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년생은 눌러봐야 하는 영상
35:41
필기만 해두면 두고두고 써먹음
1:13:17
미적분  곡선의 길이
8:24
7 ай бұрын
정적분과 급수
15:39
7 ай бұрын
정적분과 넓이
21:33
8 ай бұрын
대칭미분가능성
19:05
9 ай бұрын
로피탈 금지
7:00
11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user-fe6jv1vc7c
@user-fe6jv1vc7c Сағат бұрын
뭔차이임? 범위나눠서 풀라는 문제 아님?
@user-nm1yf2sv3p
@user-nm1yf2sv3p 2 сағат бұрын
언제까지 강사하실 생각이신가요!!
@HuanJu-w8h
@HuanJu-w8h 2 сағат бұрын
수업준비를 할때 어떻게 준비하시고 뭐를 참고 하시나요?
@felice_9342
@felice_9342 4 сағат бұрын
수학 강사를 하지 않았다면 다른 직업으로는 무엇을 했을 것같나요?
@user-ih9uu9vx9j
@user-ih9uu9vx9j 5 сағат бұрын
이번 6월 모의평가 30번 문제는 f(-2)의 함수값 기준 중복조합으로도 할 수 있고, f(0)의 함수값 기준 중복조합으로 할 수도 있고(대칭성 풀이), 함수의 개수 문제를 최단거리 길찾기로 바꿔서 풀 수도 있죠. 여사건을 쓰거나 아니면 그냥 노가다 해도 되고요. 모두 다 의미가 있는 풀이법입니다. 6월 30번이 정답률 3% 나온 이유가 중복조합 개념이 어려워서라기보다는 그동안 확통문제들이 너무 쉬워서 확통하는 문과 친구들이 많이 방심했던 게 아닐까 해요. 30번 문제 더 어렵게 내려면 (다) 조건에 f(0) ≠ 0 들어갔으면 정답률 1% 미만으로 내려갔을 겁니다. f(0) ≠ 0이 들어가면 중복조합 풀이가 봉쇄되고 오로지 최단거리 길찾기로 바꿔서 푸는 문제가 되니까요. 확률과통계에서 절대 난이도 자체는 30번보다 28번이 훨씬 어려웠습니다. 29번이 아무리 봐도 잘못 낸거 같아서(26번이랑 자리 바꾸고 26번을 abcd 카드로 바꾼 후 주사위 던지기랑 엮어서 29번 자리에 내려고 했던 것으로 보임) 여전히 확통 표준점수 관리에 실패한 것 같아요. 미적분, 기하는 28, 29, 30번 모두가 어려웠으니까요. 확통도 29번이 미적분, 기하 29번 난이도로 나왔으면 표준점수 방어가 잘 됐겠죠. 28번은 동전 앞면 개수가 4개, 3개, 2개, 1개, 0개인 걸 두고 동전 상태의 변화를 확률의 곱셈정리로 처리하는 방향의 풀이가 나왔던데, 이 이론(컴퓨터공학에서는 FSM(유한상태기계) -> 오토마타 이론(확장버전), 경제학 게임이론 무한반복게임에서도 오토마타 이론으로 그대로 활용 중.)으로 풀지 않으면 그냥 케이스 6개 나눠서 같은 것이 있는 순열로 노가다를 해야 하는 악랄한 문제였습니다. 케이스가 6개밖에 안 나와서 생각보다 적었던게 그나마 다행이었다고 할까요. 28번 같은 경우는 동전이 5개(앞앞앞뒤뒤)로 늘어나고 뒤집기 횟수를 8회로 늘렸으면 전체 경우의 수가 4^8(=2^16=65536가지)로 폭증하면서 애들 더 털렸을 것 같습니다. 케이스 분류로 못해요. 옛날에 2011학년도 9월 24번(가나형 공통) 스티커 문제가 있는데 문제 상황을 이해하면 어떻게든 푸는데, 상황 이해가 안 되어서 못 푸는 문제가 있습니다. (김재하 선생님은 기억 하실 듯한 문제... ㅎㅎㅎ) 작년에 확통 - 미적 등급컷 자체가 12점(확통 94-미적 82)이나 났던 걸 올해는 어떻게든 막으려고 해서 정부에서도 노력할 겁니다. 올해는 진짜 확통 많이 어려워질 것 같아요.
@shukyurim
@shukyurim 11 сағат бұрын
x->0인데 "2 나오는거 맞죠?" 할 때 당당하게 "네엡"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nari117
@minari117 11 сағат бұрын
혹시 이거 수2에서 짤린 내용인가요? 미적 들어가면 배우나요?
@eo25
@eo25 13 сағат бұрын
아내분도 수학과 나오셨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어떻게 만나게 되셨는지(첫만남 썰)궁금해요!
@user-li1ru2zy8h
@user-li1ru2zy8h 14 сағат бұрын
수능수학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관점, 알면 좋을법한 것들
@user-ho7uj8yf9y
@user-ho7uj8yf9y 14 сағат бұрын
수능체제가 언제까지 살아남을것이라 생각하시나요
@user-uo5ub6rz2p
@user-uo5ub6rz2p 16 сағат бұрын
1. 학원 강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어떻게 되나요? 2. 초-중-고 어디나오셨나요? 3. 수학과를 가게된 계기가 어떻게 되나요?
@user-jf7si6sy1l
@user-jf7si6sy1l 18 сағат бұрын
수업 중에 잡담 또는 썰의 빈도가 궁금합니다!!
@Sonnyisbunny
@Sonnyisbunny 20 сағат бұрын
단순히 학생으로서 수능에서 혹은 대학에서 요구하는 수학 과학 문제를 잘푸는 사람과 순수학문을 깊이 이해하고 해당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 세운 수학자나 과학자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kbum6829
@kbum6829 20 сағат бұрын
현재 에브리데이매쓰 사이트에서 재하쌤 강의를 들으며 수학에 흥미를 붙이게 된 인강 수강생입니다! 올해 수능 잘 치르고 선생님께 감사인사 드리러 찾아가도 될까용?!
@user-zh2gp7ri1n
@user-zh2gp7ri1n 21 сағат бұрын
기억에 남는 제자 있으신가요? 아니면 지금 가리치는 제자중에서요!
@user-le1jl8dg2d
@user-le1jl8dg2d 22 сағат бұрын
기출문제는 고3 평가원꺼만 풀어도 충분한 가요 아님 고3 교육청, 고2 교육청도 풀어야할까요
@user-xy2px2qt7i
@user-xy2px2qt7i 23 сағат бұрын
19:50 여기가 걍 지리네... 나도 저기부분만 유일하게 이해 안되서 많이 찾아봐도 저 모든에대한걸 설명해준사람이 없었는데 바로이해가네 와..
@p3pp3rmint
@p3pp3rmint 23 сағат бұрын
준킬러 문항을 풀때 두세번 정도 고민해보고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답지를 보는 게 맞나요?
@Yacktalkun
@Yacktalkun Күн бұрын
화질은 왜 맨날 이런건가요!!!
@wkd28s
@wkd28s Күн бұрын
사랑해요
@mklee1213
@mklee1213 Күн бұрын
파주 운정 다시 안오나요??
@user-vh4ru6yg5d
@user-vh4ru6yg5d Күн бұрын
수강생은 아니지만 여러 수학 내용들 잘 보고 있습니다. 고3 시절에는 몰라서 틀리는 문제가 없을 정도로 모의고사 수학 시간은 거의 쉬는 시간 수준으로 생각했는데, 대학교 이후로 13년이 흘러 고3 유형이 너무 많이 바뀌기도 했고 교사가 된 이후에는 중학교에만 있어서 그런지 가끔 풀어볼 때마다 문제들이 너무 어렵습니다. 이게 요즘 문제들이 어려워져서 제가 운좋게 시대를 잘 타고 나서 쉬운 모의고사 시절에 1등급을 받은건지.. 아니면 나이가 들고 모의고사를 3-4달에 한번씩 풀어서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6 9 수능만 풀어보는데 모의고사마다 한 문제 정도는 꼭 몰라서 틀리는데, 33살인 저도 기출분석을 다 하면 무난히 풀 수 있을까요? 주변에 강사분들도 많고 강사를 30대부터 시작한 분들도 보셨을 거라 생각하는데,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요? 수학 영역을 풀 때는 나이 변수가 중요한지도 솔직히 궁금합니다. 확실히 계산이 느려진 것 같긴 해요 고대 수학과시라고 들었습니다.. 저는 고대 수교11입니다! 선배님 반갑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채널에 비해 유난히 많이 보게 되는 것 같아요
@user-zv8it5cx4c
@user-zv8it5cx4c Күн бұрын
수험생이 가져야할 가치관이나 생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wldkstkd7841
@wldkstkd7841 Күн бұрын
질문: 수학 공부를 할 때 모르는문제의 접근 방법, 조건해석법을 쓰고 암기를 하는데 이 방법이 맞나요?
@user-en4td9kl9i
@user-en4td9kl9i Күн бұрын
'무슨 엔에이?' ㅋㅋ 현강 영상에서 자주 들어봤던 선생님만의 표현법이군요. 센스가 넘치십니다 1. 현직이신 고등학교 수학 강사라는 직업은 언제부터 무엇 때문에 가지게 되셨나요?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2. 수학과는 어떻게 진학하셨나요? 다른 과도 고려해보셨는데 최종적으로 수학과를 선택하신 건지, 계속 쭉 수학과 하나만 바라보셨던 건지 궁금합니다 3. MBTI가 어떻게 되시나요? 4. 학창 시절(초등학생~고등학생) 어떤 학생이셨나요?(고려대학교 수학과를 나오신 점에서 모범적인 학생이셨을 거라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그보단 김재하 선생님 입장에서의 학창 시절 자신의 모습은 어떤지 궁금해요) 긴 질문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들로 고등수학 공부할 때 이해가 안됐던 부분들이 잘 설명되고 있어서 늘 선생님께 큰 도움 받고 있어요. 마지막으로, 4만명 축하드립니다🎉
@user-gx5vn9sw4l
@user-gx5vn9sw4l Күн бұрын
수학을 잘 한다는 것과 수능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이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czewonroh
@czewonroh Күн бұрын
자세하지 않아도 되니 한국의 교육과정이 타 과정들 (IB Maths AA HL, AP Calculus 등) 과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모르시면 한국 과정의 개인적인 견해 및 미래의 방향성 예측이 궁금합니다.
@user-ig6ub6my3g
@user-ig6ub6my3g Күн бұрын
재하선생님 조교로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jihun_is_gae_JJinDDa
@jihun_is_gae_JJinDDa Күн бұрын
소위 말하는 대치동암흑의스킬에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유용하다면 수용하시는 편이신가요?
@user-fm1um2dx1o
@user-fm1um2dx1o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고3때 너무 도움 많이 받고 이제 대학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다름이 아니라 혹시 귀여우신거 알고 계신가요? ㅎㅎ
@user-JJ0417SM
@user-JJ0417SM Күн бұрын
수업 하기 싫은 반 분위기가 있을까요? 그럴 때 분위기 전환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asome4817
@asome4817 Күн бұрын
안경 정보좀요 ㅠㅠ
@user-pz1wj5of3j
@user-pz1wj5of3j Күн бұрын
학생때부터 수학을 원래 잘하셨나요? 수학을 좋아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user-mz3tu3cl2l
@user-mz3tu3cl2l Күн бұрын
현역 고3 질문 드립니다 내신 끝나고 수능 최저를 미적분으로 맞추려고 합니다 몇달간 모고 성적은 3에서 4등급 왔다갔다 하네요. 당장 7월달부터 수학 공부를 시작하려하는데 무슨 강의 교재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도움이 필요합니다😢
@MoonPoolMath
@MoonPoolMath Күн бұрын
내신 대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3가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user-my2hp2wh2i
@user-my2hp2wh2i Күн бұрын
최근 미 캘리포니아 주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구 엑소더스 현상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hslee1862
@hslee1862 Күн бұрын
4만명 구독자 달성 축하드립니다 선생님🎉 학창시절에 09개정 마지막해로 문과였다 영어교육과에 진학 후 복수전공으로 수학이 너무 궁금하고 재밌어서 수학교육과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수학을 공부하며 이과 지식이 부족하기에 대학교 수학을 복습해야할지 아니면 고등학교 이과 내용과 병행을 해야할지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user-si9iq1ey7w
@user-si9iq1ey7w Күн бұрын
고1입니다. 여름방학때 수학1 예습을 할 계획인데, 수학2까지 빠르게 진도를뺀뒤에 깊이 공부하는걸 추천하시나요? 아니면 수학1을 깊게한뒤 수학2 진도를 나가는걸 추천하시나요? (구독자 4만명 축하드립니다 !!)
@cvckeipub
@cvckeipub Күн бұрын
지방 일반고 수시러인데 방학때 재하샘 현강들으러 서울 왔다갔다 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왕복 4시간입니다...
@user-soulmate
@user-soulmate Күн бұрын
인생의 모토나 가치관 있으신가용
@fifaking205
@fifaking205 Күн бұрын
MBTI가 먼가요
@user-pr2qb5lw6y
@user-pr2qb5lw6y Күн бұрын
실통수를 완강하고 복습을 해야 하는데 어떤 식으로 복습을 해야할 지 감을 못 잡고 있는데 어떻게 복습을 해야할까요?
@user-qg6cv9sw2i
@user-qg6cv9sw2i Күн бұрын
볼때마다 감탄하는 풀이가 놀라워요!! 수업준비하실때 어떤 방식으로 준비하시고 풀이를 찾는 방법이 궁금해요
@franciscochoi6552
@franciscochoi6552 Күн бұрын
전구간에서 연속이지만 전구간에서 미분불가능한 함수가 있을까요??
@user-sb7ck7kw2c
@user-sb7ck7kw2c Күн бұрын
수능 수학의 본질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Gangtttw
@Gangtttw Күн бұрын
쎈같은 유형서에서 기출로 넘어갈때 격차가 큰 것 같은데 어떻세 극복하면 좋을까요?
@user-dj6tp3ir4p
@user-dj6tp3ir4p Күн бұрын
수학을 가르치시는 강사 또는 교사로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부분이 무엇인가요
@user-yv9ue9uk5p
@user-yv9ue9uk5p Күн бұрын
한 문제를 풀 때 풀릴 때까지 몇 시간이고 고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하니면 20분 30분정도로 최대시간을 잡고 그 시간 동안만 고민하고 안 풀리면 해설을 보는 걸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강사분들 의견이 천차만별이더라구요. 선생님 생각이 궁금합니다.
@user-rg8gz2ix5w
@user-rg8gz2ix5w Күн бұрын
저는 수학에서 개념 공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개념공부방법이 따로 있으시나 궁금합니다!
@user-uq5lj1fu1u
@user-uq5lj1fu1u Күн бұрын
수리논술을 준비하는학생은 평소 수학에 대해 공부할때 수능준비말고도 예를들어 공식 증명같은거라던지 좀더 열심히해줘야하는 부분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