상이 정말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user-wb4gv7vf7i
@user-wb4gv7vf7i 12 күн бұрын
1년반동안 정말 꽉 채워서 생활하셨네요. 본받겠습니다. ㅎㅎ 저도 너무 동의하는 바는 줌미팅때 지금까지 했던것보다 그 실험실에서 냈던 실험에서 무엇을 더 할수있는지에 대해서 굉장히 궁금해하고 인터뷰인지 디스커션인지 모르는 줌미팅을 가졌습니다 ㅎ
@jaegyeongchoi4803
@jaegyeongchoi4803 13 күн бұрын
해외 포닥을 계획하고 있는 국내박사과정생입니다. 이렇게 시간내어 영상으로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경험과 교수님의 입장에서 해주시는 말씀들이 학생으로선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게 대부분이라 굉장히 유익했습니다. 해주신 조언들 바탕으로 앞으로 어떤 준비와 태도를 취해야할지 어느정도 알게된 것 같습니다. 값진 이야기 공유해주셔서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wb4gv7vf7i
@user-wb4gv7vf7i 1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곧 퍼듀로 포닥을 가게됩니다 혹시 이메일로 연락드려도될까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13 күн бұрын
네 그럼요
@user-fd5qz4sy3h
@user-fd5qz4sy3h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자. 기업과의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엔 거기서 받는 비용은 샐러리 레인지와 무관하게 받을 수 있는 건가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21 күн бұрын
제가 아는 범위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보통 미국 주립대 공대 교수는 8-9개월 동안의 급여를 학교에서 받고, 여름 3-4개월 동안은 외부 활동이나 기업/정부기관 연구비로 일부 급여를 채울 수 있습니다. 8-9개월 급여에 따라 여름 3-4개월 급여의 상한이 정해집니다. 한국 대학에서는 기업에서 받은 과제비의 일부를 연구책임자의 급여로 책정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미국 학교에서도 이렇게 하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user-fd5qz4sy3h
@user-fd5qz4sy3h 21 күн бұрын
@@StickTronics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user-fd5qz4sy3h
@user-fd5qz4sy3h 22 күн бұрын
09:35 너무 공감이 됩니다. 지금은 조금 나아졌지만 한국엔 박사가 일할 양질의 일자리가 워낙 없다 보니 교수가 아니면 패배자인 듯한 잘못된 느낌이 있죠. 저희 분야는 지금도 한국 인더스트리엔 좋은 잡이 없어서 저는 미국에서 회사를 다니려 합니다
@onlyme_
@onlyme_ 24 күн бұрын
대부분 공대 출신 영상들만 있고 바이오 관련해서는 현실적으로 알려주는 영상보기가 힘들었는데 귀한 경험들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rn5081
@learn5081 25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영상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b7xo9li5x
@user-fb7xo9li5x Ай бұрын
5편까지 모두 시청했네요 감사합니다!!
@user-fb7xo9li5x
@user-fb7xo9li5x Ай бұрын
한국박사 현직 미국포닥입니다. 많이 공감하고 배우고 갑니다. 교수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jihojun6595
@jihojun659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현재 박사유학 고민중인 학생입니다. 알고리즘에 의해 접하게되었으나 알고있던내용들은 디테일하게 이해할 수 있었고 모르고 있던 내용들까지 알 수 있어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한국과 해외대학의 분위기가 다른부분이 많아서 해외대학에 교수님으로 계신분의 조언과 팁을 얻을 수 있게되어서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점이 있습니다! 당연히 교수님마다 생각은 다르시겠지만 교수님 혹은 어드미션 커미티를 해보신 입장으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입학을위해 서류작성시 SOP나 연구계획서에 들어가는 내용중 하고자하는 연구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어느정도의 수준으로 정해야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이해를 돕고자 저를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전자과 하드웨어(회로설계)계열이고 석사 후에 회사에서 3~4년정도 일하다가 박사유학으로 진로를 변경한 학생입니다.) 예를들어 기술의 한계/현황/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기위한 시스템 개선안까지는 생각해둔것이 있는데 이것을 달성하기위한 방법을 스스로가 명확히 제시할 정도로 준비해야하는 걸까요? ex) 시스템 개선을 위해서 어떤 파트의 효율을 증가시켜야할 것 같으며 그러기위한 방안으로 나는 A라는 기술을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낼 것이다. -A기술 (새로운 기술의(양자역학, 포토닉스 등의 개념)적용) '이러한 방식-이부분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 물론 개인이 생각해둔 방법론이 있다는것이 어필하는데 손해가 되는부분은 없다고 생각하고는 있으나 현재로서 앞서 말씀드린 A 기술들에 대한 이해와 조사가 미흡하다보니 적용 방법에 대해서는 모호한 상태입니다. 박사를 진행하면서 공부해서 찾아가거나 지도교수님의 멘토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이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해당방안까지 미리공부하고 고민하다보면 준비에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압박감이 있는 상태라서 질문드려봅니다. 석사 및 회사에서 진행헀던 일들이 신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보다는 장비제작 및 설계관련 스킬들이 주된 일이 였다보니 실무적인 방안으로는 떠오르는 방안이 있어 현재까지 비슷하게 연구된 내용들을 찾아보고있기는 합니다만 시작단계라서 유학 준비시 우선순위를 염두해두고자 질문드립니다 !.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연구계획서 작성 시,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의 중요성과 그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면서도, 구체적인 연구 방법론은 너무 상세하게 기술하기보다는 유연하게 접근하세요. 이 방법은 다양한 교수님들의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추후 면접이나 교수님과의 대화를 통해 연구 방법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연구계획서는 본인의 연구에 대한 잠재력과 비전을 보여주는 수단이며, 세부적인 방법론은 면접 등의 심층 단계에서 논의하는게 더 자연스러운 것 같습니다.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이건 제 생각이니 참고만 하세요.
@jihojun6595
@jihojun6595 Ай бұрын
답변감사드립니다 !! 참고해서 잘준비해보도록하겠습니다.
@think_of_the_semiconductor
@think_of_the_semiconductor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 정보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seok-gyeongyoon5890
@seok-gyeongyoon5890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Jay-fl5bz
@Jay-fl5bz Ай бұрын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세대라서 몰입을 잘 못하고 있습니다. 몰입을 잘 할 수 있는 방법과 트레이닝을 알려주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judykim3140
@judykim3140 Ай бұрын
조교수된지 이제 딱 일년 되었어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유익한 내용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m71570
@jm71570 Ай бұрын
❤ ❤❤❤❤❤
@seongjunpark6593
@seongjunpark6593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말씀이 큰 위로가 되고 용기가됩니다. 감사해요
@wooseokjang2494
@wooseokjang2494 Ай бұрын
이런 진한 팁들이 앞으로 그 길을 걸어갈 후배들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꼭 활동 부탁드립니다!!
@why4han5lr7
@why4han5lr7 Ай бұрын
유튜브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검증된(?) 미국 대학원 진학 관련 조언 영상인 것 같습니다. 문득 궁금한 게 교수님께서 여러모로 바쁘실텐데, 유튜브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그동안 오프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의논했던 내용들을 정리해서 올려드려요. 여름방학 시작하면서 밀린 숙제하듯 올리네요…
@why4han5lr7
@why4han5lr7 Ай бұрын
@@StickTronics그렇군요 공학도는 아니지만 대학원 유학 고민하던 입장에서 유용한 조언들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함니다 ㅎㅎ
@Water_Bak
@Water_Bak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seongjunpark6593
@seongjunpark6593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dkparksaa
@dkparksaa Ай бұрын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belikedaniel
@belikedaniel Ай бұрын
교수님, 저는 영국 (경영)대학에서 임용된지 3년 되었습니다. 여기는 테뉴어 제도가 없기는 하지만, 교수님 영상이 테뉴어 준비 뿐만 아니라 ECR에게도 많이 도움이 되네요! 연구와 티칭은 기본적으로 하되, 어느 분야에서든 Good Citizen이 되라. 맞는 말씀 같습니다. 결국에는 어디나 사람사는 곳이니까요! 아낌없이 팁을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리고, 저도 해외한인커뮤니티 안에서 서로 좋은 시너지 낼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danilel_lim_mekateka
@danilel_lim_mekateka Ай бұрын
정말 유용한 팁들입니다. 감사합니다
@namsejin
@namsejin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지금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과정을 마치고 있는데 궁금한게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겨요. 박사 과정부터 포닥 그리고 지금 교수를 하기까지 많이 고생하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교수님 이야기 하시는거 보니까 많이 만족하시는 것 같은데요. 전 솔직히 멘탈이 강하지 않아서 인지는 몰라도 박사를 끝마치면 그냥 인더스트리로 바로 갈것 같습니다. 이거에 대해서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테뉴어 트랙까지 오시면서 스트레스 불안감 같은 고통은 많이 있으셨는 지요? 있었다면 어떻게 관리를 했을지 궁금합니다. 지금도 디서테이션을 피드백 받으면서 쓰고 있는데 피드백을 그대로 잘 받아서 결과를 내고 쓸 수 있을지 이러한 사소한것 까지고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또 커미티 멤버중에 한명이랑 사이가 지금 많이 안좋아 지는것 같아서 그것도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참 힘드네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타국에서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받는 일은 누구에게나 힘든 과정인 것 같습니다. '멀리서 보면 비극, 가까이서 보면 희극'이라는 말처럼, 다른 사람들도 가까이서 보면 모두 힘들게 견디고 있는 것 같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버티는 사람에게 기회는 온다고 생각해요. 특히 졸업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많아 더 예민해지기도 하죠. 하지만 이 또한 곧 지나갈 것이니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더 성숙해지는 트레이닝 과정이라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시면 좋겠습니다.
@Mountbatten881
@Mountbatten881 Ай бұрын
같은 학교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분야는 다르지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eewooLee
@KeewooLee Ай бұрын
바쁘실텐데 이렇게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한국에서 박사받고 미국에서 포닥중에 있는데,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저 같은 포닥(특히 한국박사출신)에게 특별히 더 해주실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면 영상 찍어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영상말미에 포닥영상이야기가 잠깐 나와서, 수요를 확인시켜드리기 위해 댓글남깁니다:)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포닥 시절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사실들에 대해서도 시간이 날 때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youngsupsong6802
@youngsupsong6802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조교수 1년차인데 많이 배웠습니다!!
@user-jb3yu7ts5m
@user-jb3yu7ts5m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og8sh5zk5w
@user-og8sh5zk5w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r5bk9pb2l
@user-wr5bk9pb2l Ай бұрын
미국에 사는 사람으로서 동감합니다. 기부와 커뮤니티 네트워크 정말 큰 힘입니다. 코리안커뮤니티 화이팅입니다. 멋진 멘토가 되실겁니다.~~^^
@user-ss2xd2kr4y
@user-ss2xd2kr4y Ай бұрын
내년에 purdue 박사 지원하려고 하는데 도움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MrMinjoo
@MrMinjoo Ай бұрын
우연찮게 보게된 영상인데 많은 생각이 드네요. 큰 도움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행보에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danilel_lim_mekateka
@danilel_lim_mekateka Ай бұрын
1. 과락을 없애는 것 (질과 양의 밸런스) 2. 임용 이후 지도교수님과 독립성을 보여주는것 3. 지수적 성장을 생각할것 4. 연구비 관련 전략적으로 딸 것 5. 학과 뉴스를 잘 활용할것 (연구 관련 자기 홍보) 6. 간절할때 연구비가 들어온다 7. 개인적으로 네트워킹을 통해 스스로를 홍보할 것 (기회 만들기)
@danilel_lim_mekateka
@danilel_lim_mekateka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번에 미국에서 졸업하고 어플라이를 시작하는 학생입니다. 영상이 도움이 정말 많이 됐고 특히 재미한국분들도 서로 끌어주는 중국/유대인 처럼 커뮤니티가 필요하단 것과 받은 만큼 후배에게 돌려주는 멘토링이라는 부분이 공감이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tamsaasoo5418
@tamsaasoo5418 Ай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afieldworker
@afieldworker Ай бұрын
"미국 조교수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사실들," 1편부터 8편까지 몇시간 만에 정주행했습니다. 비록 이과계열은 아니지만, 너무 도움이 되는 이야기라 메모 하며 보았습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
@jm71570
@jm71570 Ай бұрын
I love your videos!
@jm71570
@jm71570 Ай бұрын
You are amazing!
@jk.hong1592
@jk.hong1592 Ай бұрын
용기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qi1xq5zo6b
@user-qi1xq5zo6b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미국 애틀랜타에서 (재료공학계열)포닥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저는 학부 신입생때부터 학부 대 선배님이 미국의대교수되는걸 보면서, 그 꿈을 가지며 지금까지 왔습니다. 제 주변에 조교수되신분들이 제가 생각한거보다 너무 고생하는걸 보기도하고, 저도 PI한테 많이 혼나서 자존감도 떨어지는데, 그리고 최근 포닥하시는분들이나 박사과정하시는 분들보면 제가 봤을땐 교수직보다는 회사로 취직을 생각하는 경우가 훨씬 많더라고요.저는 PI에게 많이 혼나서 자존감이 너무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오랫동안 목표로하던 미국교수직의 꿈을 놓지는 못하겠더라고요. 하지만 제 주변사람들을 보면 박사학위취득후에도 대부분 회사로 준비하는거보면서, 제가 진행하고 있는 이 길이 맞는길인가 걱정이긴합니다. 미국교수로 임용되는것도 하늘에 별따기로 어렵지만 쉽게 잘릴수도 있고, 버틴다하더라도 다른일로 더 잘사는 사람들을보며 후회하지 않을까 걱정도 많이 되고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현재에 집중하여 일을 하면, 언젠가는 누구나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 같습니다. 박사 과정은 결코 쉽지 않고, 누구나 어려움을 겪습니다. 점점 단단해지는 과정을 훈련으로 생각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최근에는 특히 IT 기업들의 연봉 상승으로, 학계보다는 기업에 바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 동영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계에도 많은 장점이 있으니 꿈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도전해 보시기를 권합니다. 조교수 때는 연봉 차이가 클 수 있으나 테뉴어 획득 후 실적에 따른 연봉 상승 가능성, 그리고 다양한 대외 활동도 고려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요청을 받아 '조교수 때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에 대한 주제로 동영상을 올릴 생각인데, 그 때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user-tw2ed8cb3v
@user-tw2ed8cb3v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jha1795
@jha1795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매우 잘 봤습니다. 저희 아들이 컴퓨터과학과 학부 3학년인데, 곧 군대를 갈 예정이고 졸업 후 미국 대학으로 석사를 가는 걸 고려하고 있습니다. 학비 비싼 사립대를 지원하면 좋겠지만 사정 상 힘들 수도 있어서, 주위 사람들이 미국 대학원은 잘 알아보면 큰 돈 들지 않고 갈 수도 있다는 말을 괜히 믿고 있었습니다. 근데 교수님 말씀 들어보니, 석사과정은 미국 대학들이 외국 학생들에게 재정지원을 거의 안 해주는거 같아서 걱정이 듭니다. 유학원 사이트에 보먼 일부 대학은 지원을 해준다고 하는데, 이런 대학교는 아무래도 여러 면에서 수준이 다소 떨어지는 학교일 가능성이 높은 지, 어떤 대학이 석사과정 학생들에게 재정지원을 해 주는 지, 주립대와 사립대의 석사과정의 비용차이가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궁금해 집니다. 좋은 영상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ongeunseo6886
@dongeunseo6886 Ай бұрын
해~~~줘~~~~~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몇 가지 정보를 공유드릴게요. 미국에서 석사 과정의 재정지원은 대학과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합니다. 대부분 PhD 학생들이 더 많은 지원을 받지만, 석사 학생들도 장학금, 연구조교(RA), 교육조교(TA) 형태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석사 과정에서 RA나 TA는 드물고, 많은 장학금이 외국 학생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립대학의 석사 과정 학비는 일반적으로 사립대학보다 낮으며, 사립대학 중에도 재정지원이 잘되어 학비 부담이 적은 곳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덜 알려진 대학이나 특정 분야에서는 국제 학생들에게 더 많은 재정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각 대학의 재정지원 옵션을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jha1795
@jha1795 Ай бұрын
​@@StickTronics 감사합니다, 교수님!
@JWL-jo9vr
@JWL-jo9vr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해요. 분야는 다르지만, 처음 올리신 비디오들 보면서 많이 배웠습니다. 덕분에 임용이 되어서 다음학기부터 조교수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비다오 보고 반가워서 댓글달아요 :)
@minjookang9344
@minjookang934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현업에 재직하면서 박사취득 후, 해외교수직 도전중입니다. 모레 줌인터뷰가 잡혔습니다. 이해관계 없이, 이렇게 꿀팁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얼른 자리 잡아서 좋은 정보 공유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
@beamprojector8942
@beamprojector894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미국 공대 박사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조언도 받을 수 있을까요? 저는 국내에서 석사를 졸업하고 , 현재 미국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학사때 생물학을 전공했고, 석사때 의공학으로 전공을 바꿨으며, 현재는 생체재료관련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혼자 미국에 나와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막상 조언을 여쭐 수 있는 분이 없어 방황하다가, 교수님 영상을 보고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bsmotel
@bsmotel Ай бұрын
오랜만입니다. 작년에 한창 미국 지원신청 때 뵙고 시간이 지났네요:). 현재 국내 지방대 재직 중, 6년차, 공연예술 전공, 부교수입니다. 국내 서울 소재 대학 박사, 해외 공연 다수, 미국 및 유럽 공연 협업 다수. 현재, 미국에 지원신청 50군데 이상 한국에서 지원신청했고 두번 정도 줌 인터뷰 했었습니다. 사실 지금은 조금 열정이 식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학교도 정년트랙이라 힘든 시기는 조금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미련이 남습니다. 그래서 질문이 있습니다. 영주권 소지자가 아니면 아무래도 어려운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식어가는 열정을 살려보려 합니다.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영주권 소지자가 이니어도 임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테뉴어를 받기전까진 영주권을 받아야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멀리서 응원하겠습니다!
@bsmotel
@bsmotel Ай бұрын
@@StickTronics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a38323
@a38323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오래간만에 반가운 목소리를 듣습니다. 주립대학에서 대략 2년반동안 포닥과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이번에 다른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 조교수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습니다. 화상 인터뷰와 온캠퍼스 인터뷰 준비하면서 수많은 선배 교수님들의 조언을 받았는데 교수님께서 이전에 올리신 영상들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큰 틀에서는 저는 이과가 아닌 문과인데도 교수님의 조언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네요. 이 자리를 빌려 정말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StickTronics
@StickTronics Ай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제 영상이 도움이 되었더니 기쁘네요. 새로운 출발을 응원합니다!
@a38323
@a38323 Ай бұрын
@@StickTronics 감사합니다, 교수님. 종종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