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기본을 다시 되짚어주시는 강의 무척 좋네요 역시 경제는 최진기선생님이십니다. 다른분들은 왜 자꾸 질문하냐고 하시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스스로 다시 고민하면서 생각하니 더 이해도 잘되고 제 지식이 되는 것 같아 좋습니다. 그리고 다그치신다기보단 강의 스타일이신데 음..그 부분은 개취인 부분인것 같은데 전 강약조절로 느껴져서 집중이 잘되네요
@cosmicdust-r6k Жыл бұрын
저두요 샘이 질문할때 스스로 답해보면서 머리에 더 오래 기억되는 느낌이에요
@khongggai Жыл бұрын
최진기샘은 항상 인사이트가 있지.ㅎㅎ
@nschoi2839 Жыл бұрын
최진기 경제강의는 쵝오임
@wplee21 Жыл бұрын
경제강의는 여기가 명당인듯.
@briankim151 Жыл бұрын
경제 강연은 최진기 선생님이 단연 탑 오브 탑
@cosmicdust-r6k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계속 강의 하면서 질문 해주세요! 일방적으로 읊어 대는 강의 방식보다 100배 낫습니다
@OrangePop-q2y Жыл бұрын
돌아와줘서 고마워요!!!! 다들 안다고 나불대도 실제 개뿔 암것도 모름. 다들 주식전문가가 되어있네여 ㅎㅎ 우리에게 참 가르침을 주세요
@hykwon113 ай бұрын
2025 듣고싶어요1!
@자작나무-d7x Жыл бұрын
이코노미스트라는 자칭 전문가들. 뭔소리를 하는건지 뭘 말하고 싶은건지 들어도 답답하기만 했는데. 참 진기샘 강의 최곱니다. 듣는 내내 계속 야단맞는 기분이기는 하지만 진기샘 일갈은 내가 그동안 듣고 싶었던 소리였습니다.
@이상진-x1t Жыл бұрын
좋습니다.
@안기오-p5x Жыл бұрын
연복리로 2%인 경우 두 배가 되려면 37년이 필요하지요.
@김성태-s2w Жыл бұрын
저물가 장점 나의 돈으로 더 많은 것을 누릴수 있다. 단점 디플레이션.... 투자 망한다(그냥 일본처럼 유지는 됨 적어도 퇴보는 안됨) 고물가 장점 돈이 돈을 벌어준다. 단점 빈부의 격차가 커진다. 역시 최진기 선생님 항상 중요한것 집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의점 사장요? 왜 아르바이트생 핑계을 되나요? 편의점 건물임대료와 본점에서 뜨어가는 수수료가 얼만줄 아십니까? 건물 임대료을 낮추고 본점수수료을 적게 뜨어가면 아르바이트생 시급을 충뷴히 주어도 됩니다. 족벌제벌들 논리을 되지말고 제발 사실에 근거한 얘기을 하세요. 저 또한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한쪽의 논리을 앵무생처럼 해되면 어떻합니다.
@불티-g2g Жыл бұрын
좋은데 장황하다 압축하면 좋겠네 장편 소설처럼 하지 말고 시 처럼
@simongood4519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최진기 슨상님 강의라고 들어와서 시청한것에대해 경의를 표합니다. 허나 배움의자세 학습자의태도는 많이 미흡한... 댓글하나에도 당신의 품격이 있고 당신의 수준 생각 미래가 있습니다. 좋은 태도를 갖도록 노력해야한다.
@빡검사 Жыл бұрын
최진기 강사의 강의는 염세주의를 깔고 시작하는듯...$
@hjuip Жыл бұрын
소위 공부 많이 한 경제학자들은 최저임금 근처의 저소득자들을 함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기 소득 떨어지는 거엔 발끈하면서 저소득자들의 최후 보루인 최저임금을 올린 정책이 실패라고 자신있게 말하는 거 보면 그들의 삶은 전혀 관심이 없는 거지. 저런 사람은 제발 강의만 하고 나랏일엔 관여하지 않았으면.
@한영-r9w Жыл бұрын
최저임금이 저소득자들의 최후 보루인건 인정 하겠으나 그렇다고 최저임금을 올리면 저소득자들의 소득도 따라서 올라갈 거라는 생각은 아주 1차원적인 생각이고 착오입니다 그러니 마구잡이로 올리면 안된다는 겁니다..
@MoatsInvester Жыл бұрын
@@한영-r9w 최저임금을 올리는 이유는 최저임금이상으로 주라는건데 그것만 줘도 된다고 생각하는 머저리들땜에 올린거야
@앨리나-u6g Жыл бұрын
정상적인 자영업자는 어떤건가요? 자영업 해본적 있으신가요? 이런 궤변에 더이상 속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