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분토론] 딥시크 ‘AI 전쟁’‥위기냐 기회냐? (1085회) - 2025년 02월 11일 밤 11시 30분

  Рет қаралды 30,097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

Күн бұрын

유튜브 동시중계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실시간 댓글로 많은 의견 남겨주세요.
100분토론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출연패널
김기응 / 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
김승주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강정수 / 블루닷 AI연구센터장
박태웅 / 한빛미디어 의장
#100분토론 #백분토론 #성장경
#김기응 #김승주 #강정수 #박태웅
#딥시크 #AI #정보보안 #오픈소스공개
#반도체 #스타게이트 #AI산업지원정책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Пікірлер: 134
@one1222
@one1222 13 сағат бұрын
수준 높은 토론으로 국민들 식견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켜 주네요❤❤
@kinghm9713
@kinghm9713 8 сағат бұрын
4분 모두 너무 훌룡하십니다. 귀한 인사이트 너무 감사합니다.
@손근-p2z
@손근-p2z 11 сағат бұрын
오늘은 토론같아서 좋네요
@현아저씨-x3g
@현아저씨-x3g 10 сағат бұрын
중요한건 윤리 보안 따져봐야 기술과 활용에 뒤쳐지면 끝난다는 겁니다 ai사용해서 전쟁에 이기면 패자가 윤리 안지켰다고 주장 한들 그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조나단-w4f
@조나단-w4f 7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의 AI는 이미 2013년 얄파고 대 이세돌 바둑 시합 이후부터 너무 고요했고 계속 고요하고 있음. 심지어 R&D 예산 삭감에 항의하던 사람 입틀막하고 들쳐 내동이치고, 무용과 교수가 AI를 책임지겠다는 한국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을 기대하는 것은 바로 연목구어(緣木求魚)와 같음.
@주권방송1
@주권방송1 7 сағат бұрын
그때는 mb 그네시절이라 고요했을듯 그러다가 문정부가 관심을 좀 가졌는데 굥이 도로아미타브르
@user-racshun
@user-racshun 2 сағат бұрын
정치문제로 싸우는거 답답하고 화만 났는데 이런 토론보니까 너무 마음이 편안하고 보기 좋네
@kgm7979
@kgm7979 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도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가역량 집중했으면 좋겠네요, 뛰어난 인재들이 해외에서만 머무르고 다른 나라 경쟁력만 제고시키는 결과를 만드는 것을 보면 매우 아쉽습니다.
@reinhardvz-b2k
@reinhardvz-b2k Сағат бұрын
기대를 안했는데 생각한 것보다 진행자가 내용 숙지가 잘 되어 있어서 놀랐네요. 공부 많이 하시는 듯. 박태웅 의장님 많이 배웠습니다.
@HongLab
@HongLab 10 сағат бұрын
인건비 차액을 민간이 대느냐 정부가 대느냐 하는 논의보다는 애초에 인재들이 왜 떠났는지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인력과 GPU를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에 비유하는 것은 틀렸습니다. 무조건 인력이 먼저입니다. 지금 새롭게 자라나는 인력들이 더 중요합니다. 한국 안에서 성장하고 있는 인재들이 희망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외국 나와있는 사람들에게 읍소해서 데려간다는 발상은 감정적이며 비현실적입니다. 애초에 한국을 떠난 원인이 해결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고국의 발전을 돕고 싶지 않은 사람도 없을겁니다. 한국에서 건전한 생태계가 만들어지면 미국과의 인적 교류는 큰 돈을 들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활발해질겁니다.
@lovetoken
@lovetoken 4 сағат бұрын
오랜만에 꿀잼 토론이어서 두세번 더 리플레이 해 볼 것 같아요
@J라불리었던사나이
@J라불리었던사나이 Сағат бұрын
경험에서 우러 나오는 식견을 말씀해 주신 강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임주섭-i8f
@임주섭-i8f 6 минут бұрын
강정수 박사님께만 박수를 올린다
@유명천작
@유명천작 3 сағат бұрын
참 웃기는게 가진자들의 특권을 박살내서 평민들한테 나눠줫는데. 평민들이 물어뜯고 잇다.
@z_man8801
@z_man8801 4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는 돌핀이라고 하나 만들자. 손목에 차는 ai
@AIGame-i7g
@AIGame-i7g 7 сағат бұрын
토종 거대 AI 자체 개발 ??? 현실감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본과 인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AI에 경쟁력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비카라-i8w
@비카라-i8w 9 сағат бұрын
미국은 100년을 과학기술에 투자를 했고 중국은 최첨단과학에 10년을 투자를 했다 한국정부는 정권이 바뀔때마다 1%씩 경제성장율이 깍이고 인재유출 1위 국가 되었다. 한국정부는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 제발 한국이 깨어나길 바란다.
@kdoioee
@kdoioee 9 сағат бұрын
그걸 왜 한국 정부 탓하고 있누. 민간기업이 문제지. ㅋㅋㅋ
@비카라-i8w
@비카라-i8w 9 сағат бұрын
@kdoioee ai는 민간으로는 과잉비용 과 중복비용 아닌가?
@비카라-i8w
@비카라-i8w 9 сағат бұрын
@kdoioee 그리고 중국은 공산당에서 보조금과 천인계획으로 인재 영입 하지 않는가?
@kdoioee
@kdoioee 9 сағат бұрын
@@비카라-i8w 공산당이니까 그렇지
@kdoioee
@kdoioee 9 сағат бұрын
@@비카라-i8w 자꾸 국가보조금 타먹을 생각하지 말고 알아서 해야죠. 고속도로는 이미 깔려있습니다. 본인들이 적극적이지 않은거에요
@elflee7
@elflee7 3 сағат бұрын
시청후 많은 생각이 듭니다. 1) AI 학습 인프라구축의 중요성: 필수적이진 않으나 있으면 개발속도, 보안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임 2) 관련 인재 확보의 중요성: 해당 인력들을 교육할 교수, 이들이 일할 좋은 동료들이 있고 파격적인 지원이 보장되는 기업/연구소, 무엇보다 의대에 집중되어 있는 우수한 학생들의 유치 3) 정부의 AI R&D에 대한 길고도 지속적인 투자: 1번 2번을 가능케 하는 정부의 AI R&D 에 대한 관심, 유의미한 AI 생태계 조성
@yhzhang9998
@yhzhang9998 9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 센타장님 짱.
@meguru420
@meguru420 10 сағат бұрын
ai이용비용부터 생각해보라 이천만명이 유료로 월 20달러씩 낸다면 그것도 영구적으로 ,,, 그때 우리가 재정적으로 버틸수있나? 그래서 국가적 ai가 꼭 필요하다
@user-ei6qlf1nr6k
@user-ei6qlf1nr6k 10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축구는 왜 유럽축구보다 안되나? 한국엔 닌텐도가 없냐? AI도 마찬가지 왜 없겠냐? 인력, 인프라, 문화 어디부터 손댈지 난감하지. 방향이라도 정해서 기초부터 나아가야지.
@dongrijin7922
@dongrijin7922 12 сағат бұрын
대통령이 미국에 가서 인재들에 읍소하면서 한국으로 인재들을 불러모아야 되는데 구치소에서 구라만 치고 있는 아이러니....
@solivelystreaming
@solivelystreaming 10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의 AI 인재 유출 문제 (1:14:21)
@앨런최-k1d
@앨런최-k1d 3 сағат бұрын
지금은 지식만으로 않됨 사업적 맥락 이해가 필요.
@kosmos6771
@kosmos6771 11 сағат бұрын
하여튼 새로운 세상이 ㅇ리
@FishOfTheSeason
@FishOfTheSeason 16 сағат бұрын
ai의 무서움은 ai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지 않았는데도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딥시크로 인해 최적화도 가능해졌고 이제 문제의 과도한 전력사용만 조금 개선될 수 있다면 ai의 비용이 현실화되서 그 땐 저기 일용직 사무소에서 조차 ai가 쓰여서 ai가 노동자에게 일감을 나눠주는 풍경을 보게 될 수도 있겠죠. 그 때야 말로 저기 토론에 나왔던 여러 우려들이 현실화 되지 않을까 싶네요.
@eva-rei
@eva-rei 16 сағат бұрын
"여러분이 제게, 평범한 사람이 열심히 공부해서 제가 상상하는 것들을 똑같이 상상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물론이죠! 저도 공부를 열심히 한 평범한 사람이에요. 기적은 없어요, 여러분." 발명자: 리처드 파인만 발명품: 원자폭탄 (맨해튼 프로젝트)
@BlueSky-ff9bj
@BlueSky-ff9bj Сағат бұрын
제발 유럽처럼 실패하지 않도록. 🎉🎉🎉
@alpha-k6n
@alpha-k6n 9 сағат бұрын
강박사님만 애가타시고 나머지분들은 강건너 불구경 하는듯 말로만하는느낌이랄까
@leejaewon2244
@leejaewon2244 9 сағат бұрын
왜 그렇게 열을 내지요? 우리는 학자들의 의견을 들을려고 하는데 파이트의 친ㅈㅇ. 학자인것같네요
@尹龙珠
@尹龙珠 Сағат бұрын
그러면 생화학무기를 안만들려면 그런과학자를 키우지말아야한다는 논리가 과연맞을가요?
@jingzaiyu1185
@jingzaiyu1185 10 сағат бұрын
강박사님 수고많으십니다. 화이팅 ❤
@garybbking
@garybbking 3 сағат бұрын
100분인데 왜 74분이냐
@주권방송1
@주권방송1 7 сағат бұрын
3위는 해야
@eunseokbang
@eunseokbang 4 сағат бұрын
회사에서 나온 아재 왜 쓸데없는데 열냄? 논의할게 많은데 쓸데없는데 토론시간 낭비하게 만드네
@김우진-y7k
@김우진-y7k 9 сағат бұрын
인간을 가슴뛰게하면서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해야 할 나라여야 할 것이다. 그래야 살맛이 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본성과 맞다아 있기때문에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이다. 칸트가 말중에 "나의 가슴을 뛰게 하는 건 밤하늘의 빛나는 별과 내 안의 도덕률이다." ai를 비롯한 물질문명의 발전과 함께 정신문명의 발전을 이룩할때 궁국적인 인간의 삶의 질의 도약 하는 것인데 정신문명의 발전은 인간의 도덕율을 어떻게 얼마나 개발 할 것인가에대 고민과 계획 길을 제시하며 만들어 가야 우리사회의 도약이 가능 할 것이다.
@minik9451
@minik9451 16 сағат бұрын
오늘 토론 넘 좋았어요 못알아듣는 부분이 더 많았지만😂 미래를 위해 토론하는 그자체로 좋았습니다
@ICKLAB
@ICKLAB Сағат бұрын
정반합. GhatGPT 출현 이후 '정!정!정!'이었던 부분에서 '반'을 제기하며 '합'을 도출할 시점인듯 합니다. (유전자 조작에 대한 세계적인 합의는 매우 적절한 방향이었다고 본다.)
@freedom-lz7cg
@freedom-lz7cg 11 сағат бұрын
그래 언론방송이 미래 이야기도 해야지. 어느 방송은 초신성이 뭐냐고 출연자들끼리 이야기 하더라고. 한심하다.
@kinghm9713
@kinghm9713 8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 대표님의 의견에 많은 공감이 되네요.
@QwH-i7j
@QwH-i7j 4 сағат бұрын
박태웅님 제외한 나머지 분들은 참... 에효
@rkskekfkakqktk1119
@rkskekfkakqktk1119 15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토론 잘 봤습니다. 자신의 위치에서 치열한 토론 좋습니다.
@무진장-w9d
@무진장-w9d 11 сағат бұрын
잠자고 있는 삼성....
@alpha-k6n
@alpha-k6n 8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 인공지능이 발전을 못하고있는 이유를 알겠네요 정부리더들의 문제가 있었네요 강건너 불구경
@baknoin
@baknoin 16 сағат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업로드 담당자님께 부탁드립니다. 많이 바쁘실 텐데 죄송하지만 간간히 간곡히 간절히 절절히 지절히 부탁드립니다. 게시물 제목 형식을 이전(2023년 3월 28일)의 형식으로 변경 부탁드립니다. 순차 재생이 어려워 부탁드립니다. '[LIVE 100분토론] '내용' ('n회')' → '[LIVE 100분토론] ('n회') '내용'' 향후 위와 같이 회귀시켜 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j1041
@kj1041 8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는 토론이 이니고 본인 얘기만 맞다고 하시네~
@スイカ1979
@スイカ1979 8 сағат бұрын
그런가 수구세력과 맞서는것처럼 나는 보이는데 결국엔 지들은 안되면서 중국이 하니까 배아픈거고 강정수는 그런거 쓸데없다 우리가 발전하는데 써야된다임
@전립선검사
@전립선검사 55 минут бұрын
@@スイカ1979 강박사님은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포커스에 맞추다 보니 더 급하게 느껴지는것 같음
@무진장-w9d
@무진장-w9d 11 сағат бұрын
이 나라는 뭐하고 자빠졌다냐... ???
@비카라-i8w
@비카라-i8w 10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인이 여기 왜 와
@kdoioee
@kdoioee 9 сағат бұрын
계엄 ㅋㅋㅋㅋㅋ
@시라소니-p8j
@시라소니-p8j 9 сағат бұрын
놀고 자빠졋다...왜?니들은 계엄이 뭔지 모르지?😝😝😝😝😝😝😝...탄핵해봣냐....😉😉😉😉😉😉...
@user-sj8hm3dr9x
@user-sj8hm3dr9x 2 сағат бұрын
교수들이 정부 눈치보는게 슬프네요
@gwanglyulchoi1422
@gwanglyulchoi1422 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와 관련 없는 얘기만 자기자랑하듯. Ai를 우리산업에 적용시키는 실질적인 논의 하는 방송을 해라.
@goodhot911
@goodhot911 2 сағат бұрын
고려대 이런 교수 있으니 참 말도 안 나와
@leejaewon2244
@leejaewon2244 9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심하다
@김반석-q5l
@김반석-q5l 9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는 전문가가아님
@gghosok1
@gghosok1 3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100분토론이 이런 주제로 토론한게 얼마만이냐 맨날 정치인 불러다놓고 쓰잘데없는 토론하지 말고 당장 대한민국의 미래에 영향을 주는 이런 주제로 토론을 많이해라 정말 답답하다 이번에 정말 잘했다
@yx_y
@yx_y 9 сағат бұрын
아파트 살리고 대왕고래 잡아야지 뭣들 하는거냐?
@dinosis
@dinosis 16 сағат бұрын
정보보호 교수님 오픈소스를 이용한 프로젝트 진행 시 보안면에서 커스터마이징 할 능력이 부족해서 정보유출 등 걱정하는 데 의문이 생기네요. 오픈소스는 전세계의 개발자가 참여해서 보안 취약점을 공동으로 찾아보고 개선하고 감시할 수 있는 데 그런 점을 간과하신 듯 오픈소스에 보안취약점이나 백도어가 심어져있다면 지금 단계에서는 일시적으로 그럴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위협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조철수-f1x
@조철수-f1x 7 сағат бұрын
그래서.공산주의.공덩분배로가야.인간이진정행복한세상으로간다
@조현기-y2y
@조현기-y2y 15 сағат бұрын
윤석열이가 인재유출 마이했지...그냥 가게했지..과학 예산 다 삭감하고 처우 박하고 그냥 다 내 쫒게 맹그럿지.. 결과론적으로다가 우리가 맹근겨 찍어준 우리 손가락이 맹근겨
@leejaewon2244
@leejaewon2244 9 сағат бұрын
학자 교수같지. 않아서 좀 실망입니다. Model T가 나올때 검은 배기가스등 규제가 엾었다는 예를 들다니요. 학자보다는 정치쪽이 어울릴지도
@djkim24601
@djkim24601 15 сағат бұрын
윤리며 보안 얘기는 이런 자리에서는 시간낭비입니다
@비카라-i8w
@비카라-i8w 10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는 너무 다 괜찮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네. 너무 무책임한것이 아닌가? 중국의 오픈 소스는 받아드리는 것은 찬성하지만 딥시크 사용은 문제라고 본다. 중국의 오픈 소스는 국가적으로 연구해서 국가내에서 공유할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AI 개발비를 절감하지 않는가.
@현아저씨-x3g
@현아저씨-x3g 10 сағат бұрын
문제 아무리 주장해봐야 기술에 뒤지면 의미 없습니다 지금은 기술개발과 활용확장이 우선입니다
@전립선검사
@전립선검사 53 минут бұрын
무책임하다고 볼수도있는데 문제는 ai 바닥이 한번 밀리면 절대 따라갈수가없는 바닥임. 남의꺼 배껴서라도 따라가도 모자를 판임. 여유가 부족하다 이거임
@음음z
@음음z 16 сағат бұрын
첨단ai가 일자리를 위협하는 수준이 오면 시민들은 구걸을 해야할까요?😂
@louishu3768
@louishu3768 9 сағат бұрын
개인정보 미국에 넘어가느냐 중국에 넘어가느냐 문젠데 좋으면 쓰고 싫으면 안쓰면 되잖어😅
@战略挑逗局局长
@战略挑逗局局长 8 сағат бұрын
김치찌개먹을까 된장찌개먹을까를 고민하는놈이 개인정보 유출 걱정하는게 코미디 아님? 그걸 왜 니가 걱정하냐고??????
@jiseo6298
@jiseo6298 2 сағат бұрын
강박사는 규제 얘기만 나오면 흥분하네.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한건 인정해야지. 규제는 무조건 안됀다 그러는건 5살짜리에게 총 줘도 된다는거지.
@jdit212
@jdit212 Сағат бұрын
그 규제를 공무원들이 만들어서 산업의 발전에 발목잡기 하니 그게 문제지 규제야 당연히 있지 쓸데없는게 많아서 문제인거임
@thePersimmonTree
@thePersimmonTree 9 сағат бұрын
오픈소스라 정보보안에 문제없다는 의견은 완전히 동의하기 어렵지 않을지...즉, 시스템 구조가 완전 공개돼 있다는건데 따라서 취약한 부분도 노출돼 있다는 의미도 되지않을지...
@namhs1354-m6q
@namhs1354-m6q 11 сағат бұрын
센터장 빼고는 왜 나와서 자리만 채우고 에헴하고 앉아 있는지 모르겠네요.
@gwonyg
@gwonyg 9 сағат бұрын
어떤 센터장 말씀하시나요?
@2_morrow
@2_morrow 12 сағат бұрын
딥키스가 요즘 난리네
@앤디후욱
@앤디후욱 8 сағат бұрын
일단 발전부터 하자 윤리는 그 다음
@독또리
@독또리 4 сағат бұрын
그래 다 털리고 나중에 뭐 어찌 되겠지 일단 오늘 막써 미래는 모르는것 일단 가즈아??
@앤디후욱
@앤디후욱 4 сағат бұрын
@@독또리 우리가 윤리중심으로 천천히 발전할때 중국 미국은 윤리 없이 가속으로 발전한다 윤리?? 아마도 경제전쟁이나 실질적 전쟁으로 그 윤리를 배우게 될것이다 그래 그때 다 털리고 나중에 후회 하겠지 발전시킬껄 하고
@비카라-i8w
@비카라-i8w 10 сағат бұрын
강정수 말이 틀린점은 미국과 중국이 갈등이 심할수록 엔비디아 돈을 더 벌고 있다. 중국이 미친듯이 어떻게든 엔비디아 칩을 사고 있다는 점이다. 화웨이 칩으로 카버 하기 힘들다든 점이다. 제제가 강할수록 엔비디아칩의 프리미엄때문에 돈을 더 벌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도 못 느끼나?
@gwanglyulchoi1422
@gwanglyulchoi1422 9 сағат бұрын
중궈방송 에 입문하려곸ㅋㅋㅋ
@박정순-c7x
@박정순-c7x 16 сағат бұрын
공부 좀 하게 의사 박사 다 외국 떠난 줄 알아 치원을 안 해주잖아이 나라는 나라에서 뭔가를 개발하면은 지원을 해주던지 답답하네
@toyonkoo9552
@toyonkoo9552 8 сағат бұрын
그냥 갖다 써라 근본적으로 중국은 우수한 민족이다 거기와는 경쟁이 안돼. 삼성전자는 직원들 기술 도둑질 못 하게 해라
@freelife221
@freelife221 11 сағат бұрын
自古英雄出少年, 토론두 참 한국스럽다 라는 생각을 하게 하네요.
@박정순-c7x
@박정순-c7x 16 сағат бұрын
근데 나라에서 돈 한 푼도 안 들여주고 어떻게 해 과학자들이 어떻게 개발자 뭐 어떻게 행동하라고 그지 같은 소리만 하고 있고
@박정순-c7x
@박정순-c7x 16 сағат бұрын
고색이 각국에서 지원을 해주니까 그게 발전이 되는 거지? 아무것도 해주지도 않구 왜 이렇게 하냐고 중국에서 이렇게 했나 과학자들은 연구자들 개발자들도 짜증나.
@goodhot911
@goodhot911 2 сағат бұрын
한국 이런 수준 밖에 안 되나요?
@alpha-k6n
@alpha-k6n 9 сағат бұрын
강박사님같으신 분이 국가 AI센터장이되었으면 우리나라 AI 발전이 좀더 빠르게 전진이 될것같다는 생각입니다
@user-dl123
@user-dl123 3 сағат бұрын
달랑매모리 하나 만들면서 반도체 종주국? ㅋ 미국은 반도체의 우주겟다.
@싸돌-y4r
@싸돌-y4r 11 сағат бұрын
솔직히 윤석열 탄핵이 먼저 아니냐?
@갑오징어-n5z
@갑오징어-n5z 14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도 ai,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함. 외국에만 의존하다간 이용만당하고 나중엔 팽당함
@dokdohan662
@dokdohan662 14 сағат бұрын
다운로드 하면 보안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면 보안을 전혀 모르거나 오해하고 있다. 그리고 Fine-tuning 비용을 아예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흥분해서 패널에 있다는 것이 조금 문제인거 같다.
@one1222
@one1222 13 сағат бұрын
a.i 관심과 국가적인 투자 보다는 중국으로 언론이 어그로를 끄니깐 본질을 흐리는것은 맞죠
@유명천작
@유명천작 3 сағат бұрын
오픈소르라는 특성이 누구든 뜯어볼수 잇다는겁니다. 문제가 없으니 미국의 공룡들이 적용하는겁니다. 그들이 무식해서 가져다 쓰겟습니까?
[겸공뉴스특보]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Рет қаралды 56 М.
Кого Первым ИСКЛЮЧАТ из ШКОЛЫ !
25:03
It's the natural ones that are the most beautiful#Harley Quinn #joker
01:00
Harley Quinn with the Joker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Сигма бой не стал морожкой
00:30
КРУТОЙ ПАПА на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Чем закончится конфликт Алиева и Путина?
34:18
BBC News - Русская служба
Рет қаралды 55 М.
Кого Первым ИСКЛЮЧАТ из ШКОЛЫ !
25:03