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Gh37egee
@Gh37egee 7 күн бұрын
❤❤
@changdori
@changdori 2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최근 알게되어 좋은 정보 많이 얻고 갑니다! 현재 플룻을 교내 오케스트라에서 취미로 불고 있고, 무라마츠 ex모델을 사용하는 중입니다. 혹시 조금더 높은 올실버 모델을 구입하려 하는데, 혹시 음향에서 드라마틱한 차이가 날 지 궁금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22 күн бұрын
두괄식으로, '의미 있을정도로 차이가 납니다.' 라고 결론부터, 두 악기의 직관적인 스펙은 2단계가 차이나는 만큼 실질적으로 더 많이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음향' 이라는건 구두설명이나 텍스트로 접하시는 것보다, 실 공간에서 직접 테스트 및 청취하시는 것으로 구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은피리-f2z
@은피리-f2z Ай бұрын
영상 장봤어요~~ 혹시 가격은 대충 어느정도 하나요??
@johann.h241
@johann.h24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200만원 언더 선입니다.
@nanau5817
@nanau5817 2 ай бұрын
역쉬~~ 요한님은 천사~~ 이걸 몰라서 매번 악기사에 들락날락😢 이렇게 쉬운걸… 너무너무 신뢰가 가는 요한님~ ㅎ
@johann.h241
@johann.h241 Ай бұрын
의외로 자연스럽다면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막상 마주하면 꽤나 당황스러운 부분이죠^^;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dragonm2722
@dragonm2722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진짜 드디어 제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ㅜㅜㅜㅜ 어린시절 4년정도 펄 입문용 플룻으로 배우다가 중단하고 성인이되어 다시 시작하면서 나름 소리내는데는 자신이 있어서 야마하 482를 샀는데요 너무 충격을 받았거든요. 중간에 쉰 공백기가 길었다고는 하지만 제 몸이 기억하는 플룻은 이런 느낌이 아니었는데 뭔가 바람이 막힌느낌.. 더 예쁜 소리 기대하고 새로 산 악기가 예전 연습용만도 못하게 느껴져서 너무 괴롭던 중이었습니다. 제 실력이 좋지 않아서 그런거겠지만 어릴때도 안그러던게 자꾸 소리가 뒤집어지니 스트레스만 받고 악기 고장인가 의심하며... 어디 설명할데도 없고 답답했는데.. 진짜 찐 전문가시네요 감사합니다ㅠㅠ 이제 큰 맘 먹고 산 악기를 어쩌나 고민이네요😂
@johann.h241
@johann.h241 2 ай бұрын
제가, 'FM 철두철미 정석 연습악기' , '초보자 절삭기' , '운동선수의 모래주머니' 라고 보통 소개하는 야마하 300,400시리즈.. 악기의 내구성이나, '지킬 것이 지켜졌을 때' 악기가 보여주는 성능은, 가격대비 준수한 악기가 맞습니다만, '지킬 것이 지켜진다.'의 항목이 해당악기의 급수. '중급용'과는 아주아주 거리가 먼, 호흡 메커니즘의 틀이 잡히고, 운용이 가능한 수준의 주력을 요구한단점이 알려지지 않은게, 그 악기들의 무서움이 아닐까 합니다 ㅎㅎ..
@고마워요
@고마워요 2 ай бұрын
오~~~~~! 확실히 다르게 느껴지네요~ 골드라이져 테스트 해보고 싶네요~ 이런거 자꾸보면 안돼는뎅... ㅠ.ㅡ
@mansuru3277
@mansuru3277 2 ай бұрын
이말최소
@mansuru3277
@mansuru3277 2 ай бұрын
완전천재 아님?
@오드리될뻔
@오드리될뻔 2 ай бұрын
골드라이저가 밀도있으면서 선명하고 직진성 있게 들립니다. 뭐든 다 좋아요...ㅎ 개인의 취향이죠...
@johann.h241
@johann.h241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단지 '다름'이 있을 뿐이죠
@fluteteatime
@fluteteatime 2 ай бұрын
usb 마이크를 하나 구비하면 어떨까요...😊 1:33 1:51 실버헤드 2:49 3:20 골드라이저 실버헤드 4:05 4:18 우드립 실버헤드
@fluteteatime
@fluteteatime 2 ай бұрын
골드라이저 실버헤드는 좀 더 선명한 소리로 느껴지고 우드립 실버헤드는 더 부드럽고 푹신푹신한 소리로 느껴져요~😊
@johann.h241
@johann.h241 2 ай бұрын
@@fluteteatime 좋은 말씀!
@yxj.12
@yxj.12 2 ай бұрын
옷 저는 이번에 오픈키 플룻으로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라 가운데 막는 연습을 하고 있었는데 이 방법이 맞네요! 컨텐츠 감사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2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jihyeyoon9173
@jihyeyoon9173 3 ай бұрын
꿈의 플루트인데 소리 잘 듣고 갑니다.
@katelee7410
@katelee7410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미국 사는데 한국에서 무라마츠 브랜드가 더 싸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학국에 현역에 계신분한테 들었는데 한국 악기상은 좋은 플룻이 들어오면 유명하신 선생님들이 다 먼저 가져가신다는데 사실일까요?
@johann.h241
@johann.h241 3 ай бұрын
@@katelee7410 제 생각엔 아닌 듯 합니다 ㅎ
@johann.h241
@johann.h241 3 ай бұрын
타 샵은 모르겠으나, 저의 경우, 좋은 악기가 들어온다면 공평하게 안내드리고 있고, '좋은 악기'에 대해서 갖고계신 기준이 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좋은 악기'와는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당 관점이라면, 안내드리는 모든 분께 좋은 악기를 가장 먼저 보여드리려고 노력하고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집단의 '독점 현상'에 대해서는 저는 '잘 모르겠다.' 라고 답변드릴 수 있습니다.
@이유정-d8e
@이유정-d8e Ай бұрын
아주미s3rbe를 사용하는데 소리가 부드럽지 않아서 바꾸고 싶어요. 입문은 10년전에 했는데 바꾸지 않고 평생쓰는 플룻으로 바꾸고 싶어요. 골드가 부르럽고 더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johann.h241
@johann.h241 Ай бұрын
@@이유정-d8e 골드 플룻이 금속적 밀도차로 인해 일반 실버보다 더 넓은 음향 폭을 갖고있는 것은 사실이나, '무조건 골드라서 더 부드럽고 깊은 소리가 난다' 는 명제가 아닙니다. 악기의 계통에 따라서도 다르고, 세팅, 연주자의 주력. 결국 종합적인 요소들이 이를 결정합니다.
@이우선-v8e
@이우선-v8e 3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3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KK-l6u
@HKK-l6u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먼저 요한님 덕분에 평생 함께할 플룻을 만나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인터넷으로 다양한 플룻에 대한 정보를 알아볼 때 요한님의 영상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플룻을 선택할 때는 직접 시연을 해봐야 한다는 말씀에 따라 방문하였습니다. 확실히 영상과 직접 듣는 것은 많이 다르더라구요. 요한님께서 친절하게 맞아주시고 직접 연주도 해주시며 각 플룻의 차이점, 다양한 헤드 조인트와의 조합 등 설명해주시는 모습을 보며 정말 플룻을 사랑하신다는 걸 느꼈습니다. 영업하는 세일즈맨이라는 건 못 느꼈습니다. 언제나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드리고, 제 플룻과 조합할 헤드 조인트를 찾으러 또 방문드리겠습니다.
@doosikkim4456
@doosikkim4456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여 최근 플룻 구매한 학생 엄마에요. 선생님께서 추천하신대로 달리기도 시켜보고 보컬 쌤도 알아보고 있어요. 사온 플룻도 점점 소리가 좋아지고 넘 만족합니다. 전혀 세일즈맨처럼 보이시지 않았어요 완전 전문가같았어요. 내년에 다시 한국 가게되면 찾아갈게요. 감사했어요 😊
@바야바님
@바야바님 4 ай бұрын
야마하925는 어찌 조합해얄까요?가격도ᆢ
@byun_sisters_mom
@byun_sisters_mom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무라마츠 9k모델 오픈키와 오픈키가 아닌모델의 소리차이가 클지 궁금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4 ай бұрын
단순히 음향 자체만 놓고본다면 클로즈 키와 오픈 키의 음향차이는 명확하게 있습니다. 이 답변은 각각이 가진 장단점을 배제하고 '음향' 자체만 놓고 말씀드렸습니다.
@paulospark1122
@paulospark1122 4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연습용 플룻에도 E메카니즘 오픈홀이 있나요 ?
@johann.h241
@johann.h241 4 ай бұрын
네 존재합니다, 다만 비기너 모델에서의 오픈 링 키와 E 메커니즘은 필수 선호옵션으로 보긴 어렵기에, 수요가 많지 않습니다.
@paulospark1122
@paulospark1122 4 ай бұрын
@@johann.h241 감사합니다 그게 소리가 더 좋은가요 💐
@jihyeyoon9173
@jihyeyoon9173 5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hyeyoon9173
@jihyeyoon9173 5 ай бұрын
내년에 중급용 플루트 구매 계획인데 좋은 코멘트 감사합니다. 추후 플루트 역량에 따라 앞으로도 업그레이드 진행이 있어, 플루트 구매도 신중히 검토해야할텐데...테스터 요한님 유튜브 통해 플루트 구매 공부도 틈틈이 하겠습니다.(--)(__)(--)
@최윤녕-g3k
@최윤녕-g3k 5 ай бұрын
암스트롱 헤드실버 플룻 사용중입니다 취미로 시작한지는 10년이 넘었고 지금은 육아로 잠시 악기를 못하고있어요 악기를 한번 바꿔보고싶은데 영상을보다가 추천을 받고싶어 댓글남김니다. 인터넷검색으로가격이 천차만별이라 어떤기준으로 봐야하나요?
@johann.h241
@johann.h241 5 ай бұрын
kzbin.info/www/bejne/nYKqg6OqhZdrhrc 말씀주신 부분에 대해 다뤄본 최신 영상입니다.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akirebufllosombilhol
@akirebufllosombilhol 5 ай бұрын
오픈키 처음 사용해보는데 운지할 때 구멍을 꾹 눌러 막아야하나요 얹는정도로만 올려도 되나요?
@johann.h241
@johann.h241 5 ай бұрын
정확하게 막아주는게 중요하지만,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손끝 손톱이 하얗게 올라올정도로 과하게 힘을주실 필요는 없으세요
@라팡샷
@라팡샷 6 ай бұрын
혹시 대구 시연회처럼 영상 올려주실건가요?
@johann.h241
@johann.h241 6 ай бұрын
시연회 강연 내용은 참여자분들에 대한 혜택으로 지난 경복궁 시연회부터 전체공개는 생략하였습니다-
@라팡샷
@라팡샷 6 ай бұрын
@@johann.h241네! 아쉽지만 어쩔수없죠 답변 감사합니다!
@김형빈-q6z
@김형빈-q6z 6 ай бұрын
지금 연주하시는 모델은 어디서 구입 할수 있나요?
@리베나네
@리베나네 6 ай бұрын
조심스럽게 말씀 꺼내시는게 느껴지네요. 졸업한지 10년정도 되었는데, 지금으로 말하자면 돈많은 사람들의 취미용도 안되는 사양의 산쿄악기로 여러 콩쿨 우승, 실기우수, 대학입시 졸업까지 마쳤습니다. 난다긴다 하는 음대는 아니였으나 국립대였습니다. 다는 아니겠지만 다들 잘 사는 음대생들, 그때당시 선후배들 거의가 5천이상을 웃도는 악기사이에서 악기 꺼낼때마다 기도죽고, 속상할때도 많았으나 테스터님 말씀대로 그 악기의 성량을 다 펼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니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는 말로 정신승리 했습니다. 물론 제 케이스는 아주 드물겠지만.. 저희 학교에 너무나 유명하신 강사선생님들이 출강하셨는데, “너는 악기만 바꾸면..” 라고 하시는 말이 속상하기도, 위로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선생님들도 취미용 악기든 저사양 악기가 됐든 아이가 가진 악기로 더 이상의 더 좋은소리를 낼수 없다고 생각할때 업그레이드를 권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가 유독 골드악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아요. 고등학교때 마클갔을때 유럽에서 오신 선생님이 야마하221 갖고 오셔서 (물론 좋은악기는 두고오셨겠지만) 마스터클래스 해주셨을때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6 ай бұрын
긴 장문의 고견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고견을 읽으면서도, 결국 현장에 있다보면 귀결되는 답이 표현이나 말은 다를지언정 비슷한 결론으로 도출된단 생각이 듭니다. 좋은 악기를 쓰면 당연히 좋겠지만, 연주자의 피지컬적인 부분과 매칭이 됐을 때 악기는 가장 극대화가되고, 악기가 연주자를 뛰어넘었을 땐, 오히려 연주의 결과상 연주자의 발목을 잡는 사례를 너무나도 자주접하기에, 작은 저의 소견이나마 누군가에게 깨달음이나 이해의 동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촬영해본 영상입니다. 저도 굉장히 좋아하는 산쿄를 사용하셨다니 부쩍 반가운 마음도 듭니다 ^^ 좋은 하루 되시길바랍니다..!
@coii6146
@coii6146 7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 보다가 발견했는데 재생목록 '브랜드 비교 및 설명'에 잘못 들어간 영상이 있는것같아요~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선생님 영상 보면서 도움 많이 받고있어용 감사합니다
@눈누난나-y9q
@눈누난나-y9q 7 ай бұрын
야마하와 쥬피터 중에 어떤게 더 호흡면에서 비교적 수월한가요?
@johann.h241
@johann.h241 7 ай бұрын
@@눈누난나-y9q 호흡을 운용하는데에 있어서 기교적 난이도는 야마하가 더 높고, 쥬피터가 수월합니다
@dlqejr2016
@dlqejr2016 7 ай бұрын
221 10년가량 쓰다가 망가지기도 했고 이참에 업글 하려는데 야마하372와 보스톤380 중 어떤걸 할지 고민되네요 가격 신경안쓰면 어떤게 더 좋나요? 현재 야마하 가격은 어떤건가요? 372모델 최저가가 125만원정도던데
@johann.h241
@johann.h241 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기엔, 브랜드 신뢰도, 악기의 내구성, 균일함 기준으로 본다면 야마하 372H 무거운 음색 선호, 상대적으로 불기 쉬운악기 기준으로 찾으신다면 보스톤 380H를 추천드릴 것 같습니다.
@dlqejr2016
@dlqejr2016 7 ай бұрын
​​​​@@johann.h241 야마하의 균일함이 소리의 균일함 말씀이시죠?? 보스톤도 주피터처럼 알아주는 브랜드인가요? 갠적으로 야마하가 더 끌리기는 한데 커버곡 위주로 불거라 B풋을 해야하나 싶으면서도 전체적 소리는 372가 적합한거 같아 고민되네욥 B풋 있는 4nn라인은 너무 부담되어서
@dlqejr2016
@dlqejr2016 7 ай бұрын
​​@@johann.h241야마하 인상전에는 372 472가 대략 얼마선이었나요?
@johann.h241
@johann.h241 7 ай бұрын
@@dlqejr2016 제품 퀄리티의 균일함 입니다. 보스톤과 쥬피터를 굳이 나눈다면, 쥬피터 쪽 브랜드 신뢰도나 퀄리티가 더 안정적이고 높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전 영상에서 여러차례 이야기 했지만, 야마하 3과 4시리즈는, 사용난이도의 문제로 제가 일반적으로 권장드리는 모델들은 아닙니다.
@johann.h241
@johann.h241 7 ай бұрын
@@dlqejr2016 각각 B풋 모델인가, C풋 모델인가에 따라 다릅니다만, 표준 B풋 모델 기준, 472의 경우, 인상전 정가 210, 인상후 260만원입니다. 다른 보급형 모델들 또한 비슷한 비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jihyeyoon9173
@jihyeyoon9173 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hyeyoon9173
@jihyeyoon9173 7 ай бұрын
무라마츠와 산쿄 비교 영상 감사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5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ihyeyoon9173
@jihyeyoon9173 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중급용 산쿄랑 무라마츠 검토 중인데 참고하겠습니다.
@johann.h241
@johann.h241 7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johann.h241
@johann.h241 8 ай бұрын
'서울 최초' ✨✨✨ '해설이 있는 시연회.' 오는 6월 22일 (토)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시연회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참가문의 010.6577.3963으로 카카오톡 Id :syh212 문자,전화,카톡 instagram.com/p/C73N3iPp0SL/?igsh=MzRlODBiNWFlZA== 플루티스트 이성준 선생님 @flutiste_sungjunlee 께서 운영중이신, @coucoufluteseoul '꾸꾸플루트(경복궁 클래식)'에서.
@chinhwa5997
@chinhwa5997 8 ай бұрын
저는 골드보다는 실버의 쨍한 소리가 더 멋지게 들립니다. 지금은 야마하 222로 연습중인데 중급이 되면 실버에서도 가장 쨍하고 짱짱한 소리가 나는 부드러운 소리가 나지 않는 플룻을 구매하고 싶습니다 ㅎㅎ 그때 꼭 연락드릴게요
@wj.o
@wj.o 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테스터님! 무라마츠 올실버 플룻의 경우 1년 감가상각률이 대략 어느 정도 되나요..?
@johann.h241
@johann.h241 8 ай бұрын
사용감에 따라 많이 달라요 30퍼는 빠질듯해요
@wj.o
@wj.o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doranflute
@doranflute 8 ай бұрын
스트라빙거에 대한 악기 전체의 울림과의 관계는 생각하지 못했던 점이네요. 소중한 강의 잘 보았습니다.
@KimSatGat
@KimSatGat 9 ай бұрын
진짜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군요. 학생에게 수천만원 등처먹는 선생이라는 작자가 지금도 있다니... 참 씁쓸합니다. 아이의 진로를 위해서 입시나 콩쿨을 볼모로 정도를 벗어남을 알면서도 어쩔수 없이 구매 해야만 하는 부모의 심정은 피눈물 났을겁니다. 소리라는 것이 본래 주관적이거늘 내 귀에 좋으면 그게 좋은악기인겁니다. 항상 다양한 주재의 컨텐츠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garosoo
@garosoo 9 ай бұрын
졸업한지 30년이 넘었지만 젊었을땐 매니저님의 말씀처럼 묵직하고 어두운 음색을 좋아했는데 나이를 먹어가면서 선호하고 좋아하는 음색의 취향이 바뀌더군요. 지금은 밝고 맑은 소리가 좋아요. 지금은 무라자와 로 커스텀 해서 쓰고있는데 충분히 만족합니다. 악기의 브랜드는 정답이 없습니다. 주위에 선생님이나 친구들 혹은 지인들이 많이 쓴다고 꼭 본인도 브랜드를 따라갈 필요없이 입맛대로 취향대로 쓰는게 본인의 정신건강에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johann.h241
@johann.h241 9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 속 경험에서 우러나오신 정답이 제 생각과 많이 닮은 것 같습니다 ^^
@라울-p8f
@라울-p8f 9 ай бұрын
처음보다 나중에 불은것이 훨씬 듣기 좋아요
@은피리-f2z
@은피리-f2z 9 ай бұрын
항상 유익한 정보 감사 드립니다~~ 고병찬샘 홧팅!!
@예쁜봄봄75lovein
@예쁜봄봄75lovein 10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찡꽁새
@찡꽁새 10 ай бұрын
악기 구매는 어디서할수 있어요?
@johann.h241
@johann.h241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문의는 더보기란 정보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페카-k6h
@페카-k6h 10 ай бұрын
오른쪽 2개가 정말 안되어서 도 소리가 나긴한데 새서 안되어서 2곳만 막을려고 하는데 해도 될까요? 물론 나중에는 빼서 해볼려고 합니다.. 주변분들도 놀랄정도로 짧아서... 나름 극복하고 싶거든요
@페카-k6h
@페카-k6h 10 ай бұрын
대충 가격대를 알 수 있을까요 부모님 도움 안 받고 제 힘을 나중에 살려고 하는데 너무 궁금해서요.. 가늠만 할 정도로만..
@이영주-i7w
@이영주-i7w 10 ай бұрын
저도 선생님 추천으로 선생님께 구입한 산쿄~너무 만족스럽게 잘 사용하고 있어요..감사해요^^
@johann.h241
@johann.h241 10 ай бұрын
이렇게 남겨주시는 댓글하나하나가 정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Ruriko_art
@Ruriko_art 11 ай бұрын
1:11 Chaminade 나왔다.
@Sarah-uu1mw
@Sarah-uu1mw 11 ай бұрын
중고추천👍 언제 골드 함 불어보나요^^~~~~ ??😅😊
@Sarah-uu1mw
@Sarah-uu1mw 11 ай бұрын
핸드메이드 강츄👍 소리내기가 더 부드럽고 편해요~ 근데 갠적 견해는, 초보일때 야마하 200단위를 썼다면... 중급이상 이라면, 3.4백단위를 건너뛰고 6백단위 핸드메이드 추천요!! 전 4백단위 한번 거쳐 6백단위 갔는데, 사용하고보니 바로 6백으로 가도 좋다..그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Sarah-uu1mw
@Sarah-uu1mw 11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초보를 거쳐 중급까지 온 결과, 저에게 있어 211로시작하는데 3,400단위까지 안가도 충분했고, 이후로는 꼭 핸드메이드 추천함니다!
@찡꽁새
@찡꽁새 Жыл бұрын
무라마츠로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